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이스트 코리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워싱턴 D.C.에서 보스턴까지 연결되는 미국의 주요 철도 노선으로, 암트랙의 아셀라 익스프레스, 노스이스트 리저널, 다양한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 주요 경유 도시로는 볼티모어, 윌밍턴, 필라델피아, 뉴욕 등이 있으며, 1830년대부터 건설된 여러 노선을 통합하여 형성되었다. 현재 암트랙과 여러 주 정부 기관이 선로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전철화 방식은 구간별로 다르다.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게이트웨이 프로젝트, 해롤드 인터로킹, 뉴브런즈윅-트렌턴 고속 업그레이드 등 다양한 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시설을 현대화하고 있으며, 고속 열차 아셀라 신규 열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고속철도 노선 -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캘리포니아 고속철도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를 잇고 새크라멘토와 샌디에이고까지 연결될 예정인 고속철도 시스템으로, 이동 시간 단축, 항공 경쟁력 확보, 경제 활성화, 주택난 완화를 목표로 건설 중이나 예산 증가와 지연 등의 난관에 직면해 완공 시기는 불확실하다. - 미국의 고속철도 노선 - 텍사스 센트럴 철도
텍사스 센트럴 철도는 댈러스와 휴스턴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건설을 목표로 하는 회사로, 일본 신칸센 기술 기반의 고속 열차 운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토지 수용권 관련 법적 분쟁 후 암트랙과의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 재개를 모색 중이다. - 로드아일랜드주의 여객 철도 - MBTA 커뮤터 레일
MBTA 커뮤터 레일은 보스턴을 기점으로 12개 노선으로 운행되며, 디젤 기관차를 사용하는 푸시-풀 열차 방식으로 운영되다가 전기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 로드아일랜드주의 여객 철도 - 아셀라 (열차)
아셀라는 미국 북동부 지역을 운행하는 고속 열차로, 보스턴, 뉴욕, 워싱턴 D.C.를 잇는 노선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승객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노후화된 인프라, 사고 및 기술적인 문제, 높은 요금 등의 논란이 있다.
노스이스트 코리더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북동 회랑 |
영어 이름 | Northeast Corridor |
종류 | 고속철도 광역 철도 통근 열차 |
상태 | 운영 중 |
기점 | 워싱턴 D.C. 유니언 역 |
종점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남부역 |
역 수 | 108 (암트랙: 30, 통근: 78) |
개통일 | 1834년 (첫 구간) 1917년 (최종 구간) |
소유자 | 매사추세츠 교통부 (보스턴–매사추세츠/로드아일랜드 경계) 암트랙 (매사추세츠/로드아일랜드 경계–뉴헤이븐) 코네티컷 교통부 (뉴헤이븐–코네티컷/뉴욕 경계) 메트로-노스 철도 (코네티컷/뉴욕 경계–뉴로셸) 암트랙 (뉴로셸–워싱턴) |
운영자 | 암트랙 MBTA CT 레일 메트로-노스 철도 롱 아일랜드 철도 뉴저지 트랜짓 SEPTA MARC |
노선 길이 | 735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가공 전차선 방식: 25 kV AC (60 Hz) (보스턴–뉴헤이븐) 12.5 kV AC (60 Hz) (뉴헤이븐–뉴욕) 12 kV AC (25 Hz) (뉴욕–워싱턴) |
최고 속도 | 240 km/h |
웹사이트 | http://nec-commission.com |
이용자 수 | 11,396,006명 |
운행 정보 | |
노선 | 고속철도 고속철도 향상 도시 간 철도 통근 열차 |
노선 길이 (암트랙) | 362 km 368 km (아셀라 익스프레스) |
2. 운행 노선
전 노선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워싱턴 D.C.에서 보스턴까지 볼티모어, 윌밍턴, 필라델피아, 트렌턴, 뉴어크, 뉴욕, 뉴헤이븐, 프로비던스와 같이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화된 지역을 운행하고 있다. 또한 키스톤 회랑으로 알려진 필라델피아와 피츠버그를 잇는 지선, 뉴헤이븐-스프링필드선(New Haven–Springfield Line)으로 알려진 뉴헤이븐과 스프링필드를 잇는 지선, 엠파이어 회랑으로 알려진 뉴욕과 나이아가라 폭포를 잇는 지선 등 여러 통근 수송 지선이 있다. 미국에서 가장 여객이 많은 역은 뉴욕에 있는 펜실베이니아 역으로, 북동 회랑의 중심 터미널 역이다.
노선의 대부분은 암트랙이 소유, 운영하고 있으며, 고속 철도인 아셀라 익스프레스를 운행하고 있다. 또한 암트랙은 재래 속도의 일반 열차도 운행하며, 각 사철의 화물 열차도 같은 선로를 주행하고 있다. 북동 회랑 주변에서는 전동차 또는 기동차로 지역 수송을 제공하는 사업자로는 메릴랜드 주와 워싱턴 D.C.에서의 MARC(MARC Train), 매사추세츠 주와 로드아일랜드 주에서의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 뉴욕 주와 코네티컷 주에서의 메트로노스 철도, 뉴저지 주와 뉴욕 주에서의 뉴저지 교통국, 펜실베이니아 주, 델라웨어 주, 뉴저지 주 중심부에서의 남동 펜실베이니아 교통국(SEPTA), 코네티컷 주에서의 쇼어 라인 이스트(Shore Line East)가 있다.
북동 회랑의 본선 거의 전체에 걸쳐 95번 주간 고속도로가 바로 옆을 병행하여 주행하고 있어, 고속도로에서 북동 회랑을 볼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코네티컷 주에서는 바로 옆을 주행하고 있으며, 장소에 따라서는 완전히 같은 곡선을 그리며 주행하고 있다.
3. 역사
현재 노스이스트 코리더로 불리는 노선의 대부분은 1830년대 초부터 여러 철도 회사들이 조각조각 건설한 것이다. 1900년 이전에는 이 노선들이 두 개의 길고 연결되지 않은 구간으로 통합되었으며, 각 구간은 주요 철도의 일부였다. 펜실베이니아 철도가 소유한 구간은 워싱턴 D.C.를 기점으로 남쪽에서 뉴욕시로 접근했고, 뉴 헤이븐 철도가 소유한 구간은 보스턴을 기점으로 코네티컷주에서 뉴욕주로 진입했다. 전자는 맨해튼 섬에서 허드슨 강 건너편 뉴저지 페리 선착장에서 종착했다.[7] 후자는 브롱크스까지 연장되었고, 뉴욕 앤 할렘 철도의 궤도 사용 권한을 통해 맨해튼으로 이어졌다. 또한 뉴 로셸에서 뉴 헤이븐에서 브롱크스로 연장되는 할렘 강 앤 포트 체스터 철도를 통해 브롱크스에 도달했다.[8]
1903년부터 1917년까지 두 철도 회사는 노선을 연결하고 사실상 노스이스트 코리더를 완성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여기에는 뉴저지에서 롱아일랜드까지 연장되는 뉴욕 터널 익스텐션 (이 터널은 맨해튼 전철역, 노스 강 터널, 새로운 펜실베이니아 역, 이스트 강 터널로 구성됨), 뉴욕 연결 철도, 헬 게이트 다리가 포함되었다. 이들을 합하면 뉴저지주 뉴어크 외곽에서 펜실베이니아 철도 측에 시작하여 할렘 강과 포트 체스터 철도(따라서 뉴 로셸)를 뉴 헤이븐 측에 연결하는 구간이 된다. 1917년 헬 게이트 다리가 개통되면서 이 마지막 연결 구간, 즉 노스이스트 코리더 자체가 완성되었다.
1968년 이 두 철도와 뉴욕 센트럴 철도를 합병하여 펜 센트럴이 설립되면서 처음으로 전체 회랑이 단일 법인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후계 회사인 펜 센트럴이 1970년 파산한 후, 1971년 5월 1일, 새롭게 설립된 암트랙에 의해 거의 전체 구간이 인수되었다.
암트랙 외에도 여러 통근 철도 사업자가 북동부 회랑을 운행하고 있다.
운행 종료된 것
새롭게 건설된 유럽의 대다수 고속철도 노선과 달리,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가장 오래된 구간은 183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각 구간별로 별도로 건설된 기존 노선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새로운 구간은 헬 게이트 교와 뉴욕 커넥팅 철도 구간으로 1917년에 개통되었다.
1968년,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경쟁사였던 뉴욕 센트럴 철도와 합병하여 펜 센트럴 철도가 되었다. 뉴욕 뉴헤이븐 앤 하트퍼드 철도는 1969년 펜 센트럴 철도로 합병되어, 이로 인해 워싱턴에서 보스턴까지의 노스이스트 코리더 전체가 펜 센트럴 철도 1개사의 관할하에 들어갔다. 1971년 암트랙이 설립되어, 도시 간 여객 열차는 연방 정부의 관할하에 들어갔다. 1976년에는 펜 센트럴 철도가 파산하여, 정부가 출자하는 공사인 콘레일이 인수했다. 이미 도시 통근 수송 기관에 매각된 구간을 제외하고, 노스이스트 코리더 구간은 암트랙에 매각되었다.
현재 노스이스트 코리더를 이루는 구간에서 증기 철도로 운행되던 노선을 전철화하는 프로젝트는 1896년에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의 볼티모어 벨트선 및 뉴욕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로 가는 뉴욕 센트럴 철도의 일부 구간, 즉 뉴욕 & 할렘 철도의 파크 애비뉴 터널 구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사용되던 증기 기관차의 배기 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으로 시야가 악화되어 발생한 1902년 1월 8일의 17명 사망 사고로 인해 대중의 비난을 받으면서, 맨해튼에서 전기 철도 운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뉴욕 뉴헤이븐 앤 하트퍼드 철도는 1905년에 뉴욕에서 스탬퍼드까지의 본선을 전철화한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뉴욕의 펜실베이니아 역과, 그곳으로 가는 전철화된 노선을 건설하고 있었다.
뉴욕 커넥팅 철도와 헬 게이트 다리로 북부 구간과 남부 구간이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펜실베이니아 철도와 뉴욕 뉴헤이븐 앤 하트퍼드 철도가 각각 1968년과 1969년에 펜 센트럴 철도로 합병되었고, 1971년 암트랙이 설립되기 전까지 이 구간들은 서로 거의 독립적으로 운행되었다.
이 무렵, 뉴잉글랜드에서의 철도 화물 영업은 쇠퇴하고 있었다.
뉴욕주 우드론에서 뉴헤이븐까지의 뉴헤이븐선 중, 각 주 내의 구간을 1971년 1월 1일에 펜 센트럴 철도로부터 뉴욕주가 매수하고, 코네티컷주는 빌렸다.
3. 1. 기원
현재 노스이스트 코리더의 대부분은 1830년대부터 여러 철도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다. 1900년 이전에는 이 노선들이 두 개의 연결되지 않은 구간으로 통합되었으며, 각 구간은 주요 철도의 일부였다. 펜실베이니아 철도가 소유한 구간은 워싱턴 D.C.를 기점으로 남쪽에서 뉴욕시로 접근했고, 뉴 헤이븐 철도가 소유한 구간은 보스턴을 기점으로 코네티컷주에서 뉴욕주로 진입했다.[7][8]
1903년부터 1917년까지 두 철도 회사는 노선을 연결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노스이스트 코리더를 완성했다. 여기에는 뉴저지에서 롱아일랜드까지 연장되는 뉴욕 터널 익스텐션(맨해튼 전철역, 노스 강 터널, 펜실베이니아 역, 이스트 강 터널로 구성됨), 뉴욕 연결 철도, 헬 게이트 다리가 포함되었다. 1917년 헬 게이트 다리가 개통되면서 노스이스트 코리더가 완성되었다.
1968년 펜실베이니아 철도와 뉴욕 센트럴 철도가 합병하여 펜 센트럴이 설립되면서 전체 회랑이 단일 법인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70년 펜 센트럴의 파산 이후, 1971년 암트랙이 설립되어 거의 전체 구간을 인수했다.
노스이스트 코리더의 구간별 개통 시기는 다음과 같다.
구간 | 회사 | 개통 시기 |
---|---|---|
보스턴–프로비던스 | 보스턴 앤드 프로비던스 철도 | 1835년 (1847년, 1899년 부분 변경) |
프로비던스–스토닝턴 | 뉴욕, 프로비던스 앤드 보스턴 철도 | 1837년 (1848년 부분 변경) |
스토닝턴–뉴헤이븐 | 뉴헤이븐, 뉴런던 앤드 스토닝턴 철도 | 1852년–1889년 (1894년 부분 변경) |
뉴헤이븐–뉴로셸 | 뉴욕 앤드 뉴헤이븐 철도 | 1849년 |
뉴로셸–포트 모리스 | 할렘 강 앤드 포트 체스터 철도 | 1873년 |
뉴어크–트렌턴 | 유나이티드 뉴저지 철도 및 운하 회사 | 1834–1839년, 1841년 (1863년, 1870년 부분 변경) |
트렌턴–프랭크퍼드 정션(Frankford Junction) | 필라델피아 및 트렌턴 철도 | 1834년 (1911년 부분 변경) |
프랭크퍼드 정션–주 타워(Zoo Tower) | 커넥팅 철도 | 1867년 |
주 타워–그레이스 페리 | 정션 철도 | 1863–1866년 |
그레이스 페리–베이뷰(Bayview) | 필라델피아, 윌밍턴 및 볼티모어 철도 | 1837–1838년,[10] 1866년, 1906년 |
베이뷰 야드(Bayview Yard)–볼티모어 유니온 역 | 유니온 철도 | 1873년[11] |
볼티모어 유니온 역–랜도버 | 볼티모어 및 포토맥 철도 | 1872년[12] |
랜도버–워싱턴 D.C. | 매그루더 지선 | 1907년[13] |
3. 2. 전철화 (1905–1938)

초기 전철화는 뉴욕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1899년, 뉴욕 센트럴 철도(NYC)의 수석 엔지니어 윌리엄 J. 윌거스는 프랭크 J. 스프라그가 고안한 제3궤조 전력 시스템을 사용하여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에서 모트 헤이븐 분기점까지 노선을 전철화하는 것을 제안했다.[16] 1902년 1월 8일, 파크 애비뉴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는 증기 기관차의 연기 때문으로 여겨져 맨해튼에서 전기 운전을 추진하는 여론이 일어났다.[17][18][19]
1905년, 뉴욕, 뉴헤이븐, 하트퍼드 철도(NH)는 뉴욕에서 스탬퍼드까지 주요 노선을 전철화한다고 발표했다. 1906년 9월 30일, NYC는 허드슨 선의 하이 브리지역까지 교외 다중 유닛 서비스 시험 운행을 실시했고,[20][21] 1907년 7월 1일에 그랜드 센트럴로 들어가는 모든 NYC 여객 서비스가 전철화되었다.[23][24] NH의 전철화는 10월에 스탬퍼드까지 확대되었다.[25] 1914년 6월, NH 전철화는 뉴헤이븐까지 연장되었다.[26]
펜실베이니아 철도(PRR)는 펜실베이니아 역과 전철화된 접근로를 건설하고 있었는데, 이 노선은 뉴저지주의 PRR 노선과 롱아일랜드 철도(LIRR)에서 운행되었다. 펜 역은 1910년 9월 8일에 LIRR 열차를 위해 개장했고,[29] 11월 27일에 PRR 열차를 위해 개장했다.[30] 두 철도의 열차는 모두 제3궤조에서 DC 전기를 사용했다. PRR 열차는 맨해튼 환승에서 기관차를 교체했다.
1905년, PRR은 필라델피아의 교외 노선에 전철화를 시작했고, 이는 결국 뉴욕과 워싱턴에서 11 kV, 25 Hz AC 가선으로 이어졌다.[33] 전철 운행은 1915년 9월에 시작되었으며, PRR 메인 라인(현재 키스톤 코리더)의 파올리 서쪽으로 전동차가 운행되었다.[34] 윌밍턴까지의 지역 전철 운행은 1928년 9월 30일에 시작되었고, 트렌턴까지는 1930년 6월 29일에 시작되었다.
익스체인지 플레이스와 뉴 브런즈윅 사이의 전철 운행은 1932년 12월 8일에 시작되었다. 1933년 1월 16일, 뉴 브런즈윅과 트렌턴 사이의 나머지 전철화가 개통되어 뉴욕과 윌밍턴 사이에 완전 전철화된 노선이 생겼다. 워싱턴행 열차는 1933년 2월 12일에 윌밍턴까지 전기로 운행하기 시작했고, 기관차 교체 지점이 맨해튼 환승역에서 윌밍턴으로 이동했다.
1933년, 윌밍턴 남쪽의 전철화는 대공황으로 인해 중단되었지만, PRR은 공공 사업 관리국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작업을 재개했다.[35] 뉴욕과 워싱턴 사이의 전철 운행은 1935년 2월 10일에 시작되었다.[36] 1935년 4월 7일, 여객 열차의 전철화가 완료되어 매일 639개의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그 중 191개는 기관차가 견인하고 나머지 448개는 전동차로 운행되었다.
3. 3. 암트랙 설립과 운영
1971년, 암트랙이 설립되면서 여러 주 정부는 자치 통근 교통 당국을 위해 노스이스트 코리더(NEC)의 일부를 통제하게 되었다. 같은 해 1월, 매사추세츠 연방은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애틀버러/스토턴 선을 매입하여 매사추세츠 베이 교통국(MBTA)이 운영하게 되었다.[41] 또한, 뉴욕 주 대도시 교통국은 우드론과 뉴헤이븐, 코네티컷 사이의 뉴헤이븐 선 펜 센트럴 구간을 매입하고, 코네티컷 주가 이를 임대했다.[41]1973년, 지역 철도 재조직법에 따라 암트랙은 통근 교통 당국에 판매되지 않은 NEC 구간을 매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부는 암트랙에 회랑 재건 통제권을 부여할 때까지 거래를 차단하고 매입 자금을 보류하여 논란이 일었다.[42]
1976년 4월, 암트랙은 보스턴-로드아일랜드 주 경계선(매사추세츠 연방 소유), 뉴헤이븐-뉴로셸(코네티컷 주 및 뉴욕 주 소유) 구간을 제외한 모든 NEC를 소유하게 되었다.[44] 암트랙은 매사추세츠 구간을 계속 운영 및 유지 관리했지만, 뉴로셸, 뉴욕에서 뉴헤이븐, 코네티컷까지의 노선은 메트로-노스 철도가 운영하여 고속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을 겪었다.[44][45]
같은 해, 미국 의회는 워싱턴과 보스턴 사이의 시스템 개편을 승인했다.[48] 이는 북동 회랑 개선 프로젝트(NECIP)로 불렸으며, 안전 개선, 신호 시스템 현대화, 크라이슬러가 필라델피아, 뉴욕, 보스턴에 설치한 새로운 중앙 집중식 전철화 및 교통 제어(CETC) 센터 설치 등을 포함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열차가 더 빠르고 가깝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고속철도 운행의 기반을 마련했다. NECIP는 또한 운행 시간을 단축하고 회랑에서 가장 성공적인 엔진이 된 AEM-7 기관차를 도입했다. NECIP는 워싱턴-뉴욕 간 2시간 40분, 보스턴-뉴욕 간 3시간 40분 주행을 목표로 설정했으나,[46]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와 의회의 낮은 자금 지원으로 인해 달성되지 못했다.[47]

3. 4. 1990년대 고속철도 도입
1990년대에 암트랙은 고속 열차인 아셀라 익스프레스(Acela Express)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북쪽의 노스이스트 코리더(NEC) 구간을 업그레이드했다.[47] 이 사업은 "동북 고속철도 개선 프로그램(NHRIP)"으로 불렸으며, 평면 교차 제거, 교량 재건, 곡선 선형 변경 등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콘크리트 침목이 나무 침목을 대체했으며, 더 무거운 장척 레일(CWR)이 설치되었다.[49]1996년, 암트랙은 뉴헤이븐과 보스턴 사이 구간에 전철화 장비 설치를 시작했다. 이 인프라에는 암트랙이 지정하고 뉴저지주 엘리자베스의 Phelps Dodge Specialty Copper Products가 특허를 낸 고강도 은 함유 구리로 만들어진 새로운 가공 전차선이 포함되었다.[50] 새로운 전철화 장비는 25kV, 60Hz의 교류 전력을 사용했다.
3. 5. 2000년대 이후
2000년 1월 31일, 뉴헤이븐과 보스턴 간 전기 기관차를 이용한 운행이 시작되었다.[51] 이 프로젝트에는 인프라 개선에 13억달러, 새로운 아셀라 익스프레스 열차와 봄바디어-알스톰 HHP-8 기관차에 각각 약 10억달러를 투입하여 총 23억달러에 가까운 비용이 들었다.[52]2000년 12월 11일, 암트랙은 더 빠른 속도의 ''아셀라 익스프레스'' 운행을 시작했다.[53] ''아셀라''의 최고 운행 시간은 보스턴과 뉴욕 사이가 3시간 30분, 뉴욕과 워싱턴 D.C. 사이가 2시간 45분이다.[54]
2008년 여객 철도 투자 및 개선법의 통과로, 미국 교통부 내에 노스이스트 코리더 위원회(NEC 위원회)가 설립되어 상호 협력과 계획을 촉진하고, 코리더 철도 및 개발 정책에 대해 의회에 조언하도록 했다. 위원회 구성원에는 미국 교통부, 암트랙 및 노스이스트 코리더 주들이 포함된다.
2011년 8월, 미국 교통부는 노스이스트 코리더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 중 하나인 뉴브런즈윅과 트렌턴 사이의 구간(프린스턴 정션을 통과)의 수용 능력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6년 동안 4.5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차세대 고속철도 프로젝트는 신뢰성을 개선하고 최고 속도를 160mph까지, 그리고 새로운 장비 구매 후 186mph까지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 신호 시스템 및 가공 전차선을 업그레이드하도록 설계되었다.[57] 2012년 9월, ''아셀라'' 열차를 사용하여 속도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165mph의 속도를 기록했다.[58][59] 개선 공사는 2016년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지연으로 인해 2020년까지 완료되지 못했다.[60][61]
2012년, 연방 철도청은 NEC FUTURE라는 제목으로 노스이스트 코리더에 고속철도를 도입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 개발을 시작했으며, 2016년 12월 최종 환경 영향 평가서를 발표했다.[62]
4. 기반 시설
노스이스트 코리더(NEC)는 암트랙과 여러 주 정부 기관이 함께 운영하는 사업이다. 암트랙은 워싱턴 D.C.와 뉴욕 뉴로셸 사이의 선로를 소유하고 있다. 뉴로셸에서 뉴헤이븐까지는 뉴욕주와 코네티컷주가 소유하고 있으며, 메트로-노스 철도 통근 열차가 다닌다. 암트랙은 뉴헤이븐 북쪽에서 로드아일랜드주와 매사추세츠주 경계까지의 선로를 소유하고, 경계에서 보스턴 북쪽까지는 매사추세츠 연방이 소유하고 있다.[125]
노선 전체는 전철화되어 있으며, 워싱턴 D.C.에서 보스턴까지 볼티모어, 윌밍턴, 필라델피아, 트렌턴, 뉴어크, 뉴욕, 뉴헤이븐, 프로비던스 등 인구가 많은 도시들을 지난다. 또한, 키스톤 회랑, 뉴헤이븐-스프링필드선(New Haven–Springfield Line), 엠파이어 회랑 등 여러 통근 수송 지선이 있다. 미국에서 가장 여객이 많은 역은 뉴욕에 있는 펜실베이니아 역이다.[116]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하여 고속 철도를 운행한다. 노선의 대부분은 암트랙이 소유, 운영하고 있으며, 아셀라 익스프레스를 운행한다. 암트랙은 일반 열차도 운행하며, 각 사철의 화물 열차도 같은 선로를 주행한다. 북동 회랑 주변에서는 메릴랜드 주와 워싱턴 D.C.의 MARC(MARC Train), 매사추세츠 주와 로드아일랜드 주의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 뉴욕 주와 코네티컷 주의 메트로노스 철도, 뉴저지 주와 뉴욕 주의 뉴저지 교통국, 펜실베이니아 주, 델라웨어 주, 뉴저지 주 중심부의 남동 펜실베이니아 교통국(SEPTA), 코네티컷 주의 쇼어 라인 이스트(Shore Line East)등이 지역 수송을 제공하고 있다.
북동 회랑의 본선 거의 전체에 걸쳐 95번 주간 고속도로가 바로 옆을 병행하여 주행하고 있다. 뉴욕과 워싱턴 D.C. 사이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건널목 제거가 진행되어 왔다. 북동 회랑에는 총 11개의 건널목이 남아 있으며, 모두 코네티컷주 남동부에 있다.
4. 1. 전철화 방식
현재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세 가지 전철화 방식을 사용한다. 워싱턴 D.C.에서 뉴욕 펜역 바로 동쪽의 선니사이드 야드까지는 암트랙 25Hz 전력 시스템(원래 펜실베이니아 철도에서 건설)이 12kV, 25Hz를 공급한다. 선니사이드에서 뉴헤이븐 역 바로 동쪽의 밀 리버까지는 구 뉴헤이븐 철도의 시스템이 메트로-노스에 의해 수정되어 12.5kV, 60Hz를 공급한다. 밀 리버에서 보스턴까지는 암트랙 60Hz 전력 시스템이 25kV, 60Hz를 공급한다. 모든 암트랙의 전기 기관차는 이러한 시스템 간에 전환할 수 있다.[68]가선 외에도 이스트 리버 터널은 롱아일랜드 철도 열차를 위해 750V DC 제3궤조를 사용하며, 노스 리버 터널은 비상용으로만 제3궤조를 사용한다.
4. 2. 역

노스이스트 코리더에는 109개의 역이 있으며, 이 중 암트랙은 30개의 역을 사용한다. 암트랙은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필라델피아 30번가 역, 볼티모어 펜 역, 워싱턴 유니온 역을 소유하고 있다.[71]
다음은 노스이스트 코리더의 주요 역 목록이다.
주 | 도시 | 역 | 암트랙 회랑 서비스 | 암트랙 장거리 서비스 | 통근 서비스 | 추가 철도 서비스/연결 |
---|---|---|---|---|---|---|
MA | 보스턴 | 사우스 스테이션 | A, NR | P/S, NE, FR | 암트랙: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MBTA 통근 철도: 페어마운트, 프래밍햄/우스터, 그린부시, 올드 콜로니 선 MBTA 지하철: 레드 라인, 실버 라인 | |
백 베이 | A, NR | P/S, NE, FR | 암트랙: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MBTA 통근 철도: 프래밍햄/우스터 선 MBTA 지하철: 오렌지 라인 | |||
러글스 | P/S, NE, FR | MBTA 지하철: 오렌지 라인 | ||||
포레스트 힐스 | P/S, NE, FR | MBTA 지하철: 오렌지 라인 | ||||
하이드 파크 | P/S, FR | |||||
리드빌 | FR | MBTA 통근 철도: 페어마운트 선 | ||||
웨스트우드 | 루트 128 | A, NR | P/S | |||
캔턴 | 캔턴 정션 | P/S | ||||
샤론 | 샤론 | P/S | ||||
맨스필드 | 맨스필드 | P/S | ||||
애틀버러 | 애틀버러 | P/S | ||||
사우스 애틀버러 | P/S | |||||
RI | 포터켓 | P/S | ||||
프로비던스 | 프로비던스 | A, NR | P/S | |||
워윅 | P/S | |||||
노스킹스타운 | P/S | |||||
웨스트킹스턴 | 킹스턴 | NR | ||||
웨스터리 | 웨스터리 | NR | ||||
CT | 미스틱 | 미스틱 | NR | |||
뉴런던 | 뉴런던 유니언 | NR | SLE | |||
올드세이브룩 | 올드 세이브룩 | NR | SLE | |||
웨스트브룩 | SLE | |||||
클린턴 | SLE | |||||
매디슨 | SLE | |||||
길포드 | SLE | |||||
브랜포드 | SLE | |||||
뉴헤이븐 | SLE, NHV | 암트랙: 하트퍼드 선 CT 레일: 하트퍼드 선 | ||||
유니언 역 | A, NR, VT | SLE, NHV | 암트랙: 하트퍼드 선 CT 레일: 하트퍼드 선 | |||
웨스트헤이븐 | SLE, NHV | |||||
밀포드 | SLE, NHV | |||||
스트랫퍼드 | SLE, NHV | 메트로 노스: 워터베리 지선 | ||||
브리지포트 | 브리지포트 | NR, VT | SLE, NHV | 메트로 노스: 워터베리 지선 | ||
페어필드 | NHV | |||||
페어필드 | NHV | |||||
NHV | ||||||
웨스트포트 | NHV | |||||
NHV | ||||||
노워크 | NHV | |||||
사우스 노워크 | NHV | 메트로 노스: 댄버리 지선 | ||||
NHV | ||||||
다리엔 | NHV | |||||
NHV | ||||||
스탬퍼드 | 스탬퍼드 | A, NR, VT | SLE, NHV | 메트로 노스: 댄버리 지선, 뉴캐넌 지선 | ||
그리니치 | NHV | |||||
NHV | ||||||
NHV | ||||||
NHV | ||||||
NY | 포트체스터 | NHV | ||||
라이 | NHV | |||||
해리슨 | NHV | |||||
마마로넥 | NHV | |||||
라치몬트 | NHV | |||||
뉴로셸 | 뉴로셸 | NR | NHV | |||
뉴욕 | 펜 역 | A, NR, VT, KS, PA | CD, CL, CS, PL, SM | RARV, NEC, NJCL | 암트랙: 애디론댁, 버크셔 플라이어, 에단 알렌 익스프레스, 엠파이어 서비스,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메이플 리프 LIRR: 메인 선, 포트 워싱턴 지선 NJ 트랜짓: 글래드스톤 지선, 몬트클레어-분턴 선, 모리스타운 선 뉴욕 지하철: A, C, E선, 1, 2, 3선 PATH: HOB-33, JSQ-33, JSQ-33 (via HOB) | |
NJ | 세코커스 | 세코커스 정션 | RARV, NEC, NJCL | NJ 트랜짓: 버겐 카운티 선, 글래드스톤 지선, 메인 선, 몬트클레어-분턴 선, 모리스타운 선, 파세이카 밸리 선, 메도랜즈 선 메트로 노스: 포트 저비스 선 | ||
뉴어크 | 펜 역 | A, NR, VT, KS, PA | CD, CL, CS, PL, SM | RARV, NEC, NJCL | 뉴어크 라이트 레일 PATH: NWK-WTC | |
뉴어크 공항 | NR, KS | NEC, NJCL | 에어트레인 뉴어크 | |||
엘리자베스 | NEC, NJCL | |||||
NEC, NJCL | ||||||
린든 | NEC, NJCL | |||||
라웨이 | NEC, NJCL | 트렌턴행 및 롱 브랜치/베이 헤드행 서비스 간 환승 지점 | ||||
우드브리지 | A, NR, VT, KS | CS | NEC | |||
메투첸 | NEC | |||||
에디슨 | NEC | |||||
뉴브런즈윅 | NR, KS | NEC | ||||
NEC | ||||||
프린스턴 정션 | NR, KS | NEC | NJ 트랜짓: 프린스턴 지선 | |||
해밀턴 타운십 | NEC | |||||
트렌턴 | NR, VT, KS, PA | CD, CL, CS, PL, SM | TRE, NEC |
4. 3. 건널목 (평면 교차)
전체 노스이스트 코리더에는 11개의 평면 교차가 있으며, 모두 코네티컷주 뉴런던 카운티 남동부에 있다. 나머지 평면 교차로는 롱아일랜드 사운드 해안을 따라 이어진 노선의 일부에 있는데, 이 교차로들 중 일부는 도로망에서 단절된 해안가 지역 사회와 사업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지점이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려면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해 입체 교차로가 필요하다. 6개의 평면 교차로에는 사분면식 게이트와 유도 루프 센서가 있어, 선로에 정지한 차량을 감지하여 다가오는 열차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머지 5개의 평면 교차로, 즉 뉴런던 유니언 역 근처 3개와 스토닝턴 2개에는 이중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71]
미국 연방 철도청(FRA) 규정에 따라 일반 교차로의 선로 속도는 제한되며, 사분면식 게이트와 신호 시스템에 연결된 차량 감지 장치가 있는 교차로의 경우에는 속도 제한이 더 완화된다.[72]
1994년, 뉴헤이븐과 보스턴 간의 전철화 및 고속 ''아셀라 익스프레스'' 운행 계획 중에 미국 교통부(USDOT)는 1997년까지 남은 모든 평면 교차로를 제거하도록(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한 경우 제외) 계획하도록 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73]
지난 16년 동안 6건의 사망 사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남은 11개의 교차로 폐쇄에 대해 상당한 지역 반대가 있었다. 교차로를 완전히 폐쇄하면 해당 지역에 대한 유일한 접근 지점이 사라지며, 입체 교차로 건설은 비용이 많이 들고 토지 수용이 필요했기 때문이다.[74] 대신, 교차로에는 추가적인 보호 장치가 제공되었다.
2005년 9월 28일, 남행 ''Acela Express'' 열차가 코네티컷주 워터포드의 마이너 레인에서 차량과 충돌했다. 이는 추가적인 보호 장치가 시행된 이후 처음 발생한 사고였다.[78] 차량은 내려온 차단기 아래로 굴러 들어갔고, 센서 시스템이 열차를 완전히 정지시키기에는 너무 늦었다. 운전자와 승객 1명이 즉사했으며, 다른 승객은 9일 후 사고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 이후 게이트를 점검한 결과, 사고 당시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79] 이 사고로 인해 혼잡한 노선에 남아 있는 평면 교차로에 대한 대중의 비판이 제기되었다.[80]
교차 지점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아래 표와 같다.[71]
마일 | 도시 | 도로 | DOT/AAR 번호 | 좌표 | 세부 사항 |
---|---|---|---|---|---|
140.6 | 스토닝턴 | Palmer St. | 500263U | Pawcatuck 주거 지역과 Mechanic Street 간선 도로를 연결 | |
136.7 | Elihu Island Rd. | 500267W | 엘리후 섬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를 제공 (사유지 건널목) | ||
136.6 | Walker's Dock | 500269K | 작은 선착장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를 제공 (사유지 건널목) | ||
134.9 | Wamphassuc Rd. | 500272T | 주거 지역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를 제공 | ||
133.4 | Latimer Point Rd. | 500275N | 주거 지역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를 제공 | ||
132.3 | Broadway Ave. Extension | 500277C | 미스틱 역 옆에 위치, 주거 및 산업 지역, 여러 선착장, 북행 플랫폼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 제공 | ||
131.2 | 그로턴 | School St. | 500278J | Willow Point 주거 지역과 선착장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 제공 | |
123.0 | 뉴런던 | Ferry St. | 500294T | 블록 아일랜드 페리 및 크로스 사운드 페리 부두와 기타 해양 시설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 제공 (4중 게이트 없음) | |
122.8 | State St. | 500295A | 뉴런던 연합 역 옆에 위치, 피셔스 섬 페리, 시티 피어, 워터프론트 공원 및 북행 플랫폼 접근 제공 | ||
122.5 | Bank St. Connector | 500297N | 워터프론트 공원으로의 접근 제공 | ||
120.2 | 워터포드 | Miner Ln. | 500307S | 주거 및 산업 지역으로 가는 유일한 접근로 제공 |
5. 현재 철도 서비스
1990년대, 암트랙은 아셀라 익스프레스 고속 열차 운행을 위해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북쪽의 노스이스트 코리더(NEC)를 개선했다.[47] 이 사업은 "동북 고속철도 개선 프로그램(NHRIP)"으로 불렸으며, 평면 교차 제거, 교량 재건, 곡선 선로 변경 등이 이루어졌다. 콘크리트 침목이 나무 침목을 대체했고, 더 무거운 장척 레일(CWR)이 설치되었다.[49]
1996년, 암트랙은 뉴헤이븐과 보스턴 사이 구간에 전철화 장비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 인프라에는 암트랙이 특허를 내고 뉴저지주 엘리자베스의 Phelps Dodge Specialty Copper Products가 제조한 고강도 은 함유 구리로 만들어진 새로운 가공 전차선이 포함되었다.[50]
전기 기관차를 이용한 뉴헤이븐-보스턴 간 운행은 2000년 1월 31일에 시작되었다.[51] 이 프로젝트는 4년이 걸렸고 총 23억 달러에 가까운 비용이 투입되었는데, 인프라 개선에 13억 달러, 새로운 아셀라 익스프레스 열차와 봄바디어-알스톰 HHP-8 기관차에 각각 약 10억 달러가 소요되었다.[52]
2000년 12월 11일, 암트랙은 더 빠른 속도의 ''아셀라 익스프레스'' 운행을 개시했다.[53] ''아셀라''의 최고 운행 시간은 보스턴-뉴욕 간 3시간 30분, 뉴욕-워싱턴 D.C. 간 2시간 45분이다.[54]
2008년 여객 철도 투자 및 개선법 통과로 미국 교통부 내에 노스이스트 코리더 위원회(NEC 위원회)가 설립되어 상호 협력, 계획, 코리더 철도 및 개발 정책에 대한 의회 자문을 담당하게 되었다. 위원회는 미국 교통부, 암트랙, 노스이스트 코리더 주들로 구성된다.
2011년 8월, 미국 교통부는 노스이스트 코리더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 중 하나인 뉴브런즈윅과 트렌턴 사이 구간(프린스턴 정션을 통과) 용량 확장을 위해 6년간 4억 5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차세대 고속철도 프로젝트는 신뢰성 개선, 최고 속도를 160mph (새 장비 구매 후 186mph)까지 상향, 전력, 신호 시스템, 가공 전차선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했다.[57] 2012년 9월, ''아셀라'' 열차를 이용한 속도 테스트 결과 165mph를 기록했다.[58][59] 개선 공사는 2016년 완료 예정이었으나 지연되어 2020년까지 완료되지 못했다.[60][61]
2012년, 연방 철도청은 NEC FUTURE라는 제목으로 노스이스트 코리더에 고속철도를 도입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 개발을 시작했으며, 2016년 12월 최종 환경 영향 평가서를 발표했다.[62]
전 노선은 전철화되어 있으며, 워싱턴 D.C.에서 보스턴까지 볼티모어, 윌밍턴, 필라델피아, 트렌턴, 뉴어크, 뉴욕, 뉴헤이븐, 프로비던스 등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들을 연결한다.
노스이스트 코리더는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하여 고속 철도를 운행한다. 노선의 대부분은 암트랙이 소유, 운영하며, 고속 철도인 아셀라 익스프레스를 운행한다. 암트랙은 일반 열차도 운행하며, 각 사철의 화물 열차도 같은 선로를 이용한다.
노스이스트 코리더 주변에서는 여러 사업자가 전동차 또는 기동차로 지역 수송을 제공한다.
- 메릴랜드 주와 워싱턴 D.C.: MARC(MARC Train)
- 매사추세츠 주와 로드아일랜드 주: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
- 뉴욕 주와 코네티컷 주: 메트로노스 철도
- 뉴저지 주와 뉴욕 주: 뉴저지 교통국
- 펜실베이니아 주, 델라웨어 주, 뉴저지 주 중심부: 남동 펜실베이니아 교통국(SEPTA)
- 코네티컷 주: 쇼어 라인 이스트(Shore Line East)
노스이스트 코리더 본선 거의 전체에 95번 주간 고속도로가 인접해 있어 고속도로에서 노스이스트 코리더를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특히 코네티컷 주에서는 바로 옆을 달리며, 일부 구간에서는 완전히 같은 곡선을 그리기도 한다.
노스이스트 코리더에서 가장 운행 횟수가 많은 구간은 보스턴 - 스프링필드 - 매사추세츠주 - 뉴욕 - 워싱턴 D.C. 사이로, 매일 많은 열차가 운행된다. 암트랙은 노스이스트 코리더와 그 지선 상의 도시 간 수송 분담률의 14%를 담당하며, 나머지는 항공기, 자동차, 장거리 버스가 담당한다.[110]
5. 1. 도시간 여객 서비스
암트랙 열차는 노스이스트 코리더 역에 정차하며, 최소 일부 구간은 이 노선을 운행한다. 해당 열차는 다음과 같다.- 아셀라: 보스턴-워싱턴 D.C. 간 고속철도
- 카디널: 뉴욕-시카고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만 운행, 워싱턴 D.C. 경유)
- 캐롤라이니언: 뉴욕–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 크레센트: 뉴욕–뉴올리언스
- 키스톤 서비스: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 뉴욕 간 고속철도
- 노스이스트 리저널: 보스턴/스프링필드/뉴욕–워싱턴 D.C./리치먼드/뉴포트 뉴스/노퍽/로어노크 간 고속철도 (뉴브런즈윅과 프린스턴 정션 사이의 125mph 구간에서 고속 철도로 간주)
- 팔메토: 조지아주 사바나 – 뉴욕
- 펜실베이니언: 피츠버그–뉴욕 (NEC 및 필라델피아-해리스버그 간선 경유)
- 실버 미티어: 마이애미 – 뉴욕
- 버몬터: 세인트앨번스 – 워싱턴 D.C. (NEC 및 뉴헤이븐-스프링필드선 경유)
아래의 암트랙 열차는 노스이스트 코리더 역에서 종착하지만, 종착역 외에는 노스이스트 코리더 선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암트랙 ''하트포드선'': 코네티컷주 교통부와 공동 운영, 암트랙 소유의 뉴헤이븐-스프링필드선을 따라 스프링필드 유니언에서 뉴헤이븐 유니언까지 운행 (뉴헤이븐 유니언 역은 NEC 선로 사용)
- 캐피톨 리미티드: 워싱턴 D.C. 유니언에서 시카고 유니언까지 운행 (워싱턴 유니언 역은 NEC 선로 사용)
엠파이어 회랑을 통해 운행하는 아래의 암트랙 서비스는 뉴욕 펜 역에서 노스이스트 코리더와 만난다.
- 애디론댁: 뉴욕 펜 역 - 몬트리올 중앙
- 버크셔 플라이어: 뉴욕 펜 역 - 올버니-렌슬러 및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 조셉 스켈시 복합 교통 센터 간 고속철도
- 엠파이어 서비스: 뉴욕 펜 역 - 올버니-렌슬러 및 나이아가라 폭포 간 고속철도
- 에탄 앨런 익스프레스: 벌링턴 유니언 - 뉴욕 펜 역
-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시카고 유니언 - 뉴욕 펜 역 ( 보스턴 사우스의 NEC 종착역까지 지선 운행)
- 메이플 리프: 뉴욕 펜 역 - 토론토 유니언
''노스이스트 리저널'', ''키스톤 서비스'', ''아셀라''가 자주 운행되고 통근 열차도 운행되기 때문에, NEC의 뉴욕-워싱턴 구간을 운행하는 대부분의 장거리 및 중거리 열차는 NEC 역 간의 단거리 승객 수송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장거리 및 중거리 열차는 워싱턴(및 경우에 따라 알렉산드리아)에서 북쪽으로 가는 승객의 하차와 뉴어크에서 워싱턴으로 가는 승객의 승차만 허용한다. 이는 장거리 여행 승객을 위해 좌석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이다. ''버몬터''와 ''팔메토''는 뉴욕과 워싱턴 사이에서 양방향 단거리 승객 수송을 허용하는 유일한 중거리 및 장거리 열차이다. 남행 ''캐롤라이니언''은 매일 단거리 승객 수송을 허용하는 반면, 북행 ''캐롤라이니언''은 일요일, 목요일, 금요일에만 허용한다. 중거리 열차인 ''펜실베이니언''은 NEC 구간 내 단거리 승객 수송을 허용하지만, 필라델피아에서 회랑을 벗어나 워싱턴까지 운행하지 않는다.[125]
5. 2. 통근 철도
암트랙 외에도 여러 통근 철도 기관에서 노스이스트 코리더 선로를 이용하여 여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노선은 다음과 같다.- 매사추세츠만 교통국(MBTA):
- 프로비던스/스토턴 선: 위크포드 정션–보스턴
- 프랭클린/폭스보로 선: 레드빌–보스턴
- 니덤 선: 포리스트 힐스–보스턴
- 프래밍햄/우스터 선: 백 베이–보스턴
- 하트포드 라인: 뉴헤이븐 유니언–뉴헤이븐-스테이트 스트리트
- 쇼어 라인 이스트: 스탬퍼드–뉴런던
- 메트로-노스 철도:
- 뉴헤이븐선: 뉴로셸–뉴헤이븐
- 댄버리 지선: 스탬퍼드–노워크
- 워터베리 지선: 브리지포트–스트랫퍼드
- 롱아일랜드 철도(LIRR):
- 시티 터미널 존: 서니사이드 야드, 퀸스–뉴욕
- NJ 트랜싯:
- 노스이스트 코리더 노선: 트렌턴–뉴욕
- 노스 저지 해안선: 라웨이–뉴욕
- 모리스타운 노선, 글래드스톤 지선, 몬트클레어-분턴 노선: 커니 연결선–뉴욕
- 래리탄 밸리 노선: 헌터 연결선–뉴욕
- SEPTA:
- 애틀랜틱 시티 노선: 30번가–프랭크퍼드 정션
- 트렌턴선: 필라델피아–트렌턴
- 공항선: 30번가역–사우스웨스트 필라델피아
- 미디어/와와선: 30번가역–아스널 분기점
- 체스넛 힐 웨스트선: 30번가역–노스 필라델피아
- 윌밍턴/뉴어크선: 뉴어크–필라델피아
- MARC:
- 펜 라인: 워싱턴 D.C.–페리빌, 볼티모어 펜 역 경유
뉴욕 북쪽에서 통근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유일한 구간은 위크포드 정션과 뉴런던 사이의 약 69.20km 구간이다.
5. 3. 화물 서비스
선로 사용권을 통해 화물 열차가 노스이스트 코리더(NEC)의 일부 구간에서 운행된다.[92] 1970년대 이전에는 NEC에서 100량 이상의 긴 화물 열차가 장거리를 운행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모든 화물 운송은 1960년대 후반 펜 중앙 철도의 통제를 받다가, 1976년 콘레일 설립 이후에는 콘레일의 통제를 받았다. 그러나 암트랙은 여객 서비스 증가에 따라 더 긴 열차에 대해 더 많은 세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결국 콘레일은 긴 화물 열차가 여객 서비스에 혼잡과 지연을 초래하자, 가장 혼잡한 구간에서는 소규모 지역 열차만 운행하도록 화물 서비스를 축소했다.
현재 노퍽 서던 철도는 필라델피아 남쪽 구간에서 운행한다. CSX 교통은 뉴욕에서 뉴헤이븐까지, 매사추세츠주, 그리고 메릴랜드주 랜드오버에서 NEC에 합류하는 랜드오버 지선에서 보위까지 선로 사용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곳에서 교황 크릭 지선이 NEC를 벗어난다. 필라델피아와 뉴욕 사이에서는 콘레일 공유 자산 운영이 CSX와 노퍽 서던을 위한 지역 스위칭 및 터미널 회사로 운영된다. 프로비던스 앤 워체스터 철도는 뉴헤이븐에서 로드아일랜드주까지 지역 화물 서비스를 운영하며, 헬 게이트 브리지를 통해 뉴헤이븐에서 뉴욕 프레시 폰드 정션까지 선로 사용권을 가지고 있다.[92] 또한 캐나디안 퍼시픽 캔자스 시티와 뉴욕 앤 애틀랜틱 철도는 뉴욕 근처에서 자체 노선과 연결하기 위해 헬 게이트 브리지에 대한 선로 사용권을 가지고 있다.[93]
6. 미래 노스이스트 코리더 프로젝트
2011년 이후, 노스이스트 코리더의 수용 능력 확장과 시설 개선을 위한 여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거나 계획되었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내용 외에도, 뉴저지 교통국과 협력하여 노스브런즈윅의 새로운 역, 미드라인 루프 (열차 방향 전환을 위한 고가 선로), 카운티 야드 재건 등 "뉴저지 스피드웨이" 구간에 여러 프로젝트들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에는 게이트웨이 프로그램, 해롤드 인터로킹 재건, 뉴브런즈윅-트렌턴 구간 고속화, 아벨리아 리버티 신규 열차 도입, 허친슨 강 교량 교체 등이 있다.
6. 1. 게이트웨이 프로그램
2011년 2월, 암트랙은 뉴어크 펜실베이니아 역과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사이의 게이트웨이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94] 이 프로젝트는 뉴저지 메도우랜즈를 가로지르고 허드슨강 하부를 통과하는 고속 노선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병목 구간인 포털 다리를 교체하는 작업도 포함한다.2026년 완공을 목표로 뉴어크역과 뉴욕 펜역 사이에 새로운 터널 신선을 건설하고, 현재 복선 구간을 복복선으로 만드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120]
6. 2. 해롤드 인터로킹
2011년 5월, 미국에서 선로 분기점 중 서니사이드 야드 다음으로 두 번째로 붐비는 해롤드 인터로킹의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2달러의 연방 보조금이 지급되었다. 이 작업은 뉴욕 커넥팅 철도 부지에 선로를 부설하여 뉴잉글랜드에서 도착하거나 향하는 암트랙 열차가 뉴저지 트랜짓 및 롱아일랜드 철도 열차를 피할 수 있게 할 것이다.[95][96] 2011년 7월 미국 하원이 관련 없는 프로젝트로 자금을 전용하기로 투표하면서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은 위협을 받았다.[97] 이후 프로젝트는 연방 철도청(FRA)과 메트로폴리탄 교통공사(MTA)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았다.[98] 2018년 기준으로, 이 인터로킹은 롱아일랜드 철도의 이스트 사이드 접근 프로젝트를 위해 재건되고 있다.[99][100]6. 3. 뉴브런즈윅–트렌턴 고속 업그레이드
2011년 8월, 미국 의회는 뉴저지주 노스이스트 코리더(NEC)의 가장 혼잡한 구간 중 하나의 용량을 확장하는 6년 프로젝트에 4.5억달러를 할당했다.[57] 이 프로젝트는 뉴브런즈윅과 트렌턴 사이의 약 38.62km 구간의 전력, 신호 시스템 및 가선 전선을 업그레이드하여 신뢰성을 개선하고 최고 160mph까지 속도를 높이며, 더 빈번한 고속 운행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101][102][103] 개선 공사는 2016년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104] 이 선로 공사는 뉴저지 교통국과 협력하여 진행될 예정이며, NEC의 "뉴저지 스피드웨이" 구간에 계획된 여러 프로젝트 중 하나로 노스브런즈윅의 새로운 역, 미드라인 루프 (열차 방향 전환을 위한 고가 선로), 카운티 야드 재건 등이 포함된다.[105] 2022년 6월, ''아셀라'' 열차는 프린스턴 정션과 뉴브런즈윅 사이에서 최고 150mph의 속도로 운행을 시작했다. 2024년 아벨리아 리버티 도입이 계획됨에 따라 속도는 160mph로 증가할 것이다.[106]6. 4. 아셀라 신규 열차
2016년 8월 26일, 조 바이든 당시 부통령은 새로운 ''아셀라'' 객차 구매와 NEC 개선을 위해 24.5억달러 규모의 연방 대출을 발표했다.[112] 이 대출금은 기존 객차를 대체할 28편성 열차 제작에 사용될 예정이다. 열차는 알스톰이 호넬과 로체스터에서 제작한다. 새로운 열차는 2024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2024년 9월 현재까지 확정된 운행 시작일은 발표되지 않았다. 새 열차가 모두 도입되면 기존에 운행하던 객차는 퇴역할 예정이다. 암트랙은 NEC 여객 수입 증가분으로 대출금을 상환한다.6. 5. 허친슨 강 교량 교체
암트랙은 속도와 열차 운행 능력을 제한해 온, 100년 이상 된 저상 가동식 철도 펠럼 베이 다리(펠럼 다리 바로 서쪽)의 교체 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환경 영향 연구 및 예비 엔지니어링 설계를 위해 1500만달러를 신청했다. 이 다리는 브롱크스에 있는 허친슨 강 위에 놓여 있다. 목표는 확장된 운행과 110mph까지의 속도를 지원하는 새로운 다리를 건설하는 것이다.[108]참조
[1]
뉴스
How Trump's Hudson Tunnel Feud Threatens the National Economy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8-03-06
[2]
간행물
Transportation Statistics Annual Report
http://www.rita.dot.[...]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2007-02-18
[3]
웹사이트
Amtrak fact sheet: Acela service
http://www.narprail.[...]
National Association of Railroad Passengers
2016-05-06
[4]
뉴스
High-Speed Rail Investment Should Focus on Acela
https://www.nytimes.[...]
2016-05-06
[5]
간행물
The Amtrak Vision for the Northeast Corridor: 2012 Update Report
https://www.amtrak.c[...]
Amtrak
2023-07-14
[6]
뉴스
Amtrak's high-speed Northeast Corridor plan at $151 billion
http://articles.phil[...]
2013-07-23
[7]
뉴스
Open Pennsylvania Station to-night; First Regular Train to Use the Hudson River Tubes Starts at 12:02 A.M. Sunday.
https://www.nytimes.[...]
2021-10-12
[8]
뉴스
New Haven Road to Use Pennsylvania Terminal; Applies for Leave to Avail Itself of Port Chester Tracks. To Enter City by Tunnel Rapid Transit Board Directs That Connecting Railroad Franchise Be Taken Up Without More Delay.
https://www.nytimes.[...]
2021-10-12
[9]
문서
Report of the Board of Railroad Commissioners, February 15, 1911, page 408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뉴스
Pennsylvania Opens Its Great Station; First Regular Train Sent Through the Hudson River Tunnel at Midnight.
https://www.nytimes.[...]
2018-04-11
[15]
서적
The New York Connecting Railroad
Long Island-Sunrise Chapter, [[National Railway Historical Society]]
2006
[16]
간행물
A Frank Sprague Triumph: The Electrification of Grand Central Terminal [History]
[17]
뉴스
The Birth of Grand Central Terminal
https://www.nytimes.[...]
2015-11-08
[18]
서적
Grand Central: How a Train Station Transformed America
https://books.google[...]
Grand Central Publishing
2013-01-22
[19]
웹사이트
WGBH American Experience: Grand Central
https://www.pbs.org/[...]
PBS
2015-11-08
[20]
서적
Grand Central Terminal: Railroads,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in New York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
서적
Picturing Our Past: National Register Sides in Westchester County
Westchester County Historical Society
[22]
뉴스
N.Y. Central Starts Its Electric Trains; Regular Service Begins with Four Yonkers Locals
https://www.nytimes.[...]
2021-11-01
[23]
서적
Electric Traction for Railway Trains: A Book for Students, Electrical and Mechanical Engineers, Superintendents of Motive Power and Others ...
https://books.google[...]
McGraw-Hill Book Company
2021-11-01
[24]
뉴스
Central at Odds With New Haven; Mellen's Road Officials Think Price for Electric Current at Union Station High
https://www.nytimes.[...]
2021-11-01
[25]
서적
Smoke Abatement and Electrification of Railway Terminals in Chicago: Report of the Chicago Association of Commerce, Committee of Investigation on Smoke Abatement and Electrification of Railway Terminals
https://books.google[...]
Rand, McNally
2021-11-01
[26]
논문
[27]
서적
The Long Island Rail Road in Early Photograph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21-11-01
[28]
서적
Revisiting the Long Island Rail Road: 1925-1975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Incorporated
2021-11-01
[29]
웹사이트
Day Long Throng Inspects New Tube; 35,000 Persons Were Carried on the First Day of Pennsylvania's Tunnel Service.
https://www.nytimes.[...]
2018-05-22
[30]
뉴스
Pennsylvania Opens Its Great Station; First Regular Train Sent Through the Hudson River Tunnel at Midnight.
https://www.nytimes.[...]
2018-05-23
[31]
서적
Electric Railway Journal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ublishing Company
2021-11-01
[32]
서적
Report
https://books.google[...]
2021-11-01
[33]
웹사이트
Pennsylvania RR Electrification
http://www.northeast[...]
2021-02-18
[34]
논문
[35]
웹사이트
P.R.R. WILL SPEND $77,000,000 AT ONCE; Atterbury Outlines Projects Under PWA Loan Giving Year's Work to 25,000. TO EXTEND ELECTRIC LINE Sees Buying Power Restored and Industry Stimulated by Wide Building Program
https://www.nytimes.[...]
2012-08-08
[36]
뉴스
N.Y.-Washington Electric Train Service Starts Sunday on P.R.R.
https://www.newspape[...]
1935-02-09
[37]
웹사이트
Acses to speed NE Corridor
http://www.railwayga[...]
1998-09-01
[38]
간행물
Passenger rail in the 20th Century
http://www.railwayag[...]
1999-12-01
[39]
뉴스
Court Here Lets Railroads Consolidate Tomorrow
https://www.nytimes.[...]
1968-01-31
[40]
뉴스
New Haven Sold to Penn Central; $145.6-Million Paid in Action Forced by Government Penn Central Reluctantly Absorbs the Bankrupt New Haven Line
https://www.nytimes.[...]
1969-01-01
[41]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ITS PREDECESSORS AND SUCCESSORS AND ITS HISTORICAL CONTEXT
http://www.prrths.co[...]
2015-04-01
[42]
간행물
A loss for Amtrak is Coleman's Gain
1976-09-13
[43]
간행물
Final System Plan for Restructuring Railroads in the Northeast and Midwest Region pursuant to the Regional Rail Reorganization Act of 1973
http://multimodalway[...]
United States Railway Association, Washington, D.C.
1975-07-26
[44]
간행물
Amtrak to buy Northesast Corridor
1976-06-01
[45]
간행물
Amtrak, DOT agree on NE Corridor
1976-09-13
[46]
문서
NECIP Redirection Study.
http://www.fra.dot.g[...]
USDOT
1979-01-01
[47]
문서
NEC Infrastructure Master Plan.
https://web.archive.[...]
NEC Master Plan Working Group
2010-05-01
[48]
문서
Railroad Revitalization and Regulatory Reform Act of 1976
U.S. Congress
1976-02-05
[49]
웹사이트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Acela Express
https://history.amtr[...]
Amtrak
2016-02-25
[50]
웹사이트
Copper trolley wi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copper trolley wire
https://patents.goog[...]
[51]
서적
38
2003
[52]
서적
431–432
2001
[53]
웹사이트
Amtrak's New High-Speed Service Is Derailed by Mechanical Problem
https://www.latimes.[...]
Associated Press
2000-12-13
[54]
웹사이트
Timetables (see Northeast Corridor 1–3)
https://www.amtrak.c[...]
Amtrak
[55]
뉴스
Amtrak's President Is Fired by Its Board
https://www.nytimes.[...]
2005-11-09
[56]
웹사이트
Amtrak Releases Concept for 220 mph Train Along Northeast Corridor
http://www.aashtojou[...]
2010-10-10
[57]
웹사이트
U.S. DOT Obligates $745 Million to Northeast Corridor Rail Projects
http://www.america20[...]
America 2050
2011-08-24
[58]
뉴스
Amtrak train looks to break U.S. speed record in Northeast Corridor test
http://www.nj.com/ne[...]
2012-09-25
[59]
웹사이트
Amtrak tests of Acela express train at 165 MPH will not affect commuters | Science updates | NewJerseyNewsroom.com -- Your State. Your News
[60]
뉴스
160 mph trains will speed from Trenton to New Brunswick by 2020
http://www.nj.com/tr[...]
2017-09-14
[61]
웹사이트
New Jersey high speed rail improvement program
https://nec.amtrak.c[...]
[62]
웹사이트
NEC FUTURE: Tier 1 Final EIS
https://www.fra.dot.[...]
[63]
웹사이트
A 100-minute train ride to Boston: New York, New England lawmakers push high-speed service on tracks that would include Long Island Sound tunnel
https://www.nydailyn[...]
2021-06-02
[64]
웹사이트
Technology That Could Have Prevented Amtrak Derailment Was Absent
https://www.nytimes.[...]
2015-05-14
[65]
웹사이트
Automatic braking was in place on other side of curve
http://www.philly.co[...]
2015-05-14
[66]
웹사이트
Rear-End Collision of Amtrak Passenger Train 94, The Colonial and Consolidated Rail Corporation Freight Train ENS-121, on the Northeast Corridor on January 4, 1987
https://www.ntsb.gov[...]
1988-01-25
[67]
웹사이트
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 Investigation No. 2726, The Pennsylvania Railroad Co. Report: IN RE; Accident at Shore, PA., on September 6, 1943
http://specialcollec[...]
1943-10-01
[68]
웹사이트
Still No Answers in May Amtrak Power Outage
http://www.wnyc.org/[...]
2006-06-22
[69]
웹사이트
Amtrak: Cause of power outage unknown
http://www.courierpo[...]
2006-06-23
[70]
웹사이트
Malloy: 'Catastrophic Failure' On Metro-North New Haven Line
http://newyork.cbslo[...]
2013-09-26
[71]
웹사이트
Crossing Inventory Report
https://safetydata.f[...]
2020-08-07
[72]
웹사이트
Section 4: Identification of Alternatives
http://www.ite.org/b[...]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5-03-22
[73]
웹사이트
49 U.S.C. 24906 – ELIMINATING HIGHWAY AT-GRADE CROSSINGS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15-03-22
[74]
뉴스
Rail Crossings Safety Issue For Amtrak
https://www.courant.[...]
2015-03-22
[75]
뉴스
Stuck crossing gate strands drivers on wrong side of the tracks
https://news.google.[...]
2015-03-22
[76]
뉴스
Technology Solution? Sensors Could Warn Trains of Cars on Tracks
http://www.nbcbayare[...]
2015-03-22
[77]
뉴스
Amtrak To Put Up 7 Safer Gates
https://www.courant.[...]
2015-03-22
[78]
뉴스
High-Tech Gates Fail to Avert Car-Train Crash
https://www.nytimes.[...]
2008-09-02
[79]
뉴스
Investigators Seek Answers In Fatal Crash That Killed Two; Cause of Waterford car-train accident may never be known
2005-09-30
[80]
뉴스
Family sues over fatal car crash on railroad tracks
http://www.boston.co[...]
2006-12-27
[81]
PNG
Passenger ridership
http://nec.amtrak.co[...]
Amtrak
2015-11-05
[82]
간행물
Amtrak FY16 Ridership and Revenue Fact Sheet
http://media.amtrak.[...]
Amtrak
2017-10-13
[83]
간행물
Amtrak FY18 Ridership
https://media.amtrak[...]
Amtrak
2019-11-27
[84]
간행물
Amtrak FY19 Ridership
http://media.amtrak.[...]
Amtrak
2019-11-27
[85]
간행물
Amtrak FY20 Ridership
https://media.amtrak[...]
Amtrak
2021-09-09
[86]
간행물
Amtrak FY21 Ridership
https://media.amtrak[...]
Amtrak
2023-05-24
[87]
간행물
Amtrak FY22 Ridership
https://media.amtrak[...]
Amtrak
2023-05-24
[88]
간행물
Amtrak FY23 Ridership
https://media.amtrak[...]
Amtrak
2024-09-03
[89]
문서
The Past and Future of U.S. Passenger Rail Service
http://www.cbo.gov/s[...]
2003-09
[90]
논문
Intercity Buses: The Forgotten Mode
https://www.scribd.c[...]
2011-06-29
[91]
뉴스
Trading Planes for Trains: Riders Weary of Patdowns and Delays Set Records for Amtrak
https://www.nytimes.[...]
2012-08-16
[92]
간행물
The key to Providence & Worcester's success: Reinvention
2016-04
[93]
웹사이트
Providence and Worcester Railroad
https://www.gwrr.com[...]
2018-04-22
[94]
웹사이트
Gateway Project
http://lautenberg.se[...]
Amtrak
2011-02-07
[95]
웹사이트
Maloney Hails Federal Grant to Ease Amtrak Delays in NYC, Spur High-Speed Rail in NE Corridor – $294.7 Million Grant to Improve "Harold Interlocking", a Delay-Plagued Junction For Trains in the NE Corridor
http://maloney.house[...]
Congresswoman Carolyn B. Maloney
2011-05-13
[96]
웹사이트
New York Awarded $350 Million for High-Speed Rail Projects
http://www.dnainfo.c[...]
DNAinfo.com
2011-05-13
[97]
웹사이트
House Vote Jeopardizes Key Northeast Rail Projects
http://www.northeast[...]
The Business Alliance for Northeast Mobility
2011-07-21
[98]
웹사이트
Harold Interlocking Northeast Corridor Congestion Relief Project
http://web.mta.info/[...]
2016-04-30
[99]
웹사이트
MTA: Another snag for East Side Access project
https://www.newsday.[...]
2018-04-16
[100]
웹사이트
LIRR to test upgraded signal system for East Side Access project. For Railroad Career Professionals
https://www.progress[...]
2018-04-16
[101]
뉴스
Feds steer $450M to N.J. for high-speed rail
http://www.nj.com/ne[...]
2011-05-13
[102]
뉴스
Amtrak to receive nearly $450 million in high speed rail funding
http://www.nj.com/hu[...]
2011-05-13
[103]
뉴스
Florida's rejected rail funds flow north
http://cityroom.blog[...]
2011-05-13
[104]
웹사이트
New Jersey High-Speed Rail Improvement Program
https://nec.amtrak.c[...]
Amtrak
2019-05-14
[105]
뉴스
Amtrak sprints toward a higher speed future
http://www.railwayag[...]
2014-01-19
[106]
뉴스
Amtrak Increasing Speed of Acela Trains in New Jersey Through Infrastructure Investments and Improvements
https://media.amtrak[...]
2022-06-20
[107]
뉴스
Biden announces upgrades for Amtrak's Northeast Corridor
https://www.washingt[...]
2016-08-26
[108]
웹사이트
Amtak Seeks $1.3 billion for Gateway Project and Next-Generation High-Speed Rail on Northeast Corridor
http://www.amtrak.co[...]
Amtrak
2011-04-08
[109]
뉴스
Transportation Statistics Annual Report
http://www.bts.gov/p[...]
2007-02-18
[110]
간행물
The Past and Future of U.S. Passenger Rail Service
http://www.cbo.gov/f[...]
2003-09
[111]
뉴스
Amtrak's ACS-64 is on the move
http://www.railwayag[...]
2014-02-18
[112]
웹사이트
Still No Answers in May Amtrak Power Outage
http://www.wnyc.org/[...]
2006-11-13
[113]
웹사이트
Amtrak: Cause of power outage unknown
http://www.courierpo[...]
2006-11-13
[114]
뉴스
A loss for Amtrak is Coleman's Gain.
Business Week
1976-09-13
[115]
웹사이트
Passenger rail in the 20th Century
http://www.railwayag[...]
2006-11-13
[116]
뉴스
At the dawn of Amtrak
Trains
1991-06
[117]
문서
United States Railway Association final system plan for reconstructing railroads in the northeast and midwest region pursuant to the Regional Rail Reorganization Act of 1973
[118]
웹사이트
amtrak-lands-450-million-to-boost-acela-to-160-mph
http://www.smartplan[...]
[119]
웹사이트
アムトラック、アセラの最高速度を一部区間で240km/hに引き上げ
https://denshadex.co[...]
2022-07-16
[120]
웹사이트
gateway-program-development-corporation-releases-request-for-information-for-hudson-tunnel-project
https://nec.amtrak.c[...]
[121]
웹사이트
MBTARouteHistory
http://www.transithi[...]
[122]
웹사이트
view
http://www.ri.gov/DO[...]
[123]
웹사이트
new-west-haven-train-station-open-for-business
http://www.nhregiste[...]
[124]
웹인용
Amtrak Ridership Rolls Up Best-Ever Records
http://www.amtrak.co[...]
암트랙
2012-02-07
[125]
문서
암트랙이 소유한 부분은 빨간색이며, 푸른 선은 여러 통근열차가 이용하는 구간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