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젤 기관차는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운행하는 철도 기관차를 의미하며,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액체식으로 분류된다. 디젤 전기 기관차는 디젤 엔진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 전력으로 견인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며, 유압식 디젤 기관차는 디젤 엔진의 동력을 토크 컨버터와 유체 변속기를 통해 바퀴에 전달한다. 디젤 기관차는 증기 기관차에 비해 효율성, 유지보수 용이성, 운전 편의성이 뛰어나 널리 사용되었으며, 미국, 일본 등에서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디젤 기관차는 질소산화물과 미세 입자를 배출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친환경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차 - 연결봉
연결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계 장치로,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며,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특수한 형태로도 사용된다. - 기관차 - 일본화물철도 HD300형 하이브리드 기관차
일본화물철도 HD300형 하이브리드 기관차는 노후화된 입환용 기관차를 대체하고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디젤 발전기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직렬 하이브리드 방식의 기관차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배출 가스를 줄인 것이 특징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디젤 기관차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기관차 |
동력 방식 | 디젤 엔진 |
작동 원리 | |
동력 전달 방식 | 디젤-전기 방식 |
역사 | |
발명자 | 루돌프 디젤 |
특허 | 미국 특허 제608,845호 |
속도 | |
최고 속도 | 238 km/h |
최고 속도 (영국) | 201 km/h |
성능 | |
출력 범위 | 447 kW - 895 kW |
높이 | 2.5 m |
2. 분류
디젤 기관차는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액체식(유압식) 세 가지로 분류된다. 디젤 동력만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식 디젤 기관차는 디젤 전기 기관차라고도 한다.[9]
동력은 내연기관에서 얻어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차축(구동륜)으로 전달되어 차륜을 회전시켜 구동한다.
2. 1. 기계식 디젤 기관차
내연기관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차축(구동륜)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차륜을 회전시켜 구동한다. 동력 전달 방식에는 기계식, 전기식, 유체식의 3가지가 있다.[9] 1894년, 프리스트먼 브라더스가 제작한 20hp급 2축 기계가 헐 독스에서 사용되었다.[11][12]자동차의 수동변속기와 마찬가지로, 디젤 엔진의 동력을 클러치로 차단하고, 기어박스의 기어 조합을 바꾸어 필요한 구동력을 얻는 기관차이다.
2. 2. 전기식 디젤 기관차 (디젤 전기 기관차)
디젤 엔진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력을 얻고, 이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기관차이다. 디젤 전기 방식이라고도 불리며, 발전기를 탑재한 전기 기관차라고도 할 수 있다.[14]디젤 엔진의 효율적인 운전 범위와 관계없이 모터의 토크를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속도와 부하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출력 제어가 간편하여 이 방식을 채택했지만, 발전기와 주전동기의 무게로 축중이 커지기 쉽고 궤도 강화가 당시의 국철(일본국유철도)에서는 따라가지 못했던 점, 차량 자체의 고출력화에도 한계가 있어, 유체식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채택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기관차용 대용량 유체식 변속기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시 전기식 채택이 이루어졌다.
미국의 경우, 디젤 기관차의 거의 전부가 이 방식인데, 이는 유체식의 대출력에 견딜 수 있는 변속기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현대 디젤 기관차의 주류를 이루며, 한국에서도 대부분의 디젤 기관차가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는 다음과 같다:
- DC11
- DD10
- DD12
- DD41→DD90
- DD50
- DF40→DF91(2대째)
- DF41→DF92
- DF50
- DF90
- DF91(1대째)
- DD200
- DF200
- DE601(태평양 석탄 판매 수송)
- D-301(신일본제철 묵란제철소)
2. 3. 유압식 디젤 기관차
디젤 엔진의 출력을 토크 컨버터와 기어를 조합한 유체 변속기를 통해 변속하여 동륜에 전달함으로써 구동력을 얻는 기관차이다. 유압식 디젤 기관차는 전기식에 비해 가볍고, 축중(軸重)이 낮아 궤도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15]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일본에서는 유압식이 전기식을 대체하여 표준이 되었다.일본 외에도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유압식 디젤 기관차가 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DD13형과 같이 일부 소형 기관차에 유압식 변속기가 적용된 사례가 있다.
다음은 유압식 디젤 기관차의 예시이다.
차종 | 사용 국가/철도 회사 |
---|---|
DD11 | 일본국유철도 |
DD13 | 일본국유철도 |
DD14 | 일본국유철도 |
DD15 | 일본국유철도 |
DD16 | 일본국유철도 |
DD17 | 일본국유철도 |
DD18 | JR 동일본 (표준궤용) |
DD19 | 일본국유철도 (표준궤용) |
DD20 | 일본국유철도 |
DD20 | 오이가와 철도 |
DD21 | 일본국유철도 |
DD51 | 일본국유철도 |
DD53 | 일본국유철도 |
DD54 | 일본국유철도 |
DD91 | 일본국유철도 |
DE10 | 일본국유철도 |
DE11 | 일본국유철도 |
DE15 | 일본국유철도 |
DE50 | 일본국유철도 |
DB500 | JR 화물 |
911 | 일본국유철도 (표준궤용) |
1897년 독일에서 디젤 엔진이 발명되었다. 디젤 엔진을 제외한 다른 내연 기관은 전기 기관차보다 더 빠른 19세기 중반 무렵에 개발되었다. 그러나 내연 기관은 증기 기관이나 전기 모터와 달리 회전수에 관계없이 발생 토크가 거의 일정하여, 출발 및 가속 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철도 차량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토크 증대 장치가 필요했다. 이 때문에 철도 차량 도입에는 긴 세월이 걸렸다.
3. 역사
이후 기계식·전기식·액체식 동력 전달 기구의 개발이 진행되어, 1930년대부터 전기식 디젤 기관차가 미국 등에서 본격적으로 실용화되었다.[59] 1950년대부터 독일이 대형 유체 변속기를 개발하고 1960년대 이후에는 2,000 마력(PS)급 엔진을 탑재한 기관차가 다수 제작되어, 간선에서 열차 견인에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59]
현재(2013년 3월)는 선진국·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비전화 노선에서 사용되는 내연 기관차의 대부분은 디젤 기관차이다. 국가에 따라서는 5,000 PS를 넘는 출력을 가진 기관차도 있으며, 운전과 보수가 용이하고 전달 효율이 좋은 전기식이 주류이다.[60] 형태로는 운전대를 한 곳에 모은 것이 많다.
최근(2013년 3월)에는 환경 문제(기관차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산성비·지구 온난화 등)가 심각해지면서, 철도 차량에도 에너지 효율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기, 전기 모터의 교류화, 컴퓨터 제어의 대폭적인 채용 등 기술 혁신을 통해 디젤 기관차의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61]
일본에서는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기 이전부터 가솔린, 등유 등을 연료로 하는 소형 내연 기관차가 일부 사용된 실적이 있었다.[62] 메이지 37년(1904년)에 오사카부의 후쿠오카 철공소가 석탄가스 엔진을 사용한 국산 최초의 후쿠오카식 석유 발동 기관차(내연 기관차)를 제조, 실용화한 것이 시작이다. 또한, 철도성에서도 이후 본격적인 국산화[63]를 목표로 독일에서 국철 DC11형(DC11形)과 국철 DC10형(DC10形)을 샘플로 수입했다.[64] 그러나 이 시대의 것은 초기의 제품이기 때문에 출력과 신뢰성이 크게 부족하여 본격적으로 증기 기관차를 대체할 수는 없었다.
일본에서 디젤 기관차의 본격적인 도입은 전후가 되어서인데, 국철에서는 국철 DD50형(DD50形)(1953년)이 그 계기가 된다. 그 후 다양한 기관차가 차량 제작사와 국철에서 개발, 시제작된 가운데, 대량 증비에 이른 것으로는 입환용의 국철 DD13형(DD13形)(1958년 - 1967년, 398량)과 국철 DE10형(DE10形)(1966년 - 1978년, 708량), 본선용의 국철 DD51형(DD51形)(1962년 - 1978년, 649량)이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철도의 전철화 진전과 기관차에 의한 여객 열차·화물 열차의 감소, 초기 제작된 차량의 노후화로 일본에서의 디젤 기관차 가동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일본 디젤 기관차의 형태는 여러 나라와 달리, 화차의 입환 등 운전 방향의 전환에 편리한 凸型(볼록형)이 주류이지만, 일부에는 상자형도 있다. 특수 용도의 것을 제외하고, 양쪽에 (양방향에 대응한) 운전실이 있다.
참고로, 현재도 디젤 기관차는 비전철화 구간의 여객, 화물, 차량 수송(甲種輸送) 등에서 폭넓게 활약하고 있으며, 일본화물철도(JR화물)에서는 화물역 주변의 환경에 배려하여 동사 최초의 입환용 하이브리드식 디젤 기관차인 JR화물 HD300형(HD300形)이 도입되는 등, 단거리 견인이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가진 것도 있다.
3. 1. 세계의 디젤 기관차 역사
1897년 독일에서 디젤 엔진이 발명된 이후, 철도 차량에 내연기관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그러나 내연 기관은 회전수에 관계없이 발생 토크가 거의 일정하여, 출발 및 가속 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철도 차량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토크 증대 장치가 필요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로 인해 철도 차량 도입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세계 최초로 디젤 엔진을 철도 차량에 사용한 것은 독일이었다. 1912년 프로이센 주립 철도를 위해 제작된 최초의 디젤 기관차는 디젤-줄처-클로제식 열기관차(Diesel-Sulzer-Klose-Thermolokomotive)로, 디젤 엔진과 동륜(動輪) 축(軸)을 직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기동에는 공기 압축기를 사용해야 했다. 견인력과 속도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크랭크축과 실린더 파손이 잦았으며, 엔진 소음도 심각하여 민원이 많았다. 결국 1914년에 폐차되어 실패로 끝났다.
1924년에는 러시아 철도를 위해 대형 기관차인 Ge-1형이 제작되었다. 이 기관차는 2013년 3월 기준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 박물관에 정적 보존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디젤 기관차이다.
1929년, 독일 국영 철도(현 독일 철도)를 위해 디젤 엔진으로 압축 공기를 만들고, 그 공기로 실린더, 주연봉, 연결봉으로 바퀴를 구동하는 방식의 기관차(V3201형)가 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증기 기관차는 출발 시 토크는 높지만, 취급은 디젤 기관차가 더 우수했기 때문에, 두 기관의 장점을 살린 키트슨-스틸 증기 디젤 기관차(Kitson-Still Steam-Diesel Locomotive)도 제작되었지만, 출력과 경제성이 증기 기관차를 능가하지 못해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기계식, 전기식, 액체식 동력 전달 기구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1930년대부터 미국 등에서 전기식 디젤 기관차가 본격적으로 실용화되었다.[59] 1900년대 초반 미국은 증기 기관차를 몰아내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 미국 대부분의 철도가 디젤 기관차를 채택했다. 미국은 국토가 넓어 동부와 서부를 횡단하는 대형 열차 운행과 화물 수송을 위해 초대형 디젤 기관차 또한 발달했다. 미국의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부터는 독일에서 대형 유체 변속기가 개발되었고, 1960년대 이후에는 2,000 마력(PS)급 엔진을 탑재한 기관차가 다수 제작되어 간선에서 열차 견인에 많이 사용되었다.[59]
일본에서는 1920년대부터 일부 가솔린-전기 동차가 생산되었다. 일본 철도 최초의 디젤-전기식 동력과 최초의 유선형 차량은 기하 43000계(キハ43000系)의 DMU3 두 대였다.[16] 일본 최초의 디젤 기관차 시리즈는 1950년부터 개발되어 1953년부터 운행된 쌍둥이 기관차인 DD50형(国鉄DD50形)이었다.[17]
2013년 3월 현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비전화 노선에서 사용되는 내연 기관차의 대부분은 디젤 기관차이다. 국가에 따라서는 5,000 PS를 넘는 출력을 가진 기관차도 있으며, 운전과 보수가 용이하고 전달 효율이 좋은 전기식이 주류이다.[60]
최근(2013년 3월)에는 환경 문제(기관차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 산성비, 지구 온난화 등)가 심각해지면서, 철도 차량에도 에너지 효율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기, 전기 모터의 교류화, 컴퓨터 제어의 대폭적인 채용 등 기술 혁신을 통해 디젤 기관차의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61]
3. 2. 한국의 디젤 기관차 역사
2025년 현재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 전기 기관차 206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전기 기관차나 7600호대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66][67]
종류 | 형식명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2000호대 | SW8 | 1955~2003 | 41 | 0 |
2100호대 | SW1001 | 1969~2005 | 28 | 0 |
3000호대 | G8 | 1958~2003 | 52 | 0 |
3100호대 | ALCO DL-532 | 1966~2000 | 6 | 0 |
3200호대 | ALCO DL-532 | 1966~2004 | 43 | 0 |
4000호대 | G12 | 1963~1995 | 10 | 0 |
4100호대 | G12 | 1966~1998 | 10 | 0 |
4200호대 | G22 | 1967~2004 | 22 | 0 |
4300호대 | G12 | 1963~1998 | 5 | 0 |
4400호대 | GT18B-M | 2001~2034 | 59 | 59 |
5000호대 | SD9 | 1957~1998 | 29 | 0 |
6000호대 | SD18 | 1963~1998 | 15 | 0 |
6100호대 | SDP28 | 1966~1998 | 6 | 0 |
6200호대 | SDP38 | 1967~1998 | 40 | 0 |
6300호대 | G26CW | 1969~1997 | 10 | 0 |
7000호대 | FT36HCW-2 | 1986~2012 | 15 | 0 |
7100호대 | GT26CW | 1975~2019 | 90 | 0 |
7200호대 | GT26CW | 1971~2019 | 40 | 0 |
7300호대 | GT26CW-2 | 1989~2026 | 83 | 25 |
7400호대 | GT26CW-2 | 1997~2030 | 84 | 66 |
7500호대 | GT26CW, GT26CW-2 | 1971~2030 , 1996~2028 | 83 | 34 |
7600호대 | PH37ACai | 2014~2039 | 25 | 25 |
9100호대 | 1969~2007 | 2 | 0 |
4. 한국의 주요 디젤 기관차 형식
2025년 현재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 기관차는 총 206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전기 기관차나 7600호대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66][67]
종류 | 형식명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2000호대 | SW8 | 1955~2003 | 41 | 0 |
2100호대 | SW1001 | 1969~2005 | 28 | 0 |
3000호대 | G8 | 1958~2003 | 52 | 0 |
3100호대 | ALCO DL-532 | 1966~2000 | 6 | 0 |
3200호대 | ALCO DL-532 | 1966~2004 | 43 | 0 |
4000호대 | G12 | 1963~1995 | 10 | 0 |
4100호대 | G12 | 1966~1998 | 10 | 0 |
4200호대 | G22 | 1967~2004 | 22 | 0 |
4300호대 | G12 | 1963~1998 | 5 | 0 |
4400호대 | GT18B-M | 2001~2034 | 59 | 59 |
5000호대 | SD9 | 1957~1998 | 29 | 0 |
6000호대 | SD18 | 1963~1998 | 15 | 0 |
6100호대 | SDP28 | 1966~1998 | 6 | 0 |
6200호대 | SDP38 | 1967~1998 | 40 | 0 |
6300호대 | G26CW | 1969~1997 | 10 | 0 |
7000호대 | FT36HCW-2 | 1986~2012 | 15 | 0 |
7100호대 | GT26CW | 1975~2019 | 90 | 0 |
7200호대 | GT26CW | 1971~2019 | 40 | 0 |
7300호대 | GT26CW-2 | 1989~2026 | 83 | 25 |
7400호대 | GT26CW-2 | 1997~2030 | 84 | 66 |
7500호대 | GT26CW, GT26CW-2 | 1971~2030 , 1996~2028 | 83 | 34 |
7600호대 | PH37ACai | 2014~2039 | 25 | 25 |
9100호대 | 1969~2007 | 2 | 0 |
5. 다른 나라의 디젤 기관차
다른 나라에서도 디젤 기관차가 널리 사용되었다.
미국은 1930년대부터 대부분의 철도에서 디젤 기관차를 채택했다. 넓은 영토를 가진 미국은 동부와 서부를 횡단하는 대형 열차 운영과 화물 수송을 위해 초대형 디젤 기관차가 발달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부터 디젤 기관차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여러 형식이 도입되어 운행 시험을 거쳤으며, 이후 DD51형 디젤 기관차가 표준화되어 널리 사용되었다.[16] 1980년대 이후로는 철도의 전철화와 여객/화물 열차 감소로 디젤 기관차의 가동 수가 감소 추세에 있지만, 비전철화 구간의 여객, 화물, 차량 수송 등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5. 1. 미국
1900년대 초반 미국은 증기 기관차를 몰아내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 미국 대부분의 철도가 디젤 기관차를 채택했다. 미국은 가로로 긴 국가이며 영토가 넓어, 동부와 서부를 횡단하는 대형 열차 운영과 화물 수송을 위해 초대형 디젤 기관차가 발달했다. 미국의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주었다.5. 2. 일본
일본에서는 1950년대부터 디젤 기관차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여러 형식이 도입되어 운행 시험을 거쳤으며, 이후 DD51형 디젤 기관차가 표준화되어 널리 사용되었다.[16]일본에서는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기 이전부터 가솔린, 등유 등을 연료로 하는 소형 내연 기관차가 일부 사용되었다.[62] 1920년대부터 일부 가솔린-전기 동차가 생산되었고, 일본 철도 최초의 디젤-전기식 동력과 최초의 유선형 차량은 기하 43000계(キハ43000系)의 DMU3 두 대였다.[16] 일본 최초의 디젤 기관차 시리즈는 1950년부터 개발되어 1953년부터 운행된 쌍둥이 기관차인 DD50형(国鉄DD50形)이었다.[17] 그러나 이 시대의 내연 기관차는 출력과 신뢰성이 크게 부족하여 증기 기관차를 대체할 수는 없었다.
본격적인 도입은 전후가 되어서인데, 국철에서는 국철 DD50형(DD50形)(1953년)이 그 계기가 되었다. 그 후 다양한 기관차가 차량 제작사와 국철에서 개발, 시제작되었으며, 대량 증비에 이른 것으로는 입환용의 국철 DD13형(DD13形)(1958년 - 1967년, 398량)과 국철 DE10형(DE10形)(1966년 - 1978년, 708량), 본선용의 국철 DD51형(DD51形)(1962년 - 1978년, 649량)이 있다.
1980년대 이후, 철도의 전철화 진전과 기관차에 의한 여객 열차·화물 열차의 감소, 초기 제작된 차량의 노후화로 일본에서의 디젤 기관차의 가동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일본의 디젤 기관차는 다른 나라와 달리, 화차의 입환 등 운전 방향의 전환에 편리한 凸型(볼록형)이 주류이지만, 일부에는 상자형도 있다. 특수 용도의 것을 제외하고, 양쪽에 (양방향에 대응한) 운전실이 있다.
현재도 디젤 기관차는 비전철화 구간의 여객, 화물, 차량 수송(甲種輸送) 등에서 폭넓게 활약하고 있으며, 일본화물철도(JR화물)에서는 화물역 주변의 환경에 배려하여 동사 최초의 입환용 하이브리드식 디젤 기관차인 JR화물 HD300형(HD300形)을 도입하는 등, 단거리 견인이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6. 환경 문제 및 대응
디젤 기관차는 질소산화물(NOx)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저공해 엔진,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이 적용된 친환경 디젤 기관차가 등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s fastest diesel locomotive will run again at Ruddington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23-07-22
[2]
특허
Internal-combustion engine
http://www.google.co[...]
[3]
서적
Der Automobilmotor im Eisenbahnbetriebe
Salzwasserverlag
[4]
웹사이트
Enzyklopädie des Eisenbahnwesens → Elektrische Eisenbahnen → VII. Automobile Triebwagen → zu b Benzin-, Benzol- oder Gasolin-elektrischen Triebwagen
http://www.zeno.org/[...]
[5]
웹사이트
Self-Contained Railway Motor Cars and Locomotives
https://archive.org/[...]
[6]
웹사이트
Arader und Csanáder Eisenbahnen Vereinigte Aktien-Gesellschaft
http://www.zeno.org/[...]
[7]
웹사이트
Museal railcars of BHÉV and their history
http://villamosok.hu[...]
[8]
웹사이트
Diesel–Electric Locomotives
https://www.up.com/a[...]
Union Pacific
2022-05-12
[9]
간행물
Motive power for British Railways
http://www.gracesgui[...]
2014-02-28
[10]
간행물
1888-05-04
[11]
간행물
[12]
서적
railway Locomotives
Frederick Muller
[13]
서적
The British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 1894–1940
David & Charles
[14]
서적
Theorie und Konstruktion eines rationellen Wärmemotors zum Ersatz der Dampfmaschine und der heute bekannten Verbrennungsmotoren
Springer
[15]
서적
Deutsches Lok-Archiv: Diesellokomotiven 4. Auflage
Transpress
[16]
웹사이트
DD50 5 DD50 2|随時アップ:消えた車輌写真館|鉄道ホビダス
http://rail.hobidas.[...]
[17]
웹사이트
キハ43000の資料 – しるねこの微妙な生活/浮気心あれば水心!?
http://blogs.yahoo.c[...]
[18]
웹사이트
vecchia loco ferrovie della Calabria – Ferrovie.it
http://www.ferrovie.[...]
[19]
서적
Geschichte der italienischen Elektro- und Diesellokomotiven
Orell Füesli Verlag
[20]
웹사이트
The first russian diesel locos
http://izmerov.narod[...]
[21]
서적
American Railroad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특허
US Patent #493,425
http://edison.rutger[...]
2007-02-08
[23]
특허
US Patent #1,154,785
https://patents.goog[...]
2007-02-08
[24]
참고자료
[25]
서적
Evolution of the American Diesel Locomotive
Indiana University Press
[26]
뉴스
Railroads To Try Diesel Locomotive
1925-02-18
[27]
학회발표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567 Series General Motors Locomotive Engine
https://books.google[...]
Electro-Motive Division, General Motors Corporation
1951-11-29
[28]
간행물
Diesel Streamliners Now Link Coast-to-Coast
https://books.google[...]
1937-08
[29]
서적
Locomotive
[30]
서적
Rails through the Wilderness
New South Wales University Press
[31]
서적
No. 259 : the curious story of a forgotten locomotive
Railmac Publications
[32]
서적
Rail Motors and XPTs
ARHS, NSW Division
[33]
서적
The field guide to trains : locomotives and rolling stock
2016-06-15
[34]
Youtube
Рекордные испытания ТЭП80-0002 05.10.1993.TEP80 world speed record 271 km/h
[35]
웹사이트
Shunting locomotives
https://johncockeril[...]
[36]
웹사이트
Locomotives
http://www.gia.se/gi[...]
2014-02-01
[37]
서적
Railway Maintenance Equipment: The Men and Machines That Keep the Railroads Running
Voyager Press
[38]
웹사이트
Voith Maxima product folder
http://voithturbo.co[...]
Voith Turbo Lokomotivtechnik
2010-08-01
[39]
서적
Diesel Locomotives: The First Fifty Years
Kalmbach
[40]
뉴스
Suruliputus saatteli veturit viimeiselle matkalle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The Paragon-Cristiani Compressed Steam System
http://www.aqpl43.ds[...]
[42]
웹사이트
A German Diesel–Pneumatic Locomotive
http://www.douglas-s[...]
Douglas-self.com
2011-08-20
[43]
뉴스
UK Money Guide – Borrow Money Today
http://www.strps.org[...]
2009-01-17
[44]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Flameproof Diesel Vehicle Applied New Exhaust Gas Dry Type Treatment System
http://sciencelinks.[...]
Sciencelinks.jp
2009-03-18
[45]
뉴스
Engineering gets $1 million grant to make locomotives leaner, greener
http://www.niu.edu/n[...]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08-09-22
[46]
뉴스
Attention to Locomotives' Emissions Renewed
https://www.washingt[...]
2006-08-14
[47]
뉴스
Metra finds 'alarming' pollution on some trains
https://www.chicagot[...]
2011-02-14
[48]
뉴스
Study: Installed Traps In Diesel Engines Reduce Pollution Levels
http://topnews.us/co[...]
2011-04-13
[49]
뉴스
Pollution on Metra Trains Worse Than Thought: Report
http://www.myfoxchic[...]
2011-02-14
[50]
뉴스
Black Carbon Testing Finds High Levels
https://www.nytimes.[...]
2011-04-21
[51]
웹사이트
Multi-Engine GenSet Ultra Low Emissions Road-Switcher Locomotive
http://www.northeast[...]
National Railway Equipment Company
[52]
웹사이트
Railpower Technologies Products
http://www.railpower[...]
[53]
웹사이트
RJ Corman Railpower Genset & Hybrid Switchers
http://www.trainweb.[...]
2013-08-16
[54]
간행물
Standardisation and Comparative Costs of Motive Power on B.R.
1951-01-01
[55]
웹사이트
How to Boot a Steam Locomotive
http://www.sdrm.org/[...]
San Diego Railroad Museum
[56]
웹사이트
SmartStart® IIe – Automatic Engine Start/Stop System
http://www.ztr.com/s[...]
2013-08-16
[57]
서적
Stover
[58]
논문
Economic results of diesel–electric motive power on the railways in the United States
[59]
서적
電気機関車とディーゼル機関車(改訂版)
交通ブックス
[60]
서적
電気機関車とディーゼル機関車(改訂版)
交通ブックス
[61]
서적
電気機関車とディーゼル機関車(改訂版)
交通ブックス
[62]
서적
夕張
[63]
기타
[64]
기타
[65]
웹사이트
鉄道事業及び軌道業を営む者の有する固定資産の分類と個々の資産の耐用年数について(昭和63年10月6日)
https://www.nta.go.j[...]
[66]
기타
[6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