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구예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구예프섬은 바렌츠해 남동부에 위치한 러시아령 섬으로, 면적은 약 3,497km²이며, 유일한 거주지는 부그리노이다. 섬 이름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으며, 네네츠족이 수 세기 동안 정착하여 어업, 순록 사냥 등을 해왔다. 1894년 오빈 트레버-배티가 탐사하여 자연사 연구 결과를 출판했으며, 툰드라 기후를 보이며, 석유 매장으로 인해 석유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산업은 순록 사육, 어업, 석유 채굴이며, 아르크티크네프트가 유일한 운영 면허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네츠 자치구의 섬 - 바이가치섬
바이가치섬은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의 네네츠 자치구에 속하며, 툰드라 지형을 이루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네네츠족의 성지로서 2007년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아르한겔스크주 - 백해
백해는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유라시아 대륙의 바다로, 4개의 주요 만으로 구성되어 바렌츠 해와 연결되며, 러시아의 주요 무역로이자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해역이다. - 아르한겔스크주 - 카라해
카라해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과 노바야 제믈랴 제도 사이에 있는 북극해의 일부로, 1년 중 대부분 해빙으로 덮여 있고, 오비 강, 예니세이 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해빙 감소는 기후 변화와 관련 있고, 과거 핵 폐기물 투기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섬 - 노바야제믈랴 제도
노바야 제믈랴 제도는 러시아 북극해의 군도로, 역사적으로 탐험가들의 방문이 있었지만 냉전 시대 소련의 핵실험장으로 사용되어 환경 오염을 야기했으며, 현재는 국립공원 일부로 지정되었으나 주민 강제 이주와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하는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는 북극해의 191개 무인도로 구성된 군도로, 소련에 병합되어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러시아 북극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자연환경과 야생동물을 보존하고 있다.
콜구예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북극해 |
좌표 | 69°05′ 북위 49°15′ 동경 |
면적 | 3,497 km² |
최고점 | 고라 파르코프-사르로피 (Gora Paarkov-Sarlopy) |
해발 고도 | 166 m |
행정 구역 | |
국가 | 러시아 |
주 | 아르한겔스크주 |
자치구 | 네네츠 자치구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413명 |
주요 도시 | 부그리노 |
민족 구성 | 네네츠인, 러시아인, 코미인 |
추가 정보 | |
러시아어 이름 | Колгу́ев |
네네츠어 이름 | Холӈгов |
2. 어원
"콜구예프"라는 섬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포모르인들이 섬을 둘러싼 바다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어부 이반 칼고프를 기리기 위해 이 섬의 이름을 지었다고도 하며, 고대 핀어 단어 "kollague"에서 유래되어 "삼각형" 또는 "세모꼴"을 의미한다고도 한다.[2]
2. 1. 여러 설
"콜구예프"라는 섬 이름의 기원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중 하나는, 이 섬의 이름이 섬을 둘러싼 바다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어부 이반 칼고프를 기리기 위해 포모르인들이 지었다는 것이다. 다른 설에 따르면, 섬의 이름은 고대 핀어 단어 "kollagu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삼각형" 또는 "세모꼴"을 의미한다.[2]3. 역사
네네츠족은 수 세기 동안 콜구예프섬을 물개와 순록 사냥, 어업 기지로 사용해왔다. 1594년 8월, 항해사 빌럼 바렌츠가 이 섬 주변 해역을 잠시 탐사했고,[3] 1841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프란츠 요제프 루프레흐트와 사벨레프 교수의 탐험대가 섬을 방문하여 섬을 일주하고 내부를 탐사했다.[3] 1894년에는 영국의 박물학자 오빈 B. R. 트레버-배티가 섬을 탐사하고, 섬의 자연사와 지형에 대한 연구를 책으로 출판했다.[3]
3. 1. 초기 역사
콜구예프섬은 수 세기 동안 네네츠족이 정착하여 물개와 순록 사냥, 어업 기지로 사용해 온 곳이다.1594년 8월, 항해사 빌럼 바렌츠가 이 섬 주변 해역을 잠시 탐사했다.[3]
1841년 7월과 8월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프란츠 요제프 루프레흐트와 사벨레프 교수의 탐험대가 이 섬을 방문했다.[3] 이들은 섬을 일주하고 내부를 잠시 탐사한 후 섬에 대해 보고했다.[3]
3. 2. 트레버-배티의 탐사 (1894년)
이 섬은 1894년 영국의 박물학자인 오빈 B. R. 트레버-배티가 탐사했다. 그는 조수 한 명과 함께 6월에 상륙하여 야생 동물, 특히 조류를 한 달 동안 연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의 기계적 문제와 오해로 인해 12주 동안 섬에 고립되었다.[3]그는 콜구예프의 자연사 및 지형에 대한 연구를 "콜구예프의 빙결(Ice-Bound on Kolguev)"(1895)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이 책에는 여름 방목을 위해 순록을 섬으로 데려와 러시아에서 거래할 거위를 잡는 네네츠족(그는 그들을 사모예드족이라고 불렀다)에 대한 관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3] 트레버-배티는 결국 1894년 9월에 이 순록 사육자들과 함께 섬을 떠나 페초라강에서 아르한겔스크까지 약 1609.34km의 육로를 이동해야 했다. 그는 이 여정을 "차르의 북부 고속도로(A Northern Highway of the Tsar)"(1898)에 묘사했다.[4]
4. 지리 및 환경
콜구예프섬은 지형, 기후, 동식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독특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섬의 지형, 기후, 동식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섬의 남동쪽 해안에는 부그리노라는 유일한 거주지가 있으며, 네네츠족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경제 활동은 어업, 순록 사육 및 덫 사냥이다. 석유와 가스도 매장되어 있다.[5]
4. 1. 지형
대략 원형 모양인 이 섬은 지름이 80km이며, 면적은 3497km2이다. 섬의 최고점은 166m이다.[5]
4. 2. 기후
콜구예프섬은 툰드라 기후(쾨펜 기후 구분 ''ET'')이며, 8월 평균 기온은 8.3°C에 불과하다. 2월은 가장 추운 달로 평균 기온은 -11.5°C이다. 콜구예프섬은 해양성 위치 때문에 계절 지연 현상이 나타난다. 강수량은 겨울과 봄보다 여름과 가을에 더 많으며, 섬의 총 강수량은 331mm이다.[9][6]다음은 콜구예프섬의 기후와 관련된 상세 자료이다:
구분 | 내용 |
---|---|
최고 기온 | 30°C (1990년 7월 10일) |
최저 기온 | -40.1°C (1951년 2월 16일) |
가장 따뜻한 달 | 13°C (2016년 7월) |
가장 추운 달 | -25.3°C (1998년 2월) |
가장 강수량이 많았던 해 | 506mm (1962년) |
가장 건조했던 해 | 101mm (2017년)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3°C | 2.1°C | 2.3°C | 8.7°C | 22.1°C | 27.4°C | 30°C | 29.2°C | 22.1°C | 12°C | 5.8°C | 4.4°C | 30°C |
일 평균 기온 (°C) | -10.5°C | -11.5°C | -9.5°C | -5.5°C | -1.1°C | 3.8°C | 8.3°C | 8.3°C | 5.8°C | 0.9°C | -3.8°C | -6.5°C | |
평균 최저 기온 (°C) | -37.6°C | -40.1°C | -36°C | -31.6°C | -22.5°C | -6.2°C | -2.4°C | -2.9°C | -6.3°C | -21.2°C | -27.5°C | -35.5°C | -40.1°C |
월 강수량 (mm) | 22mm | 18mm | 17mm | 16mm | 16mm | 32mm | 31mm | 38mm | 41mm | 45mm | 26mm | 29mm |
4. 3. 동식물
이 섬에는 많은 이탄 습지와 퇴적구릉이 있으며, 툰드라 식생으로 덮여 있다. 델피니움 엘라툼의 제안된 아종인 ''델피니움 엘라툼'' ssp. ''cryophilum''은 이 섬에서만 발견되지만, 본토 개체군과의 차별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이 섬은 정기적으로 상당한 수의 바다비오리와 흰이마기러기 개체수를 지원한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 (IBA)으로 지정되었다.[7]
하부 트라이아스기 (하부 올레네크기) 퇴적층에서 양서류 ''웨틀루가사우루스 말라초비''의 화석이 이 섬의 Peschanoozerskaya 35 시추공 근처에서 발견되었다.[8]
5. 경제
콜구예프섬의 경제는 순록 사육, 어업, 석유 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순록 사육과 어업은 부그리노 마을 주민들의 주요 생계 수단이었으나, 2013~2014년 식량 부족으로 순록이 대규모로 폐사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1] 현재는 석유 산업이 섬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르크티크네프트(ArktikNeft)사가 주도적으로 석유 탐사 및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1983년 발견된 페차노오제르스코예 유전에서는 황 함량이 매우 낮은 고품질의 석유가 생산되어 로테르담으로 수출된다.[1]
5. 1. 주요 산업
부그리노 마을 주민들의 주요 직업은 순록 사육과 어업이다. 부그리노는 콜구예프 산업 단지의 기지이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콜구예프 섬의 식량 부족으로 대규모 순록 폐사가 발생했다. 가축 수는 12,000마리에서 200~400마리로 감소했다(다른 자료에 따르면 최대 50마리). 순록 사육 국영 농장에는 4명의 노동자가 남아있었다. 주민들에게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1]아르크티크네프트(ArktikNeft)는 석유 탐사를 전문으로 하는 OAO 아르크티크모르네프테가스라즈베드카(OAO Arktikmorneftegazrazvedka)와 함께 섬에서 운영할 수 있는 면허를 받은 유일한 대륙 회사이다. 섬 탐사는 1980년에 시작되었다. 1983년에는 페차노오제르스코예(Peschanoozerskoye) 유전이 발견되었다.[1]
현재까지는 유전만 개발되고 있다. 가스 추출에는 새로운 기반 시설 건설이 필요하다. 아르크티크네프트는 원유의 모든 탐사, 시추, 추출, 저장 및 운송을 수행한다. 섬의 매장량은 황 함량이 매우 낮아 품질이 우수하다. 2002년 11월 기준, 52개의 유정이 가동 중이며, 연간 약 100000ton의 석유를 추출한다.[1]
섬 내 다양한 추출, 처리 및 저장 장소 간의 원유 운송은 오일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출은 여름과 가을에 해상으로 이루어진다. 평균 30000ton 용량의 유조선은 부유식 오일 파이프라인(사이펀)을 사용하여 해안에서 5000m 떨어진 곳에서 직접 선적된다. 모든 석유는 로테르담으로 수출된다.[1]
노동력은 석유 및 시추 팀, 2개의 유정 서비스 팀, 운송 인력 및 관리 직원으로 구성된다. 운영은 각각 150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52일마다 교대하며 수행한다. 섬에서 대륙으로, 그리고 다시 섬으로의 인력 및 장비 운송은 2002년 말까지 겨울에는 아르한겔스크, 무르만스크 또는 나리얀마르와 콜구예프를 연결하는 헬리콥터로, 여름과 가을에는 무르만스크와 섬 사이를 운행하는 증기선으로 이루어졌다. 2002년 11월부터 아르크티크네프트는 중형 항공기(Yak-40, An-24 및 An-26)를 수용할 수 있는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활주로는 주로 자체 필요를 위해 사용하지만, 특히 부그리노 마을 주민을 포함한 섬 나머지 주민들의 필요를 위해서도 사용한다.[1]
5. 2. 인프라
부그리노 마을 주민들의 주요 직업은 순록 사육과 어업이다. 부그리노는 콜구예프 산업 단지의 기지이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콜구예프 섬의 식량 부족으로 대규모 순록 폐사가 발생했다. 가축 수는 12,000마리에서 200~400마리로 감소했다(다른 자료에 따르면 최대 50마리). 순록 사육 국영 농장에는 4명의 노동자가 남아있었다. 주민들에게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1]아르크티크네프트(ArktikNeft)는 석유 탐사를 전문으로 하는 OAO 아르크티크모르네프테가스라즈베드카(OAO Arktikmorneftegazrazvedka)와 함께 섬에서 운영할 수 있는 면허를 받은 유일한 대륙 회사이다. 섬 탐사는 1980년에 시작되었다. 1983년에는 페차노오제르스코예(Peschanoozerskoye) 유전이 발견되었다.[1]
현재까지는 유전만 개발되고 있다. 가스 추출에는 새로운 기반 시설 건설이 필요하다. 아르크티크네프트는 원유의 모든 탐사, 시추, 추출, 저장 및 운송을 수행한다. 섬의 매장량은 황 함량이 매우 낮아 품질이 우수하다. 2002년 11월 기준, 52개의 유정이 가동 중이며, 연간 약 100000ton의 석유를 추출한다.[1]
섬 내 다양한 추출, 처리 및 저장 장소 간의 원유 운송은 오일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출은 여름과 가을에 해상으로 이루어진다. 평균 30000ton 용량의 유조선은 부유식 오일 파이프라인(사이펀)을 사용하여 해안에서 5000m 떨어진 곳에서 직접 선적된다. 모든 석유는 로테르담으로 수출된다.[1]
노동력은 석유 및 시추 팀, 2개의 유정 서비스 팀, 운송 인력 및 관리 직원으로 구성된다. 운영은 각각 150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52일마다 교대하며 수행한다. 섬에서 대륙으로, 그리고 다시 섬으로의 인력 및 장비 운송은 2002년 말까지 겨울에는 아르한겔스크, 무르만스크 또는 나리얀마르와 콜구예프를 연결하는 헬리콥터로, 여름과 가을에는 무르만스크와 섬 사이를 운행하는 증기선으로 이루어졌다. 2002년 11월부터 아르크티크네프트는 중형 항공기(Yak-40, An-24 및 An-26)를 수용할 수 있는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활주로는 주로 자체 필요를 위해 사용하지만, 특히 부그리노 마을 주민을 포함한 섬 나머지 주민들의 필요를 위해서도 사용한다.[1]
5. 3. 문제점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콜구예프 섬의 식량 부족으로 순록이 대규모로 폐사했다. 순록의 수는 12,000마리에서 200~400마리로 감소했다(다른 자료에 따르면 최대 50마리). 순록 사육 국영 농장에는 4명의 노동자만 남았다. 주민들에게 생필품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1]섬에서는 아르크티크네프트(ArktikNeft)와 OAO 아르크티크모르네프테가스라즈베드카(OAO Arktikmorneftegazrazvedka)가 석유 탐사 및 채굴을 하고 있다. 1983년에는 페차노오제르스코예(Peschanoozerskoye) 유전이 발견되어 개발되고 있다.[1]
섬의 석유 매장량은 황 함량이 매우 낮아 품질이 우수하다. 2002년 11월 기준으로 52개의 유정이 가동 중이며, 연간 약 100000ton의 석유를 추출한다. 원유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되며, 여름과 가을에는 해상으로 수출된다. 30000ton 용량의 유조선이 부유식 오일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해안에서 5,0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석유를 선적한다. 모든 석유는 로테르담으로 수출된다.[1]
석유 채굴 작업은 150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52일마다 교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002년 말까지 인력 및 장비 운송은 겨울에는 헬리콥터, 여름과 가을에는 증기선을 이용했다. 2002년 11월부터는 중형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활주로가 운영되고 있다.[1]
참조
[1]
GoogleEarth
GoogleEarth
Location
[2]
웹사이트
Остров Колгуев ! Острова мира
http://ostrov-mira.r[...]
2021-12-16
[3]
서적
Ice-bound on Kolguev
Constable, London
1895
[4]
서적
A Northern Highway of The Tsar
Constable, London
1898
[5]
웹사이트
Kolguyev oil changes hands
https://thebarentsob[...]
2021-03-30
[6]
웹사이트
平年値(年・月ごとの値) 主な要素
http://www.pogodaikl[...]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2-02-16
[7]
웹사이트
Kolguev Island
BirdLife International
2024-08-23
[8]
서적
Early Triassic amphibians of Eastern Europe: evolution of dominant groups and peculiarities of changing communities
https://new.ras.ru/u[...]
Moscow: RAS
[9]
웹인용
Climate of Kolguyev Island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9-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