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소보 수페르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소보 수페르리가는 코소보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45년 유고슬라비아 리그 시스템의 하위 리그로 시작되었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는 독립 리그가 운영되었고,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현재의 리그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현재는 FIFA와 UEFA의 회원국으로서,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하는 클럽을 배출하며, 2024-25 시즌에는 10개 팀이 참가한다. 리그 명칭은 스폰서십에 따라 변경되어 왔으며, 현재는 ALBI MALL Superliga e Kosovës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캐롤라이나 리그
    캐롤라이나 리그는 1944년 창설된 마이너 리그 야구 리그로, 노스캐롤라이나주와 버지니아주를 연고지로 하며, 메이저 리그 선수들을 배출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시즌이 취소되었다가 싱글 A 리그로 강등된 후 리그 명칭이 복원되어 2024년 현재 12개 팀으로 운영된다.
  • 코소보 축구에 관한 - KF 페로니켈리
    KF 페로니켈리는 1974년 코소보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코소보 슈퍼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코소보 컵에서도 우승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진출하기도 했다.
  • 코소보 축구에 관한 - KF 프리슈티나
    KF 프리슈티나는 1922년 코소보에서 창단되어 유고슬라비아 리그와 코소보 슈퍼리그에서 활동하며 코소보를 대표하는 축구 클럽이다.
코소보 수페르리가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코소보 축구 수페르리가
이름 (알바니아어)Superliga e Futbollit të Kosovës
이름 (알바니아어, 공식)ALBI MALL Superliga e Kosovës
이름 (일본어)IPKOスーペルリーガ
로고
주최FFK 경쟁 위원회
창립1945년 (코소보 지방 리그), 1991년 (코소보 독립 리그)
첫 시즌1945년 (코소보 지방 리그), 1991-92 시즌 (코소보 독립 리그)
연맹UEFA
참가 팀 수10
강등코소보 1부 리그
리그 레벨1
국내 컵 대회코소보 컵, 코소보 슈퍼컵
대륙 컵 대회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최근 우승팀발카니 (3회 우승)
최근 시즌2023–24
최다 우승팀프리슈티나 (11회 우승)
최다 출장 선수아르탄 라티피 (493회)
TV 중계ArtMotion, Klan Kosova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2024–25 코소보 축구 수페르리가
관련 명칭
알바니아어 명칭Superliga e Futbollit të Kosovës
알바니아어 공식 명칭ALBI MALL Superliga e Kosovës
역사
창립 연도1945년
리그 정보
리그 등급1부 리그
승격해당 사항 없음
강등리가 에 파러
통계
최근 우승FCバルカニ (2회 우승)
최다 우승FCプリシュティナ (11회)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서 코소보 클럽들은 베오그라드 축구 협회의 지방 리그에서 경쟁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지역 대부분이 알바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 수많은 코소보 클럽들이 알바니아 리그 시스템에서 뛰었다. 1945년, 코소보는 세르비아에 재편입되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이 리그는 1945년에 유고슬라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의 하위 리그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이 리그는 상위 리그에서 경쟁하는 클럽을 제외하고 코소보 자치주 최고의 클럽들을 모았다.

1991년에는 민족 알바니아 독립 지지 클럽들을 모은 미승인 병행 리그가 설립되어 1999년까지 운영되었다. 그동안 최고의 클럽들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리그에서 경쟁했다.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별도의 코소보 리그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이 시스템에는 세르비아인이 지배하는 북코소보의 클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코소보 클럽이 포함되었으며, 북코소보는 세르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 잔류했다. 2000년부터 이 대회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7년 코소보가 FIFAUEFA의 회원으로 가입한 후, 국제 토너먼트를 위한 클럽을 제공하며 코소보의 국가 리그 역할을 시작했다.[12]

2. 1. 유고슬라비아 리그 시스템 시기 (1945년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서 코소보 클럽들은 베오그라드 축구 협회의 지방 리그에서 경쟁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지역 대부분이 알바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 수많은 코소보 클럽들이 알바니아 리그 시스템에서 뛰었다. 1945년, 코소보는 세르비아에 재편입되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이 리그는 1945년에 유고슬라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의 하위 리그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1945년 KF 예딘스트보가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46년에도 우승을 이어갔다. KF 트렙차는 1947년, 1948-49, 1950년, 1952년, 1954-55 시즌에 우승하며 초창기 강자로 군림했다. KF 코소보는 1951년과 1953-54 시즌에 우승했다. 1953년에는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인해 리그가 실시되지 않았다.

이후 KF 루다리, KF 프리슈티나, KF 부두치노스티, KF 츠르베나 즈베즈다, KF 슬로가, KF 오빌리치, KF 벌라즈니미, KF 푸셔 코소바, KF 리리아 등 다양한 클럽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KF 벌라즈니미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여러 차례 우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KF 리리아는 1980년대에 4번 우승을 차지했다.

1980-81 시즌과 1988-89 시즌은 1981년과 1989년에 일어난 알바니아인의 전국적인 데모 활동으로 인해 시즌 중에 종료되었고, 종료 시점에 선두였던 KF 릴리아와 KF 부두치노스티가 우승을 차지했다.[8]

이 리그는 상위 리그에서 경쟁하는 클럽을 제외하고 코소보 자치주 최고의 클럽들을 모았다. 1991년에는 민족 알바니아 독립 지지 클럽들을 모은 미승인 병행 리그가 설립되어 1999년까지 운영되었다.

2. 2. 독립 리그 시기 (1991년 ~ 1999년)

1991년, 민족 알바니아 독립을 지지하는 클럽들이 모여 미승인 병행 리그를 설립하여 1999년까지 운영하였다. 이 기간 동안 최고의 클럽들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리그에서 경쟁했다. 1991-92 시즌에는 프리슈티나가 8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92-93 시즌에는 트레프차가 6번째 우승을, 1993-94 시즌에는 두카지니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94-95 시즌에는 릴리아가 5번째 우승을, 1995-96 시즌과 1996-97 시즌에는 프리슈티나가 각각 9번째, 10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7-98 시즌은 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시즌 도중에 종료되었고, 1998-99 시즌은 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

2. 3. UNMIK 설립 이후 (1999년 ~ 2008년)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에는 별도의 리그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이 시스템에는 세르비아인이 지배하는 북코소보의 클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코소보 클럽이 포함되었으며, 북코소보는 세르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 잔류했다. 2000년부터 코소보 수페르리가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7년까지 KF 프리슈티나, KF 베시아나, KF 드리타, KF 베사 페여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2. 4. 코소보 독립 이후 (2008년 ~ 현재)

2008년 코소보 독립 이후, 코소보 수페르리가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2000년부터 리그는 꾸준히 진행되었으며,[11] 2017년 코소보가 FIFAUEFA의 회원으로 가입한 후에는 국제 토너먼트에 진출할 클럽을 배출하며 코소보의 최상위 리그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12]

2007-08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KF 프리슈티나가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KF 페로니켈리, FC 드리타, FC 발카니 등도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3. 리그 구성 및 운영 방식

3. 1. 참가 클럽 (2024-25 시즌)

2024-25 코소보 수페르리가는 10개 팀으로 구성되며, 지난 시즌 상위 8개 팀과 2023-24 코소보 퍼스트 리그에서 승격된 2개 팀으로 구성된다.[7] 승격된 두 팀은 수하레카와 페리자이이며, 2023-24 코소보 수페르리가의 하위 두 팀인 리리아 프리즈렌과 푸셰 코소바를 대체했다.[7]

클럽명홈타운홈 경기장수용 인원
바르카니수하레카수하레카 스타디움1,500
드레니차스켄데라이바이라무 알리우 스타디움3,000
드리타길란길란 시티 스타디움15,000
두카기니클리나6월 18일 스타디움3,000
페리자이페리자이이스메트 샤바니 스타디움1,500
질라니길란길란 시티 스타디움15,000
라피포두예바자일 파야지티 스타디움10,000
마리셰바마리셰바리만 게가이 스타디움2,000
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13,000
트레프차89미트로비차리자 루슈타 스타디움12,000


3. 2. 역대 참가 클럽

1999년 이후 코소보 수페르리가에 참가한 팀은 총 36개다. 프리슈티나는 1999년 이후 모든 시즌에 참가한 유일한 팀이다. 2024/25 시즌 기준으로, 현재 시즌에 참가하는 팀은 다음과 같다.

valign="top"|style="width:50%; vertical-align:top;"|style="width:50%; vertical-align:top;"|


4. 역대 우승 클럽 및 기록

wikitext

시즌클럽위치
코소보 주 리그
1945예딘스트보프리슈티나
1946
1947트레프차미트로비차
1947–48프로레테리프리슈티나
1948–49트레프차미트로비차
1950
1951코소바프리슈티나
1952트레프차미트로비차
1953리그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1953–54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54–55트레프차미트로비차
1955–56루다리스탄테르그
1956–57루드니쿠하이발리아
1957–58루다리스탄테르그
1958–59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59–60루다리스탄테르그
1960–61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61–62부두치노스트페야
1962–63드리타질란
1963–64슬로가리피안
1964–65
1965–66부두치노스트페야
1966–67오빌리치오빌리치
1967–68벨라즈니미자코바
1968–69
1969–70
1970–71
1971–72오빌리치오빌리치
1972–73푸셰 코소바코소보 폴레
1973–74벨라즈니미자코바
1974–75리리아프리젠
1975–76RHMK 오빌리치오빌리치
1976–77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77–78부두치노스트페야
1978–79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79–80벨라즈니미자코바
1980–81리리아프리젠
1981–82벨라즈니미자코바
1982–83KNI 라미즈 사디쿠프리슈티나
1983–84리리아프리젠
1984–85츠르베나 즈베즈다질란
1985–86벨라즈니미자코바
1986–87리리아프리젠
1987–88츠르베나 즈베즈다질란
1988–89부두치노스트페야
1989–90벨라즈니미자코바
1990–91푸셰 코소바코소보 폴레



시즌클럽위치
코소보 독립 리그
1991–92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92–93트레프차미트로비차
1993–94두카지니클리나
1994–95리리아프리젠
1995–96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1996–97
1997–98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음
1998–99
코소보 슈퍼리그
1999–2000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2000–01
2001–02베시아나포두예버
2002–03드리타질란
2003–04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2004–05베사페야
2005–06
2006–07
2007–08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2008–09
2009–10트레프차미트로비차
2010–11히시포두예버
2011–12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2012–13
2013–14부슈트리아부슈트리
2014–15페로니켈리드레나스
2015–16
2016–17트레프차89미트로비차
2017–18드리타질란
2018–19페로니켈리드레나스
2019–20드리타질란
2020–21프리슈티나프리슈티나
2021–22발카니수바 레카
2022–23
2023–24



1980-81 시즌과 1988-89 시즌은 1981년과 1989년에 일어난 알바니아인의 전국적인 데모 활동으로 인해 시즌 중에 종료되었고, 종료 시점에 선두였던 KF 릴리아와 KF 부두치노스티가 우승을 차지했다.[8]

4. 1. 시즌별 우승 클럽

시즌클럽위치
코소보 주 리그
1945예딘스트보(Jedinstvo)프리슈티나
1946
1947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1947–48프로레테리(Proleteri)프리슈티나
1948–49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1950
1951코소바(Kosova)프리슈티나
1952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1953리그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1953–54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54–55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1955–56루다리(Rudari)스탄테르그
1956–57루드니쿠하이발리아
1957–58루다리(Rudari)스탄테르그
1958–59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59–60루다리(Rudari)스탄테르그
1960–61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61–62부두치노스트(Budućnost)페야
1962–63드리타(Drita)질란
1963–64슬로가리피안
1964–65
1965–66부두치노스트(Budućnost)페야
1966–67오빌리치(Obiliq)오빌리치
1967–68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68–69
1969–70
1970–71
1971–72오빌리치(Obiliq)오빌리치
1972–73푸셰 코소바(Fushë Kosova)코소보 폴레
1973–74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74–75리리아(Liria)프리젠
1975–76RHMK 오빌리치(RHMK Obiliq)오빌리치
1976–77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77–78부두치노스트(Budućnost)페야
1978–79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79–80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80–81리리아(Liria)프리젠
1981–82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82–83KNI 라미즈 사디쿠(KNI Ramiz Sadiku)프리슈티나
1983–84리리아(Liria)프리젠
1984–85츠르베나 즈베즈다(Crvena Zvezda)질란
1985–86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86–87리리아(Liria)프리젠
1987–88츠르베나 즈베즈다(Crvena Zvezda)질란
1988–89부두치노스트(Budućnost)페야
1989–90벨라즈니미(Vëllaznimi)자코바
1990–91푸셰 코소바(Fushë Kosova)코소보 폴레



시즌클럽위치
코소보 독립 리그
1991–92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92–93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1993–94두카지니(Dukagjini)클리나
1994–95리리아(Liria)프리젠
1995–96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1996–97
1997–98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음
1998–99
코소보 슈퍼리그
1999–2000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2000–01
2001–02베시아나(Besiana)포두예버
2002–03드리타(Drita)질란
2003–04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2004–05베사(Besa)페야
2005–06
2006–07
2007–08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2008–09
2009–10트레프차(Trepça)미트로비차
2010–11히시(Hysi)포두예버
2011–12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2012–13
2013–14부슈트리아(Vushtrria)부슈트리
2014–15페로니켈리(Feronikeli)드레나스
2015–16
2016–17트레프차89(Trepça'89)미트로비차
2017–18드리타(Drita)질란
2018–19페로니켈리(Feronikeli)드레나스
2019–20드리타(Drita)질란
2020–21프리슈티나(Prishtina)프리슈티나
2021–22발카니(Ballkani)수바 레카
2022–23
2023–24



1980-81 시즌과 1988-89 시즌은 1981년과 1989년에 일어난 알바니아인의 전국적인 데모 활동으로 인해 시즌 중에 종료되었고, 종료 시점에 선두였던 KF 릴리아와 KF 부두치노스티가 우승을 차지했다.[8]

4.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우승 연도
프리슈티나111991–92, 1995–96, 1996–97, 1999–00, 2000–01, 2003–04, 2007–08, 2008–09, 2011–12, 2012–13, 2020–21
발카니32021–22, 2022–23, 2023–24
드리타32002–03, 2017–18, 2019–20
페로니켈리32014–15, 2015–16, 2018–19
베사 페제32004–05, 2005–06, 2006–07
트레프차21992–93, 2009–10
트레프차 8912016–17
부슈트리아12013–14
히시12010–11
베시아나12001–02
리리아 프리즈렌11994–95
두카지니11993–94



위 표는 코소보 독립 리그가 코소보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가 된 이후의 우승 횟수를 나타낸다.

클럽우승 횟수우승 연도[13]
프리슈티나181947-48, 1951, 1953-54, 1958-59, 1960-61, 1976-77, 1978-79, 1991-92, 1995-96, 1996-97
1999-00, 2000-01, 2003-04, 2007-08, 2008-09, 2011-12, 2012-13, 2020-21
바라즈니미9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3-74, 1979-80, 1981-82, 1985-86, 1989-90
트레프차71947, 1948-49, 1950, 1952, 1954-55, 1992-93, 2009-10
베사71961-62, 1965-66, 1977-78, 1988-89, 2004-05, 2005-06, 2006-07
51974-75, 1980-81, 1983-84, 1986-87, 1994-95
드리타61962-63, 1984-85, 1987-88, 2002-03, 2017-18, 2019-20
페로니켈리32014-15, 2015-16, 2018-19
루다리31955-56, 1957-58, 1959-60
KF KEK31966-67, 1971-72, 1975-76
예디스토보21945, 1946
스로가21963-64, 1964-65
21972-73, 1990-91
발카니22021-22, 2022-23
루드니크11956-57
11982-83
두카지니11993-94
12001-02
후시12010-11
브슈트리아12013-14
트레프차8912016-17


5. 유럽 클럽 대항전 참가

코소보 수페르리가 클럽들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인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등에 참가한다. 자세한 내용은 유럽 대항전의 코소보 축구 클럽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리그 명칭 변천사

코소보 수페르리가의 공식 명칭은 스폰서십 계약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2][3][4][5] 1945년부터 199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일부로, Liga e Provincës së Kosovës (Kosovo Province League)로 불렸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는 세르비아 리그 시스템과 병행하여 인정받지 못한 대회인 Liga e Pavarur e Kosovës (Independent League of Kosovo)로 운영되었다. 1999년부터는 Superliga e Futbollit të Kosovës (Football Superleague of Kosovo)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스폰서십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다.

알바니아어영어기간비고
Liga e Provincës së KosovësKosovo Province League1945–1991유고슬라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일부였다.
Liga e Pavarur e KosovësIndependent League of Kosovo1991–1999세르비아 리그 시스템과 병행하여 인정받지 못한 대회였다.
Superliga e Futbollit të KosovësFootball Superleague of Kosovo1999–현재2008년부터는 스폰서십 문제로 이름이 변경되었지만, 공식 명칭이다.
Raiffeisen Superliga e KosovësRaiffeisen Superleague of Kosovo2008–2016Raiffeisen Bank International의 자회사인 Raiffeisen Bank Kosovo가 후원했다.
Vala Superliga e KosovësVala Superleague of Kosovo2016–2018Kosovo Telecom이 후원했다.[2]
IPKO Superliga e KosovësIPKO Superleague of Kosovo2018–2020IPKO가 후원했다.[3]
BKT Superliga e KosovësBKT Superleague of Kosovo2021–2022Banka Kombëtare Tregtare가 후원했다.[4]
ALBI MALL Superliga e KosovësALBI MALL Superleague of Kosovo2022–현재Albi Commerce의 자회사인 Albi Mall이 후원한다.[5]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Federation of Kosovo joins UEFA http://www.uefa.org/[...] UEFA 2016-05-03
[2] 뉴스 Vala sponzoron Superligën e Kosovës https://www.botasot.[...] Bota Sot 2016-08-18
[3] 웹사이트 IPKO, sponsor gjeneral i Kombëtares së Kosovës në Futboll dhe i Super Ligës së Kosovës në Futboll https://www.ipko.com[...] IPKO 2018-08-09
[4] 웹사이트 Banka Kombëtare Tregtare sponsor gjeneral i Superligës së Kosovës në futboll http://www.ffk-kosov[...] Football Superleague of Kosovo 2021-08-30
[5] 웹사이트 ALBI MALL sponsor gjeneral i Superligës së Kosovës në futboll http://www.ffk-kosov[...] Football Superleague of Kosovo 2022-08-18
[6] 뉴스 Kosovo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RSSSF
[7] 뉴스 Ferizaj dhe Suhareka sigurojnë inkuadrimin në Superligën e Kosovës https://telegrafi.co[...] Telegrafi 2024-05-04
[8] 웹사이트 Historiku http://www.ffk-kosov[...] Federata e Futbollit e Kosovës 2016-03-09
[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fk-kosov[...] Federata e Futbollit e Kosovës 2016-03-09
[10] 웹사이트 Kosovo - List of Champions http://www.rsssf.com[...] RSSSF 2016-03-08
[11] 웹사이트 Raiffeisen Superliga 2013/14 http://mediavision-k[...] Federata e Futbollit e Kosovës 2016-03-08
[12] 웹사이트 Raiffeisen Superliga 2014/2015 http://mediavision-k[...] Federata e Futbollit e Kosovës 2016-03-08
[13] 문서 斜体はユーゴスラビア時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