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시카 침공 (155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시카 침공 (1553년)은 프랑스 왕 앙리 2세가 합스부르크 제국 견제를 위해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고, 오스만 함대와 함께 제노바 공화국이 통치하던 코르시카섬을 공격한 사건이다. 1553년 여름, 오스만 제독 투르구트와 코자 시난이 이끄는 오스만 함대와 폴랭 드 라 가르드 남작이 지휘하는 프랑스 함대가 코르시카섬의 바스티아, 생플로랑, 보니파시오 등을 점령하며 섬 장악에 성공하는 듯했다. 그러나 오스만 함대의 철수와 제노바의 반격으로 프랑스는 섬에서 고립되었고, 1559년 카토캉브레지 조약으로 코르시카섬은 제노바 공화국에 반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르시카 침공 (1553년)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1553년 코르시카 침공
전체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1551년 이탈리아 전쟁
날짜1553년~1559년
장소코르시카섬
결과오스만-프랑스 연합군의 코르시카섬 일시 점령
교전 세력
교전국 2

지휘관
지휘관 1안드레아 도리아
지휘관 2투르구트 레이스
폴 드 테르메
폴랭 드 라 가르드
삼피에루 코르수
병력 규모
교전국 2 병력갤리선 74척
시각 자료
피리 레이스의 코르시카 지도
피리 레이스의 코르시카섬 지도

2. 배경

앙리 2세는 합스부르크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상대로 1551년부터 1559년까지 이탈리아 전쟁에 참전하였다. 이후 동맹국을 찾던 앙리 2세는 아버지 프랑수아 1세의 프랑스-오스만 동맹 정책을 계승하여, 지중해의 합스부르크 세력을 견제한다는 공동의 목표 아래 오스만 제국 쉴레이만 1세와 협력에 나섰다.[13]

당시 코르시카섬은 합스부르크가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제노바 공화국이 통치하고 있었다.[18] 1552년 폰차 해전에서 오스만군은 프랑스 대사 가브리엘 드 뤼에츠와 함께 안드레아 도리아가 지휘하는 제노바 함대를 격파한 바 있었다. 1553년 2월 1일,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은 프랑스-오스만 동맹 조약을 체결하여 합스부르크에 대항하기 위한 양국간의 해군 협력을 약속하였다.[14] 이 시점에서 프랑스-오스만 군사 동맹은 정점에 이르렀다고 평가받는다.[16]

3. 전개

프랑스-오스만 동맹은 1551년부터 1559년까지 이어진 이탈리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 국왕 앙리 2세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카를 5세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와 동맹을 맺었다. 이는 프랑수아 1세 때부터 이어져 온 프랑스의 전통적인 외교 정책이었다.[4] 당시 코르시카섬은 제노바 공화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2]

1552년, 오스만 제국은 폰차 해전에서 안드레아 도리아가 이끄는 제노바 함대를 격파하며 프랑스를 지원했다. 1553년 2월 1일, 양국은 해군 협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동맹 조약을 체결했다.[5]

3. 1. 1553년 여름 전역

오스만 제국 제독 투르구트와 코자 시난은 폴랭 드 라 가르드 남작이 지휘하는 프랑스 함대와 함께 이탈리아 나폴리, 시칠리아섬, 엘바섬, 코르시카섬 연안을 습격했다.[15][16]

오스만 함대는 파르마에 주둔해 있던 폴 드 테르메스 원수의 프랑스군을 시에나 공화국 마렘마에서 코르시카섬까지 수송하는 방식으로 프랑스군을 지원했다.[17] 프랑스군은 이 과정에서 삼피에로 코르소와 조르다노 오르시니 등 코르시카 망명자들의 지원도 함께 받았다. 그러나 이 시점의 침공 작전은 프랑스 국왕이 사전에 확실히 허락했던 것은 아니었다.[18]

1553년 8월 24일, 폴랭 드 라 가르드는 코르시카섬의 바스티아를 함락시킨 뒤 8월 26일 생플로랑에 당도하였다.[18] 그해 9월에는 보니파시오를 점령하였다.[18] 이 시점에서 남은 도시는 칼비 뿐이었고 오스만-프랑스 연합군은 곧바로 포위전에 나섰으나, 9월 말이 되자 오스만군은 남은 포위전을 프랑스군에 맡기고 그간의 전리품을 챙겨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18]

오스만 제국의 도움으로 프랑스군은 코르시카섬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했고, 마침내 여름이 끝날 무렵에는 섬 장악에 거의 성공하였다.[18]

3. 2. 1553년~1554년 제노바의 반격

1553년 11월, 앙리 2세제노바 공화국과 협상을 시도했다.[18][2] 그러나 제노바는 이를 거부하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와 함께 15,000명의 병력을 코르시카섬에 파견하여 생플로랑 포위전을 시작으로 코르시카섬 탈환 작전에 나섰다.[18][2]

드라구트가 지휘하는 오스만 함대가 지중해를 건너왔으나 이미 시기를 놓쳐 나폴리 연안에서 선수를 돌려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왔다.[18][2] 프랑스군이 받은 지원은 알제에서 건너온 갤리엇 함대가 전부였다.[18][2]

3. 3. 1555년~1558년 프랑스-오스만 합동 작전

제노바군과 코르시카군의 전투


1555년 프랑스군은 코르시카섬 연안 도시 대부분에서 패주했고, 안드레아 도리아도 코르시카섬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지역이 프랑스 점령하에 있었다. 같은 해 주르당 데 위르생이 폴 드 라 바르트 드 테름의 후임으로 '코르시카섬 국왕대리 총독'(Gouverneur et lieutenant général du roi dans l'île de Corse)에 임명되었다.[18]

당시 오스만 제국사파비 왕조와 전쟁 중이었고, 오스만 정부도 페르시아 원정 중이었다. 이에 오스만 제국의 프랑스 대사였던 포르테 코디냐크는 직접 페르시아로 가서 함대 파견을 간청해야 했다.[18] 그러나 오스만 함대는 칼비 포위전에서 대기만 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전투에 거의 기여하지 않았다. 바스티아 포위전에서도 마찬가지로 제노바군이 도시를 탈환하는 동안 별다른 개입을 하지 않았다.[18] 오히려 전투 지원을 위해 파견되었던 오스만 함대에 역병이 돌아 병력에 큰 손실을 입었고, 빈 배를 이끌고 본국으로 귀환해야 했다.

1558년, 또 다른 오스만 함대가 프랑스를 지원하기 위해 지중해로 파견되었으나, 코르시카섬 바스티아 인근에서 프랑스 함대와 바로 합류하지 않고 지연되었다. 함대를 지휘하던 드라구트 사령관이 쉴레이만 대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대신 오스만 함대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침공하였다. 쉴레이만 대제는 1558년 말 앙리 2세에게 보낸 서한에서 사과했다.[19][20]

4. 결과

프랑스-오스만 동맹은 1553년경에 절정에 달했다.[6] 그러나 1558년에 오스만 함대는 드라구트가 쉴레이만 1세의 명령을 준수하지 않아 바스티아 근처에서 프랑스 함대와 합류하는 것이 지연되기도 했다.[8][9]

1559년 카토캉브레지 조약으로 프랑스는 코르시카제노바 공화국에 반환했다.[10]

5. 관련 인물

인물역할설명
앙리 2세프랑스 국왕합스부르크 제국의 카를 5세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음.[13] 아버지 프랑수아 1세의 프랑스-오스만 동맹 정책을 계승하여 쉴레이만 1세와 협력.[13]
카를 5세합스부르크 제국 황제앙리 2세의 주적
프랑수아 1세전 프랑스 국왕앙리 2세의 아버지, 프랑스-오스만 동맹 정책 시작
쉴레이만 1세오스만 제국 술탄앙리 2세와 동맹을 맺고 지중해에서 합스부르크 제국을 견제하는 데 협력.[13]
가브리엘 드 뤼에츠프랑스 대사1552년 폰차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과 함께 안드레아 도리아가 이끄는 제노바 함대를 격파.[14]
안드레아 도리아제노바 공화국 제독폰차 해전에서 프랑스-오스만 연합 함대에 패배.[14] 1553년 코르시카 침공 이후 군대를 이끌고 코르시카 재탈환을 위해 노력.[2]
투르구트 (드라구트)오스만 제국 제독코자 시난 파샤와 함께 프랑스 함대를 도와 코르시카 해안을 습격.[5]
투르구트 레이스, 오스만군 사령관
코자 시난 파샤오스만 제국 제독투르구트 레이스와 함께 프랑스 함대를 지원.[5]
코자 시난 파샤, 오스만 제국군 사령관
폴 드 라 가르드프랑스 함대 제독오스만 함대와 함께 코르시카를 공격.[5] --
폴 드 테르메프랑스군 원수파르마에서 코르시카로 병력을 수송하여 프랑스를 지원.[7]
폴 드 테름, 프랑스군 사령관
삼피에로 코르소코르시카 출신 망명자프랑스를 지원하여 코르시카 침공에 참여. --
조르다노 오르시니 (주르당 데 위르생)코르시카 출신 망명자프랑스를 지원하여 코르시카 침공에 참여. 1555년 폴 드 테르메를 대신하여 "코르시카 섬의 국왕 총독 겸 중장"으로 임명.
포르테 코디냐크오스만 제국 주재 프랑스 대사오스만-사파비 전쟁 (1532–1555) 중 오스만 제국에 함대 파견을 요청.[2]


참조

[1] 서적 "Naval Policy and Strategy in the Mediterranean: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4] 서적
[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6] 서적 New Turkes: Dramatizing Islam and the Ottomans in Early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7]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The Thinking Traveller {{!}} Exclusive luxury villa holidays https://web.archive.[...] 2021-01-22
[11] 서적 "Naval Policy and Strategy in the Mediterranean: Past, Present, and Future"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13] 서적
[14]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1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16] 서적 New Turkes: Dramatizing Islam and the Ottomans in Early Modern England
[17]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18]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https://books.google[...]
[19]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https://books.google[...]
[20]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https://books.google[...]
[21] 웹인용 The Thinking Traveller {{!}} Exclusive luxury villa holidays https://www.thethink[...] 2021-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