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생트카트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트생트카트린역은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 있는 몬트리올 지하철 오렌지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1980년대 모더니즘 양식의 건축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역명은 17세기부터 불린 코트 생트-카트린 길에서 유래했으며, 인근에는 유대인 종합병원, 시걸 공연예술센터, 몬트리올 홀로코스트 박물관 등이 있다. 124, 129, 368번 버스 노선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렌지 선 (몬트리올) - 보비앙역
보비앙역은 복고풍 건축 양식의 곡선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퀘벡 몬트리올 지하철 오렌지 선에 위치하고, 보비앙 가문에서 역명이 유래했으며, 여러 버스 노선과 연결되고, 2015년과 2020년에 걸쳐 역 개선 공사가 진행되었다. - 오렌지 선 (몬트리올) - 스노든역
스노든역은 몬트리올 지하철의 환승역으로, 파란색 선과 오렌지 선이 교차하며, 클로드 귀테의 벽화와 장-루이 보리외의 조각 격자가 설치되어 있고, 지역 지주 J. 스노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1982년 개업한 철도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1982년 개업한 철도역 - 삼성역
삼성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위치한 역으로, 삼성동의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코엑스몰과 연결되어 많은 이용객이 이용하나, 국가적 행사 시 무정차 통과될 수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코트생트카트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4780, 슈망 드 라 코트생트카트린, 빅토리아 애비뉴, 몬트리올, 퀘벡 H3W 3G6, 캐나다 |
좌표 | 북위 45° 29′ 32″, 서경 73° 37′ 58″ |
노선 | 오렌지 선 ARTM: A |
구조 | 지하 |
깊이 | 17.7 m (20번째로 깊음)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주차장 | 없음 |
자전거 보관소 | 있음 |
개업일 | 1982년 1월 4일 |
건축가 | 길베르 소베 |
폐업일 | 없음 |
재건축 | 없음 |
접근성 | 없음 |
운영사 | 몬트리올 교통공사 |
구역 | ARTM: A |
상태 | 운영 중 |
승객 수 | }} |
존 | ARTM: A |
노선 정보 | |
노선 | 오렌지 선 |
인접역 | left: 플라몽동 right: 스노든 |
기타 정보 | |
2. 건축 양식
이 역은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역으로, 승강장은 굴착식, 메자닌 층은 개착식으로 지어졌다.[3] 코트생트카트린역은 이 당시 개통했던 다른 역들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현대적이고 세련되었으며, 가운데 모든 층에 걸쳐 뚫린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뚫린 공간을 통해 윗층에서 승강장까지 내려다볼 수 있다.[3]
출입구에서 메자닌 층으로 이어지는 공간은 널찍하고 에스컬레이터를 따라 삼각형 모양의 벽으로 이루어져있다.[3] 승강장 벽은 모래로 분사된 콘크리트 재질의 비스듬한 무늬로 메자닌 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을 향한다. 역 나머지 부분은 세심하게 고려하여 설치한 노란색 색조의 조명과 철판으로 이루어져있다.[3] 역 출입구는 각진 현대식 유리 및 철제 건물로 80년대 모더니즘을 살린 건물이다.[3]
2. 1. 예술 작품
코트생트카트린역은 터널 안에 지어진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역으로, 참호에 지어진 중앙 층과 하나의 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 역은 질베르 소베가 설계했으며, 건축가가 제작한 벽화와 부조를 포함하고 있다. 2010년 6월, 역은 개보수를 위해 폐쇄되었으며 8월에 재개장했다.3. 역명 유래
1875년에 우트르몽 마을이 되었던 지역은 17세기부터 코트생트카트린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몬트리올의 여느 다른 곳과 같이 주요 도로를 코트 (côte)라고 불렀으며 1913년 당시 슈망 드 라 코트생트카트린은 코트데네이주까지 이어졌으며, 코트데네이주 서쪽 구간은 그 이후에 지어졌다.[4]
가톨릭교에서 카타리나 (Catherine)라는 이름의 성녀는 여러 명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알려진 성녀 카타리나는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로 한때 신망의 대상이였지만 이젠 역사성이 의심쩍은 편이다.[4] 소문에 따르면 성녀 카타리나는 18세에 막시미누스 트락스를 당혹하게 만들 정도였고 이에 따라 카타리나와 토론하기 위해 여러 명의 학자들을 불렀다는 설이 있다. 카타리나가 학자들을 납득시킨 뒤, 막시미누스는 못이 박힌 바퀴로 그를 처형할 것을 지시하였으나 카타리나가 바퀴를 부숴 결국 참수당했다. 성녀 카타리나의 축일은 11월 25일이다.[4]
이 역은 17세기부터 코트 생트-카트린이라고 불렸던 전 아웃레몽 마을의 주요 거리인 코트 생트-카트린 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버스 연결편
노선 | 종점 | 경유지 | 비고 | ||||
---|---|---|---|---|---|---|---|
124 | 빅토리아 | Victoria | STM 스틴슨 차량기지 | ↔ | 방돔역 | 매일 상시 운행 | |
129 | 코트생트카트린 | Côte-Sainte-Catherine | 클랜래널드/ 이사벨라 | ↔ | 생앙투안 / 드로텔드빌 | 매일 상시 운행 | |
368 | 아브뉘 뒤 몽루아얄 | Avenue-du-Mont-Royal | 코트베르튀역 | ↔ | 프롱트낙역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style="background: #; font-size:100%; color:#FFFFFF;"|{{color |
---|
노선 |
{{rint|montreal|bus|} | } 124 빅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