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오롱글로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오롱글로벌은 1954년 개명상사로 시작하여 2011년 코오롱건설, 코오롱아이넷, 코오롱B&S의 합병을 통해 출범한 종합 건설 및 무역 회사이다. 수입차 판매 및 유통, 무역, 건설, 레포츠 사업을 영위하며, BMW 자동차를 국내 최초로 수입 판매했다. 건설 분야에서는 토목, 환경 시설,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을 진행하며, 해외에서도 상수도 및 하수처리 시설 건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해체된 기업 - 한신공영
    한신공영은 대한민국 건설 기업으로, '한신더휴' 아파트 브랜드를 사용하며, 본점은 경기도 용인시에, 지점은 서울과 대구에 위치한다.
  • 1960년 해체된 기업 - HS화성
    HS화성은 1958년 삼용사로 설립되어 화성산업㈜을 거쳐 2024년 HS화성㈜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백화점 운영, 기업 공개, 건설 프로젝트 참여 등의 역사를 거쳐 사업을 재편하고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 1960년 설립된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1960년 설립된 기업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는 1960년 삼양타이어공업으로 시작하여 1978년 금호타이어로 상호를 변경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되어 한국, 중국, 베트남, 미국 등지에서 생산 시설과 연구 개발 센터를 운영한다.
  • 1954년 설립된 기업 - 닛폰 방송
    닛폰 방송은 1954년 설립되어 도쿄에서 중파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이래, '올나이트 닛폰'과 같은 인기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세대에 영향을 주고 후지 TV 설립에 기여했으며, 디지털 전환과 함께 현재 AM/FM 방송 및 디지털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본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54년 설립된 기업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코오롱글로벌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원어KOLON GLOBAL CORPORATION
형태주식회사
산업건설, 무역, IT, 레저
창립일1960년 12월 28일
이전 회사계명상사
창립자이원만
상장일1978년 9월 15일
국가대한민국
위치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 11 (별양동)
대표이사 사장윤창운
자본금105,753,005,000원 (2015년 12월)
매출액3,029,125,532,250원 (2015년)
영업 이익42,108,227,070원 (2015년)
순이익-25,420,154,354원 (2015년)
자산 총액1,979,654,411,738원 (2015년 12월)
계열사코오롱그룹
주주주식회사 코오롱 외 특수관계인: 64.75%
케이글로벌파트너스제일차주식회사: 9.48%
KB자산운용주식회사: 8.90%
종업원2,584명 (2015.12)
웹사이트코오롱글로벌

2. 연혁

1954년 코오롱그룹의 시발점이자 (주)코오롱상사의 모태인 개명상사가 설립되었다.[5] 1960년에는 코오롱건설(주)의 전신인 협화실업(주)이 설립되었다.[5] 1979년 (주)삼경물산과 통합하면서 코오롱상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5]

1980년 코오롱상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5] (주)코오롱상사와 (주)삼경물산이 통합되었다. 1982년 코오롱종합건설은 코오롱건설(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5] 1986년에는 코오롱건설이 삼경개발주식회사를 합병하여 종합건설회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했다.[5] 1987년 코오롱모터스가 설립되었고,[5] 1990년에는 코오롱정보통신이 설립되었다.[5] 1994년 코오롱건설은 국내 최초로 남산외인아파트 발파 철거공사를 진행했다.[5] 2000년 코오롱건설(주)는 코오롱엔지니어링을 합병하여 환경,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했다.[5] 2001년에는 코오롱상사가 기업분할을 하여 FnC 코오롱주식회사, 코오롱인터네셔널주식회사, 코오롱CI주식회사로 나누어졌다.[5] 2002년 코오롱모터스는 HBC코오롱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코오롱CI는 HBC코오롱과 합병하였다.[5] 2005년에는 코오롱글로텍이 HBC코오롱과 합병하였다.[5] 2006년 코오롱아이넷이 출범하였는데, 코오롱인터네셔널과 코오롱정보통신이 합병된 것이다.[5]

2011년 코오롱건설, 코오롱아이넷, 코오롱B&S가 합병하여 코오롱글로벌주식회사가 출범하였다.[5] 이는 대형 종합법인 출범으로 이어졌다.

2. 1. 설립 초기 (1954년 ~ 1979년)

1954년 코오롱그룹의 시발점이자 (주)코오롱상사의 모태인 개명상사가 설립되었다.[5] 1960년에는 코오롱건설(주)의 전신인 협화실업(주)이 설립되었다.[5] 1979년 (주)삼경물산과 통합하면서 코오롱상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5]

2. 2. 성장기 (1980년 ~ 2010년)

1980년 코오롱상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5] (주)코오롱상사와 (주)삼경물산이 통합되었다. 1982년 코오롱종합건설은 코오롱건설(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5] 1986년에는 코오롱건설이 삼경개발주식회사를 합병하여 종합건설회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했다.[5] 1987년 코오롱모터스가 설립되었고,[5] 1990년에는 코오롱정보통신이 설립되었다.[5] 1994년 코오롱건설은 국내 최초로 남산외인아파트 발파 철거공사를 진행했다.[5] 2000년 코오롱건설(주)는 코오롱엔지니어링을 합병하여 환경,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했다.[5] 2001년에는 코오롱상사가 기업분할을 하여 FnC 코오롱주식회사, 코오롱인터네셔널주식회사, 코오롱CI주식회사로 나누어졌다.[5] 2002년 코오롱모터스는 HBC코오롱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코오롱CI는 HBC코오롱과 합병하였다.[5] 2005년에는 코오롱글로텍이 HBC코오롱과 합병하였다.[5] 2006년 코오롱아이넷이 출범하였는데, 코오롱인터네셔널과 코오롱정보통신이 합병된 것이다.[5]

2. 3. 코오롱글로벌 출범 이후 (2011년 ~ 현재)

2011년 코오롱건설, 코오롱아이넷, 코오롱B&S가 합병하여 코오롱글로벌주식회사가 출범하였다.[5] 이는 대형 종합법인 출범으로 이어졌다.

3. 사업 분야

코오롱글로벌의 사업분야는 프리미엄 수입차 판매 유통사업, 무역사업, 건설사업 및 레포츠사업으로 나뉜다.[5]
수입차 판매 및 유통코오롱글로벌은 1987년 대한민국 최초로 BMW 자동차를 수입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전국에 23개(BMW 13개, MINI 4개, BPS 6개)의 전시장과 19개의 서비스센터를 갖추어 BMW 자동차의 대한민국 1위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BMW가 대한민국 직판 체제를 갖춘 후에도, 코오롱은 BMW의 딜러 중 하나이다.
무역코오롱글로벌은 철강, 화학소재(의약품, 섬유, 비료, 수처리제 등) 및 유연탄, 수산물, 중수(heavy water) 등 다양한 상품을 수입 및 수출하는 사업을 한다.
건설코오롱글로벌은 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토목 건설 분야에서 각종 토목시설(도로, 교량, 터널 등), 환경시설(수처리시설, 폐기물자원화시설, 매립시설 등), 플랜트 시공 사업을 하고 있다.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2019년 코오롱글로벌의 토건 시평액은 1조 6,101억 원으로 19위를 기록했다.[6]
토목 건설코오롱글로벌의 토목 건설 참여 이력은 다음과 같다.[5]


환경 시설

  • 용인시 환경센터[5]
  • 파주시 지정폐기물 매립시설[5]
  • 태국 라차부리 수처리 시설/การบำบัดน้ำเสียในจังหวัดราชบุรีth[5]
  • 남양주시 별내 크린센터 시설[5]
  • 덕산 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5]
  • 탄천물재생센터 고도처리시설[5]
  • 대전하수종말처리장[5]
  • 요르단 남부 암만 하수처리시설/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جنوب عمان الأردنar[5]
  • 파주시 환경관리센터[5]
  • 스리랑카 골 상수도/ගෝල් ජල සම්පාදනsi[5]
  • 칠서하수처리장[5]
  • 광양공장폐수종말처리장[5]
  • 베트남 THIEN TAN 수처리시설/Nhà máy xử lý nước THIEN TANvi[5]
  • 승기하수처리장[5]
  • 용인시 영덕하수처리장[5]
  • 부산 장림사후처리장[5]
  • 영등포정수장[5]
  • 용인시 소각로[5]
  • 통영시 중형소각로[5]
  • 청주하수처리장[5]
  • 태국 치앙마이 수도/การประปาเชียงใหม่th[5]

건축 및 주택 건설코오롱글로벌은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9년 시공능력평가 결과, 코오롱글로벌은 토건 시평액이 1조 6,101억 원으로 19위를 기록했다.[6]

다음은 코오롱글로벌이 건설한 주택 및 건축물 목록이다.[5]
레포츠1984년 대한민국 최초로 설립된 회원제 종합스포츠센터를 시작으로 3개의 직영점(서초점, 분당점, 타임스퀘어점)과 10개의 위탁운영점(파주낙하점, 파주교하점, 파주운정점, 파주행복점, 충주점, 양평점, 이천점, 장충점, 김포점, 방배점)을 운영하고 있다.
기타 사업덴마크의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인 뱅 앤 올룹슨(Bang & Olufsen) 제품의 수입 및 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3. 1. 수입차 판매 및 유통

코오롱글로벌은 1987년 대한민국 최초로 BMW 자동차를 수입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전국에 23개(BMW 13개, MINI 4개, BPS 6개)의 전시장과 19개의 서비스센터를 갖추어 BMW 자동차의 대한민국 1위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BMW가 대한민국 직판 체제를 갖춘 후에도, 코오롱은 BMW의 딜러 중 하나이다.

3. 2. 무역

코오롱글로벌은 철강, 화학소재(의약품, 섬유, 비료, 수처리제 등) 및 유연탄, 수산물, 중수(heavy water) 등 다양한 상품을 수입 및 수출하는 사업을 한다.

3. 3. 건설

코오롱글로벌은 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토목 건설 분야에서 각종 토목시설(도로, 교량, 터널 등), 환경시설(수처리시설, 폐기물자원화시설, 매립시설 등), 플랜트 시공 사업을 하고 있다.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2019년 코오롱글로벌의 토건 시평액은 1조 6,101억 원으로 19위를 기록했다.[6]

코오롱글로벌의 토목 건설 참여 이력은 다음과 같다.[5]

코오롱 글로벌의 환경 시설 참여 이력은 다음과 같다.

  • 용인시 환경센터[5]
  • 파주시 지정폐기물 매립시설[5]
  • 태국 라차부리 수처리 시설/การบำบัดน้ำเสียในจังหวัดราชบุรีth[5]
  • 남양주시 별내 크린센터 시설[5]
  • 덕산 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5]
  • 탄천물재생센터 고도처리시설[5]
  • 대전하수종말처리장[5]
  • 요르단 남부 암만 하수처리시설/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جنوب عمان الأردنar[5]
  • 파주시 환경관리센터[5]
  • 스리랑카 골 상수도/ගෝල් ජල සම්පාදනsi[5]
  • 칠서하수처리장[5]
  • 광양공장폐수종말처리장[5]
  • 베트남 THIEN TAN 수처리시설/Nhà máy xử lý nước THIEN TANvi[5]
  • 승기하수처리장[5]
  • 용인시 영덕하수처리장[5]
  • 부산 장림사후처리장[5]
  • 영등포정수장[5]
  • 용인시 소각로[5]
  • 통영시 중형소각로[5]
  • 청주하수처리장[5]
  • 태국 치앙마이 수도/การประปาเชียงใหม่th[5]


코오롱글로벌은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9년 시공능력평가 결과, 코오롱글로벌은 토건 시평액이 1조 6,101억 원으로 19위를 기록했다.[6]

다음은 코오롱글로벌이 건설한 주택 및 건축물 목록이다.[5]

3. 3. 1. 토목 건설

코오롱글로벌의 토목 건설 참여 이력은 다음과 같다.[5]

3. 3. 2. 환경 시설


  • 용인시 환경센터[5]
  • 파주시 지정폐기물 매립시설[5]
  • 태국 라차부리 수처리 시설/การบำบัดน้ำเสียในจังหวัดราชบุรีth[5]
  • 남양주시 별내 크린센터 시설[5]
  • 덕산 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5]
  • 탄천물재생센터 고도처리시설[5]
  • 대전하수종말처리장[5]
  • 요르단 남부 암만 하수처리시설/محطة معالجة مياه الصرف الصحي جنوب عمان الأردنar[5]
  • 파주시 환경관리센터[5]
  • 스리랑카 골 상수도/ගෝල් ජල සම්පාදනsi[5]
  • 칠서하수처리장[5]
  • 광양공장폐수종말처리장[5]
  • 베트남 THIEN TAN 수처리시설/Nhà máy xử lý nước THIEN TANvi[5]
  • 승기하수처리장[5]
  • 용인시 영덕하수처리장[5]
  • 부산 장림사후처리장[5]
  • 영등포정수장[5]
  • 용인시 소각로[5]
  • 통영시 중형소각로[5]
  • 청주하수처리장[5]
  • 태국 치앙마이 수도/การประปาเชียงใหม่th[5]

3. 3. 3. 건축 및 주택 건설

코오롱글로벌은 건축 및 주택 건설 사업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9년 시공능력평가 결과, 코오롱글로벌은 토건 시평액이 1조 6,101억 원으로 19위를 기록했다.[6]

다음은 코오롱글로벌이 건설한 주택 및 건축물 목록이다.[5]

3. 4. 레포츠

1984년 대한민국 최초로 설립된 회원제 종합스포츠센터를 시작으로 3개의 직영점(서초점, 분당점, 타임스퀘어점)과 10개의 위탁운영점(파주낙하점, 파주교하점, 파주운정점, 파주행복점, 충주점, 양평점, 이천점, 장충점, 김포점, 방배점)을 운영하고 있다.

3. 5. 기타 사업

덴마크의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인 뱅 앤 올룹슨(Bang & Olufsen) 제품의 수입 및 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4. 해외 사업

국가발주처프로젝트금액공사기간/낙찰일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7]상하수도국골 상수도 시설 공사 2차2120만 달러2006.01.15~2008.01.15
캄보디아/កម្ពុជាkm[8]MH-Bio Energy GroupMH-Bio Energy Group 에탄올 공장 건설공사1900만 달러2007.01~2008.06
요르단/الأردنar[7]요르단 수도국사우스 암만 수처리7390만 달러2009.04.01~2011.10.31
리비아/ليبياar[9][10]주택기반시설청알사라즈 하수처리시설 공사7950만 달러2009.04.01~2011.10.31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7]치타공 상하수도국카나폴리 정수장 C-32210만 달러2011.01.20~2013.07.08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7]상하수도국루후누푸라 상수도 공사7620만 달러2011.02.10~2014.08.10
베트남/Việt Namvi[7]빈증성 상하수도공사빈증 하수처리시설6470만 달러2011.03.29~2013.06.29
베트남/Việt Namvi[7]하노이 상하수도국베이마우 하수처리시설2760만 달러2012.05.25~2014.06.20
탄자니아/Tanzaniasw[7]도도마시 상하수국도도마시 상수도 개선2650만 달러2013.01.23~2015.01.23
가나/Gaanaak[7]가나 수자원공사WA 상수시스템 개발4960만 달러2013.01.17~2016.01.17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11]캔디 하수처리시설사업685억 원2013.10.30
탄자니아/Tanzaniasw[12]무힘빌리 대학병원 신축공사6400만 달러2013.12.23
요르단/الأردنar[13]요르단 수도청암만 남부 2차 관로 사업950억 원2014.10.07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14]동콜롬보 지역 상수도관 개보수 공사744억 원2015.04.23


4. 1. 주요 해외 수주 이력

국가발주처프로젝트금액공사기간/낙찰일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7]상하수도국골 상수도 시설 공사 2차21.2 백만불2006.01.15~2008.01.15
캄보디아/កម្ពុជាkm[8]MH-Bio Energy GroupMH-Bio Energy Group 에탄올 공장 건설공사19 백만불2007.01~2008.06
요르단/الأردنar[7]요르단 수도국사우스 암만 수처리73.9 백만불2009.04.01~2011.10.31
리비아/ليبياar[9][10]주택기반시설청알사라즈 하수처리시설 공사79.5 백만불2009.04.01~2011.10.31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7]치타공 상하수도국카나폴리 정수장 C-322.1 백만불2011.01.20~2013.07.08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7]상하수도국루후누푸라 상수도 공사76.2 백만불2011.02.10~2014.08.10
베트남/Việt Namvi[7]빈증성 상하수도공사빈증 하수처리시설64.7 백만불2011.03.29~2013.06.29
베트남/Việt Namvi[7]하노이 상하수도국베이마우 하수처리시설27.6 백만불2012.05.25~2014.06.20
탄자니아/Tanzaniasw[7]도도마시 상하수국도도마시 상수도 개선26.5 백만불2013.01.23~2015.01.23
가나/Gaanaak[7]가나 수자원공사WA 상수시스템 개발49.6 백만불2013.01.17~2016.01.17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11]캔디 하수처리시설사업685 억원2013.10.30
탄자니아/Tanzaniasw[12]무힘빌리 대학병원 신축공사64 백만불2013.12.23
요르단/الأردنar[13]요르단 수도청암만 남부 2차 관로 사업950 억원2014.10.07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14]동콜롬보 지역 상수도관 개보수 공사744 억원2015.04.23


5. 지점 현황

본점은 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 11 (별양동)에 위치해 있다. 인천지점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32 (송도동, 테크노파크IT센터)에 있다. 비엔오지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65, 1층 (신사동, 태승빌딩)에, 보스 공식파트너지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01 (대치동)에 있다. 스포렉스 양재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2길 73-48 (원지동)에, 강남지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01 (신사동)에, 삼성지점과 미니 삼성지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01 (대치동)에 있다.

참조

[1] 전자신문 코오롱글로벌, 출범. 코오롱건설, 코오롱아이넷, 코오롱B&S 3사 합병법인 http://www.etnews.co[...]
[2] 뉴스 ‘리스크 벗고 시너지 입다’코오롱글로벌 http://file.etomato.[...] 뉴스토마토 투자보고서 2015-05-18
[3] 뉴스 코오롱글로벌, 윤창운 대표이사 선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기사 2015-05-18
[4] 간행물 유안타증권 Coverage Update (2015.03.17) http://www.kolonglob[...] 유안타증권 투자정보 보고서
[5] 문서 코오롱글로벌 E-브로셔 http://www.kolonglob[...]
[6] 뉴스 2019년 시공능력순위(토건) Top 100 http://www.worker.co[...] 건설워커 2019-07-30
[7] 간행물 한화투자증권(2012.06.26) http://www.kolonglob[...] 한화투자증권 투자보고서
[8] 간행물 미래에셋증권(2011.08.05) http://www.kolonglob[...] 미래에셋증권 투자정보
[9] 간행물 메리츠증권(2011.07.19) http://www.kolonglob[...] 메리츠증권 투자정보
[10] 블로그 해외 건설공사 수주 현황 (2009~): 중동 http://m.blog.daum.n[...] 2015-07-15
[11] 뉴스 코오롱글로벌, 685억 규모 스리랑카 하수처리시설사업 수주 http://news1.kr/arti[...] News1 기사
[12] 뉴스 코오롱글로벌, 6400만달러 규모 탄자니아 대학병원 공사 수주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기사
[13] 뉴스 코오롱글로벌, 950억원 규모 요르단 관로 공사 수주 http://www.newsis.co[...] 뉴시스 기사 2015-07-15
[14] 뉴스 코오롱글로벌, 스리랑카 744억규모 상수도사업 수주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