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했던 국가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두 공화국으로 구성된 느슨한 연합 형태였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출범했으나, 2003년 국명을 변경했다. 2006년 몬테네그로의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해체되었고,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각각 독립 국가로 분리되었다. 이 국가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경제 제재, 코소보 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으며,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을 지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개입하여 전쟁 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되었으나 재판 중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와 행동은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 20세기 잔존국 - 비시 프랑스
비시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남부와 식민지 일부를 통치한 친독 협력 정부로, 필리프 페탱이 수반이었으며 권위주의 통치, 유대인 박해 등으로 악명 높았고, 현재까지도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다. - 20세기 잔존국 - 이탈리아 사회공화국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은 1943년 나치 독일의 지원으로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북부에 수립한 파시스트 괴뢰 국가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독일군에게 있었고 1945년 무솔리니의 처형과 독일의 항복으로 멸망하였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 |
로마자 표기 | Državna zajednica Srbija i Crna Gora |
약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다른 표기 |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1992년~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 (2003년~2006년) |
![]() | |
![]() | |
국가 | 슬라브인들이여 |
공용어 | 세르비아어 |
인정 언어 | 알바니아어 헝가리어 |
수도 | 베오그라드 |
최대 도시 | 수도 |
데모님 | 유고슬라브인 (2003년 이전) 세르비아인몬테네그로인 (2003년 이후) |
존속 기간 | 1992년 ~ 2006년 |
건국 시기 | 1992년 |
해체 시기 | 2006년 |
정치 체제 | 연방 의회 입헌공화국 (1992년~2003년) 국가연합 입헌공화국 (2003년~2006년) |
대통령 | 도브리차 초시치 (1992년~1993년) 조란 릴리치 (1993년~1997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1997년~2000년)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 (2000년~2003년) 스베토자르 마로비치 (2003년~2006년) |
총리 | 밀란 파니치 (1992년~1993년) 라도예 콘티치 (1993년~1998년) 모미르 불라토비치 (1998년~2000년) 조란 지지치 (2000년~2001년) 드라기샤 페시치 (2001년~2003년) 스베토자르 마로비치 (2003년~2006년) |
입법부 | 연방 의회 |
시대 | 유고슬라비아 전쟁 (1992년~1999년) |
통화 |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992년~2003년), 세르비아 디나르 (2003년~2006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992년~2000년), 독일 마르크 (1999년~2002년), 유로 (2003년~2006년) |
ISO 3166-1 | CS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yu |
시간대 | CET |
UTC 시차 | +1 |
일광 절약 시간 | CEST |
UTC 시차 (일광 절약 시간) | +2 |
차량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국제 전화 번호 | +381 |
역사 | |
헌법 제정 | 헌법 채택 (1992년 4월 27일) |
제재 | 제재 (1992년~1995년) |
코소보 전쟁 | 코소보 전쟁 (1998년~1999년) |
불도저 혁명 | 불도저 혁명 (2000년 10월 5일) |
유엔 가입 | 유엔 가입 (2000년 11월 1일) |
국가연합 | 국가연합 (2003년 2월 4일) |
몬테네그로 독립 | 몬테네그로 독립 (2006년 6월 3일) |
세르비아 독립 | 세르비아 독립 (2006년 6월 5일) |
이전 국가 | SFR 유고슬라비아 |
이전 국가 (세르비아) | SR 세르비아 |
이전 국가 (몬테네그로) | SR 몬테네그로 |
이후 국가 (코소보) | UNMIK |
이후 국가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
이후 국가 (세르비아) | 세르비아 |
인구 | |
인구 (2006년 추정) | 10,832,545명 |
경제 | |
GDP (PPP, 1995년) | 116억 달러 |
1인당 GDP (PPP, 1995년) | 2,650 달러 |
인간 개발 지수 (1996년) | 0.725 |
기타 | |
현재 국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추가 정보 | 수도는 2003년 이후 공식적으로 없었지만, 입법 및 행정 기관은 베오그라드에 위치함. 포드고리차는 대법원의 소재지임. 유엔 회원 자격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자격으로 부여됨. 몬테네그로에서는 1999년과 2000년 디나르와 독일 마르크가 공동 법정 통화였음. 코소보의 알바니아 지역은 1999년부터 사실상 마르크를, 2002년부터 유로를 사용함. |
2. 국명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은 '남쪽'을 뜻하는 'Jug'와 '슬라브인의 땅'을 뜻하는 'slavija'가 합쳐진 슬라브어 단어이다. 따라서 'Jugoslavija'는 '남슬라브인의 땅'으로 번역된다. 이는 초기 유고슬라비아라는 개념이 다른 제국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남슬라브인의 국가였기 때문이다.[111]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유고슬라비아)이 붕괴되는 동안,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로 남기로 합의하고 1992년 새 헌법을 제정하여 잔존 국가를 설립했다. 새 국가는 공산주의 유산을 버리고 국기에 있던 붉은 별을 제거했으며, 공산주의 문장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나타내는 새 문장으로 대체되었다. 새 국가는 대통령직을 신설했는데, 처음에는 1997년까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동의를 얻어 임명되었지만 이후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 대통령들과 함께 행동했다. 처음에는 세 자리 모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19]와 그의 세르비아 사회당 동맹국들이 장악했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이 국가는 SFR 유고슬라비아의 유일한 합법적인 계승국가임을 주장하며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 유고슬라비아)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이를 불법으로 간주하여 1993년 초부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라고 불렀다.[17] 2003년 헌법 개정으로 국가 명칭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되었다.[18]
세르비아어 공식 명칭은 Србија и Црна Гора|Srbija i Crna Gora|스르비야 이 츠르나 고라sr이다. 스르비야는 세르비아, 츠르나 고라(Crna Gora)는 몬테네그로를 뜻하는 세르비아어 단어로, "검은 산"을 의미한다(몬테네그로는 이탈리아어베네치아 방언(베네토어)에서 유래). '이(i)'는 세르비아어로 영어의 'and'에 해당하는 접속사이다. Државна Заједница Србија и Црна Гора|Državna Zajednica Srbija i Crna Gorasr라고 부르기도 한다.[93]
공식 영어 명칭은 Serbia and Montenegro영어이다. 일본어 표기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이며,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연방'이라고 잘못 부르기도 하지만, 명칭에 "연방"이라는 단어는 없다.
3. 역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알바니아, 마케도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두 공화국과 두 자치주 (보이보디나 자치주와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의 민족 구성이 달랐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정부가 세르비아 주도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몬테네그로 측에서 독립 요구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불안정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2003년 국명을 "세르비아-몬테네그로"로 변경하고 공화국의 독립성이 높은 느슨한 연합 국가로 하였다.
그러나 헌법에는 3년 후부터 연방 탈퇴를 가능하게 하는 조항이 있었고,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에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독립 찬성이 55.5%를 차지하여 독립에 필요한 55%를 넘었다. 이에 따라 2006년 6월 3일(현지 시간) 몬테네그로 의회가 독립을 선언하였다.
6월 4일 스베토자르 마로비치 대통령이 사임하였고, 6월 5일 세르비아 의회도 독립을 선언하고 동시에 세르비아를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계승 국가로 선언하였다. 이로써 1918년 발족 이후 88년간 지속된 유고슬라비아 국가 체제는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국가 해체 후에도 일부 스포츠 경기에서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 통일팀을 구성하기도 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역사'''날짜 사건 1918년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 성립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국호 변경 1943년 유고슬라비아 민주연방 성립 1945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NFRJ) 성립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J)으로 국호 변경 1980년 5월 4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망 1991년 6월 21일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 1991년 9월 8일 마케도니아 독립 선언 1992년 4월 5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독립 선언 1992년 4월 28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J) 성립 1995년 11월 21일 데이턴 평화 협정 체결 1996년 코소보 해방군 활동 활발 (코소보 분쟁 본격화) 1997년 네트워크 마케팅 파탄으로 알바니아 국내 혼란, 코소보 해방군 거점 마련 시작, 알바니아에서 코소보로 대량의 무기 유출 1997년 10월 몬테네그로 독립을 내건 밀로 주카노비치 몬테네그로 대통령 취임 1998년 세르비아 경찰, 유고슬라비아군에 의한 코소보 해방군 소탕 작전 시작, 코소보 전투 격화, 국제 여론으로부터 알바니아인 탄압 비난 1999년 1월 27일 마케도니아와 타이완 외교 관계 수립, 중국의 마케도니아 유엔군 주둔 연장 거부, 알바니아계 무장 세력 유고-코소보 측 침입 1999년 3월 22일 세르비아, 러시아, 미국 대화 결렬 1999년 3월 24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유고슬라비아 전역 공습 개시 1999년 6월 10일 유고슬라비아, 러시아 중재안 수용, 공습 중단, 유엔의 코소보 임시행정 미션(UNMIK) 시작, 유고슬라비아군 코소보 철수 시작 (2000년까지 종료), 코소보 유고슬라비아 통치권 이탈 1999년 11월 3일 몬테네그로에서 독일 마르크 유통 합법화 2000년 9월 24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 선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일방적 승리 선언 2000년 10월 5일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 지지 야당 세력, 연방 의회, 국영 방송, 경찰서 진입, 혁명 발생, 밀로셰비치 코슈투니차에게 정권 이양 2001년 3월 31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체포 2001년 6월 28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헤이그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 전범 재판소 이송 2002년 4월 22일 몬테네그로 의회 선거, 몬테네그로 독립파 승리 2003년 2월 4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호 변경, 느슨한 연방제 2003년 3월 21일 세르비아 총리 조란 긴지치 암살, 정부 마피아 일제 검거 대응, 1000명 이상 체포 2005년 세르비아 외무장관, 몬테네그로 연방 탈퇴 독립 용인 2006년 3월 11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옥중 사망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 투표, 투표율 86.3%, 찬성 55.4% 2006년 6월 3일 몬테네그로 독립 선언 2006년 6월 5일 세르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계승 국가 선언
3. 1. 성립 배경 (1980년대 후반 ~ 1992년)
1980년대 후반, 개혁과 개방 열풍 속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하던 공화국들의 독립 요구가 거세져 민족 간의 갈등으로 확대되었다. 1991년과 1992년 사이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4개국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슬로베니아는 주민 대부분이 슬로벤인이고 북쪽 끝에 위치하여 연방군은 독립 선언 10일 만에 10일 전쟁을 중단, 슬로베니아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유고슬라비아)이 붕괴되는 동안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로 남아 있기로 합의하고 1992년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세르비아인이 대다수인 연방 유고슬라비아를 사실상 잔존 국가로 설립했다. 새 국가는 공산주의 유산을 버렸는데, 국기에 있던 붉은 별이 제거되었고, 공산주의 문장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나타내는 새로운 문장으로 대체되었다. 새 국가는 또한 대통령직을 신설했는데, 처음에는 1997년까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동의를 얻어 임명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 대통령들과 함께 행동했다. 처음에는 세 자리 모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19]와 그의 세르비아 사회당의 동맹국들이 장악했다.
1991년 12월 26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고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 반군이 장악한 지역들은 새로운 "제3 유고슬라비아"를 형성하기로 합의했다.[20] 1991년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연방에 포함시키려는 노력도 있었으며, 밀로셰비치, 보스니아의 세르비아 민주당, 그리고 연합을 지지하는 보스니아 부통령 아딜 즐피카르파시치 간의 협상이 진행되었다.[21] 즐피카르파시치는 보스니아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크라이나와의 연합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고, 따라서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인의 통합을 보장하는 연합을 지지했다.[21] 밀로셰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새로운 유고슬라비아에 포함시키기 위해 즐피카르파시치와 협상을 계속했지만, 이제트베고비치가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할 계획인 반면 보스니아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이 자치 지역을 형성함에 따라 새로운 유고슬라비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를 포함시키려는 노력은 1991년 말에 사실상 종식되었다.[21] 곧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인 사이에 폭력이 발생했다. 따라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으로 제한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기간 동안 분리 독립한 세르비아 공화국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3. 2.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시기 (1992년 ~ 2003년)
1992년 4월 27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으로 개편하고 국기와 국장을 변경하였다. 새 국가는 공산주의 유산을 버리고 국기에 있던 붉은 별을 제거했으며, 공산주의 문장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나타내는 새로운 문장으로 대체했다. 또한 대통령직을 신설하여, 처음에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동의를 얻어 임명했지만 이후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 대통령들과 함께 활동했다. 초기에는 세 자리 모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19]와 그의 세르비아 사회당 동맹국들이 장악했다.
국제 사회는 유고슬라비아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을 점차 인정하기 시작했다. 1991년 후반에는 많은 나라에서 이들 국가의 독립을 승인했고,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 5월 22일에 유엔에 가입했다. 북마케도니아는 분쟁 없이 독립했으나, 그리스와의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으로 인해 각국의 승인이 늦어졌고, 1993년에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유엔에 가입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1990년대의 지속적인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여러 국제 기구에서 제명되었으며[22], 이로 인해 연방 자산과 부채, 특히 국가 부채 처리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1992년부터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을 지원했고, 그 결과 경제적, 정치적 제재를 받았다. 전쟁과 제재는 경제적 재앙으로 이어져 수천 명의 젊은 시민들이 이민을 가게 만들었다.
1990년대, 국제 사회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주된 책임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엔 경제 제재 조치를 가했기 때문에 국내 경제는 침체되었다. 1994년에는 한 달 만에 300만 배의 물가 상승이라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1999년 NATO의 공습으로 인프라가 파괴되어 경제 악화에 박차를 가했다.
1996년 코소보 독립을 추진하는 알바니아계 민병대인 코소보 해방군이 세르비아 경찰서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1997년 세르비아 대통령직을 최대 2임기 역임한 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유고슬라비아군 부대가 반란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코소보로 이동하도록 명령했다. 1998년 밀로셰비치가 배치한 유고슬라비아 경찰 및 군 부대와의 공개적인 전투가 증가하면서 코소보 전쟁이 시작되었다. 1999년 3월부터 6월까지 86만 3천 명의 알바니아 민간인이 코소보에서 강제 추방되었다.[54]
국제 사회는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평화 제안을 발표하며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 협정은 NATO가 유고슬라비아에 내린 중요한 최후통첩으로 여겨졌고[58][59]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NATO는 1999년 3월 유고슬라비아 군사 목표물과 기반 시설을 공격하는 공습을 명령했다.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에서 소수 민족 학살에 관여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2000년 불도저 혁명으로 실각하면서 그의 독재 정치가 종식되었다.[67] 2000년 9월, 선거 부정 혐의 속에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밀로셰비치는 결국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2000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일방적으로 승리를 선언하자,[67] 2000년 10월 5일,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를 지지하는 야당 세력이 연방 의회, 국영 방송, 경찰서에 진입하는 혁명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밀로셰비치는 코슈투니차에게 정권을 이양하였다.
3. 2. 1. 유고슬라비아 전쟁 (1991년 ~ 1995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복잡한 민족 문제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보스니아 전쟁이라는 큰 규모의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크로아티아 내의 세르브인과의 분쟁으로 여러 해 동안 전쟁이 이어졌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세르브인, 보슈냐크인, 크로아트인의 숱한 전투와 민족 간의 대량 학살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은 1990년대의 지속적인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여러 국제 기구에서 제명되었으며[22], 이로 인해 연방 자산과 부채, 특히 국가 부채의 처리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1992년부터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을 지원했고, 그 결과 유고슬라비아는 경제적, 정치적 제재를 받았다. 전쟁과 제재는 경제적 재앙으로 이어져 수천 명의 젊은 시민들이 이민을 가게 만들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과 보스니아 세르비아 공화국을 포함한 분리주의 세르비아 운동을 지원하고, 이들을 독립된 세르비아 공화국으로 세우고 궁극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재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3][24]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정부는 이 공화국들을 별개의 실체로 간주했고, 해체된 유고 인민군(JNA)의 부대를 분리주의 운동으로 이전하는 방식으로 공식적인 지원보다는 비공식적인 지원을 제공했다.[25] 이런 방식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국제 사회가 인정한 분리 공화국에 대한 침략 행위라는 비난을 피할 수 있었다.[26][27]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은 자신이 유고슬라비아 분리 공화국과 전쟁 중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군 부대가 이전된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두브로브니크 공성전과 같은 크로아티아와의 국경 분쟁을 제외하고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하지 않았다. 대신 국제 사회의 추가적인 분노를 피하고, '대세르비아'가 아닌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공화국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보존하기 위해 경제적, 정치적 지원을 제공했다.[28][29]
1995년 폭풍 작전(크로아티아 군의 군사 공세)과 보스니아 전쟁에 대한 NATO 개입 이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보스니아 내 세르비아의 입장이 상당히 악화되었기 때문에 협상에 동의했다. 그는 보스니아 세르비아 공화국을 경제적으로 파탄시킬 위협 아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뿐만 아니라 모든 세르비아 분리주의 운동에 대한 협상 권한을 장악했다.[30] 그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및 크로아티아 공화국 대표 간에 체결된 데이턴 협정은 각 국가를 주권 국가로 인정했다. 또한 세르비아 기관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순환 대통령직을 인정했고, 전 보스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편입되었다.[6][31][32] 이로써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끝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국제 제재가 해제되었다.[33]
3. 2. 2. 경제 붕괴 (1990년대)
국제 사회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FR Yugoslavia)에 대해 경제 제재를 가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경제는 붕괴되었다. 연료 제재로 전국의 주유소에서는 휘발유가 바닥났고,[35] 외국 자산은 압류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주민들의 평균 소득은 3000USD에서 1500USD로 절반으로 줄었다.[4] 약 300만 명의 유고슬라비아인(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이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했으며,[4] 자살률은 22% 증가했고,[36] 병원에는 기본적인 장비가 부족했다. 공급망이 차단되어 유고슬라비아 경제는 성장할 수 없었고, 산업에 필요한 수입 또는 수출을 할 수 없어 공장들이 문을 닫았다.[37] 유고슬라비아 경제 붕괴는 전쟁 수행 능력에도 영향을 미쳐, 1992년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석유나 탄약 없이는 작전을 수행할 수 없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VJ) 부대 때문에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매우 제한적인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38][39]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는 심각한 초인플레이션을 겪었고, 인플레이션율은 3억 1,300만 퍼센트에 달했다.[40] 이는 역사상 두 번째로 심각한 초인플레이션이었다. 몬테네그로 전역을 포함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많은 지역에서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대신 독일 마르크와 유로를 사용했다.[41] 국제 제재는 유고슬라비아 경제를 붕괴시켰고, 세르비아 분리주의 공화국을 돕는 데 있어 적극적인 역할을 방해했다. 데이턴 협정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대부분의 제재를 해제하기로 투표했지만, 코소보에서 알바니아 반군의 봉기가 발생한 후 다시 부과되었다. 지속적인 경제적 영향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몰락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부의 몰락, 그리고 몬테네그로의 유고슬라비아 탈퇴에 대한 더욱 강한 열망으로 이어졌다.[42]
1990년대, 국제 사회는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분쟁의 주된 책임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고슬라비아에 대해 유엔 경제 제재 조치를 가했기 때문에 국내 경제는 침체되었다. 1994년에는 한 달 만에 300만 배의 물가 상승이라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1999년 NATO의 공습으로 인프라가 파괴되어 경제 악화에 박차를 가했다. 이후 경제 제재는 해제되었고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대외 채무를 안고 있었다.
세르비아와 보이보디나에서는 디나르가 유통되고 있지만, 코소보와 몬테네그로에서는 1999년부터 독일 마르크의 유통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고, 2002년 독일 마르크 유통이 완전히 중단된 이후로는 유로가 유통되고 있다.
3. 2. 3. 코소보 전쟁 (1998년 ~ 1999년)
1996년, 코소보 독립을 추진하는 알바니아계 민병대인 코소보 해방군이 세르비아 경찰서를 공격하기 시작했고, 1996년부터 1998년 사이에 일어난 직접적인 공격으로 최소 10명의 세르비아 경찰관이 사망했다.[44][45] 저강도 반란은 결국 확대되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1997년 세르비아 대통령직을 최대 2임기 역임한 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유고슬라비아군 부대가 반란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코소보로 이동하도록 명령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법 집행 기관에 대한 반복적인 치명적인 공격 이후 코소보 해방군을 테러 조직으로 규정했다.[46][47][48]
1998년, 밀로셰비치가 배치한 유고슬라비아 경찰 및 군 부대와의 공개적인 전투가 증가하면서 코소보 전쟁이 시작되었다. 코소보 해방군은 공개 전투에서 수적으로나 화력으로 크게 열세여서 게릴라 전술을 사용해야 했다.[51] 세르비아 경찰과 유고슬라비아군 부대는 코소보 해방군의 전초 기지를 공격하여 파괴하려고 시도했고, 코소보 해방군은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고 폭탄 테러와 매복 공격을 포함한 테러 공격을 통해 유고슬라비아의 통제력을 약화시키려고 시도했다.[52] 유고슬라비아군 부대는 적절한 훈련을 받지 못한 코소보 해방군 부대에 대해 전술적 이점을 얻었으나, 유고슬라비아군 부대 자체는 사기가 저하되었고 공격은 종종 군사 목표가 아닌 민간 목표물을 향했다.[53] 1999년 3월부터 6월까지 86만 3천 명의 알바니아 민간인이 코소보에서 강제 추방되었다.[54] 1998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전쟁과 관련하여 알바니아인 8,676명, 세르비아인 1,196명, 로마인, 보스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및 기타 445명 등 총 1만 317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56]
국제 사회는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평화 제안을 발표하며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 협정은 NATO가 유고슬라비아에 내린 중요한 최후통첩으로 여겨졌고[58][59]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NATO는 1999년 3월 유고슬라비아 군사 목표물과 도로, 철도, 행정 건물, 세르비아 라디오 텔레비전 본부를 포함한 인프라를 공격하는 공습을 명령했다.[60] NATO의 폭격 작전은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 우려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여 법적 타당성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61][62]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160을 채택하여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무기와 석유 제재를 강화하여 경제를 마비시켰다. 지속적인 공중 폭격과 제재의 영향으로 유고슬라비아 경제는 수천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고,[63] 결국 밀로셰비치 정부는 국제 대표단이 제시한 협정에 따르도록 강요받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244는 코소보에 대한 상당한 자치권과 코소보에 대한 유엔 임무 설립,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국군 부대의 완전 철수를 가져왔다.[64][65]
3. 2. 4. 불도저 혁명 (2000년)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에서 소수 민족 학살에 관여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2000년 불도저 혁명으로 실각하면서 그의 독재 정치가 종식되었다.[67] 일련의 패배와 유고슬라비아 경제의 완전한 붕괴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그의 동맹 세력인 세르비아 사회당에 대한 대중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2000년 9월, 선거 부정 혐의 속에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밀로셰비치는 결국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그의 세르비아 사회당은 연방 선거에서 세르비아 민주야당에 패배했다.[67]
2000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일방적으로 승리를 선언하자,[67] 2000년 10월 5일,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를 지지하는 야당 세력이 연방 의회, 국영 방송, 경찰서에 진입하는 혁명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밀로셰비치는 코슈투니차에게 정권을 이양하였다.
3. 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기 (2003년 ~ 2006년)
2003년 2월 4일,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국호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으로 바꾸었다. 이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자치권을 각각 확대하고 느슨한 형태의 연방으로 이행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다만, 국기와 국장, 국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73] 2003년 3월 3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70여 년 만에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새롭게 출범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대등한 지위의 연합으로 구성되었지만, 세르비아의 인구가 훨씬 많았고 대부분의 실권은 세르비아가 쥐고 있었다. 이 때문에 몬테네그로 내부에서는 분리 독립 운동이 계속되었다. 몬테네그로의 분리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몬테네그로의 분리 독립 국민투표 협상이 시작되었다.
결국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에서 분리 독립에 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55.5%의 찬성률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확정되었다.[73]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의 인구 수를 이유로 불만을 표시했지만, 그 동안 국내외에서 쏟아진 인권 탄압에 대한 비판 여론 때문에 무력 개입을 하지 않고 독립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2006년 6월 3일에 몬테네그로 의회에서 공식적인 독립 선언이 발표되었고,[74] 6월 5일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계승 국가임을 선언하며 독립을 선언, 6월 6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했던 6개의 공화국이 모두 별개의 국가로 분리되었다.
4. 정치
유고슬라비아 연방 의회는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 Yugoslavia)을 대표했으며, 시민평의회와 공화국평의회, 두 개의 의회로 구성되었다. 시민평의회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국민을 대표하는 일반 의회 역할을 했고, 공화국평의회는 연방 구성 공화국들의 대표자들로 동등하게 구성되어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간의 연방 평등을 보장했다.[75][76][77]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초대 대통령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었고, 이후 논란이 많은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 각서에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인 도브리차 초시치였다. 초시치는 국가 수반이었지만,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대한 반대 때문에 1993년에 사임해야 했다. 초시치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재임한 조란 릴리치로 대체되었고, 이후 밀로셰비치는 1997년 세르비아 대통령직 임기 만료 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2000년 대통령 선거 때까지 밀로셰비치와 그의 동맹국들에 의해 지배되었다. 선거 부정에 대한 비난이 제기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시민들은 거리로 나가 벨그라드 폭동에 참여하여 밀로셰비치의 실각을 요구했다. 곧이어 밀로셰비치는 사임했고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을 인계받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으로 국가가 재편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
연방 총리 밀란 파니치는 1992년 외교 회담 중 밀로셰비치의 독단적인 행동에 좌절하여 밀로셰비치의 지위가 공식적으로 자신의 지위보다 하위임을 이유로 "입을 다물라"고 말했다. 밀로셰비치는 나중에 파니치의 사임을 강요했다. 그러나 이 상황은 1997년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대통령으로서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임기가 끝난 후 변했다. 그는 그 후 연방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이미 사실상 가지고 있던 권력을 강화했다.
연방이 국가 연합으로 재편된 후 새로운 국가 연합 의회가 만들어졌다. 이 의회는 단원제였으며 126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는데, 그중 91명은 세르비아 출신이고 35명은 몬테네그로 출신이었다. 의회는 이전 유고슬라비아 연방 의회 건물에서 소집되었는데, 현재는 세르비아 국회가 자리하고 있다.
2003년 헌법 개정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의 출범 후 새로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그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장관회의 의장이기도 했다. 스베토자르 마로비치는 2006년 해체될 때까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초대이자 마지막 대통령이었다.
1999년 4월 12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연방 의회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러시아-벨라루스 연방 국가 가입 결정"을 통과시켰다.[78] 세르비아는 헌법 및 국제법에 따라 이 결정의 승계 국가이지만, 실제로는 불도저 혁명 이후 국가가 유럽 연합 가입 후보국이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의회는 단원제로 의석 수는 126석이었다. 이 중 91석은 세르비아에서, 35석은 몬테네그로에서 선출되었다. 세르비아 인구가 약 750만 명, 몬테네그로 인구가 약 60만 명이었으므로, 실제 인구 비율(약 12:1)보다 몬테네그로에 더 많은 의석이 배분되었다.
국가의 원수로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대통령이 존재했다. 2003년까지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이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것과 달리,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대통령은 의회에서 선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존재했던 총리는 없었고, 대통령이 각의를 주재했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대통령은 거의 실권이 없었고, 세르비아-몬테네그로를 구성하는 두 국가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대통령이 더 큰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 세르비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인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가 세르비아 대통령직을 노리고 출마하는 등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국가 기관으로는 국방군, 외무부, 그리고 경제 및 인권 관련 부처 등 총 5개가 존재했다. 이들 기관은 몬테네그로가 분담금을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의 기능하지 않았다. 군대는 연합 국가 설립 초기부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양측이 별개의 지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외무부 또한 몬테네그로가 독자적인 외교 기관을 가지고 있었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하기 이전부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국경에서 입국 심사와 세관을 실시하고 있었다.
5. 군사
유고슬라비아군(세르비아어: Војска Југославије/Vojska Jugoslavije, ВЈ/VJ)은 내부군과 국경군, 해군, 공군 및 방공군, 그리고 민방위를 포함한 육군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군대였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잔여 세력으로부터 창설되었다. VJ의 여러 보스니아 세르비아 부대는 보스니아 전쟁 기간 동안 보스니아 세르비아 공화국으로 이관되어,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출신 부대만 남게 되었다. VJ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두브로브니크 공방전과 브코바르 전투를 포함한 군사 작전에 참여했으며, 프레셰보 계곡의 반란과 같은 민족적 반란에서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코소보 전쟁 이후 VJ는 코소보에서 철수해야 했고, 2003년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군으로 개칭되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연합 해체 이후, 각 군의 부대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독립 공화국에 배속되었는데, 이는 군대의 모병이 연방 차원이 아닌 지역 차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가 내륙국이기 때문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소규모 해군을 상속받았다.
6. 행정 구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개의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이루어져 있었다.
- 세르비아 공화국
-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1999년 6월부터 쿠마노보 협정에 따라 유엔 관리하에 있었다.[79]
- * 보이보디나 자치주
- 몬테네그로 공화국
이름 | 수도 | 깃발 | 문장 또는 상징 |
---|---|---|---|
세르비아 공화국 | 벨그라드 | ||
보이보디나 자치주 | 노비사드 | ||
코소보[79] | 프리슈티나 | ||
몬테네그로 공화국 | 체티네 | ||
포드고리차 |
세르비아는 1991년 7월 24일 세르비아 의회에서 채택된 영토 조직 및 지방 자치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방 자치의 기본 단위인 195개의 자치구와 4개의 도시로 나뉘었다.[80] 세르비아는 두 개의 자치주를 가지고 있었는데, 남부의 코소보와 메토히야(30개 자치구)는 1999년 이후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의 관리하에 있었고, 북부의 보이보디나(46개 자치구와 1개 도시)가 있었다. 코소보와 보이보디나 사이의 영토는 세르비아 중부라고 불렸으며, 자체적인 행정 구역이나 지역 정부는 없었다.
베오그라드, 니슈, 노비사드, 크라구예바츠의 네 개 도시는 각각 자체 의회와 예산을 가지고 있었고, 여러 자치구로 구성되었다.
자치구들은 구로 모여 있었는데, 구는 국가 권력의 지역 중심이지만 자체 의회는 없었다. 세르비아 공화국은 29개 구(세르비아 중부 17개, 보이보디나 7개, 코소보 5개 - 현재는 폐지됨)로 나뉘어 있었으며, 베오그라드시는 자체적인 구를 형성했다.
몬테네그로는 21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어져 있었다.
7. 인구
1991년 조사에 따르면, 세르브인 62.6%, 알바니아인 16.5%, 몬테네그로인 5%, 헝가리인 3.3%, 기타 12.6%로 나타났다.[81] 199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인구는 10,394,026명이었으며,[81]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더 다양한 인구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 민족은 세르비아인(6,504,048명, 62.6%), 알바니아인(1,714,768명, 16.5%), 몬테네그로인(519,766명, 5%)이었다.[81]
헝가리인, 유고슬라비아인, 남슬라브계 무슬림, 로마인, 크로아티아인, 불가리아인, 마케도니아인, 루마니아인, 블라크인 등 상당한 규모의 소수 민족과 기타 소수 민족(1% 미만)도 거주했다. 민족 다양성은 주로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에 집중되었다.
대부분의 알바니아 인구는 코소보에 집중되었고, 프레셰보 계곡과 몬테네그로 울치니 시에도 소규모 인구가 있었다. 슬라브계 무슬림, 보스니아인, 고라니인을 포함한 "무슬림" 인구는 주로 산자크 연방 국경 지역(주로 세르비아 노비파자르와 몬테네그로 로자예)에 거주했다. 당시 몬테네그로 인구는 스스로를 세르비아인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81]
코소보 전쟁 이후 1999년 이전 코소보 세르비아 인구의 절반 이상(22만 명)[82](3만 7천 명의 로마인, 1만 5천 명의 발칸 무슬림(아슈칼리족, 보스니아인, 고라니인 포함) 및 7천 명의 기타 비알바니아인 민간인 포함)이 세르비아 중부와 몬테네그로로 추방되었다.[83]
2004년 추산에 따르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 인구는 10,825,900명, 2006년 7월 추산으로는 10,832,545명이었다.
1991년 조사 기준 주민 구성은 세르비아인 62.6%, 알바니아인 16.5%, 몬테네그로인 5%, 헝가리인 3.3%, 기타 12.6%이다.
공용어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세르비아어(95%)이고, 알바니아어는 5%이다.
종교는 세르비아 정교회가 65%, 이슬람교 19%, 로마 가톨릭 4%, 프로테스탄트 1%, 기타 11%이다.
8. 언어
인구의 95%가 세르비아어(1997년까지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사용하며 공용어 지위를 가졌다. 알바니아어 사용자는 5%였으며, 코소보에 많이 거주하였다.[93]
9. 종교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가 65%로 가장 많았으며, 이슬람교 신자가 19%로 그 다음이었다.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4%, 개신교 신자가 1%, 기타 11%였다.[1]
10. 경제
유고슬라비아 해체, 경제 관리 부실, 그리고 장기간의 경제 제재로 인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은 유고 디나르의 초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인플레이션을 극복했지만, 코소보 전쟁으로 인한 인프라와 산업 피해는 1990년 대비 경제 규모를 절반으로 줄였다. 2000년 10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전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 축출 이후, 세르비아 민주 야당(DOS) 연립 정부는 안정화 조치를 시행하고 적극적인 시장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00년 12월 국제통화기금(IMF) 회원 자격을 회복한 후, 유고슬라비아는 세계은행과 유럽부흥개발은행에 재가입하여 다른 세계 국가들과의 재통합을 추진했다.
밀로셰비치 시대 동안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연방 정부의 통제와 세르비아로부터 경제적으로 분리되었다. 두 공화국은 별도의 중앙은행을 두었고 몬테네그로는 다른 통화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독일 마르크를 채택하여 마르크가 사용되지 않고 유로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했다. 세르비아는 유고 디나르를 계속 사용하면서 이름을 ''세르비아 디나르''로 변경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복잡한 정치적 관계, 민영화의 느린 진행, 유럽 경제의 침체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MF와의 협정은 정책 수립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심각한 실업은 주요 정치 및 경제적 문제였다. 대규모 암시장과 공식 경제에 대한 높은 수준의 범죄 개입으로 인해 부패도 주요 문제였다. 주요 산업은 식품 가공, 금속, 전기, 화학, 섬유 등의 공업이었다.
1990년대, 국제 사회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유고슬라비아 분쟁의 주된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여 유엔 경제 제재 조치를 가했고, 이로 인해 국내 경제는 침체되었다. 1994년에는 한 달 만에 300만 배의 물가 상승이라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15] 199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공습으로 인프라가 파괴되어 경제 악화에 박차를 가했다.[15] 이후 경제 제재는 해제되었고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대외 채무를 안고 있었다.[15]
통화와 관련하여 세르비아와 보이보디나에서는 디나르가 유통되었지만, 코소보와 몬테네그로에서는 1999년부터 독일 마르크의 유통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고, 2002년 독일 마르크 유통이 완전히 중단된 이후로는 유로가 유통되고 있다.[15]
11. 교통
세르비아, 특히 모라바 계곡은 종종 "동쪽과 서쪽 사이의 교차로"로 묘사되는데, 이는 세르비아의 격변적인 역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 계곡은 유럽 대륙에서 그리스와 소아시아로 가는 가장 쉬운 육로이다.
세르비아를 통과하는 주요 국제 고속도로는 E75과 E70이었다. E763/E761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도로였다.
다뉴브 강은 세르비아를 흘러가는 중요한 국제 수로였다.
바르 항은 몬테네그로에 위치한 가장 큰 해항이었다.
12. 스포츠
FIFA와 UEFA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을 유고슬라비아의 유일한 후계 국가로 간주했다.[87][88][89]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축구는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경제 제재로 인해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모든 국제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다. 제재 해제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1998년 FIFA 월드컵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006년 FIFA 월드컵에 진출했으며, 유로 2000에도 참가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는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Predrag Mijatović), 드라간 스토이코비치(Dragan Stojković), 시니샤 미하일로비치(Siniša Mihajlović), 블라디미르 유고비치(Vladimir Jugović), 데얀 사비체비치(Dejan Savićević) 등 세계적인 선수들과 데얀 스탄코비치(Dejan Stanković), 사보 밀로셰비치(Savo Milošević), 다르코 코바체비치(Darko Kovačević) 등의 신예 선수들이 활약하여 다크호스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조별 리그는 통과했지만 16강전에서 네덜란드에게 패배했다. 유로 2000에서도 조별 리그를 통과했으나, 8강전에서 네덜란드에게 1-6으로 크게 패했다.
2006년 FIFA 월드컵에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출신 선수들로 구성된 단일 국가 대표팀으로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006년 6월 21일 코트디부아르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고,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대표팀으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남자 농구 대표팀은 1990년대 중후반과 2000년대 초반 유럽과 세계 농구를 지배했다. 1995, 1997, 2001 유로바스켓에서 3회 우승, 1998, 2002 FIBA 농구 월드컵에서 2회 우승,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유엔 무역 금수 조치로 인해 1992년부터 3년간 국제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지만, 1995년 국제 대회에 복귀한 후 1995 유로바스켓에서 두산 이브코비치 감독의 지휘 아래 사샤 조르제비치, 프레드라그 다닐로비치, 자르코 파스팔, 데얀 보디로가, 블라데 디바츠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앞세워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아르비다스 사보니스가 이끄는 리투아니아를 96-90으로 꺾었다.
2006 FIBA 농구 월드컵에서도 단일팀으로 참가했지만, 대회가 끝난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대표팀으로 분리되었다.
참조
[1]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Yugoslavia (1992)
[2]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Yugoslavia 1996
http://hdr.undp.org/[...]
UNDP
2021-06-22
[3]
서적
United States Practice in International Law: 1999–20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뉴스
Yugoslavs Face Hard Winter as the Blockade Bites
https://www.nytimes.[...]
1992-10-29
[5]
웹사이트
The World's Greatest Unreported Hyperinflation
https://www.cato.org[...]
Cato Institute
2007-05-07
[6]
웹사이트
Summary of the Dayton Peace Agreement on Bosnia-Herzegovina
http://hrlibrary.umn[...]
[7]
간행물
From a 'terrorist' group to a 'civil defence' corps: The 'transformation'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
https://pureportal.c[...]
2003-07-27
[8]
웹사이트
Kosovo Liberation Army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9]
웹사이트
S/RES/1244(1999) - E - S/RES/1244(1999)
https://undocs.org/S[...]
[10]
웹사이트
Slobodan Milosevic – The Dictator
https://balkaninsigh[...]
2010-10-05
[11]
뉴스
U.N. Expulsion of Yugoslavia Breeds Defiance and Finger-Pointing
https://www.nytimes.[...]
1992-09-24
[12]
뉴스
A Different Yugoslavia, 8 Years Later, Takes Its Seat at the UN
https://www.nytimes.[...]
2000-11-02
[13]
뉴스
Yugoslavia consigned to history
http://news.bbc.co.u[...]
2003-02-04
[14]
웹사이트
Priželjkivao sam da na čelu Srbije bude – Srbijanac
https://www.vreme.co[...]
2012-07-05
[15]
뉴스
Montenegro declar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2006-06-04
[16]
뉴스
Recount call in Montenegro vote
http://news.bbc.co.u[...]
2006-05-22
[17]
웹사이트
Serbia and Montenegro
http://www.cia.gov:8[...]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0-08-16
[18]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harter of the State Union of Serbia and Montenegro
http://www.mfa.gov.r[...]
2003
[19]
서적
The Road to War in Serbia: Trauma and Catharsi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0-01-01
[20]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šević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1]
서적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M.E. Sharpe
[22]
웹사이트
UN suspends former Yugoslavia
http://www.independe[...]
1992-09-23
[23]
웹사이트
Bosnian war News, Research and Analysis
https://theconversat[...]
[24]
뉴스
Carving Out a Greater Serbia
https://www.nytimes.[...]
1991-09-01
[25]
뉴스
Yugoslav Army Reported Fighting In Bosnia to Help Serbian Forces
https://www.nytimes.[...]
1994-01-27
[26]
간행물
The UN's Role in the Former Yugoslavia: the Failure of the Middle Way
https://www.aph.gov.[...]
Department of the Parliamentary Library (Australia)
1995
[27]
뉴스
U.S. Recognizes 3 Yugoslav Republics as Independent
https://www.nytimes.[...]
1992-04-08
[28]
웹사이트
Bosnian War | Facts, Summary, & War Crimes
https://www.britanni[...]
[29]
웹사이트
Greater Serbia: Myth or Plan?
https://iwpr.net/glo[...]
2004-12-15
[30]
웹사이트
Decision to Intervene: How the War in Bosnia Ended
https://www.brooking[...]
1998-12-01
[31]
뉴스
Bosnia's bitter, flawed peace deal, 20 years on
https://www.theguard[...]
2015-11-10
[32]
웹사이트
Dayton Peace Agreement
https://www.osce.org[...]
[33]
웹사이트
Economic Sanctions as a Foreign Policy Tool: The Case of Yugoslavia - Milica Delvic
https://www.gmu.edu/[...]
[34]
뉴스
Security Council Denies Yugoslavia Its U.N. Seat
https://www.latimes.[...]
1992-09-20
[35]
뉴스
CRISIS IN THE BALKANS: FUEL; Oil Flowing to Yugoslavia Despite NATO's Exertions
https://www.nytimes.[...]
1999-05-25
[36]
웹사이트
Embargo Leaves Serbia Thriving
https://www.nytimes.[...]
2020-07-29
[37]
웹사이트
Đukanovićeva strategija za pripajanje Srpske
http://www.vijesti.m[...]
2018-01-12
[38]
웹사이트
U.n. Votes 13-0 for Embargo on Trade with Yugoslavia; Air Travel and Oil Curbed
https://www.nytimes.[...]
1992-05-31
[39]
보도자료
Security Council Decides on Phased Lifting of Arms Embargo Against Former Yugoslavia by Vote of 14 to None, With Russian Federation Abstaining
https://www.un.org/p[...]
1995-11-22
[40]
웹사이트
The World's Greatest Unreported Hyperinflation
https://www.cato.org[...]
2007-05-07
[41]
웹사이트
German currency leaves its mark across the Balkans
https://www.csmonito[...]
2000-03-02
[42]
뉴스
Montenegro Easing Away From Serb Ally
https://www.washingt[...]
1999-06-25
[43]
웹사이트
Keshilli i Ministrave
http://www.keshillim[...]
2012-03-16
[44]
뉴스
Unknown Albanian 'liberation army' claims attacks
Agence France Presse
1996-02-17
[45]
서적
Islamic Terror and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12
[46]
서적
Humanitarian Law Violations in Kosovo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1998-07-27
[47]
서적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10-01
[48]
웹사이트
12/13/00 Committee on the Judiciary - Mutschke Testimony
http://judiciary.hou[...]
2005-02-26
[49]
웹사이트
Articles on KLA-Kosovo-Drugs-Mafia and Fundraising
http://kosovo.net/kl[...]
[50]
웹사이트
CIA Aided Kosovo Guerrilla Army All Along
https://www.globalpo[...]
[51]
웹사이트
KLA : From Guerilla Wars to Party Plenums
https://balkaninsigh[...]
2010-12-14
[52]
웹사이트
The Kosovo Conflict
https://www.bundeshe[...]
[53]
서적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0-07-27
[54]
간행물
KOSOVO / KOSOVA As Seen, As Told
https://www.osce.org[...]
OSCE Office for Democratic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55]
웹사이트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ABUSES AGAINST SERBS AND ROMA IN THE NEW KOSOVO
http://www.hrw.org/r[...]
1999-08
[56]
웹사이트
Kosovo Memory Book Database
http://www.kosovomem[...]
2019-01-11
[57]
웹사이트
Serbian Government >> News >> Missing persons in Kosovo >> Victims of the Albanian terrorism in Kosovo-Metohija (Killed, kidnapped, and missing persons, January 1998 - November 2001)
http://www.arhiva.se[...]
[58]
웹사이트
Ian Bancroft: Nato's bombardment of Serbia was an important precursor to the invasion of Iraq
https://www.theguard[...]
2009-03-24
[59]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Allen Lane
[60]
웹사이트
Was the Serbian TV station really a legitimate target?
https://mondediplo.c[...]
2000-07-01
[61]
웹사이트
Rights Group Says NATO Bombing in Yugoslavia Violated Law
https://www.nytimes.[...]
2000-06-08
[62]
웹사이트
Kosovo and Doublespeak
http://www.znetwork.[...]
Library of Congress Archives
1999-06-15
[63]
웹사이트
Yugoslavia Gives NATO $100 Billion Damage Bill
https://www.nytimes.[...]
1999-09-29
[64]
웹사이트
Opinion | The Kosovo Peace Plan
https://www.nytimes.[...]
1999-06-04
[65]
뉴스
Text of Kosovo Peace Plan
https://www.washingt[...]
1999-06-03
[66]
웹사이트
Seven years since end of NATO bombing
https://www.b92.net/[...]
2006-06-09
[67]
웹사이트
The Bulldozer Revolution
https://balkaninsigh[...]
2010-10-05
[68]
웹사이트
Yugoslavia joins UN as new member
https://www.euractiv[...]
2000-11-01
[69]
웹사이트
The charges against Milosevic
https://www.theguard[...]
2006-03-11
[70]
웹사이트
ICTY file for Milosevic
https://www.icty.org[...]
[71]
웹사이트
Milosevic 'Exonerated'? War-Crime Deniers Feed Receptive Audience
https://www.rferl.or[...]
2016-08-09
[72]
웹사이트
Milosevic's Old Allies Celebrate His 'Innocence'
https://balkaninsigh[...]
2016-08-16
[73]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74]
뉴스
Montenegro declar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6-04
[75]
서적
Triumph of the Lack of Will: International Diplomacy and the Yugoslav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76]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šević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7]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šević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8]
뉴스
Одлука о приступању Савез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Савезу Русије и Белорусије: 25/1999-1
https://www.pravno-i[...]
Pravno informacioni sistem RS
1999-04-12
[79]
기타
[80]
웹사이트
Law on Territorial Organization and Local Self-Government
http://www.parlament[...]
Parliament of Serbia
[81]
뉴스
Montenegrins, Angry at Serbs, Talk of a Split
https://www.nytimes.[...]
1999-07-10
[82]
웹사이트
Интерно расељена и прогнана лица са Косова и Метохије
https://www.srbija.g[...]
[83]
웹사이트
Forced Expulsion of Kosovo Roma, Ashkali and Egyptians from OSCE Participated state to Kosovo
http://www.osce.org/[...]
OSCE
2006-10-06
[84]
웹사이트
Zakon o sprovođenju Ustavne povelje
http://www.ssinf.sv.[...]
[85]
뉴스
Belgrade flag flap reveals identity crisis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3-10-07
[86]
웹사이트
Nova drzavna himna: Boze zore
http://www.vreme.com[...]
Vreme
2004-08-12
[87]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ss.rs/sr[...]
FSS
[88]
웹사이트
Serbia
https://web.archive.[...]
FIFA
2007-06-03
[89]
웹사이트
News: Serbia
http://www.uefa.com/[...]
UEFA
2011-01-01
[90]
기타
[91]
기타
[92]
기타
[93]
뉴스
Profile: Serbia and Montenegro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6-05
[94]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Yugoslavia (1992)
[95]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Yugoslavia 1996
http://hdr.undp.org/[...]
[96]
서적
United States Practice in International Law: 1999–20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웹사이트
Yugoslavs Face Hard Winter as the Blockade Bites
https://www.nytimes.[...]
1992-10-29
[98]
웹사이트
The World's Greatest Unreported Hyperinflation
https://www.cato.org[...]
2007-05-07
[99]
웹사이트
Summary of the Dayton Peace Agreement on Bosnia-Herzegovina
http://hrlibrary.umn[...]
[100]
저널
From a 'terrorist' group to a 'civil defence' corps: The 'transformation'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
https://pureportal.c[...]
2003-07-27
[101]
웹사이트
Kosovo Liberation Army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102]
웹사이트
S/RES/1244(1999) - E - S/RES/1244(1999)
https://undocs.org/S[...]
[103]
웹사이트
Slobodan Milosevic – The Dictator
https://balkaninsigh[...]
2010-10-05
[104]
웹사이트
U.N. Expulsion of Yugoslavia Breeds Defiance and Finger-Pointing
https://www.nytimes.[...]
1992-09-24
[105]
웹사이트
A Different Yugoslavia, 8 Years Later, Takes Its Seat at the U.N.
https://www.nytimes.[...]
2000-11-02
[106]
웹인용
Yugoslavia consigned to history
http://news.bbc.co.u[...]
2003-02-04
[107]
웹인용
Priželjkivao sam da na čelu Srbije bude – Srbijanac
https://www.vreme.co[...]
2012-07-05
[108]
웹인용
Министарство спољних послова Републике Србије
https://web.archive.[...]
2022-03-12
[109]
웹인용
Montenegro declar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2006-06-04
[110]
웹인용
Recount call in Montenegro vote
http://news.bbc.co.u[...]
2006-05-22
[111]
웹인용
Yugoslavia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