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틴 오벨리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오벨리스크는 10세기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 경마장에 세운 기념물이다. 원래는 금으로 도금된 청동 판으로 덮여 있었으나,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약탈당했다. 오벨리스크는 테오도시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콘스탄티누스 7세는 이를 복원하고 청동 판으로 덮었으며, 중세 그리스어 비문을 추가했다. 10세기와 11세기에는 아랍 세계에서 '구리 탑'으로 불렸으며, 1953년부터 1976년까지 터키 리라 지폐에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의 오벨리스크 - 테오도시우스 오벨리스크
    테오도시우스 오벨리스크는 투트모세 3세가 기원전 15세기경 카르나크 신전에 세운 붉은 화강암 오벨리스크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 현재는 상단 부분만 남아있으며, 받침대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부조와 비문이 새겨져 있다.
  • 술탄아흐메트 광장 - 산마르코의 말
    산마르코의 말은 고대에 제작된 네 마리의 구리 말 조각상으로, 콘스탄티노플에서 베네치아로 약탈되어 산 마르코 대성당에 설치되었으며 현재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내부에 보관, 복제품이 외부에 전시되고 있다.
  • 술탄아흐메트 광장 - 뱀기둥
    뱀 기둥은 고대 그리스가 페르시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델포이 아폴론 신전에 세운 조형물로, 그리스 연합의 단결을 상징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거쳐 현재 이스탄불 히포드롬에 일부가 남아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로 평가받는다.
콘스탄틴 오벨리스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벽돌 오벨리스크 (Masonry Obelisk)
수리 후의 벽돌 오벨리스크, 북서쪽을 바라보고 있음.
다른 이름외르메 디킬리타슈, 콘스탄틴 디킬리타슈
위치콘스탄티노폴리스 히포드롬(현재 술탄아흐메트 광장, 튀르키예 이스탄불)
상세 정보
높이알 수 없음
건축 시기알 수 없음
재건축 시기알 수 없음
건축가알 수 없음
좌표알 수 없음

2. 역사

콘스탄틴 오벨리스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경마장(현재의 술탄아흐메트 광장)에 세워진 기념물로, 그 역사는 테오도시우스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1] 32m 높이의 이 석조 기둥은 원래 모습 그대로 있었으나,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에 의해 대대적으로 복원되었다.[1] 이때 오벨리스크는 바실 1세의 승리를 묘사한 도금청동 판으로 덮였고, 관련 내용이 담긴 중세 그리스어 비문도 추가되었다.[1][2] 중세 아랍 세계에서는 이 기념물을 '구리 탑'이라고 부르기도 했다.[3]

그러나 화려했던 청동 판들은 1204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를 약탈하는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어 녹여졌다.[1] 이후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관리가 소홀해지고, 어린 예니체리들이 기어오르며 표면이 손상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1953년부터 1976년까지 발행된 터키 500 터키 리라 지폐 뒷면에 그 모습이 담기기도 했다.[4]

2. 1. 건립 배경

32m 높이의 이 오벨리스크는[1] 테오도시우스 왕조 시대(4세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 경마장(현재의 술탄아흐메트 광장)의 스피나[1](경주로 중앙 분리대)를 장식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로마의 막시무스 원형 경기장 스피나에 세워졌던 두 개의 오벨리스크를[1] 본뜬 것이며, 히포드롬 내 다른 기념물인 테오도시우스의 오벨리스크와 함께 경기장을 장식했다.

2. 2. 콘스탄티누스 7세의 복원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는 이 오벨리스크를 복원하도록 지시했다.[1] 그는 기념비를 도금청동 판으로 덮게 했는데, 이 판에는 그의 할아버지인 바실 1세의 승리가 묘사되어 있었다. 이 복원 시기에 중세 그리스어로 된 장삼보격 비문이 추가되었다.[1] 이 비문에는 콘스탄티누스 7세가 수행한 복원 공사가 언급되어 있으며, 이를 당시 경이로운 건축물로 여겨졌던 로도스 거상에 비유했다.[2] 또한, 비문에는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로마노스 2세의 이름도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오벨리스크를 덮었던 도금된 청동 판은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당시 십자군에 의해 약탈되어 녹여졌다.[1]

2. 3. 중세 시대

10세기 비잔티움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는 이 기념비를 복원하고 도금청동 판으로 덮도록 지시했다. 이때 중세 그리스어로 된 장삼보격 형식의 비문이 추가되었다.[1] 이 비문에는 콘스탄티누스 7세가 진행한 복원 작업을 언급하며 이를 전설적인 로도스 거상에 비유했다.[2] 또한,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로마노스 2세의 이름도 함께 새겨졌다. 당시 오벨리스크를 덮었던 도금된 청동 판에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할아버지인 바실 1세의 군사적 승리가 묘사되어 있었다.

10세기와 11세기에 걸쳐 중세 아랍 세계에서는 이 오벨리스크를 '구리 탑'이라고 불렀으며, 때로는 근처의 테오도시우스의 오벨리스크와 혼동하기도 했다.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의 작가 알리 이븐 아비 바크르 알-하라위는 당시 비잔틴인들이 강한 바람에 석조물이 움직일 때 균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돌 틈 사이에 토기 조각과 견과류를 끼워 넣었다는 흥미로운 기록을 남겼다.[3]

그러나 1204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를 약탈하는 과정에서 오벨리스크를 덮고 있던 도금된 청동 판들을 모두 떼어내 녹여버렸다.[1] 이후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어린 예니체리들이 오벨리스크를 기어오르는 놀이를 즐겼는데, 이로 인해 석조 표면이 더욱 손상되었다.

2. 4. 십자군 약탈

10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 황제는 오벨리스크를 복원하면서 도금청동 판으로 덮었다. 이 청동 판에는 그의 할아버지인 바실 1세의 승리를 묘사한 장면들이 장식되어 있었다. 그러나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 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한 십자군들은 이 귀중한 청동 판들을 약탈하여 녹여버렸다.[1] 이 사건은 당시 십자군 원정 과정에서 벌어진 문화재 파괴와 약탈 행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2. 5. 오스만 제국 시대

어린 예니체리들이 오벨리스크를 기어 올라가는 것을 좋아하여 석조물의 표면이 더욱 손상되었다.

2. 6. 현대

울타리가 쳐진 오벨리스크는 1953년부터 1976년까지 발행된 터키 500 터키 리라 지폐의 뒷면에 묘사되었다.[4]

3. 비문

콘스탄티누스 7세가 오벨리스크 복원을 기념하기 위해 새긴 이암보스 3음보 비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2]

그리스어 원문 (이암보스 3음보)한국어 번역
Τὸ τετρ[άπλευρον] θαῦμα τῶν μεταρσίων
χρόνῳ [φθαρὲν νῦν] Κωνσταντῖνος δεσπότης
οὗ Ῥωμ[αν]ὸς παῖς δόξα τῆς σκηπτουχίας
κρεῖττον νε[ο]υργεῖ [τῆς πά]λαι θεωρίας·
ὁ γὰρ κολοσσὸς θ[άμ]βος ἦν ἐν τῇ Ῥόδῳ
καὶ χαλκὸς οὗτος θάμβος ἐστὶν ἐνθάδε.el
하늘 높이 솟은 네 면의 경이,
시간 속에 닳아 없어졌으나, 이제 콘스탄티누스 7세 황제가,
그의 아들 로마누스가 왕권의 영광을 이어받아,
옛 광경보다 더 훌륭하게 복원했네.
로도스의 거상에는 거상이 놀라움을 주었으니,
이것이 이제 이곳에서 청동의 놀라움을 주네.


4. 대중문화

2011년 게임 《어쌔신 크리드: 리벨레이션》에 사이드 미션 장소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Obelisks in Exile, volume II: The Obelisks of Istanbul and England https://www.worldcat[...] G. E. C. Gad
[2] 웹사이트 Walled Obelisk https://madainprojec[...] 2020-06-12
[3] 서적 Obelisks in Exile, volume II: The Obelisks of Istanbul and England https://www.worldcat[...] G. E. C. Gad
[4]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the Republic of Turkey http://www.tcmb.gov.[...] 200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