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리자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리자이는 코소보에 위치한 도시로, 1873년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철도 개통과 함께 호텔 경영자 페리즈 샤시바리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다르다니족 시대를 거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페리조비크로 불렸으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겪었다. 코소보 전쟁 이후에는 미국 육군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이 건설되었다. 1891년에 지어진 모스크와 교회는 종교적 관용을 상징하며, 현재는 벽화 축제인 무랄페스트를 개최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도시 -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는 코소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발칸 반도의 역사적 중요성과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곳으로, 교육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 행사 개최지이며, 교통의 요충지이다.
  • 코소보의 도시 - 프리즈렌
    프리즈렌은 코소보 남부 샤르 산맥 기슭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로마 시대 테란다에서 기원하여 세르비아 제국 수도, 오스만 제국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민족 공동체가 거주하는 코소보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다.
페리자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페리자이
로마자 표기Ferizaj
다른 이름우로셰바츠 (Uroševac)
옛 이름페리조비치 (Firzovik)
별칭벽화의 도시
인구 명칭페리자야스 (남성)
페리자야세 (여성)
페리자일리 (남성, 게그 방언)
페리자일리케 (여성, 게그 방언)
페리자이 깃발
페리자이 깃발
페리자이 문장
페리자이 문장
위치코소보
지리
고도580m
행정 구역
국가코소보
행정 구역페리자이구
기초 자치체기초 자치체
역사
정착1873년
인구 통계
2024년 추정109,345명
민족 구성 (2011년)95.9% 알바니아인
4.1% 기타
순위코소보 내 3위
정부
정치 체제시장-의회 정부
시장아짐 알리우 (PDK)
의회페리자이 시의회
면적
총 면적 (기초 자치체)344.61km²
순위코소보 내 14위
교통
기타 정보
우편 번호70000
지역 번호+383 29
차량 등록 번호05
시간대CET
여름 시간 (DST)CEST
웹사이트kk.rks-gov.net/ferizaj
랜드마크
"물라 베셀리" 모스크와 성 우로시 대성당
페리자이의
페리자이의 "아드리아나" 극장
"안톤 체타" 시립 기록 보관소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 "엔젤리 이 로예스"
"사디크 타파르시쿠" 시립 도서관

2. 역사

1873년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통치했으며, 페리조비크(Ferizovik)라는 작은 마을만 존재했다. 같은 해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페리조비크를 지나가게 되었고, 호텔 경영자였던 페리즈 샤시바리(Feriz Shashivari)의 이름을 따서 "페리자이"로 개명되었다.[4][5]

== 고대 ==

페리자이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기원전 6천년과 기원전 5천년에 살았던 스타르체보 문화 사람들은 강과 강가에 집을 짓고 쟁기질과 농업을 하며 생활했다.[6] 기원전 4300년경에는 빈차 문화가 발전하여 강가에 거주지를 지었다. 이들은 버드나무와 진흙으로 집을 지었고,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와 구운 점토 조각상 등 높은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유물을 남겼다.

스타르체보와 빈차에 이어 부반-훔 문화가 코소보에 도착하여 빈차의 거주지를 파괴했지만, 그들의 물질 문화 잔해는 남아 있지 않다. 이후 바덴 문화가 다뉴브에서 도착하여 코소보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원전 3천년이 끝나기 전에 종말을 맞았다.

기원전 8세기부터 로마 정복 전까지 다르다니족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발전했다.[6] 다르다니족은 죽은 자를 화장하고 그 유해를 고분 무덤에 매장했다.[6] 게르리체 기차역 근처의 쿨리네 지역과 페리자이-슈티메 도로를 따라 몰로폴크 지역에서 묘지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280년경 다르다니아는 왕이 통치하는 정치 공동체로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다르다니족은 기원전 200년에 마케도니아와의 싸움에서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로마와 처음 만났고, 기원전 96년에 로마 황제 술라에게 정복당했다. 로마는 오래된 호수 테라스에 계곡을 가로질러 정착지를 세우고 도로망을 구축했다. 이 도로는 울피아나와 스코페와 같은 도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의 일부였으며, 페리자이와 카차니크 협곡을 통과했다. 도로의 일부는 레페나크 강바닥에서 발견되었다.[6]

니카딘 마을에서 5~6세기로 추정되는 교회의 기초가 발굴되었으며, 바닥 아래에서 석관이 발견되었다.[25] 바르쉬 마을에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있으며, 스타르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에 속하는 도자기 조각을 포함한다. 즈라타르 마을에서는 중석기 시대는 물론 더 최근 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27] 코모글라바에서 로마 시대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후 비잔틴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25][28]

== 로마 시대 ==

기원전 200년 다르다니아와 로마가 처음 만났으며, 당시 다르다니아는 마케도니아와의 전쟁에서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기원전 96년 로마 황제 술라가 다르다니족을 정복했다. 이후 울피아나와 스코페를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이 도로는 페리자이와 카차니크 협곡을 통과했다.

로마 시대의 취락이 있었을 것으로 오랫동안 추정되어 왔으며,[38] 코모글라바에서 로마 시대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다.[25][28] 이 유적은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후 비잔틴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25][28] 고대 도시의 거리, 하수도 및 기타 기반 시설의 잔해가 발견되었으며,[25][28] 항아리, 도자기, 동전, 보석, 철 및 기타 탄소 물질로 만들어진 유물과 함께 석관 및 기타 유물을 건설하기 위해 해안 지역에서 옮겨온 것으로 여겨지는 특징적인 돌도 발견되었다.[25][28][40][39]

니카딘 마을에서는 5~6세기로 추정되는 교회의 기초가 발굴되었는데, 로마 제국 시대의 벽돌과 타일의 잔해와 함께 바닥 아래에서 발견된 석관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25]

== 중세 ==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을 때 '''페리조비크'''라고 불렸던 이 도시는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철도가 개통되기 전인 1873년까지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17세기 말과 18세기 전반의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기간 동안 주요 민족 변화가 발생했고 오스만 제국에서 급속한 이슬람화가 시작되었다. 튀르크 자료에 따르면 미트로비차–스코페 철도 건설이 완료될 때까지 페리즈-베이(Feriz-Bey)라는 도시가 있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주변 마을 사람들이 "타시온"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현지 주민들이 프랑스어 단어 ''station''을 잘못 발음한 결과였다.

페리자이 철도역, 스코페–미트로비차 철도 노선의 정차역


철도역 건설로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짧은 기간 안에 다양한 여관, 창고, 상설 시장이 들어섰다. 당시 프리즈렌에서 슈코더르까지 대상(caravan)으로 이동하던 코소보 상인들은 주로 테살로니키로 향하게 되었다. 곡물 특히 원자재 수출은 페리자이를 거쳐 이루어졌고, 정렬된 외국 상품 회전율은 테살로니키와 스코페에서 왔다. 이러한 이유로 페리자이는 약 30년 동안 약 400채의 집과 200개의 상점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수공예와 무역 관련 활동에 종사했다. 이 기간 동안 식민지 상점과 수공예 작업장의 개설은 도시 발전을 가속화했다.

== 근대 ==

1873년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간 철도가 개통되어 도시를 통과하기 전까지 페리자이는 오스만 제국의 작은 마을이었다.[4][5] 철도역 건설로 도시는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여관, 창고, 상설 시장이 들어섰다. 당시 프리즈렌에서 슈코더르까지 대상(caravan)으로 이동하던 코소보 상인들은 주로 테살로니키로 향하게 되었다.[4][5]

곡물, 특히 원자재 수출은 페리자이를 거쳐 이루어졌고, 정렬된 외국 상품은 테살로니키와 스코페에서 수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페리자이는 약 30년 동안 약 400채의 집과 200개의 상점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수공예와 무역 관련 활동에 종사했다. 이 기간 동안 식민지 상점과 수공예 작업장의 개설은 도시 발전을 가속화했다.[4][5]

철도 개통 당시 호텔 경영자였던 페리즈 샤시바리(Feriz Shashivari)의 이름을 따서 "페리자이"로 개명되었다.[4][5]

== 발칸 전쟁 (1912-1913) ==

제1차 발칸 전쟁세르비아 왕국 군대가 페리자이를 점령했을 때, 지역 알바니아인들은 강력하게 저항했다.[7] 일부 보고에 따르면 전투는 사흘 동안 지속되었다.[7] 세르비아 사령관은 주민들에게 항복을 명령했고, 생존자들이 돌아왔을 때 300~400명의 남성이 처형되었다.[7][30] 스코페 로마 가톨릭 교구의 가톨릭 대주교 라자르 메다에 따르면, 15세 이상 무슬림 알바니아인 중 생존자는 단 3명뿐이었다.[8][10][31] 페리조비크 주변의 알바니아인 거주 마을도 파괴되었다.[9][32]

이후 세르비아 군대가 진입하면서 발칸 전쟁 알바니아인 학살이 발생했고, 이는 레오 프로인들리히(Leo Freundlich)가 당시 보고서를 기록한 저서 ''알바니아의 골고다''에 묘사되어 있다. 로마의 신문 ''일 메사제로''의 종군 기자에 따르면, 마을은 파괴되었고 대부분의 주민이 살해되었다.[10] 프로인들리히는 총 사망자 수를 1,200명으로 추산했다.[10] 당시 저널리스트였던 레온 트로츠키를 포함한 발칸 전쟁의 수많은 보고서에서는 페리자이, 자코바, 길란, 프리슈티나, 프리즈렌 등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조직한 학살이 있었으며, 총 사망자 수는 약 25,000명에 달했다고 기록했다.[11]

1913년 런던 조약으로 페리자이는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12] 20세기 초 코소보 내 거주 지역 이름을 세르비아 서사시의 영웅들의 이름을 따서 변경하는 세르비아화 노력의 일환으로, 도시 이름은 세르비아의 스테판 우로시 5세를 기려 우로셰바츠(Uroševac)로 변경되었다.[12][13][33]

==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

제1차 세계 대전세르비아몬테네그로에서 부분적으로 시작되었고, 두 나라 모두 전쟁 초반부터 직접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에 코소보는 전투로 고통받았다. 1915년 10월, 불가리아독일 제국의 동맹국으로 전쟁에 참전하여, 쿠마노보스코페코소보와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의 일부인 페리자이 지역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이 도시는 불가리아군의 카차니크 협곡 침투 시 통과 지점 역할을 했다. 세르비아의 저항은 1915년 11월 25일에 불가리아군에 의해 패배하면서 끝났다. 1916년 4월 1일, 페리자이는 중요한 기착지로 불가리아에 넘겨졌지만, 프리즈렌 – 페리자이 – 알바니아 노선으로 철도 사용권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도 부여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몇 달 동안 페리자이 주민들에게는 1938년 유고슬라비아와 터키 사이에 체결된 알바니아인 터키 재정착 협약이 시행되지 않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협약에는 네로디메 지역 주민들의 대규모 재정착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탈리아알바니아를 침공하면서 실현되지 않았다.[14] 이탈리아군은 세르비아 왕국의 보조 군사 비행장을 사용하기 위해 페리자이에 주둔했다.

1941년, 공산당 페리자이 지도부는 주민들에게 민족해방운동 참여를 촉구했고, 불법 무기 단체들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항복 후 독일 점령군은 알바니아인들에게 더 우호적이었다. 1943년 9월 11일에서 12일 사이에는 페리자이 지역에서 알바니아인들에 의해 세르비아인 60명이 살해되었다.[15] 독일 침공 이후 민족해방운동은 더욱 강화되었고, 1944년 12월 2일 도시가 해방되었다. 페리자이 해방 이후, 민족해방운동은 영토 해방 및 보호, 국가 경제 재건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5-1992) ==

1929년부터 1941년까지, 페리자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바르다르 주에 속해 있었다.

== 코소보 전쟁 (1998-1999) ==

1999년 코소보 전쟁 당시 페리자이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 의해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일부 지역이 포격당하고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16] 전쟁 이후,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과 기타 비 알바니아인 거주민들이 추방되거나 도망치는 등 심각한 공동체 간 불안을 겪었다.[16] 성 니콜라스 교회와 성 스테판 교회는 1999년 파괴되었다.[16]

페리자이 상공에서 본 캠프 본드스틸


전쟁 직후, 페리자이 인근 언덕과 농지에 코소보 주둔 KFOR 평화 유지군의 미국 육군 부대 주요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이 설립되었다.[16] 360,000 평방 미터 규모의 이 캠프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곳 중 하나이다.[16] 미국의 브라운 앤드 루트(Brown & Root)는 캠프 유지를 위해 1,500명 정도의 페리자이 주민을 고용하고 있다.

== 코소보 전쟁 이후 ==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알바니아인 주민들이 유고슬라비아군에게 공격받았고, 전쟁 후에는 알바니아인 외 다른 민족들이 추방되었다.[36] 미국군의 코소보 주둔군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Camp Bondsteel)은 이 근처에 위치하며, 캠프 유지를 목적으로 미국의 브라운 앤드 루트(Brown & Root)가 1,500명 정도의 페리자이 주민을 고용하고 있다.

1891년에 지어진 뮬라 베셀리(Mulla Veseli)의 대 모스크와 성 우로쉬 정교회 대성당[22][35]은 무슬림 알바니아인과 기독교 세르비아인 사이의 종교적 관용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모스크와 교회가 서로 옆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모스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 재건되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에서는 파괴되지는 않았지만, 2004년 코소보 소요 기간 동안 교회는 공격을 받았다.[22]

2. 1. 고대

페리자이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기원전 6천년과 기원전 5천년에 살았던 스타르체보 문화 사람들은 강과 강가에 집을 짓고 쟁기질과 농업을 하며 생활했다.[6] 기원전 4300년경에는 빈차 문화가 발전하여 강가에 거주지를 지었다. 이들은 버드나무와 진흙으로 집을 지었고,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와 구운 점토 조각상 등 높은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유물을 남겼다.

스타르체보와 빈차에 이어 부반-훔 문화가 코소보에 도착하여 빈차의 거주지를 파괴했지만, 그들의 물질 문화 잔해는 남아 있지 않다. 이후 바덴 문화가 다뉴브에서 도착하여 코소보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원전 3천년이 끝나기 전에 종말을 맞았다.

기원전 8세기부터 로마 정복 전까지 다르다니족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발전했다.[6] 다르다니족은 죽은 자를 화장하고 그 유해를 고분 무덤에 매장했다.[6] 게르리체 기차역 근처의 쿨리네 지역과 페리자이-슈티메 도로를 따라 몰로폴크 지역에서 묘지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280년경 다르다니아는 왕이 통치하는 정치 공동체로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다르다니족은 기원전 200년에 마케도니아와의 싸움에서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로마와 처음 만났고, 기원전 96년에 로마 황제 술라에게 정복당했다. 로마는 오래된 호수 테라스에 계곡을 가로질러 정착지를 세우고 도로망을 구축했다. 이 도로는 울피아나와 스코페와 같은 도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의 일부였으며, 페리자이와 카차니크 협곡을 통과했다. 도로의 일부는 레페나크 강바닥에서 발견되었다.[6]

니카딘 마을에서 5~6세기로 추정되는 교회의 기초가 발굴되었으며, 바닥 아래에서 석관이 발견되었다.[25] 바르쉬 마을에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있으며, 스타르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에 속하는 도자기 조각을 포함한다. 즈라타르 마을에서는 중석기 시대는 물론 더 최근 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27] 코모글라바에서 로마 시대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후 비잔틴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25][28]

2. 2. 로마 시대

기원전 200년 다르다니아와 로마가 처음 만났으며, 당시 다르다니아는 마케도니아와의 전쟁에서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기원전 96년 로마 황제 술라가 다르다니족을 정복했다. 이후 울피아나와 스코페를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이 도로는 페리자이와 카차니크 협곡을 통과했다.

로마 시대의 취락이 있었을 것으로 오랫동안 추정되어 왔으며,[38] 코모글라바에서 로마 시대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다.[25][28] 이 유적은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후 비잔틴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25][28] 고대 도시의 거리, 하수도 및 기타 기반 시설의 잔해가 발견되었으며,[25][28] 항아리, 도자기, 동전, 보석, 철 및 기타 탄소 물질로 만들어진 유물과 함께 석관 및 기타 유물을 건설하기 위해 해안 지역에서 옮겨온 것으로 여겨지는 특징적인 돌도 발견되었다.[25][28][40][39]

니카딘 마을에서는 5~6세기로 추정되는 교회의 기초가 발굴되었는데, 로마 제국 시대의 벽돌과 타일의 잔해와 함께 바닥 아래에서 발견된 석관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25]

2. 3. 중세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을 때 '''페리조비크'''라고 불렸던 이 도시는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철도가 개통되기 전인 1873년까지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17세기 말과 18세기 전반의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기간 동안 주요 민족 변화가 발생했고 오스만 제국에서 급속한 이슬람화가 시작되었다. 튀르크 자료에 따르면 미트로비차–스코페 철도 건설이 완료될 때까지 페리즈-베이(Feriz-Bey)라는 도시가 있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주변 마을 사람들이 "타시온"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현지 주민들이 프랑스어 단어 ''station''을 잘못 발음한 결과였다.

철도역 건설로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짧은 기간 안에 다양한 여관, 창고, 상설 시장이 들어섰다. 당시 프리즈렌에서 슈코더르까지 대상(caravan)으로 이동하던 코소보 상인들은 주로 테살로니키로 향하게 되었다. 곡물 특히 원자재 수출은 페리자이를 거쳐 이루어졌고, 정렬된 외국 상품 회전율은 테살로니키와 스코페에서 왔다. 이러한 이유로 페리자이는 약 30년 동안 약 400채의 집과 200개의 상점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수공예와 무역 관련 활동에 종사했다. 이 기간 동안 식민지 상점과 수공예 작업장의 개설은 도시 발전을 가속화했다.

2. 4. 근대

1873년 베오그라드-테살로니키 간 철도가 개통되어 도시를 통과하기 전까지 페리자이는 오스만 제국의 작은 마을이었다.[4][5] 철도역 건설로 도시는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여관, 창고, 상설 시장이 들어섰다. 당시 프리즈렌에서 슈코더르까지 대상(caravan)으로 이동하던 코소보 상인들은 주로 테살로니키로 향하게 되었다.[4][5]

곡물, 특히 원자재 수출은 페리자이를 거쳐 이루어졌고, 정렬된 외국 상품은 테살로니키와 스코페에서 수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페리자이는 약 30년 동안 약 400채의 집과 200개의 상점을 가진 도시가 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수공예와 무역 관련 활동에 종사했다. 이 기간 동안 식민지 상점과 수공예 작업장의 개설은 도시 발전을 가속화했다.[4][5]

철도 개통 당시 호텔 경영자였던 페리즈 샤시바리(Feriz Shashivari)의 이름을 따서 "페리자이"로 개명되었다.[4][5]

2. 5. 발칸 전쟁 (1912-1913)

제1차 발칸 전쟁세르비아 왕국 군대가 페리자이를 점령했을 때, 지역 알바니아인들은 강력하게 저항했다.[7] 일부 보고에 따르면 전투는 사흘 동안 지속되었다.[7] 세르비아 사령관은 주민들에게 항복을 명령했고, 생존자들이 돌아왔을 때 300~400명의 남성이 처형되었다.[7][30] 스코페 로마 가톨릭 교구의 가톨릭 대주교 라자르 메다에 따르면, 15세 이상 무슬림 알바니아인 중 생존자는 단 3명뿐이었다.[8][10][31] 페리조비크 주변의 알바니아인 거주 마을도 파괴되었다.[9][32]

이후 세르비아 군대가 진입하면서 발칸 전쟁 알바니아인 학살이 발생했고, 이는 레오 프로인들리히(Leo Freundlich)가 당시 보고서를 기록한 저서 ''알바니아의 골고다''에 묘사되어 있다. 로마의 신문 ''일 메사제로''의 종군 기자에 따르면, 마을은 파괴되었고 대부분의 주민이 살해되었다.[10] 프로인들리히는 총 사망자 수를 1,200명으로 추산했다.[10] 당시 저널리스트였던 레온 트로츠키를 포함한 발칸 전쟁의 수많은 보고서에서는 페리자이, 자코바, 길란, 프리슈티나, 프리즈렌 등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조직한 학살이 있었으며, 총 사망자 수는 약 25,000명에 달했다고 기록했다.[11]

1913년 런던 조약으로 페리자이는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12] 20세기 초 코소보 내 거주 지역 이름을 세르비아 서사시의 영웅들의 이름을 따서 변경하는 세르비아화 노력의 일환으로, 도시 이름은 세르비아의 스테판 우로시 5세를 기려 우로셰바츠(Uroševac)로 변경되었다.[12][13][33]

2. 6.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제1차 세계 대전세르비아몬테네그로에서 부분적으로 시작되었고, 두 나라 모두 전쟁 초반부터 직접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에 코소보는 전투로 고통받았다. 1915년 10월, 불가리아독일 제국의 동맹국으로 전쟁에 참전하여, 쿠마노보스코페코소보와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의 일부인 페리자이 지역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이 도시는 불가리아군의 카차니크 협곡 침투 시 통과 지점 역할을 했다. 세르비아의 저항은 1915년 11월 25일에 불가리아군에 의해 패배하면서 끝났다. 1916년 4월 1일, 페리자이는 중요한 기착지로 불가리아에 넘겨졌지만, 프리즈렌 – 페리자이 – 알바니아 노선으로 철도 사용권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도 부여되었다.

2. 7.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몇 달 동안 페리자이 주민들에게는 1938년 유고슬라비아와 터키 사이에 체결된 알바니아인 터키 재정착 협약이 시행되지 않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협약에는 네로디메 지역 주민들의 대규모 재정착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탈리아알바니아를 침공하면서 실현되지 않았다.[14] 이탈리아군은 세르비아 왕국의 보조 군사 비행장을 사용하기 위해 페리자이에 주둔했다.

1941년, 공산당 페리자이 지도부는 주민들에게 민족해방운동 참여를 촉구했고, 불법 무기 단체들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항복 후 독일 점령군은 알바니아인들에게 더 우호적이었다. 1943년 9월 11일에서 12일 사이에는 페리자이 지역에서 알바니아인들에 의해 세르비아인 60명이 살해되었다.[15] 독일 침공 이후 민족해방운동은 더욱 강화되었고, 1944년 12월 2일 도시가 해방되었다. 페리자이 해방 이후, 민족해방운동은 영토 해방 및 보호, 국가 경제 재건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

2. 8.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5-1992)

1929년부터 1941년까지, 페리자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바르다르 주에 속해 있었다.

2. 9. 코소보 전쟁 (1998-1999)

1999년 코소보 전쟁 당시 페리자이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 의해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일부 지역이 포격당하고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16] 전쟁 이후,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과 기타 비 알바니아인 거주민들이 추방되거나 도망치는 등 심각한 공동체 간 불안을 겪었다.[16] 성 니콜라스 교회와 성 스테판 교회는 1999년 파괴되었다.[16]

전쟁 직후, 페리자이 인근 언덕과 농지에 코소보 주둔 KFOR 평화 유지군의 미국 육군 부대 주요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이 설립되었다.[16] 360,000 평방 미터 규모의 이 캠프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곳 중 하나이다.[16] 미국의 브라운 앤드 루트(Brown & Root)는 캠프 유지를 위해 1,500명 정도의 페리자이 주민을 고용하고 있다.

2. 10. 코소보 전쟁 이후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알바니아인 주민들이 유고슬라비아군에게 공격받았고, 전쟁 후에는 알바니아인 외 다른 민족들이 추방되었다.[36] 미국군의 코소보 주둔군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Camp Bondsteel)은 이 근처에 위치하며, 캠프 유지를 목적으로 미국의 브라운 앤드 루트(Brown & Root)가 1,500명 정도의 페리자이 주민을 고용하고 있다.

1891년에 지어진 뮬라 베셀리(Mulla Veseli)의 대 모스크와 성 우로쉬 정교회 대성당[22][35]은 무슬림 알바니아인과 기독교 세르비아인 사이의 종교적 관용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모스크와 교회가 서로 옆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모스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 재건되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에서는 파괴되지는 않았지만, 2004년 코소보 소요 기간 동안 교회는 공격을 받았다.[22]

3. 지리

3. 1. 기후

페리자이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이 11.7°C인 습윤 온대 기후(Cfa)를 보인다.[17] 페리자이에서 가장 따뜻한 달은 평균 기온이 23.2°C인 8월이고, 가장 추운 달은 평균 기온이 0.1°C인 1월이다.[17]

4. 인구

1948년 페리자이의 인구는 30,596명이었으며, 1961년에는 41,881명, 1981년에는 83,945명으로 증가했다. 1991년 인구는 113,668명이었으나, 2011년에는 108,610명으로 감소했다.[19] 2016년 추정치는 101,174명이다. 2024년에는 109,345명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OSCE의 2018년 조사에 따르면, 페리자이는 코소보에서 여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체이며,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314.8명으로 코소보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19][20] 1990년대 페리자이 시의 인구는 약 7만 명이었으나, 시골과 세르비아 남부 지역에서 알바니아인들의 이주로 인해 인구가 상당히 증가했다.[12][33]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민족 구성은 알바니아인이 104,152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아슈칼리인(3,629명), 로마니인(204명) 순이다.[21] 보스니아인, 이집트인, 고라니인, 세르비아인, 투르크인도 소수 거주한다.[21] 언어별로는 알바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107,926명으로 가장 많고,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튀르키예어가 그 뒤를 잇는다.[21] 종교별로는 무슬림이 107,121명으로 가장 많고, 로마 가톨릭 413명, 정교회 45명, 기타 종교 64명, 무종교 41명 순이다.[21]

2015년 시 정부는 인구를 108,610명으로 추정했으며,[29] 상세한 민족 구성은 알바니아인 약 10만 명, 아슈칼리인 3,500명, 200명, 고라니인 150명, 보스니아인 60명, 기타 (튀르크인 등) 40명이다.[29]

5. 경제

페리자이의 민간 부문 고용 현황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여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18] 과거 대부분의 공영 기업은 민영화되었으며,[29] 무역산업부 통계에 따르면 10,500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존재한다.[29]

6. 교육

페리자이에는 39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 20,492명의 학생이 있다.[18][29] 8개의 중등학교에는 김나지움과 직업 학교(기술, 의학, 음악, 농업 및 경제)가 있으며, 총 6,127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18][29] 아슈칼리, 로마, 고라니 어린이들의 학교 출석률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보다 낮다. 270명의 어린이가 등록된 유치원도 1개소 있다.[18][29] 시 교육과학부에는 10명의 소수 민족 대표를 포함하여 1,680명 이상의 전문 인력과 지원 인력이 있다.[24][34]

페리자이 응용과학 대학교라는 국립 대학교와 학생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공립 도서관이 2개소 있다. 회원권은 유료이다.

"사딕 타파르시쿠" 도서관

7. 문화

1891년에 지어진 뮬라 베셀리(Mulla Veseli)의 대 모스크와 성 우로쉬 정교회 대성당[22]은 무슬림 알바니아인과 기독교 세르비아인 사이의 종교적 관용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모스크와 교회가 서로 옆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모스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 재건되었다. 1999년 코소보 전쟁 중에는 파괴되지 않았지만,[35] 2004년 코소보 소요 기간 동안 교회는 공격을 받았다.[22]

작곡가 로렌츠 안토니는 1940년대 초 페리자이에 살았으며, 페리자이 출신의 작곡가 벤켄츠 지니도 문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23][36]

페리자이는 1967년에 창설된 노래와 춤 앙상블 "카스트리오테트"로 유명하다.

또한 매년 6월에 페리자이에서 개최되는 벽화 축제인 무랄페스트를 개최하며, 전 세계의 벽화 전문 예술가들이 모여 공공 장소를 생동감 넘치는 도시 공간으로 변화시키면서 그들의 재능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수년에 걸쳐 벽화 도시라는 이름을 얻었다.

페리자이 시계탑

8. 미디어

페리자이에는 3개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4개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모두 민영이다.


  • 텔레비전 방송국
  • RTV 테마
  • TV 리리아
  • RTV 페스티나
  • 라디오 방송국
  • 라디오 페리자이
  • 라디오 푸르투나

9. 고고학

니카딘 마을에서 5~6세기로 추정되는 교회의 기초가 발굴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의 벽돌과 타일 잔해와 함께 바닥 아래에서 발견된 석관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25]

페리자이에서 2km 떨어진 바르쉬 마을에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있다. 이 유적은 스타르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에 속하는 도자기 조각을 포함하며, 로마 제국 시대의 정착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6] 2008년에는 즈라타르 마을에서 또 다른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중석기 시대는 물론 더 최근 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는 부싯돌, 석기 도구, 도자기가 발견되었다.[27]

코모글라바에서 로마 시대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후 비잔틴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고대 도시의 거리, 하수도 및 기타 기반 시설의 잔해가 있다. 항아리, 도자기, 동전, 보석, 철 및 기타 탄소 물질로 만들어진 유물과 함께 석관 및 기타 유물을 건설하기 위해 해안 지역에서 옮겨온 것으로 여겨지는 특징적인 돌도 발견되었다.[25][28]

10. 저명한 출신 인물

페리자이 출신 인물 목록은 페리자이 출신 인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 자매 도시



페리자이는 2023년 미국 아이오와주 시더폴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었다.

참조

[1] 웹사이트 2011 Kosovo Census results http://pop-stat.mash[...]
[2] 웹사이트 Kosovo: Districts, Major Cities & Settlement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2-09-17
[3] 웹사이트 Camp Bondsteel - Army Technology http://www.army-tech[...]
[4]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5-02
[5] 서적 Les Albanais en Yougoslavie: Minorité nationale, territoire et développement Éditions de la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Paris 1992
[6] 간행물 Ferizaj dhe rrethina
[7] 웹사이트 Leo Freundlich: Albania's Golgotha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4-04-17
[8]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papermac 1998
[9] 웹사이트 Leo Trotsky: Behind the Curtains of the Balkan Wars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4-04-17
[10] 서적 Kosovo, A Documentary History: From the Balkan Wars to World War II http://www.albanianh[...] 2020-03-29
[11] 서적 Devastation: Volume I: The European Rimlands 1912-193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3] 서적 Civil resistance in Kosovo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14] 간행물 Ferizaj dhe rrethina Dinograf
[15] 서적 Албански злочини над Србима на Косову и Метохији у Другом светском рату, документа http://www.muzejgeno[...] Muzej žrtava genocida 2009
[16] 웹사이트 Camp Bondsteel http://www.globalsec[...] 2014-03-02
[17] 웹사이트 Climate: Ferizaj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10-05
[18] 웹사이트 Mission in Kosovo: Municipal profile of Ferizaj https://www.osce.org[...] OSCE
[19] 웹사이트 Regjistrimi i Popullsisë, Ekonomive Familjare dhe Banesave në Kosovë 2011{{spaced ndash}}Rezultatet Përfundimtare: Të Dhënat Demografike sipas Komunave http://ask.rks-gov.n[...] Kosovo Agency of Statistics (KAS) 2022-06-12
[20] 웹사이트 Atllasi i Regjistrimit të Popullsisë Kosovë https://ask.rks-gov.[...] Kosovo Agency of Statistics (KAS) 2021-10-07
[21] 웹사이트 Regjistrimi i Popullsisë, Ekonomive Familjare dhe Banesave në Kosovë 2011{{spaced ndash}}Rezultatet përfundimtare https://ask.rks-gov.[...] Kosovo Agency of Statistics (KAS) 2022-06-12
[22] 웹사이트 Greek Kosovo Force Reopens Damaged St. Uros Cathedral, Urosevac / OrthoChristian.Com http://www.pravoslav[...] Pravoslavie.ru 2014-04-17
[23] 문서 Grup autoresh ''Ferizaj dhe rrethina'' Beograd
[24] 웹사이트 Mission in Kosovo: Municipal profile of Urosevac http://www.osce.org/[...] OSCE 2008-03-10
[25] 웹사이트 Mungojnë gjurmimet arkeologjike në Malin e Kishës – Arkiva http://www.kosovapre[...] KosovaPress 2016-01-06
[26] 웹사이트 Archaeological Guide to Kosovo http://www.mkrs-ks.o[...] 2016-01-25
[27] 웹사이트 KosovaSot http://www.kosova-so[...] kosova-sot.info 2014-03-02
[28] 웹사이트 Zbulimet arkeologjike, pasuri kombëtare - - Bota Sot http://www.botasot.i[...] Botasot.info 2016-01-06
[29] PDF Mission in Kosovo: Municipal profile of Ferizaj www.osce.org/kosovo/[...] OSCE 2015-09
[30] 웹사이트 Leo Freundlich: Albania's Golgotha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4-04-17
[31]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papermac 1998
[32] 웹사이트 Leo Trotsky: Behind the Curtains of the Balkan Wars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4-04-17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4] PDF Mission in Kosovo: Municipal profile of Ferizaj http://www.osce.org/[...] OSCE 2007-10
[35] 웹사이트 Greek Kosovo Force Reopens Damaged St. Uros Cathedral, Urosevac / OrthoChristian.Com http://www.pravoslav[...] Pravoslavie.ru 2014-04-17
[36] 서적 Ferizaj dhe rrethina Beograd 1975
[37] 웹사이트 KosovaSot http://www.kosova-so[...] kosova-sot.info 2014-03-02
[38] 웹사이트 Archaeological Guide to Kosovo http://www.mkrs-ks.o[...] 2016-01-25
[39] 웹사이트 Zbulimet arkeologjike, pasuri kombëtare - - Bota Sot http://www.botasot.i[...] Botasot.info 2009-01-21
[40] 웹사이트 Mungojnë gjurmimet arkeologjike në Malin e Kishës - Arkiva http://www.kosovapre[...] KosovaPress 2016-01-06
[41] 웹인용 Welcome to Ferizaj http://kk.rks-gov.ne[...] 2013-12-18
[42] 웹인용 Climate: Ferizaj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