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란은 코소보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지명 유래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며, 14세기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이 방문한 지역이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 있었으며, 19세기 후반 봉건 가문이 정착지를 옮기면서 발전했다.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불가리아군에 저항했으며, 1985년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사건으로 민족적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현재는 코소보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1월의 불꽃과 같은 문화 행사와 SC 질라니, FC 드리타 간의 질란 더비와 같은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진다. 프리슈티나와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며, 쿠마노보, 나즐리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질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알바니아어) | Gjilani, Gjilan |
이름 (세르비아어) | Гњилане, Gnjilane |
도시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국가 | 코소보 |
행정 구역 | 질란구 |
시장 | 알반 히세니 |
시의회 | 질란 시의회 |
지리 | |
면적 (지방 자치체) | 391.84 제곱킬로미터 |
인구 | |
총 인구 (2024년) | 82,901명 |
인구 순위 (코소보 내) | 4위 |
민족 구성 | 97.38% 알바니아인 2.62% 기타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UTC 오프셋 (DST)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0000 |
지역 번호 | +383 (0) 28 |
차량 등록 번호판 | 06 |
웹사이트 | 질란 시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 |
2. 지명 유래
질란의 어원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알바니아어 자료에서는 이 도시(원래는 마을)가 18세기(1750년경)에 이 지역을 다스리고 정착했던 부슈트리(라프와 드레니차)의 Gjinaj 씨족의 바흐티 베그 지놀리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실제로 최초의 주민이 누구였고 언제 처음 정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반면에 세르비아 자료에서는 도시 이름의 기원이 세르비아어 단어 "gnjio"(썩은)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3]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코소보 공격 작전에서 세르비아 육군은 시가지 주변에서 불가리아 제1군에 마지막 저항을 했으나, 독일 제국에 무력으로 제압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추축국에 대항하여 질라니 주변에서 상당수의 공격을 감행했으며, 오늘날에도 코레티슈타 마을 중심부 등에서 기념비를 볼 수 있다.
3. 역사
1985년에는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사건이 질란에서 발생했다. 이 사건은 세르비아 농부가 코소보 알바니아인을 고발한 사건으로,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민족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1999년 캠프 몬테이스는 KFOR의 작전 기지로 설치되었다. 이곳은 파괴된 세르비아 군사 기지였으며, 2007년에 코소보 보호군에게 넘겨졌다. 질란은 1999년부터 UNMIK 국제 경찰 태스크 포스의 지역 본부 역할도 해왔다.
2002년 4월 24일, 규모 5.7의 지진이 질란 자치구에서 기록되어 1명이 사망했다.[11][12][13]
2020년, 질란과 북마케도니아 쿠마노보는 스탄치치 마을에 건설된 새로운 국경 검문소를 통해 더 가까워졌다.[14]
3. 1. 중세
1342년, '''''모라바'''''라는 지역을 세르비아 국왕 스테판 두샨 (후에 황제, 재위 1331–1355)이 방문했다.[4] 14세기에 근처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Gornja Morava ("상 모라바")는 단순히 모라바로 알려졌으며, 상 Žegra–Budriga–Cernica 선의 서쪽으로 뻗어 있었고, 따라서 질란은 주도인 노보 브르도가 있는 토파니카의 ''oblast''(지방)에 속해 있었다.[5]
1455년 브란코비치 구역의 오스만 데프테르에 따르면, 질란에는 41가구의 기독교인이 등록되어 있었다.[6][7] 오스만 제국에 의한 코소보 정복 이후,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도입되었다.
하지 칼파(17세기 전반)는 모라바가 콘스탄티노플에서 17일 거리에 있다고 언급했다.[4] 18세기까지 Gornja Morava와 Izmornik는 비치트리나 산자크로 조직되었다.[8] 질란은 1780년경 카딜루크가 되었고, 20–25년 후에는 큰 마을이 되었다.[9]
질란이 정확히 언제 건설되었는지는 오늘날까지 정확히 결정되지 않았다. 17세기에 에블리아 첼레비는 질란을 언급했지만, 비치트리나 산자크 내의 카딜락으로서 '''''모라바'''''라고 불렀다. 질란이라는 정착지가 1750년경에 형성되었고, 도시 중심지로는 1772년에 형성되었다는 민간 전승이 있다. 질란은 중세 시대에 발칸 반도의 도시이자 가장 큰 상업, 경제, 광업 중심지 중 하나였던 노보 브르도의 소멸과 함께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봉건 가문 "Gjinaj"는 본부를 노보 브르도에서 질라니가 현재 위치한 곳으로 옮겨 자신의 집을 지었다.[10]
3. 2. 근대
1342년, 세르비아 국왕 스테판 두샨(황제, 재위 1331–1355)이 '''''모라바'''''라는 지역을 방문했다.[4] 14세기에 근처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Gornja Morava ("상 모라바")는 단순히 모라바로 알려졌으며, 상 Žegra–Budriga–Cernica 선의 서쪽으로 뻗어 있었고, 따라서 질란은 주도인 노보 브르도가 있는 토파니카의 ''oblast''(지방)에 속해 있었다.[5]
1455년 브란코비치 구역의 오스만 데프테르에 따르면, 질란에는 41가구의 기독교인이 등록되어 있었다.[6][7] 오스만 제국에 의한 코소보 정복 이후,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도입되었다.
하지 칼파(17세기 전반)는 모라바가 콘스탄티노플에서 17일 거리에 있다고 언급했다.[4] 18세기까지 Gornja Morava와 Izmornik는 비치트리나 산자크로 조직되었다.[8] 질란은 1780년경 카딜루크가 되었고, 20–25년 후에는 큰 마을이 되었다.[9]
질란이 정확히 언제 건설되었는지는 오늘날까지 정확히 결정되지 않았다. 17세기에 에블리아 첼레비는 질란을 언급했지만, 비치트리나 산자크 내의 카딜락으로서 '''''모라바'''''라고 불렀다. 질란이라는 정착지가 1750년경에 형성되었고, 도시 중심지로는 1772년에 형성되었다는 민간 전승이 있다. 질란은 중세 시대에 발칸 반도의 도시이자 가장 큰 상업, 경제, 광업 중심지 중 하나였던 노보 브르도의 소멸과 함께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봉건 가문 "Gjinaj"는 본부를 노보 브르도에서 질라니가 현재 위치한 곳으로 옮겨 자신의 집을 지었다.[10]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코소보 공격 작전에서 세르비아 육군은 시가지 주변에서 불가리아 제1군에 마지막 저항을 했다. 그러나 결과는 참패로 끝나고, 불가리아의 동맹국인 독일 제국에 무력으로 제압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추축국에 대항하여 질라니 주변에서 상당수의 공격을 감행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활동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코레티슈타 마을 중심부 등에서 볼 수 있다.
1985년, 질란은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사건이 발생한 곳으로, 한 세르비아 농부가 항문에 유리 조각을 넣은 후 지역 경찰에 신고하여 두 명의 코소보 알바니아인을 비난했다. 이 사건은 유고슬라비아 전역, 특히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사이의 민족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악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1999년, 캠프 몬테이스는 연합 작전 수호자 기간 동안 KFOR의 작전 기지로서 도시 외곽에 설치되었다. 이곳은 파괴된 세르비아 군사 기지였으며, 미국 군대가 병력 규모를 축소한 후 2007년에 코소보 보호군에게 넘겨졌다. 질란은 또한 1999년부터 UNMIK 국제 경찰 태스크 포스의 지역 본부 역할을 해왔다.
2002년 4월 24일, 규모 5.7의 지진이 질란 자치구에서 기록되어 1명이 사망했다.[11][12][13]
2020년, 질란과 북마케도니아 쿠마노보의 도시들은 스탄치치 마을에 건설된 새로운 국경 검문소를 통해 더 가까워졌다.[14]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알바니아 문헌에 따르면 1572년, 중부 발칸 최대 도시였던 노보브르도 / 노보・불도에서 이주해 온 지놀리 가문(Gjinolli family)이 건설했다는 설이 있지만, 실증 자료가 부족하며, 그들이 실제로 최초의 주민이었는지도 불분명하다.
3. 3. 현대
1985년, 질란에서는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한 세르비아 농부가 항문에 유리 조각을 넣은 후 지역 경찰에 두 명의 코소보 알바니아인을 고발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유고슬라비아 전역, 특히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사이의 민족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악화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11]
1999년, 캠프 몬테이스는 연합 작전 수호자 기간 동안 KFOR의 작전 기지로서 도시 외곽에 설치되었다. 이곳은 파괴된 세르비아 군사 기지였으며, 미국 군대가 병력 규모를 축소한 후 2007년에 코소보 보호군에게 넘겨졌다. 질란은 또한 1999년부터 UNMIK 국제 경찰 태스크 포스의 지역 본부 역할을 해왔다.
2002년 4월 24일, 규모 5.7의 지진이 질란 자치구에서 기록되어 1명이 사망했다.[11][12][13]
2020년, 질란과 쿠마노보, 북마케도니아의 도시들은 스탄치치 마을에 건설된 새로운 국경 검문소를 통해 더 가까워졌다.[14]
4. 지리
질란 지역은 모든 작은 강물을 모으는 모라바 강에 의해 정의되며, 평균 월간 유량은 초당 6.7 세제곱미터이다. 남동쪽으로는 카라다크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15]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질란은 연평균 기온 10.9°C의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16]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은 22.1°C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0.5°C이다.[16]
4. 1. 위치
질란은 코소보 남동부, 아나모라바 지역에 위치해 있다. 지리적 위치는 코소보 및 주변 지역의 다른 중심지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질란 마을 주변에는 순교자의 언덕(Popovica), Gllama, Dheu i Bardhë, Malisheva(질란) 지역, Zabeli of Sahit Agës, Bregu i Thatë가 있다. 미루샤, 반자, 스타니쇼리, 세 개의 작은 강이 Uglara 마을 서쪽으로 흘러 비나츠카 모라바로 합류한다.[15]질란은 프리슈티나에서 46km, 카메니차에서 27km, 노보 브르도에서 25km, 비티아에서 22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자치구는 남동쪽으로 프레셰보(33km)와 쿠마노보(53km), 동쪽으로 부야노바츠(40km)와 접경하고 있다.[15]
질란 지역은 모든 작은 강물을 모으는 모라바 강에 의해 정의되며, 평균 월간 유량은 초당 6.7 입방 미터이다. 남동쪽으로는 카라다크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15]
4. 2. 자연 환경
질란은 코소보 남동부, 아나모라바 지역에 위치해 있다. 지리적 위치 덕분에 코소보 및 주변 지역의 다른 중심지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질란 마을 주변에는 순교자의 언덕(Popovica), Gllama, Dheu i Bardhë, Malisheva(질란) 지역, Zabeli of Sahit Agës, Bregu i Thatë가 있다. 비나츠카 모라바로 합류하여 Uglara 마을 서쪽으로 흐르는 미루샤, 반자, 스타니쇼리, 세 개의 작은 강이 있다.[15]질란은 프리슈티나에서 46km, 카메니차에서 27km, 노보 브르도에서 25km, 비티아에서 22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자치구는 남동쪽으로 프레셰보(33km), 쿠마노보(53km), 동쪽으로 부야노바츠(40km)와 접경하고 있다.[15]
질란 지역은 모든 작은 강물을 모으는 모라바 강에 의해 정의되며, 평균 월간 유량은 초당 6.7 세제곱미터이다. 남동쪽으로는 카라다크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15]
4. 3. 기후
질란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 10.9°C의 습윤 아열대 기후(Cfa)를 보인다.[16] 질란에서 가장 따뜻한 달은 평균 기온이 22.1°C인 8월이며, 가장 추운 달은 평균 기온이 -0.5°C인 1월이다.[16]5. 경제
1999년 이전 질란은 코소보의 중요한 산업 중심지였다. 방열기 공장과 최근 민영화된 담배 공장이 여전히 가동되고 있다. 2007년 여름, 유럽 부흥 기구의 지원을 받아 새로운 도시 비즈니스 인큐베이터가 개관되었다.[17]
지자체 내에는 3,700개의 민간 기업이 있으며, 7,900명을 고용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질란 시에는 약 6,9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4,100개의 등록된 개인 사업체가 있었다.[17]
6. 인구
연도 | 인구 |
---|---|
1953년 | 48,748명 |
1961년 | 52,415명 |
1971년 | 67,893명 |
1981년 | 84,085명 |
1991년 | 103,675명 |
2011년 | 90,178명 |
2016년 (추정치) | 80,525명 |
2024년 | 82,901명 |
6. 1. 인구 통계
2024년의 가장 최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질란에는 82,901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이는 코소보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18] 질란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이 섞여 있었지만, 터키와 세르비아-유고슬라비아 통치 기간 모두 알바니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했다.2011년 인구 조사에서 질란 시의 주민은 90,178명이었다. 민족 구성은 알바니아인 87,814명(97.38%), 튀르크인 978명(1.08%), 세르비아인 624명(0.69%), 보스니아인 121명(0.13%), 로마인, 아슈칼리, 고라니, 이집트인 등 기타 소수 민족 541명(0.60%)이었다.[19] 도시에는 54,239명, 농촌 지역에는 35,939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성별 인구 구성은 남성 45,354명, 여성 44,824명이었다.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튀르키예어는 모두 이 지자체의 공식 언어이다.[20] 2008년 4월 기준으로 질란 자치구에는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대다수는 알바니아인이고 세르비아인이 그 뒤를 이었다.[35] 자치구 내에서는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튀르키예어 3개 국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36]
연도 | 알바니아인 | % | 세르비아인 | % | 로마인 | % | 기타 | % | 계 | |
---|---|---|---|---|---|---|---|---|---|---|
1953년 | 24,797 | 50.87 | 19,196 | 39.32 | 48,748 | |||||
1961년 | 29,942 | 57.12 | 18,297 | 34.91 | 735 | 1.50 | 52,415 | |||
1971년 | 43,754 | 64.45 | 20,237 | 29.81 | 1,824 | 2.69 | 67,893 | |||
1981년 | 59,764 | 71.08 | 19,212 | 22.85 | 3,347 | 3.98 | 1,762 | 2.1 | 84,085 | |
1991년 | 79,357 | 76.54 | 19,370 | 18.68 | 3,477 | 3.4 | 1,471 | 1.4 | 103,675 | |
1998년 | 94,218 | 79.4 | 19,481 | 16.4 | 3,568 | 3 | 1,387 | 1.2 | 118,654 | |
2003년 8월 | 116,000 | 89.4 | 12,300 | 9.5 | 350 | 0.2 | 1,005 | 0.8 | 129,690 | |
199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 1998년과 2003년 데이터는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추정치 |
6. 2. 언어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 튀르키예어는 모두 질란 지자체의 공식 언어이다.[20] [36]년도 | 알바니아인 | % | 세르비아인 | % | 로마인 | % | 기타 | % | 계 | ||||
---|---|---|---|---|---|---|---|---|---|---|---|---|---|
1953년 | 24,797 | 50.87 | 19,196 | 39.32 | 48,748 | ||||||||
1961년 | 29,942 | 57.12 | 18,297 | 34.91 | 735 | 1.50 | 52,415 | ||||||
1971년 | 43,754 | 64.45 | 20,237 | 29.81 | 1,824 | 2.69 | 67,893 | ||||||
1981년 | 59,764 | 71.08 | 19,212 | 22.85 | 3,347 | 3.98 | 1,762 | 2.1 | 84,085 | ||||
1991년 | 79,357 | 76.54 | 19,370 | 18.68 | 3,477 | 3.4 | 1,471 | 1.4 | 103,675 | ||||
1998년 | 94,218 | 79.4 | 19,481 | 16.4 | 3,568 | 3 | 1,387 | 1.2 | 118,654 | ||||
2003년 8월 | 116,000 | 89.4 | 12,300 | 9.5 | 350 | 0.2 | 1,005 | 0.8 | 129,690 | ||||
199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 1998년과 2003년 데이터는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추정치 |
7. 교육
질란의 교육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교육과 국립 대학교(카드리 제카)를 포함한다. 2018년 기준으로 질란에는 29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 12,37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 중 12,023명은 알바니아계, 347명은 세르비아인, 로마인, 투르크인 등 소수 민족 학생이다. 9개의 중고등학교에는 5,650명의 학생이 있으며, 이 중 5,449명이 알바니아계이고 나머지는 소수 민족 학생이다.
8. 문화
질란은 1월의 불꽃이라는 문화 행사를 통해 문화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도시 곳곳에 41개의 모스크가 있어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22]
8. 1. 1월의 불꽃 (Flaka e Janarit)
''1월의 불꽃''은 매년 1월 11일 질란에서 불꽃을 상징적으로 점화하며 시작하여 1월 31일까지 다양한 문화 활동을 진행하는 문화 행사이다. 이 행사는 모든 알바니아 지역에서 수천 명의 예술가와 예술 애호가를 모으며, 3주 동안 도시를 문화 중심지로 변화시킨다. 이 행사는 작가, 활동가, 애국자 유수프 게르발라와 카드리 제카, 바르도시 게르발라가 암살된 지 10주년이 되기 전에 시작되었으며, 예술적 가치를 통해 국가의 순교자들을 기린다. 자유를 위한 세 명의 순교자가 세상을 떠난 지 10주년이 되는 해였으며, 1월 11일이라는 같은 날에 발생한 이들의 죽음이 우연히 겹쳐 이 행사는 "1월의 불꽃"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21]8. 2. 종교 시설
질란에는 41개의 모스크가 있다.[22]9. 스포츠
질란에는 농구 클럽 KB 드리타(KB Drita)[23], 축구 클럽 SC 질라니(SC Gjilani)와 FC 드리타(FC Drita)[24], 배구 클럽 KV 드리타(KV Drita)[25]가 있다. 또한 3부 리그에서 경쟁하는 축구 클럽 KF 바쉬키미 질란(KF Bashkimi Gjilan)도 있다.[26]
질란은 FC 드리타와 SC 질라니 간의 코소보 더비를 개최하며, 이는 코소보에서 가장 큰 더비 경기이다. 두 클럽 모두 질란에 있으며, 질란 시립 경기장에 수천 명의 관람객을 불러 모은다.[24]
10. 교통
질란은 주로 도로망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코소보의 수도인 프리슈티나와는 국도 N25.2를 통해 연결된다.
질란과 프리슈티나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며, 카메니차 시와도 연결될 예정이다. 총 길이 47km의 이 고속도로는 2024년 말 또는 2025년 초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27][28][29]
11. 유명 인물
- 이드리즈 세페리 (1847년 출생), 알바니아 애국자
- 물라 이드리즈 질라니 (1901년 출생), 알바니아 애국자
- 조란 안티치 (1975년 출생), 세르비아 축구 선수
- 파톤 비슬리미 (1983년 출생), 코소보 작가
- 니야지 라마자니 (1964년 출생), 코소보 시인
- 알베르트 분야쿠 (1983년 출생), 코소보 축구 선수
- 다우트 다우티 (1960년 출생), 코소보 작가
- 드라간 디미치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 바이라암 할리티 (1955년 출생), 로마 작가
- 슈페팀 하사니 (1982년 출생), 코소보 축구 선수
- 루트피 하지리 (1969년 출생), 코소보 정치인
- 겐타 이스마일리 (1985년 출생), 코소보 가수
- 알지미르 무라티 (1985년 출생), 스위스 축구 선수
- 제눈 파야지티 (1966년 출생), 코소보 정치인
- 제르단 샤키리 (1991년 출생), 스위스의 축구 선수
- 자히 자히우 (1959년 출생), 코소보 예술가
- 미라 스투피카 (1923년 출생), 세르비아 배우
- 고란 스빌라노비치 (1963년 출생), 세르비아 정치인
- 파톤 토스키 - 코소보의 축구 선수
- 아짐 라마자니 (1963년 출생), 코소보 해방군 지휘관
- 압둘라 타히리 (1956년 출생), 코소보 해방군 지휘관
- 안툰 마르코비치 (1992년 출생), 크로아티아 축구 선수
- 리림 하이룰라후 (1990년 출생), 캐나다 CFL 키커
-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 농민
12. 자매 도시
코소보의 자매 도시 목록도 참조
질란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도시 | 국가 |
---|---|
쿠마노보 시 | Куманово|쿠마노보mk -- 북마케도니아[30] |
나즐리 | Nazilli|나질리tr -- 튀르키예[31] |
사란다 | Sarandë|사란더sq -- 알바니아[32] |
수시티 | Sioux City|수시티영어 -- 미국[33] |
을드름 | Yıldırım|이을드름tr -- 튀르키예[34]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preliminary results - July 2024
https://askapi.rks-g[...]
2024-08-02
[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preliminary results - July 2024
https://askapi.rks-g[...]
2024-07-21
[3]
웹사이트
Архивирана копија
https://web.archive.[...]
2018-12-28
[4]
인용
[5]
인용
[6]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ës gjatë shek. XV-XVI
8 Nëntori
[7]
서적
Oblast Brankovića – Opširni katastarski popis iz 1455.
https://www.scribd.c[...]
Orijentalni institut Sarajevo
[8]
문서
[9]
인용
[10]
웹사이트
The history
https://kk.rks-gov.n[...]
Gjilan municipality
2018-03-31
[11]
웹사이트
Pamje të dhimbshme nga tërmeti i vitit 2002 në Gjilan
https://www.malishev[...]
2020-04-27
[12]
웹사이트
Pamje të rralla nga tërmeti i vitit 2002 në Gjilan
https://www.periskop[...]
[13]
웹사이트
22 vjet nga tërmeti në Gjilan
https://mediafokus.i[...]
2024-04-24
[14]
웹사이트
Hapet pika kufitare Bellanoc – Stançiq - RTV21
https://rtv21.tv/hap[...]
2020-01-31
[15]
웹사이트
Geographical position
https://kk.rks-gov.n[...]
Municipality of Gjilan
2018-03-31
[16]
웹사이트
Climate: Prizren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10-03
[17]
웹사이트
Municipality Profile 2018: Gjilan/Gnjilane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1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preliminary results - July 2024
https://askapi.rks-g[...]
2024-07-21
[19]
웹사이트
Population Number
https://kk.rks-gov.n[...]
2018-10-11
[20]
Webarchive
OSCE Implementation of the Law on the Use of Languages by Kosovo Municipalities
http://www.osce.org/[...]
2019-03-27
[21]
간행물
[22]
웹사이트
MUNICIPAL PROFILE
https://www.osce.org[...]
OSCE
2018-04-23
[23]
웹사이트
Haziri takon përfaqësuesit e KB “Drita”
https://rajonipress.[...]
2013-12-30
[24]
웹사이트
Kosovo: new nation, fresh problems
https://www.worldsoc[...]
2016-11-20
[25]
웹사이트
Drita can celebrate the title in Gjilan
https://www.koha.net[...]
2024-05-02
[26]
웹사이트
KF Bashkimi
https://www.albinfo.[...]
2010-11-29
[27]
웹사이트
Prezantohet Autostrada e tretë kosovare, Prishtinë-Gjilan-Konçul
https://www.albinfo.[...]
2016-07-15
[28]
웹사이트
Hyseni: Autostrada Gjilan-Prishtinë po hapet këtë vit, 70% e punimeve kanë përfunduar!
https://radiostargji[...]
2023-07-21
[29]
웹사이트
Autostrada Prishtinë-Gjilan, qeveria miraton propozimin për shpronësime shtesë
https://gazetainfoku[...]
2024-02-14
[30]
웹사이트
Haziri e Damianovski vlerësojnë se Gjilani e Kumanova janë shembulli më i mirë i bashkëpunimit ndërkufitar
https://kk.rks-gov.n[...]
Gjilan
2020-11-12
[31]
웹사이트
Korça dhe Gjilani mund të binjakëzohen
https://albanianpost[...]
Albanian Post
2022-01-18
[32]
웹사이트
Binjakezime
https://bashkiasaran[...]
Sarandë
[33]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sioux-ci[...]
City of Sioux City
[34]
웹사이트
Yıldırım Belediyesi 2020–2024 Stratejik Planı
https://www.yildirim[...]
Yıldırım
[35]
웹사이트
Gjilan/Gnjilane
http://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8-11-10
[36]
간행물
Implementation of the Law on the Use of Languages by Kosovo Municipalities
http://www.osce.org/[...]
OS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