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센트 (여객 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센트는 뉴욕에서 뉴올리언스까지 운행하는 암트랙의 여객 열차이다. 1830년 운행을 시작하여, 펜실베이니아 철도, 사우스턴 철도 등을 거쳐 1979년 암트랙이 운영을 계승했다. 2024년 현재, 미국 법무부는 노퍽 서던 철도가 크레센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으며, 2023년 남행 열차의 정시 운행률은 약 25%에 불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앨라배마주의 여객 철도 - 선셋 리미티드
선셋 리미티드는 1894년 서던 퍼시픽 철도가 운행을 시작하여 암트랙에 인수된 미국의 장거리 여객 열차 노선으로, 여러 사고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는 뉴올리언스와 로스앤젤레스를 주 3회 연결하며 동쪽 구간 운행은 중단된 상태이고 확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미시시피주의 여객 철도 - 선셋 리미티드
선셋 리미티드는 1894년 서던 퍼시픽 철도가 운행을 시작하여 암트랙에 인수된 미국의 장거리 여객 열차 노선으로, 여러 사고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는 뉴올리언스와 로스앤젤레스를 주 3회 연결하며 동쪽 구간 운행은 중단된 상태이고 확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미시시피주의 여객 철도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뉴올리언스의 교통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뉴올리언스의 교통 - 루이 암스트롱 뉴올리언스 국제공항
루이 암스트롱 뉴올리언스 국제공항은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46년 개항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019년 새 터미널을 개장하고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가장 많은 승객을 수송한다.
크레센트 (여객 열차)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장거리 열차 |
운행 지역 | 미국 동부 |
운영 주체 | 암트랙 |
이전 운영 주체 | 서던 철도 (1970–1979) |
노선 기점 | 뉴욕주뉴욕펜실베이니아 역 |
노선 종점 | 루이지애나주뉴올리언스뉴올리언스 역 |
경유 노선 | CSX 교통 노퍽 서던 철도 |
정차역 수 | 33 |
운행 거리 | 2,216 km |
소요 시간 | 하행: 30시간 47분 상행: 32시간 36분 |
운행 횟수 | 매일 1회 왕복 |
열차 번호 | 19 (하행) 20 (상행) |
좌석 등급 | 일반석 침대석 |
객차 종류 | 암플리트 뷰라이너 |
최고 속도 | 최대 201 km/h (북동 회랑) |
수송량 | 304,086명 |
운행 정보 | |
운행 시작 | 1830년 |
좌석 | 예약제 일반 좌석 |
침대 | 뷰라이너 룸메트 (2인용) 뷰라이너 침실 (2인용) 뷰라이너 침실 스위트 (4인용) 뷰라이너 접근성 침실 (2인용) |
식사 | 식당차 라운지 카페 차량 |
수하물 | 선택된 역에서 수하물 위탁 가능 |
기타 정보 | |
열차 이름 | 크레센트 |
회사 색상 | '#336699' |
사용 차량 | AEM-7 ACS-64/GE P42DC 암프리트 뷰라이너 |
노선도 | |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서던 철도 시대 (1830년 ~ 1979년)
오늘날의 ''크레센트''는 1941년부터 1970년까지 서던 철도(Southern Railway)가 운행했던 유선형 여객 열차인 ''서던너''(Southerner)의 직계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서던너''는 현재의 ''크레센트''와 거의 동일한 노선인 뉴욕과 뉴올리언스 사이를 워싱턴 D.C., 애틀랜타, 버밍햄을 경유하여 운행하며 침대차 서비스를 제공했다.''서던너'' 운행 초기부터 자매 열차 격인 서던 철도의 또 다른 뉴욕-뉴올리언스 침대차 ''크레센트''가 있었다. 두 열차는 뉴욕과 애틀랜타 사이에서는 대체로 같은 경로를 공유했지만, 애틀랜타와 뉴올리언스 사이에서는 경로가 달랐다. ''크레센트''는 모빌과 몽고메리를 거치는 해안 노선을 따라 애틀랜타 및 웨스트 포인트 철도, 앨라배마 서부 철도, 루이빌 및 내슈빌 철도의 선로를 이용했다. 반면 ''서던너''는 버밍햄을 경유하는 서던 철도 소유의 내륙 노선을 독점적으로 사용했다.
뉴욕 ~ 워싱턴 D.C. 구간은 펜실베이니아 철도(Pennsylvania Railroad, PRR)가 운행을 담당했다. 1950년대 초반에는 차량이 유선형으로 개조되었으며, 1954년부터는 선셋 리미티드 열차와 연계하여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까지 직통하는 침대차가 편성되었다. 이 구간에는 좌석차를 중심으로 한 ''서던너''도 함께 운행되었다.

1970년, 서던 철도는 여객 운송 중단을 원하는 다른 철도 회사들의 압박 속에서 ''서던너''와 ''크레센트''를 ''서던 크레센트''(Southern Crescent)라는 하나의 열차로 통합했다. 이 새로운 열차는 모빌 대신 버밍햄을 경유하는 기존 ''서던너''의 노선을 따랐다. 버밍햄 노선이 거리는 약간 더 길었지만, 서던 철도가 완전히 소유하고 있어 운행 안정성이 더 높았다. ''서던 크레센트''는 남행 1번, 북행 2번의 열차 번호를 부여받았다.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운송 계약을 승계한 펜 중앙 철도(Penn Central Transportation Company)가 워싱턴 D.C.와 뉴욕 사이의 노스이스트 코리더 구간 운행을 담당했다.
1970년대 대부분 동안 ''서던 크레센트''는 이전 뉴욕-뉴올리언스 열차였던 ''피에몬트 리미티드''에 의해 보완되었다. ''피에몬트 리미티드''는 ''서던 크레센트'' 노선의 중간 구간을 운행하는 지역 서비스로 축소되어, 처음에는 애틀랜타-워싱턴 구간을, 이후에는 샬럿-워싱턴 및 솔즈베리–워싱턴 구간을 운행했다.
1971년 5월 1일 암트랙이 미국의 대부분 도시 간 여객 열차 운영을 인수했지만, 서던 철도는 초기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서던 크레센트'' 운행을 계속했다. 암트랙은 펜 중앙 철도의 여객 서비스 대부분과 함께 ''서던 크레센트''의 노스이스트 코리더 구간 운송 계약을 승계했다. 1970년대 중반 일부 기간 동안 ''서던 크레센트''는 애틀랜타와 뉴올리언스 사이 구간을 주 3회만 운행했으며, 해당 운행일에는 암트랙의 선셋 리미티드와 연결하기 위해 암트랙 소유의 10-6 침대차를 편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서던 철도는 암트랙 객차가 자사의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될 경우, 자체 보유한 침대차로 대체하기도 했다. 또한, 애틀랜타 남쪽 구간에는 서던 철도가 보유한 돔형 객차 두 대 중 한 대가 추가로 편성되기도 했다.
''서던 크레센트''는 리오 그란데 제퍼와 함께 미국에서 마지막까지 민간 기업이 운영한 장거리 여객 열차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계속되는 수익 손실과 노후화된 차량 교체 비용 부담으로 인해 서던 철도는 결국 여객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1979년 서던 철도는 ''서던 크레센트''의 운영권을 암트랙에 넘겨주었고, 이후 암트랙이 운행을 계승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2. 암트랙 시대 (1979년 ~ 현재)
1979년 2월 1일, 서던 철도는 ''Southern Crescent''의 완전한 운영권을 암트랙에 넘겼다. 암트랙은 열차 이름을 ''크레센트''로 단순화하고 열차 번호를 남행 19번, 북행 20번으로 새로 부여했다. 다만 서던 철도는 수년 동안 이 열차에 자체 운영 번호 819번(남행)과 820번(북행)을 계속 사용했다.[1][2] 1981년부터는 재건된 헤리티지 플릿(Heritage Fleet) 객차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
1989년 10월 28일, 암트랙은 버밍햄과 모빌 사이에 ''걸프 브리즈''('Gulf Breeze')라는 이름의 ''크레센트'' 연장 구간 운행을 시작했다. 이 구간은 예산 문제로 1995년 4월 1일에 운행이 중단되었다.[4] 대체 교통수단으로 암트랙 쓰루웨이 버스가 운행되었으나, 이마저도 1997년 10월 16일에 운행이 종료되었다. ''크레센트''의 애틀랜타-뉴올리언스 구간은 1995년 4월 2일부터 1996년 11월 11일까지 주 3회로 운행 횟수가 줄어들기도 했다(단, 1995년 11월부터 1996년 2월까지는 주 4회 운행).[4]
2005년 8월,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앨라배마 지역을 강타하면서 ''크레센트''는 일시적으로 애틀랜타까지만 운행되었다. 노퍽 서던 철도가 걸프 해안 지역의 선로 피해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열차 운행은 우선 메리디언까지 재개되었다. 암트랙은 2005년 10월 9일에 ''크레센트''와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의 뉴올리언스 운행을 완전히 복구했다.[5]
2017년 7월 10일부터 9월 1일까지는 뉴욕 펜 스테이션의 선로 보수 공사로 인해 열차가 뉴욕 대신 워싱턴 D.C.에서 시종착했다.[6] 2019년 10월 1일부터는 기존의 식당차 서비스가 중단되고, 메뉴가 축소된 '플렉시블 다이닝'(Flexible Dining) 서비스로 대체되었다. 이에 따라 식당차는 침대차 승객 전용 라운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7]
암트랙의 네트워크 성장 전략(NGS)의 일환으로, 2000년대 초부터 메리디언에서 포트워스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2002년까지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암트랙이 NGS 계획을 포기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8] 2023년 3월, 암트랙은 이 제안을 다시 연구하기 위해 연방 정부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는 캔자스 시티 서던 철도(KCS)가 캐나다 퍼시픽 철도와 합병하여 캐나다 퍼시픽 캔자스 시티가 되는 것이 미국 지표 운송 위원회(Surface Transportation Board)의 승인을 받는 조건에 달려 있었는데, 이는 KCS가 해당 구간에서의 열차 운행을 지속적으로 반대해왔기 때문이다.[9] 합병은 2023년 3월 15일에 승인되었고,[10] 2023년 4월 14일에 공식 발효되어 연장 계획 추진의 길이 열렸다.[11][12] 2023년 6월, 암트랙은 I-20 회랑을 따라 미시시피에서 텍사스까지 서비스를 확장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한 자금 지원을 신청했다.[13]
2024년 7월, 미국 법무부는 노퍽 서던 철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노퍽 서던이 소유한 약 약 1834.65km 구간에서 연방 법률에 따라 암트랙의 ''크레센트'' 열차에 운행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 소송과 암트랙 감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남행 ''크레센트'' 열차 4대 중 약 1대만이 정시에 목적지에 도착했다. 노퍽 서던 대변인은 최근 몇 달간 해당 노선의 지연이 감소했으며 "법을 준수하고 협력하며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3. 운행 노선
크레센트 열차가 이용하는 철로는 과거 펜실베이니아 철도, 리치몬드, 프레데릭스버그 앤 포토맥 철도, 사우스턴 철도, 노스캐롤라이나 철도 시스템의 일부였으며, 현재는 각각 암트랙, CSX 트랜스포테이션, 노포크 서던 철도가 소유하거나 관리하고 있다. 운행 구간별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간 | 과거 소유/운행 | 현재 소유/관리 |
---|---|---|
뉴욕 시 ~ 워싱턴 D.C. | 펜실베이니아 철도 | 암트랙 (노스이스트 코리더) |
워싱턴 D.C. ~ 알렉산드리아 (버지니아) | 리치몬드, 프레데릭스버그 앤 포토맥 철도 | CSX 트랜스포테이션 |
알렉산드리아 ~ 댄빌 (버지니아) | 사우스턴 철도 (버지니아 미들랜드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댄빌 ~ 그린즈버러 (노스캐롤라이나) | 사우스턴 철도 (피에몬트 항공 노선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그린즈버러 ~ 샬럿 (노스캐롤라이나) | 사우스턴 철도 임대 (노스캐롤라이나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관리 |
샬럿 ~ 애틀랜타 (조지아) | 사우스턴 철도 (애틀랜타 앤 샬럿 항공 노선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애틀랜타 ~ 버밍햄 (앨라배마) | 사우스턴 철도 (조지아 퍼시픽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버밍햄 역 인근 선로 | 루이빌 앤 내슈빌 철도 | CSX 트랜스포테이션 |
버밍햄 ~ 메리디안 (미시시피) | 사우스턴 철도 (앨라배마 그레이트 서던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메리디안 ~ 뉴올리언스 (루이지애나) | 사우스턴 철도 (뉴올리언스 앤 노스이스턴 철도) | 노포크 서던 철도 |
과거 뉴욕-워싱턴 D.C. 구간은 펜실베이니아 철도(Pennsylvania Railroad, PRR)가 운행했다. 1950년대 초에는 열차 차량이 유선형으로 개조되었으며, 1954년부터는 선셋 리미티드 열차와 연결되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까지 직통하는 침대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또한, 같은 구간에 좌석차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사우서너(Southerner) 열차도 있었다.
1971년 암트랙이 출범했을 때, 크레센트는 사우스턴 철도가 계속 운행을 맡았으나, 1979년부터 암트랙이 운행을 넘겨받아 현재까지 매일 운행하고 있다.
4. 정차역
암트랙 (도시간): 아셀라, 애디론댁, 버크셔 플라이어, 캐롤리니언, 엠파이어 서비스, 에단 알렌 익스프레스, 키스톤 서비스, 메이플 리프, 노스이스트 리저널, 펜실베이니언, 버몬터
LIRR: 메인 라인, 포트 워싱턴 지선
NJ Transit: 노스 저지 코스트 라인, 노스이스트 코리더 라인, 글래드스톤 지선, 몬트클레어-분턴 라인, 모리스타운 라인
NYC 지하철: IRT 브로드웨이-7번 애비뉴 선, IND 8번 애비뉴 선
PATH: 호보컨-33번가, 저널 스퀘어-33번가, 저널 스퀘어-33번가 (호보컨 경유)
NYC Transit 버스
NJ Transit: 노스 저지 코스트 라인, 노스이스트 코리더 라인, 라리탄 밸리 라인
PATH: 뉴어크-세계 무역 센터
뉴어크 경전철
NJ Transit 버스
NJ Transit: 노스이스트 코리더 라인, 리버 라인
SEPTA 지역 철도: 트렌턴 라인
NJ Transit 버스, SEPTA 교외 버스
뉴저지 트랜싯 철도: 노스이스트 코리더 라인
지역 버스: NJ Transit 버스
SEPTA 지역 철도: 모든 노선
NJ Transit: 애틀랜틱 시티 라인
SEPTA 메트로: 마켓-프랭크포드 선, 지하-지상 트롤리 선
SEPTA 시내 버스, SEPTA 교외 버스
SEPTA 지역 철도: 윌밍턴/뉴어크 라인
DART 퍼스트 스테이트
그레이하운드
MARC: 펜 라인
라이트 레일 링크
MTA 메릴랜드, 참 시티 서큘레이터
BWI 마샬 공항 셔틀 ~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
MTA 메릴랜드, UMBC 교통
유니언 역
MARC: 브런즈윅 라인, 캠던 라인, 펜 라인
VRE: 머내서스 라인, 프레더릭스버그 라인
메트로: 레드 라인
DC 스트리트카: H 스트리트/베닝 로드 라인
메트로버스, DC 서큘레이터, MTA 메릴랜드, 라우던 카운티 교통, 옴니라이드
시외 버스: 그레이하운드, 메가버스, 볼트버스, BestBus, 피터 팬, OurBus
VRE: 프레더릭스버그 라인, 머내서스 라인
메트로: 블루 라인, 옐로 라인
메트로버스, DASH
VRE: 머내서스 라인
PRTC
샬러츠빌 지역 교통
그레이하운드
그레이터 린치버그 교통 회사
그레이하운드
그린즈버러 교통국, 피드몬트 지역 교통국
그레이하운드
피드몬트 지역 교통국
샬럿 지역 교통 시스템
그레이하운드
그레이하운드
유니언 여객 터미널
스트리트카: 램파트-세인트 클로드 스트리트카 라인, 로욜라-리버프런트 스트리트카 라인
RTA 버스
그레이하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