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코오롱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코오롱그룹은 대한민국의 기업집단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운영된다. ㈜코오롱이 지주회사로서 그룹 내 계열사 지분을 소유하며 지배 구조를 형성하고, 계열사 수익 배당, 보유 주식 가치 변동, 임대 수익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주력 사업 분야는 산업재이며,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벌, 코오롱베니트 등을 포함하여 약 40여 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과거에는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재벌 - 진로그룹
    1924년 진천양조상회로 시작한 진로그룹은 진로소주를 기반으로 성장하여 한때 재계 24위까지 올랐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부도 후 해체되었고, 주류 사업 부문은 하이트맥주에 인수되어 하이트진로로 재편되었다.
  • 대한민국의 재벌 - 웅진그룹
    웅진그룹은 1980년 윤석금이 설립한 도서출판 헤임인터내셔널에서 시작하여 출판 및 교육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나, 2000년대 후반 위기를 겪은 후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는 웅진을 지주사로 교육, 출판, 건설, 레저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 1954년 설립된 기업 - 닛폰 방송
    닛폰 방송은 1954년 설립되어 도쿄에서 중파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이래, '올나이트 닛폰'과 같은 인기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세대에 영향을 주고 후지 TV 설립에 기여했으며, 디지털 전환과 함께 현재 AM/FM 방송 및 디지털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본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54년 설립된 기업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 기업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기업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코오롱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코오롱그룹
과천시에 위치한 본사
과천시에 위치한 본사
한글코오롱그룹
문화관광부 2000년식 표기Koorong Geureup
매큔-라이샤워 표기K'oorong Kŭrŭp
영어 표기Kolon Group
회사 정보
이름주식회사 코오롱
원어Kolon Corporation
형태주식회사
창립일1957년 4월 12일
창립자이원만
이전 회사개명상사, 삼경물산
상장일1975년 6월 23일
위치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 11 (별양동)
사업 지역전 세계
대표 이사 사장안병덕
산업금융
서비스비금융 지주회사
대표 제품지주회사
자본금68,514,080,000원 (2021.12)
매출액5,410,414,957,004원 (2021)
영업 이익332,198,227,180원 (2021)
순이익156,794,701,735원 (2021)
자산 총액3,966,282,959,333원 (2021.12)
주주이웅열 : 49.74%
종업원64명 (2021.12)
웹사이트코오롱그룹 홈페이지

2. 역사

1957년 이원만 창업주와 아들 이동찬나일론 생산을 목적으로 대구에서 코오롱의 전신인 한국나이롱을 설립하였으며, 이 탓인지 한때 대구 연고 프로축구팀 창단을 타진하기도 했다.[1] 코오롱(KOLON)은 '''KO'''rea ny'''LON'''(코리아 나일론)의 줄임말로, 국내 최초 나일론 생산으로 한국의 섬유산업을 이끌었다. 이후 전자, 유통, 건설, 화학, 제약 등 다양한 사업으로 진출하여 그룹 체계를 확립하였다.

한때 재계 순위 10위권 이내였던 코오롱은 IMF를 거치면서 위기를 겪었으나, 성공적인 사업 구조조정 등의 과정을 통해 현재 30대 중견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9년 지주회사로 전환했으며, 보유 계열사는 약 40여 개이다. 코오롱그룹은 마라톤, 골프, 여자 농구, 양궁 등 각종 스포츠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코오롱고교구간 마라톤과 한국오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재는 섬유업뿐만 아니라, 화학, 소재, 바이오테크놀로지, 건설, 유통에 이르기까지 사업을 확대하여 대규모 기업 집단(재벌)으로 성장했다. 2021년 현재, 36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산 총액 약 92억달러로, 대한민국 재벌 순위 40위이다.

2. 1. 창업과 성장 (1950년대 ~ 1980년대)

1954년 이원만, 이원천 형제에 의해 설립된 섬유 무역상 개명상사를 기반으로, 1957년 4월 12일 이원만과 그의 아들 이동찬대구에서 코오롱의 전신인 한국 나일론('''Ko'''rea Ny'''lon''')을 설립하였다. 이 탓인지 한때 대구 연고 프로축구팀 창단을[1] 타진하기도 했다. 코오롱(KOLON)은 '''KO'''rea ny'''LON'''(코리아 나일론)의 줄임말로, 국내 최초 나일론 생산으로 한국의 섬유산업을 이끌었다. 일본에서 수입한 나일론 실의 원단 가공에서 나일론 원사의 제조, 더 나아가 폴리에스터 등 화학 섬유 전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그 이익을 바탕으로 사업을 전개했다.

2. 2. 시련과 재도약 (1990년대 ~ 현재)

1957년 이원만 창업주와 아들 이동찬나일론 생산을 목적으로 대구에서 코오롱의 전신인 한국나이롱을 설립하였으며, 이 탓인지 한때 대구 연고 프로축구팀 창단을 타진하기도 했다.[1] 코오롱(KOLON)은 '''KO'''rea ny'''LON'''(코리아 나일론)의 줄임말로, 국내 최초 나일론 생산으로 한국의 섬유산업을 이끌었다. 이후 전자, 유통, 건설, 화학, 제약 등 다양한 사업으로 진출하여 그룹 체계를 확립하였다. 한때 재계 순위 10위권 이내였던 코오롱은 IMF를 거치면서 위기를 겪었으나, 성공적인 사업 구조조정 등의 과정을 통해 현재 30대 중견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9년 지주회사로 전환했으며, 보유 계열사는 약 40여 개이다. 또한 코오롱그룹은 마라톤, 골프, 여자 농구, 양궁 등 각종 스포츠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코오롱고교구간 마라톤과 한국오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3. 사업 분야

코오롱그룹은 산업재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은 상대적으로 적다. 주로 의류, 제약, 서비스업 정도이며, 몇몇 고급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코오롱그룹의 전체 매출은 약 100억달러 규모이다. 이 중 약 40%는 코오롱인더스트리, 30%는 코오롱글로벌에서 발생하며, 나머지는 기타 계열사에서 나온다. 코오롱그룹 전체의 연간 연결 순이익은 약 3억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제조업(특히 장치산업)의 특성상 제조업군은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코오롱글로벌 역시 유통사업군(BMW, 스포렉스 등) 관련 부동산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최근 코오롱생명과학 및 티슈진 관련 이슈로 기업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공기업을 제외한 국내 40대 재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그 실적, 규모, 사업군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기업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도 있다.

3. 1. 지주회사 (주)코오롱

코오롱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어, 과거 ㈜코오롱과 코오롱인더스트리㈜로 분할되었다. 지주회사인 ㈜코오롱은 계열사들의 지분을 소유하여 그룹 전체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주회사는 사업을 영위하는 것이 아니라, 계열사들의 수익 배당 및 보유 주식 가치의 변화에 따른 시장 가치, 임대 수익, 상표권 수익, 기타 건물 등 보유 자산의 임대 수익 등을 받는다. 현재 지주회사의 매출 구성은 수입 수수료 48%, 배당금 수익 27%, 임대 수익 25% 가량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대상 종속회사로는 화학, 산업 자재 및 패션 의류 등을 제조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FnC코오롱 포함 - 코오롱스포츠[2]는 FnC코오롱의 패션 브랜드 중 하나로 대표 브랜드는 잭니클라우스, 헤드, 캐스케이드, 쿠아, 캠브리지 등), 코오롱글로텍, 종합건설업 및 상사, 자동차 유통업 등 복합 사업을 영위하는 코오롱글로벌, 전자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네오뷰코오롱,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과 공급을 하는 코오롱베니트, 의약 및 제약 분야에 코오롱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티슈진, 코오롱웰케어, 식음료 등의 비어드파파, 스포츠 및 레저 관련 MOD 등 약 40여 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기타 코오롱스포렉스, 코오롱호텔, 마우나오션리조트, 우정힐스, 라비에벨컨트리클럽 등 다양한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3. 2. 주요 사업 부문

코오롱그룹은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화학, 산업자재 및 패션 의류 등을 제조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FnC코오롱 포함 - 코오롱스포츠[2]는 FnC코오롱의 패션 브랜드 중 하나로 대표 브랜드는 잭니클라우스, 헤드, 캐스케이드, 쿠아, 캠브리지 등), 코오롱글로텍, 종합건설업 및 상사, 자동차 유통업 등 복합사업을 영위하는 코오롱글로벌, 전자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네오뷰코오롱,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과 공급을 하는 코오롱베니트, 의약 및 제약 분야의 코오롱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티슈진, 코오롱웰케어, 식음료 등의 비어드파파, 스포츠 및 레저 관련 MOD 등 약 40여 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기타 코오롱스포렉스, 코오롱호텔, 마우나오션리조트, 우정힐스, 라비에벨컨트리클럽 등 다양한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4. 사회 공헌

코오롱그룹은 마라톤, 골프, 여자농구, 양궁 등 각종 스포츠를 지원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코오롱고교구간 마라톤과 한국오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1]

5. 사건 및 사고

2014년 2월 17일,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운영하는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에서 대학생 오리엔테이션 행사 도중 강당 천장이 무너져 사망자가 발생한 대형 참사가 있었다.[3] 이 회장은 피해자들을 위로하고, 유족들과 빠른 보상 합의를 이끌어냈다. 유족 대표는 코오롱 측의 사과와 노력을 언급했다.[4] 코오롱의 사고 수습은 다른 기업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6]

5. 1.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

2014년 2월 17일,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운영하는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에서 오리엔테이션 행사 중이던 대학생들이 강당 천장 붕괴로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하였다.[3] 이웅열 회장은 임시 빈소가 마련된 울산 21세기 좋은병원을 찾아 피해자들을 위로했다. 마우나리조트는 유족들에게 진심어린 사과와 함께 빠른 보상합의를 이끌어 냈다. 유족대표는 "코오롱 측에서도 사과했고, 최대한 노력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합의 배경을 설명했다.[4] 코오롱은 이웅열 회장의 사재 출연을 통해 리조트 붕괴 피해보상에 힘썼다.[5] 사고 수습 및 사과 과정은 이후 타 기업에 타산지석이 되고 있다.[6]

6. 관계사

코오롱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면서 (주)코오롱과 코오롱인더스트리(주)로 분할되었다. 지주회사인 (주)코오롱은 계열사들의 지분을 소유하여 그룹 전체를 지배한다. 지주회사는 직접 사업을 영위하지 않고, 계열사들의 수익 배당, 보유 주식 가치 변화, 임대수익, 상표권 수익 등으로 수익을 얻는다. 현재 지주회사의 매출은 수입수수료 48%, 배당금수익 27%, 임대수익 25%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재 사업이 주력이어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은 상대적으로 적다. 몇몇 고급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것 외에는 주로 의류, 제약, 서비스업 정도이다.

코오롱스포츠[2], 코오롱호텔, 마우나오션리조트, 우정힐스, 라비에벨컨트리클럽 등 다양한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6. 1. 주요 계열사

코오롱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주)코오롱이 그룹 전체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텍, 코오롱글로벌, 네오뷰코오롱, 코오롱베니트, 코오롱제약,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티슈진, 코오롱웰케어 등 약 40여 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2]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 (주)코오롱: 코오롱그룹 지주회사
  • 코오롱인더스트리
  • 코오롱패션머티리얼
  • 코오롱글로벌(건설부문)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코오롱모터스
  • 코오롱베니트
  • 코오롱생명과학
  • 코오롱바이오텍
  • 코오롱티슈진
  • 코오롱제약
  • 티슈진 더블유스토어
  • 코오롱웰케어
  • 코오롱글로텍
  • 코오롱바스프이노폼
  • 코오롱ENP
  • 코오롱이앤씨
  • 코오롱하우스비전
  • 코오롱인베스트먼트
  • 코오롱데크컴퍼지트
  • 코오롱제이모빌리티
  • 코오롱오토케어서비스
  • 코오롱아우토
  • 코오롱오토모티브
  • 코오롱머티리얼
  • 코오롱LSI
  • MOD
  • 그린나래
  • 서서울고속도로

6. 2. R&D 부문

6. 3. 과거 계열사

참조

[1] 뉴스 "[대구/경북]대구 프로축구팀 창단 힘들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0-10-26
[2] 문서
[3] 뉴스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이웅열 코오롱 회장, “엎드려 사죄…수습 만전 기하겠다” 헤럴드POP 2014-02-18
[4] 뉴스 리조트 붕괴 사망 학생 유족-코오롱그룹 보상 합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5] 웹사이트 이웅열 코오롱 회장, 리조트 붕괴 피해보상 위해 사재 출연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6] 웹사이트 “몸 낮춰서” 대형사고 대처 기업태도 달라졌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