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스 (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스는 고대 페르시아에서 유래한 악기로, "행진"을 의미하는 중세 페르시아어 군사용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페르시아 서사시와 미니어처 그림에 묘사되었으며, 아르사케스 왕조 시대의 이란 전사들이 전쟁용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구리 몸통에 가죽을 씌운 형태의 북으로, 두 개를 한 쌍으로 사용하며, 메흐테르에서 군대의 권위를 상징하는 악기로 사용되었다. 팀파니의 원형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악기 - 탬버린
    탬버린은 고대 이집트와 근동에서 유래하여 종교 의식과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악기로, 둥근 틀에 막과 징글이 달린 형태이며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구세군에서 활용되고, 전 세계에 유사한 악기들이 존재한다.
  • 이란의 악기 - 산투르
    산투르는 이란에서 발명된 덜시머의 일종인 현악기로, 작은 망치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며, 고대 아시리아와 바빌론에서 기원을 찾아볼 수 있고, 중동을 거쳐 세계 각지로 퍼져나가 양금, 침발롬 등 다양한 악기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여러 장르에서 활용되고 있다.
  • 이란의 발명품 - 방독면
    방독면은 유해 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이며, 흡착통을 사용하는 여과식과 별도의 공기 공급원을 사용하는 공급식으로 나뉘고, 군용, 민간용, 산업용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이란의 발명품 - 카나트
    카나트는 페르시아에서 기원한 지하 수로 시스템으로, 펌핑 없이 중력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지표면으로 끌어올려 관개 등에 사용되며, 건조한 기후에서 물 손실을 줄이는 장점을 가진다.
  • 타악기 - 전자 드럼
    전자 드럼은 1970년대 후반부터 개발되어 현실적인 연주감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악기로 진화했으며, 롤랜드 등의 제조사에서 어쿠스틱 드럼에 가까운 사운드와 타격감을 제공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대중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고품질 디지털 사운드와 향상된 센서 기술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전자 드럼이 널리 사용된다.
  • 타악기 - 콩가
    콩가는 쿠바 카니발 리듬 '라 콩가'에서 유래한 타악기로, 아프리카 리듬과 춤이 혼합된 쿠바 음악에서 시작되었으며 툼바도라라고도 불리며 라틴 아메리카 음악, 재즈, 팝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쿠스 (악기)
악기 정보
종류타악기
관련 악기팀파니
나카레
나케르
언어별 명칭

2. 어원

쿠스는 "행진"을 의미하는 중세 페르시아어 군사용어이다. 폰 모홀에 따르면 이 용어는 아람어에서 차용된 ''쿠샤''(Kūša)로, 아마도 아르사케스 왕조(기원전 248년 - 서기 224년) 시대에 차용되었을 것이다.

3. 역사적 배경

쿠스는 고대 페르시아에서부터 사용된 악기로, 페르도우시와 니자미 같은 페르시아 서사시 시인들의 작품에서 카르나이(페르시아 트럼펫 또는 호른)와 함께 전투 장면에 묘사되었다.[2] 많은 페르시아 미니어처 그림은 전쟁터에서 쿠스와 카르나이의 존재와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리스 역사가 플루타르코스아르사케스 왕조 시대의 이란 전사들이 전쟁용 악기로 쿠스를 사용했다고 기록했다.[3]

카이로의 낙타 드럼


이슬람교 도입 이후에는 작은 케틀드럼을 지칭하는 단어로 '나그가레'가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아랍어 동사 'Naghr-' (치다, 때리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페르시아의 신비주의 시인 몰라나 잘랄 앗딘 루미도 나그가레라는 이름을 언급했다.

3. 1. 쿠스의 종류

4. 구조 및 특징

쿠스는 구리로 만든 냄비 모양의 몸통에 가죽을 씌운 북으로, 두 개를 한 쌍으로 사용한다.[4][5] 반구형 솥 모양의 점토, 나무, 구리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입구에 가죽을 씌운 형태이다. 가죽이나 나무로 된 북채(가죽 북채는 다부르라고 불렸다)로 연주한다. 메흐테르 중에서도 특히 군대의 권위를 상징하는 악기로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6], , 낙타코끼리 등에 싣고 연주하기도 했다.[7] 또한, 팀파니의 원형이 된 악기이기도 하다.[6]

5. 한국과의 연관성

참조

[1] 서적 Le Livre des rois Paris 1831-68
[2] 간행물 An Outline History of Persian Music and Musical Theory
[3] 서적 Crassus
[4] 웹사이트 キョスとは https://kotobank.jp/[...] 2020-12-29
[5] 웹사이트 メヘテルハーネ {{!}} 聖光学院管弦楽団 http://seiko-phil.or[...] 2020-12-29
[6] 웹사이트 11. 近代西アジアの音楽とヨーロッパ音楽との交渉:トルコを中心に―DSRシルクロードの音楽 http://dsr.nii.ac.jp[...] 2020-12-29
[7] 웹사이트 メヘテルハーネ(キョス、ナッカーラ) https://saisaibatake[...] 2020-12-29
[8] 서적 Le Livre des rois Paris 1831-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