산타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페주는 아르헨티나의 주이며, 팜파스 평원과 차코 지역에 걸쳐 위치해 있다. 1573년 산타페 시가 건설되었고, 1812년에는 아르헨티나 국기가 처음 게양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이 중요하며, 대두, 옥수수, 밀 등을 생산하고 소와 낙농업도 발달했다. 로사리오는 주요 항구이며, 제조업과 서비스업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산타페주는 19개의 도(departamentos)로 나뉘며, 주지사, 주의회, 사법부로 구성된 정부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 출신 유명 인물로는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 리오넬 메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타페주 - 산로렌소 (산타페주)
아르헨티나 산타페주에 위치한 산로렌소는 프란치스코회 수도사들의 선교로 건립되었으며,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1차 상품 수출의 핵심 항구를 가진 도시이자 축구 선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의 출생지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 - 멘도사주
멘도사주는 아르헨티나 서부에 위치하며 안데스 산맥과 쿠요 평원을 포함하고, 와인 생산, 관광,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칠레와 국경을 접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산타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산타페 주 |
스페인어 명칭 | Provincia de Santa Fe |
이탈리아어 명칭 | Provincia di Santa Fe |
![]() | |
![]() | |
별칭 | 해당 없음 |
모토 | 해당 없음 |
![]() | |
국가 | 아르헨티나 |
주도 | 산타페 데 라 베라 크루스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데파르트멘토 |
데파르트멘토 수 | 19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지구 |
지구 수 | 365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지방 자치 단체 및 코뮌 |
지방 자치 단체 및 코뮌 수 | 352 |
정부 | |
주지사 | 막시밀리아노 풀라로 |
주지사 소속 정당 | UCR - JxC |
의회 | 산타페 주 의회 |
의회 구성 | 하원 (50석), 상원 (19석) |
아르헨티나 하원 의원 | 19 |
아르헨티나 상원 의원 | 카롤리나 로사다, 에두아르도 갈라레토, 마르셀로 레반도프스키 |
면적 | |
총 면적 | 133,007 km² |
면적 순위 (아르헨티나 내) | 10위 |
해발 고도 | 20 m |
인구 | |
총 인구 (2022년) | 3,556,522명 |
인구 순위 (아르헨티나 내) | 3위 |
인구 밀도 | auto |
주민 | 산타페시노 |
경제 | |
GDP (2019년) | peso 1조 8310억 (미화 390억 달러) |
기타 정보 | |
시간대 | ART |
UTC 오프셋 | -3 |
ISO 3166-2 | AR-S |
인간 개발 지수 (HDI, 2021년) | 0.841 매우 높음 (아르헨티나 내 13위) |
웹사이트 | 산타페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산타페 주는 원주민 시대, 식민지 시대, 독립과 자치 시대, 국가 통합 이후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원주민 시대에는 토바스, 팀부에스, 모코비에스 등 여러 원주민 부족이 유목 생활을 했다. 1527년 세바스티안 카보트가 산티 스피리투스 요새를 세웠으나 원주민에 의해 파괴되었고, 1573년 후안 데 가라이가 산타페 시를 건설했다. 1812년 마누엘 벨그라노는 로사리오에서 아르헨티나 국기를 처음 제작하여 게양했다.
1815년 산타페는 자치주를 선포했지만, 곧 중앙 정부에 의해 종속되었다. 1816년 마리아노 베라와 에스타니슬라오 로페스가 다시 자치를 선포하고 아르티가스의 자유 연맹에 가입했다. 로페스는 1818년 주 헌법을 제정하고, 1820년 내전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격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사후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가 호세 마리아 쿨렌을 제거하고 후안 파블로 로페스를 주지사로 임명했다.
국가 통합 이후, 산타페는 철도, 전신선, 대학교 설립 등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맞았다. 유럽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급진 시민 연합(UCR), 진보 민주당(PDP) 등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 로케 사엔스 페냐의 선거 개혁 이후 UCR이 정권을 잡았고, 리토랄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아르투로 프론디지 대통령 시기에는 에르난다리아스 터널 건설 등 공공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후 산타페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0년대 이후 경제가 성장하며 농업 생산지로 부상했다.
2. 1. 원주민 시대
이 지역에 거주했던 원주민 부족은 토바스, 팀부에스, 모코비에스, 필라가스, 과이쿠루에스, 과라니에스였다. 그들은 유목 생활을 하며 사냥, 어업, 과일 채집으로 생계를 유지했다.2. 2. 식민지 시대
세바스티안 카보트가 1527년 파라나강과 카르카라냐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산티 스피리투스라는 요새를 세웠지만, 2년 후 원주민에 의해 파괴되었다.[1] 1573년 후안 데 가라이는 현재 카야스타 마을 인근에 산타페 시를 건설했지만, 1651년과 1660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1]1812년 변호사이자 장군인 마누엘 벨그라노는 아르헨티나 국기를 처음으로 제작하여 산타페에서 남쪽으로 160km 떨어진 로사리오(당시 작은 마을)의 파라나 강둑에 게양했다.[1]
2. 3. 독립과 자치 시대
1812년 변호사이자 장군인 마누엘 벨그라노는 아르헨티나 국기를 처음으로 제작하여 산타페에서 남쪽으로 떨어진 로사리오(당시 작은 마을)의 파라나 강둑에 게양했다.1815년, 카를로스 마리아 데 알베아르의 중앙 정부가 이그나시오 알바레스 토마스의 반란으로 무너졌을 때(당시 산타페로 아르티가스에 대항하여 파견된 군대의 사령관), 지역 민병대 지도자 프란시스코 칸디오티가 평화롭게 정부를 장악하여 산타페가 자치주로서의 시대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 기간은 짧았는데, 그해 칸디오티가 사망하고 중앙 정부가 종속 정부를 재건했기 때문이다. 1816년, ''카우디요'' 마리아노 베라와 에스타니슬라오 로페스는 지사 대리를 축출하고 주의 주권과 아르티가스의 자유 연맹(''리가 데 푸에블로스 리브레스'') 가입을 선포했다.
로페스는 1818년, 지방 의회가 제안한 프로젝트를 거부한 후, 강력한 보수주의적 성향의 주 헌법을 제정했다. 산타페는 헌법을 가진 최초의 주였다. 1820년 내전 동안 산타페군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중앙집권군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하여 로페스는 점차 ''연방의 수장''이 되었고, 1838년 사망할 때까지 연방당의 핵심 인물로 자리 잡았다.

로페스의 사망 후, 그의 비서이자 오른팔이었던 호세 마리아 쿨렌이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쿨렌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이자 연방의 외교 담당 대표인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의 잠재적 경쟁자였기에, 로사스는 쿨렌을 체포 및 처형하고 친 로사스파인 후안 파블로 로페스를 주지사로 임명했다. 새로운 주지사는 1851년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의 대군이 주를 침공할 때까지 파스쿠알 에차가구에와 번갈아 가며 권력을 유지했으며,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주는 1841년에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
2. 4. 국가 통합 이후
1815년, 카를로스 마리아 데 알베아르의 중앙 정부가 이그나시오 알바레스 토마스의 반란으로 무너졌을 때, 지역 민병대 지도자 프란시스코 칸디오티가 평화롭게 정부를 장악하여 산타페가 자치주로서의 시대를 시작했다.[1] 이 기간은 짧았는데, 그해 칸디오티가 사망하고 중앙 정부가 종속 정부를 재건했기 때문이다.[1] 그러나 1816년, ''카우디요'' 마리아노 베라와 에스타니슬라오 로페스는 지사 대리를 축출하고 주의 주권과 아르티가스의 자유 연맹(''리가 데 푸에블로스 리브레스'') 가입을 선포했다.[1]로페스는 1818년, 지방 의회가 제안한 프로젝트를 거부한 후, 강력한 보수주의적 성향의 주 헌법을 제정했다.[1] 산타페는 헌법을 가진 최초의 주였다.[1] 1820년 내전 동안 산타페군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중앙집권군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 그리하여 로페스는 점차 ''연방의 수장''이 되었고, 1838년 사망할 때까지 연방당의 핵심 인물로 자리 잡았다.[1]
로페스의 사망 후, 그의 비서이자 오른팔이었던 호세 마리아 쿨렌이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 그러나 쿨렌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이자 연방의 외교 담당 대표인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의 잠재적 경쟁자였기에, 쿨렌을 체포 및 처형하고 친 로사스파인 후안 파블로 로페스를 주지사로 임명했다.[1] 새로운 주지사는 1851년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의 대군이 주를 침공할 때까지 파스쿠알 에차가구에와 번갈아 가며 권력을 유지했으며,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주는 1841년에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1]
국가 조직 이후, 주는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맞이했다.[1] 1872년에는 철도가 주의 많은 지점을 연결했고, 전신선도 설치되었으며, 1889년에는 산타페 주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1]
보수 세력의 정치적 헤게모니는 유럽 이민자들이 가져온 새로운 사상에 의해 도전받았고, 급진 시민 연합 (UCR)과 진보 민주당 (PDP)이 탄생했으며, 아르헨티나 농업 연맹이 결성되었다.[1] 이 두 정당은 주의 보수 정당들과 많은 선거 경쟁을 벌였다.[1]

1912년 로케 사엔스 페냐의 선거 개혁 이후, UCR은 정부를 장악하여 1930년 쿠데타까지 유지했다.[1] 이 기간 동안, 정확히 1919년에 리토랄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1] 1932년에는 PDP가 주지사 자리를 차지했다.[1]
논쟁이 많았던 1958년 선거 (이 선거에서 페론주의 후보들은 출마가 금지되었다)는 산타페에서 대통령 당선자 아르투로 프론디지의 동맹인 카를로스 실베스트레 베그니스 박사를 권력으로 이끌었다.[1] 베그니스 주지사는 즉시 예산을 절실히 필요한 공공 사업, 특히 산타페 시와 인접한 파라나를 연결하는 에르난다리아스 터널 건설에 투입했다.[1] 터널의 대부분은 거대한 파라나 강 아래로 지나가며,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1]
1962년 보수 세력의 압력으로 프론디지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강제로 사임해야 했던 베그니스는 1969년 ''에르난다리아스''가 개통되는 것을 보았고, 유권자들은 1973년 (이번에는 페론주의자로서) 그를 압도적으로 다시 당선시켰다.[1]
산타페는 70년대 말의 폭력과 80년대의 불황을 다른 대부분의 주보다 더 심하게 겪었다.[1] 1990년대의 번영기 동안에도 경제적으로 쇠퇴를 거듭했는데, 이는 아르헨티나 페소의 평가 절상이 생산 부문에 압력을 가했기 때문이다.[1] 2002년경에 바닥을 찍은 후, 경제는 그 이후로 매년 7% 성장했다.[1] 아르헨티나의 수익성 높은 대두 수확의 중심지인 이 주의 중요성은 계속 커져서, 이제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와 경쟁하며 아르헨티나 최고의 농업 생산지로 부상했으며, 로사리오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하나이다.[1]
2. 5. 20세기 이후
1912년 로케 사엔스 페냐의 선거 개혁 이후, 급진 시민 연합(UCR)은 정부를 장악하여 1930년 쿠데타까지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1919년에 리토랄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32년에는 진보 민주당(PDP)이 주지사 자리를 차지했다.[1]1958년 선거 (이 선거에서 페론주의 후보들은 출마가 금지되었다)는 산타페에서 대통령 당선자 아르투로 프론디지의 동맹인 카를로스 실베스트레 베그니스 박사를 권력으로 이끌었다. 베그니스 주지사는 즉시 예산을 절실히 필요한 공공 사업, 특히 산타페 시와 인접한 파라나를 연결하는 에르난다리아스 터널 건설에 투입했다. 터널의 대부분은 거대한 파라나 강 아래로 지나가며,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1]
1962년 보수 세력의 압력으로 프론디지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강제로 사임해야 했던 베그니스는 1969년 ''에르난다리아스''가 개통되는 것을 보았고, 유권자들은 1973년 (이번에는 페론주의자로서) 그를 압도적으로 다시 당선시켰다.[1]
산타페는 1970년대 말의 폭력과 1980년대의 불황을 다른 대부분의 주보다 더 심하게 겪었다. 1990년대의 번영기 동안에도 경제적으로 쇠퇴를 거듭했는데, 이는 아르헨티나 페소의 평가 절상이 생산 부문에 압력을 가했기 때문이다. 2002년경에 바닥을 찍은 후, 경제는 그 이후로 매년 7% 성장했다. 아르헨티나의 수익성 높은 대두 수확의 중심지인 이 주의 중요성은 계속 커져서, 이제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와 경쟁하며 아르헨티나 최고의 농업 생산지로 부상했으며, 로사리오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하나이다.[1]
3. 지리
산타페주는 대부분 습한 팜파스의 일부인 녹색 평원이며, 북쪽으로는 그란 차코 지역과 접해 있다. 서쪽에는 낮은 산맥이 있다. 북쪽은 기온이 더 높으며, 연평균 19°C이고 강수량은 동쪽으로 최대 1100mm이며, 겨울 동안 뚜렷한 건기가 있는 서쪽으로 감소한다. 남쪽은 기온이 더 낮아 평균 14°C이고 강수량이 약간 적다.
여름은 주 전체가 덥고 습하며, 뇌우와 열파가 흔하다. 3월은 남쪽에서 밤이 더 시원해지고, 4월은 쾌적한 날씨를 보인다. 서리는 5월에 남쪽에서 나타나 9월까지 자주 발생한다. 겨울은 주의 서쪽이 더 건조하고 동쪽이 더 습하다. 한파는 종종 남쪽에서 -5°C의 기온을 가져온다. 봄은 예측할 수 없으며, 열파와 시원한 날씨, 건조한 기간과 심한 뇌우가 번갈아 나타난다.
강수량은 북동쪽의 1200mm에서 남서쪽과 극서북쪽의 800mm까지 다양하다. 눈은 주 북부 2/3 지역에서는 전례가 없으며, 2007년에 여러 센티미터가 쌓인 것을 마지막으로 남쪽에서는 매우 드물다.
이 습하고 온화한 기후는 산타페 중부 및 남부가 옥수수와 콩과 같은 작물이 인기 있고 낙농업 산업이 매우 발달하여 전국에서 가장 부유한 농업 지역 중 하나인 이유를 설명한다.
주요 강이자 라플라타 강을 통한 바다로의 연결은 파라나강이다. 살라도 델 노르테, 카르카라냐, 아로요 델 메디오를 포함하여 파라나강의 다른 지류도 있다. 평지는 파라나강과 살라도강의 범람으로 인해 폭우 후 침수되는 경향이 있다. 2003년 살라도강의 급격한 상승은 재앙적인 홍수를 일으켰고, 2007년에는 며칠간의 폭우로 주의 중부와 남부의 60개 이상의 마을이 침수되었다.
산타페 주는 차코 주, 코리엔테스 주, 엔트레 리오스 주,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코르도바 주,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산타페 주 대부분은 습한 팜파스의 일부인 녹색 평원이며, 북쪽으로는 그란 차코 지역과 접해 있다. 서쪽에는 낮은 산맥이 있다. 북쪽은 기온이 더 높으며, 연평균 19°C이고 강수량은 동쪽으로 최대 1100mm이며, 겨울 동안 뚜렷한 건기가 있는 서쪽으로 감소한다. 남쪽은 기온이 더 낮아 평균 14°C이고 강수량이 약간 적다.여름은 주 전체가 덥고 습하며, 뇌우와 열파가 흔하다. 3월은 남쪽에서 밤이 더 시원해지고, 4월은 쾌적한 날씨를 보인다. 서리는 5월에 남쪽에서 나타나 9월까지 자주 발생한다. 겨울은 주의 서쪽이 더 건조하고 동쪽이 더 습하다. 한파는 종종 남쪽에서 -5°C의 기온을 가져온다. 봄은 예측할 수 없으며, 열파와 시원한 날씨, 건조한 기간과 심한 뇌우가 번갈아 나타난다.
강수량은 북동쪽의 1200mm에서 남서쪽과 극서북쪽의 800mm까지 다양하다. 눈은 주 북부 2/3 지역에서는 전례가 없으며, 남쪽에서는 매우 드물다.
주요 강이자 라플라타 강을 통한 바다로의 연결은 파라나강이다. 살라도 델 노르테, 카르카라냐, 아로요 델 메디오를 포함하여 파라나강의 다른 지류도 있다. 평지는 파라나강과 살라도강의 범람으로 인해 폭우 후 침수되는 경향이 있다. 2003년 살라도강의 급격한 상승은 재앙적인 홍수를 일으켰다. 2007년에는 며칠간의 폭우로 주의 중부와 남부의 60개 이상의 마을이 침수되었다.
산타페 주는 다음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주 |
---|
차코 주 |
코리엔테스 주 |
엔트레 리오스 주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
코르도바 주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주 |
3. 2. 기후
산타페주 대부분은 습한 팜파스의 일부인 녹색 평원이며, 북쪽으로는 그란 차코 지역과 접해 있다. 서쪽에는 낮은 산맥이 있다. 북쪽은 기온이 더 높으며, 연평균 19°C이고 강수량은 동쪽으로 최대 1100mm이며, 겨울 동안 뚜렷한 건기가 있는 서쪽으로 감소한다. 남쪽은 기온이 더 낮아 평균 14°C이고 강수량이 약간 적다.여름은 주 전체가 덥고 습하며, 평균 최고 기온은 남쪽의 30°C에서 북서쪽 모서리의 34°C까지, 밤 기온은 남쪽의 17°C에서 북쪽의 21°C 사이이다. 뇌우가 흔하고, 40°C까지 기온을 올리고 덥고 습한 밤을 가져올 수 있는 열파도 흔하다. 이것들은 종종 남쪽에서 서늘하고 시원한 날씨를 가져오는 한랭 전선에 의해 중단된다.
3월은 남쪽에서 밤이 더 시원해지고, 4월은 최고 기온이 남쪽의 22°C에서 북쪽의 26°C까지, 최저 기온은 10°C에서 15°C까지로 쾌적한 날씨를 보인다. 서리는 5월에 남쪽에서 나타나 9월까지 자주 발생한다. 극북에서는 서리가 훨씬 더 불규칙하다. 어떤 해에는 5월에 서리가 내릴 수도 있고, 다른 해에는 7월에 올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극북에서도 매년 서리가 내리는 날이 몇 번 있을 것이다.
겨울은 주의 서쪽이 더 건조하고 동쪽이 더 습하다. 남쪽에서는 기온이 낮에는 15°C에서 밤에는 4°C까지, 북쪽에서는 21°C에서 9°C까지이다. 한파는 종종 남쪽에서 -5°C의 기온을 가져오고, 기록된 최고 기온은 -8°C이다. 더 북쪽에서는 온도계가 때때로 -2°C까지 내려가고, 매우 드물게 -5°C까지 내려간다. 겨울에는 종종 최대 30°C의 짧은 따뜻한 기간이 있은 다음, 이슬비와 6°C 정도의 기온으로 훨씬 더 추운 날씨가 이어진다.
4. 인구
2022년 아르헨티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타페주에는 3,556,522명의 주민이 있다.[10] 인구의 대부분은 유럽에서 기원했으며, 1850년부터 1950년까지 이탈리아인(주로 피에몬테 출신), 스페인인, 스위스인, 독일인 등이 대규모로 이주해 왔다. 1970년 이후 로사리오는 산타페 북부와 북부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이 선호하는 지역이 되었다. 소수의 인구(20%)는 메스티소이고, 훨씬 적은 수(2~4%)는 아메리카 원주민 혈통이다.
4. 1. 인구 구성
2022년 아르헨티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타페주에는 3,556,522명의 주민이 있다.[10] 인구의 기원은 대부분 유럽인으로, 1850년부터 1950년까지의 대규모 이민 물결에서 기원하며, 이탈리아인(주로 피에몬테 출신), 스페인인, 스위스인 및 독일인이 이 주의 주요 민족 집단이다. 1970년 이후로 로사리오는 산타페 북부와 북부 지방에서 온 내부 이주민들에게 선택받았다. 소수의 인구(20%)는 메스티소이고, 훨씬 적은 수(2~4%)는 완전한 아메리카 원주민 혈통이다.
4. 2. 인구 분포
2022년 아르헨티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타페주에는 3,556,522명의 주민이 있다.[10] 인구의 기원은 대부분 유럽인으로, 1850년부터 1950년까지의 대규모 이민의 영향이다. 이탈리아인(주로 피에몬테 출신), 스페인인, 스위스인, 독일인이 이 주의 주요 민족 집단이다. 1970년 이후로 로사리오는 산타페 북부와 북부 지방에서 온 내부 이주민들에게 선택받았다. 소수의 인구(20%)는 메스티소이고, 훨씬 적은 수(2-4%)는 완전한 아메리카 원주민 혈통이다.
연도 | 인구 |
---|---|
18세기 | 12,000명[12] |
1820년 | 15,000~20,000명[13] |
1847년 | 20,000명[14] |
1853년 | 30,000명[9] |
1869년 | 89,117명[15] |
1895년 | 397,188명[16] |
1914년 | 899,640명[17] |
1947년 | 1,702,975명[9] |
1960년 | 1,884,918명[9] |
1970년 | 2,135,583명[9] |
5. 경제
산타페주의 경제는 아르헨티나에서 4번째로 중요하며, 1970년경 인접한 코르도바주에 3위 자리를 내주었다. 2006년 기준으로 산타페주의 경제 규모는 270억달러(2011년경에는 약 430억달러)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아르헨티나 전체의 8%를 차지한다. 1인당 소득은 9000USD(2011년경에는 약 130억달러)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다.[5]
산타페주의 경제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5. 1. 농업

산타페주는 아르헨티나 경작지의 21%를 차지하며, 농업은 수익성과 수출을 통한 외화 수입을 통해 경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주요 작물은 대두(주요 생산국), 해바라기, 옥수수, 밀, 쌀이다. 소규모로 딸기, 꿀 및 파생 상품(30만 개의 벌집), 목재 및 면화가 생산된다.[5]
이 주의 푸른 풀은 650만 마리의 소 (전국 재고의 20%)에게 이상적이며, 이는 고기 뿐만 아니라 연간 26억L의 우유(전국 생산량의 40%)의 원천이기도 하다. 우유는 5,000개 이상의 낙농장에서 가공된다.
로사리오와 산로렌소 사이의 항구는 산타페주와 다른 많은 주의 생산물 수출 출발점이며, 이를 통해 아르헨티나 곡물의 65%와 국가 수출의 55%가 출하된다. 2004년 산타페주의 수출(71.7억달러)은 국가 전체의 21%를 차지했으며, 2001년과 2004년 사이에 65.2% 증가했다. 대두 파생 상품, 밀가루 및 식물성 기름은 20억달러 이상과 760만 톤 이상을 차지했다.[6] 2005년 산타페주 남부 항구는 아르헨티나에서 수출하는 곡물의 60%, 농산물 부산물의 93%, 식물성 기름의 85%를 선적했다.[7]
5. 2. 제조업
산타페주의 제조업은 경제의 18%를 차지하며[8] 아르헨티나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밀가루와 식물성 기름을 생산하는 제분소, 맥주 및 기타 식품 산업, 가죽 및 섬유, 탄화수소 정유소, 강철 (1000000ton) 및 금속 생산, 산업 및 농업 기계, 자동차 산업 등이 있다.5. 3. 서비스업
산타페주 신은행(New Bank of Santa Fe)의 본사는 이전에 산타페 주립 은행이었다.산타페주의 서비스업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매우 다양하고, 관광이나 공공 부문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다양한 호텔과 레스토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광은 중요한 활동은 아니다. 국기 기념비(Monumento Nacional a la Bandera)와 여러 박물관이 있는 로사리오는 아르헨티나에서 많은 방문객을 맞이한다. 산티 스피리투스 요새의 복제품, 카야스타의 유적 및 산타페 시도 일반적인 여행지이다.
6. 행정 구역
산타페 주는 19개의 도(departamentos, departamentos|데파르타멘토스es)로 나뉘며, 각 주는 코뮌 또는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지구로 나뉜다. 코뮌은 작은 마을로, 일반적으로 "코뮌 회장"이 이끄는 지역 위원회가 관리한다. 10,000명 이상의 주민이 있어야 하는 지방 자치체는 일반적으로 "도시"라고 불린다. 지방 자치체는 행정관(시장, 'intendente'라고 불림)과 입법 기관('Concejo Municipal', 심의회라고 불림)을 갖는다. 행정 목적으로 각 주는 해당 지구의 종류일 수 있는 주도('cabecera')를 갖는다.
주 | 인구 | 면적 | 주도 |
---|---|---|---|
벨그라노 주 | 41,449 | 2386km2 | 라스 로사스 |
카세로스 주 | 79,096 | 3449km2 | 카실다 |
카스테야노스 주 | 162,165 | 6600km2 | 라파엘라 |
콘스티투시온 주 | 83,045 | 3225km2 | 비야 콘스티투시온 |
가라이 주 | 19,913 | 3964km2 | 헬베시아 |
헤네랄 로페스 주 | 182,113 | 11558km2 | 멜린쿠에 |
헤네랄 오블리가도 주 | 166,436 | 10928km2 | 레콘키스타 |
이리온도 주 | 65,486 | 3184km2 | 카냐다 데 고메스 |
라 카피탈 주 | 489,505 | 3055km2 | 산타페 |
라스 콜로니아스 주 | 95,202 | 6439km2 | 에스페란사 |
누에베 데 훌리오 주 | 28,273 | 16870km2 | 토스타도 |
로사리오 주 | 1,342,301 | 1890km2 | 로사리오 |
산 크리스토발 주 | 64,935 | 14850km2 | 산 크리스토발 |
산 하비에르 주 | 29,912 | 6929km2 | 산 하비에르 |
산 제로니모 주 | 77,253 | 4282km2 | 코론다 |
산 후스토 주 | 40,379 | 5575km2 | 산 후스토 |
산 로렌소 주 | 142,097 | 1867km2 | 산 로렌소 |
산 마르틴 주 | 60,698 | 4860km2 | 사스트레 |
베라 주 | 51,303 | 21096km2 | 베라 |
7. 정치
산타페 주 정부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가지 부서로 나뉜다. 행정부는 주지사가 이끌며, 주지사는 4년 임기로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고 재선은 불가능하다. 주지사는 내각을 임명한다. 입법부는 양원제로, 하원 의원 50명과 상원 의원 19명으로 구성되며 모두 4년 임기로 선출된다. 사법부는 대법원을 수장으로 하며 여러 하급 법원이 있다.
산타페 주 헌법은 주의 공식 법률이다. 1991년부터 2004년까지는 '레마법(Ley de Lemas)'이라는 논란이 있는 제도에 따라 단일 라운드 선거로 행정 및 입법 공무원을 선출했다. 2004년에 이 제도는 폐지되었고, 2005년 8월부터 의무적인 정당 예비 선거를 포함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시행되어 좋은 결과를 보였다. 2005년 아르헨티나 총선은 레마법 폐지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주요 선거였다.
아르헨티나의 주요 법 집행 기관은 아르헨티나 연방 경찰이지만, 산타페 주 경찰이 추가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8. 인물
분야 | 인물 | 설명 |
---|---|---|
정치 및 행정 | 에스타니슬라오 로페스 | 산타페 주 주지사이자 카우디요[1] |
정치 및 행정 | 파스쿠알 에차가구에 | 정치인[1] |
정치 및 행정 | 호르헤 파우리 | 외교관이자 정치인[1] |
정치 및 행정 | 리산드로 데 라 토레 | 정치인[1] |
정치 및 행정 | 마리아노 베라 | 카우디요[1] |
정치 및 행정 | 에스타니슬라오 세바요스 | 작가이자 정치인[1] |
정치 및 행정 | 카를로스 레우테만 | 레이싱 드라이버이자 정치인[1] |
스포츠 | 리오넬 메시 | 축구 선수[1] |
스포츠 | 앙헬 디 마리아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루시아나 아이마르 | 하키 선수[1] |
스포츠 | 카를로스 몬존 | 권투 선수[1] |
스포츠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마르코스 마이다나 | 권투 선수[1] |
스포츠 |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 축구 선수이자 코치[1] |
스포츠 |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 장거리 육상 선수[1] |
스포츠 | 헤르만 키아라빌리오 | 장대높이뛰기 선수[1] |
스포츠 | 기예르모 코리아 | 테니스 선수[1] |
스포츠 | 앙헬 코레아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루시아노 데 체코 | 배구 선수[1] |
스포츠 | 카를로스 델피노 | 농구 선수[1] |
스포츠 | 세사르 델가도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루시아노 피게로아 | 축구 선수[1] |
스포츠 | 산티아고 그라시 | 수영 선수[1] |
스포츠 | 발터 헤르만 | 농구 선수[1] |
스포츠 | 마우로 이카르디 | 축구 선수[1] |
스포츠 | 후안 임호프 | 럭비 유니온 축구 선수[1] |
스포츠 | 에세키엘 라베시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레오폴도 루케 | 축구 선수[1] |
스포츠 | 헤라르도 마르티노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안드레스 노치오니 | 농구 선수[1] |
스포츠 | 후안 안토니오 피치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나디아 포도로스카 | 테니스 선수[1] |
스포츠 | 레오나르도 폰시오 | 축구 선수[1] |
스포츠 | 세바스티안 포르토 | 오토바이 경주 선수[1] |
스포츠 | 네리 폼피도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막시 로드리게스 | 축구 선수[1] |
스포츠 | 리오넬 스칼로니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우고 스코노치니 | 농구 선수[1] |
스포츠 | 호르헤 발다노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훌리오 세사르 바스케스 | 권투 선수[1] |
스포츠 | 루카스 알라리오 | 축구 선수[1] |
스포츠 | 프랑코 아르마니 | 축구 골키퍼[1] |
스포츠 | 에베르 바네가 | 축구 선수[1] |
스포츠 | 세바스티안 바탈리아 | 축구 선수[1] |
스포츠 | 에드가르도 바우사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마르셀로 비엘사 | 축구 선수이자 감독[1] |
스포츠 | 니콜라스 브루시노 | 농구 선수[1] |
스포츠 | 아메데오 카리조 | 골키퍼[1] |
스포츠 | 후안 마르틴 코기 | 권투 선수[1] |
스포츠 | 로베르토 아본단지에리 | 축구 골키퍼[1] |
스포츠 | 카를로스 발도미르 | 권투 선수[1] |
스포츠 | 타야베크 갈리지 | 농구 선수[1] |
스포츠 | 루벤 레졸라 | 스프린트 카누 선수[1] |
예술 및 문화 | 아리엘 라미레스 | 작곡가이자 음악가[1] |
예술 및 문화 | 오라시오 과라니 | 포크 가수[1] |
예술 및 문화 | 미르타 레그란 | 배우이자 텔레비전 진행자[1] |
예술 및 문화 | 안토니오 베르니 | 구상 미술가[1] |
예술 및 문화 | 페르난도 비리 | 영화 제작자[1] |
예술 및 문화 | 릴리아나 보독 | 소설가[1] |
예술 및 문화 | 노르만 브리스키 | 배우[1] |
예술 및 문화 | 린다 크리스탈 | 배우[1] |
예술 및 문화 | 알레한드로 판티노 | 텔레비전 진행자[1] |
예술 및 문화 | 로베르토 폰타나로사 | 만화가[1] |
예술 및 문화 | 레온 이에코 | 포크 록 연주자[1] |
예술 및 문화 | 가스톤 고리 | 수필가이자 시인[1] |
예술 및 문화 | 다리오 그란디네티 | 배우[1] |
예술 및 문화 | 리베르타드 라마르케 | 배우[1] |
예술 및 문화 | 라울 라비에 | 탱고 가수[1] |
예술 및 문화 | 훌리오 마캇 | 촬영 감독[1] |
예술 및 문화 | 아구스틴 마갈디 | 탱고 가수[1] |
예술 및 문화 | 마르코스 문드스톡 | 레스 루티에르 음악 코미디 배우[1] |
예술 및 문화 | 리토 네비아 | 록 연주자[1] |
예술 및 문화 | 니키 니콜 | 래퍼이자 가수[1] |
예술 및 문화 | 알베르토 올메도 | 코미디언[1] |
예술 및 문화 | 피토 파에스 | 가수이자 연주자[1] |
예술 및 문화 | 로스 팔메라스 | 쿰비아 밴드[1] |
예술 및 문화 | 소레다 파스토루티 | 포크 가수[1] |
예술 및 문화 | 호세 페드로니 | 시인[1] |
예술 및 문화 | 카를로타 가리도 데 라 페냐 | 언론인[1] |
예술 및 문화 | 세르히오 루빈 | 교황 프란치스코 전기 작가[1] |
예술 및 문화 | 후안 호세 사에르 | 작가[1] |
예술 및 문화 | 코티 소로킨 | 가수[1] |
예술 및 문화 | 리카르도 수피시체 | 화가이자 판화가[1] |
예술 및 문화 | 버지니아 톨라 | 소프라노[1] |
예술 및 문화 | 카를로스 톰슨 | 영화 배우[1] |
예술 및 문화 | 프란시스코 우론도 | 작가이자 몬토네로[1] |
예술 및 문화 | 넬리 복시치 | 지휘자이자 가수[1] |
예술 및 문화 | 크리스 후야 |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1] |
예술 및 문화 | 오스발도 바이어 | 작가[1] |
예술 및 문화 | 후안 카를로스 바글리에토 | 가수이자 음악가[1] |
예술 및 문화 | 가토 바르비에리 | 재즈 음악가이자 작곡가[1] |
기타 |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 | 혁명가[1] |
기타 | 알베르토 J. 아르만도 | 보카 주니어스 축구 클럽 회장[1] |
기타 | 알레한드로 불게로니 | 석유 사업가[1] |
기타 | 크리스 드 버그 | 가수[1] |
기타 | 레티시아 코세티니 | 교육자[1] |
기타 | 호세 보나파르테 | 고생물학자[1] |
기타 | 세실리아 젠틸리 | 트랜스젠더 활동가, 작가, 배우[1] |
기타 | 에스테반 라우레아노 마라도나 | 자선가[1] |
기타 | 발레리아 마차 | 모델[1] |
기타 | 오라시오 파가니 (자동차 임원) | [1] |
기타 | 로헬리오 프피르테르 | 외교관[1] |
기타 | 스프린 | 아르헨티나 1위 스트리머이자 최고의 국제적 스트리머[1] |
기타 | 도로시 모드 린치 | 수학자[1] |
기타 | 페드로 E. 자두나이스키 | 천문학자[1] |
참조
[1]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2]
웹사이트
PBG Santa Fe
http://www.estadisti[...]
[3]
웹사이트
El mapa del desarrollo humano en Argentina
https://www.undp.org[...]
2023-06-25
[4]
웹사이트
santafesino
https://dle.rae.es/s[...]
2022
[5]
웹사이트
.::IADER - Instituto Argentino para el Desarrollo de las Economías Regionales::.
http://www.iader.org[...]
[6]
웹사이트
http://www.lacapital[...]
2006-09-06
[7]
웹사이트
http://www.lacapital[...]
2007-06-29
[8]
PDF
http://www.cepal.cl/[...]
2022-03
[9]
뉴스
Censo 2022
https://www.indec.go[...]
[10]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11]
웹사이트
INDEC, procesamientos especiales de la Dirección de Estadísticas Sectoriales según información derivada de los Censos Nacionales de Población 1980, 1991 y 2001
http://www.indec.mec[...]
2014-07-08
[12]
간행물
Suárez y Tournay "Poblaciones, vecinos y fronteras rioplatenses, Santa Fe a fines del siglo XVIII"
https://estudiosamer[...]
2003-12-30
[13]
서적
Buenos Aires y las provincias del Rio de la Plata: desde su descubrimiento y conquista por los Españoles
Imprenta de Mayo
1853
[14]
서적
1853
[15]
서적
Las Efemérides En El Aula
Noveduc Libros
2007
[16]
서적
Historia Social Argentina En Documentos
Editorial Biblos
2000
[17]
웹사이트
Argentina: población total por regiones y provincias, Censos Nacionales de 1914, 1947, 1960, 1970, 1980,1991 y 2001
http://www,mininteri[...]
[18]
웹사이트
Distribución de la población por jurisdicción. Total del país. Año 2022
https://www.censo.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