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 하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 하먼은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리즈 대학교와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60년대 학생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하먼은 SWP의 이론가로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전개했으며, 특히 자본주의 경제 위기, 노동 운동, 제국주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세계를 뒤흔든 1968》, 《새로운 제국주의론》 등이 있으며, 2009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강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신문 편집자 - 콜린 워드
    콜린 워드는 영국의 무정부주의 사상가이자 저술가, 교육자로, 아나키즘 이론과 실제, 교육, 도시계획, 주택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프리덤》과 《아나키》의 편집자, 그리고 《도시 속의 아이》를 비롯한 여러 저서를 통해 탈학교, 자율적인 사회 조직, 주택 문제에 대한 아나키즘적 대안을 제시하고 젊은이들의 일상 공간 활용과 도시 환경에 대한 연구로 사회과학계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신문 편집자 - 리베카 브룩스
    리베카 브룩스는 영국의 언론인으로, 주요 언론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했지만, 언론 윤리 논쟁에 휘말리기도 했다.
  • 트로츠키주의자 - 토니 클리프
    토니 클리프는 팔레스타인 출신의 영국 트로츠키주의 이론가이자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주요 지도자로, 국가 자본주의 이론과 영구군비경제 이론 등을 제시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트로츠키주의자 - 클라라 프레이저
    클라라 프레이저는 노동 운동, 페미니즘,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한 미국의 사회운동가로서, 사회주의노동자당 활동, 자유 사회주의당과 급진 여성 공동 설립, 여성 전용 전기 기술직 훈련 프로그램 주도, "프리웨이 홀 사건" 소송,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즘 주창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영국의 반자본주의자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영국의 반자본주의자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크리스 하먼
기본 정보
이름크리스 하먼
원어 이름Chris Harman
출생일1942년 11월 8일
사망일2009년 11월 7일
사망 장소카이로, 이집트
국적영국
철학적 배경
지역서양 철학
시대현대 철학
학파마르크스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트로츠키주의
주요 관심사
관심 분야정치
경제
철학
사회학
영향
영향을 준 인물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
레온 트로츠키
토니 클리프
랄프 밀리반드
헨리크 그로스만
안토니오 그람시
영향을 받은 인물
영향을 받은 인물알렉스 캘리니코스
주요 사상

2. 생애

크리스 하먼은 노동계급 가정에서 태어나 리즈 대학교와 런던 정경대학교(LSE)에서 공부했다. 리즈 대학교에서는 1961년 사회주의 평론 그룹에 가입했고, LSE에서는 랄프 밀리밴드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 과정을 시작했지만 완료하지는 못했다.[1] 그는 LSE 사회주의 학회의 잡지인 ''The Agitator''를 출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8년 국제사회주의자들(SRG)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고, 베트남 연대 캠페인에 참여했다. 코누에이 홀에서의 회의에서 1945년 사이공에서 노동자 봉기를 진압한 후 베트남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지도자 타 뚜 타우를 살해한 호찌민을 비난하여 많은 좌파들의 분노를 샀다.[1]

1977년부터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에서 그의 주요 역할은 이론가였으며,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수많은 책과 기사를 썼다. 그의 거의 모든 저술은 IS와 SWP의 출판물에 실렸거나 Bookmarks와 같은 관련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1976-77년에 처음으로 ''사회주의 노동자'' 편집장을 지냈고, 1982년 휴식 후 그 역할로 돌아와 2004년까지 그 직책에 머물렀다.[2] 그 후 그는 SWP의 이론적 분기별 간행물인 ''국제 사회주의 저널''의 편집을 시작했다.

1968년 5월 프랑스 사건과 1960년대 후반의 다른 학생 및 노동자 봉기에 대한 하먼의 저서 ''The Fire Last Time''은 록 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이 ''악의 제국'' 앨범의 앨범 라이너 노트에서 추천했다.[3]

하이게이트 묘지에 있는 하먼의 묘


2009년 11월 7일 이집트 카이로의 사회주의 연구 센터(CSS)의 사회주의의 날 회의에서 강의를 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는 칼 마르크스의 묘소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진 하이게이트 묘지에 묻혔으며, 그의 동지 폴 풋의 묘소와 인접해 있다.

2. 1. 학문 연구

하먼은 노동자 계급 집안에서 태어나 리즈 대학교를 다녔다. 거기서 그는 사회주의노동자당의 전신 격이라 할 수 있는 사회주의 평론 그룹(SRG)에 가입했다. 이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랄프 밀리밴드의 지도를 받으며 박사 과정을 보냈다.[1]

2. 2. 사회주의 운동

그는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내 사회주의자 그룹의 출판물을 만들기도 했다.[1] 1968년에는 사회주의 평론 그룹(SRG)이 국제사회주의자(International Socialists)에 가입하면서 국제사회주의자(IS)의 지도적 인물이 되었다.

당시 그는 베트남 연대 캠페인(Vietnam Solidarity Campaign)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 집회에서 호치민이 1945년 베트남의 트로츠키주의 운동을 탄압한 것을 비판한 이후 다른 좌파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1]

그는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뛰어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기도 했다. 그는 과 논문, 신문기사를 비롯해 수많은 글들을 통해 SWP의 이론적 기반을 튼튼히 하는데 일조하였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SWP와 국제사회주의자 그룹에 관련된 출판사들에서 간행되었는데, 책갈피(Bookmarks) 사가 대표적이다. 하먼의 작품 중 68 혁명을 다룬 《세계를 뒤흔든 1968》은 RATM의 추천을 받기도 했다. 그들의 추천사는 'Evil Empire'의 음반 속지에 실려 있다.[3]

2. 3. 죽음

2009년 11월 7일 카이로에서 열린 사회주의자 행사 강연 도중에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4]

3. 주요 사상

크리스 하먼은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핵심 이론가로서,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다양한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 논문, 신문 기사 등 수많은 글을 통해 SWP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그의 저작들은 대부분 SWP나 국제사회주의자 그룹과 관련된 책갈피(Bookmarks) 사 등의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다.[1]

68 혁명을 다룬 그의 저서 《세계를 뒤흔든 1968》은 록 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TM)의 앨범 'Evil Empire' 속지에 추천사로 소개될 만큼 큰 주목을 받았다.[3]

하먼은 베트남 연대 캠페인에 참여했으나, 호치민이 1945년 베트남트로츠키주의 운동을 탄압한 것을 비판하면서 다른 좌파 세력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3. 1. 마르크스주의 이론

그는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뛰어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다. 그는 과 논문, 신문기사를 비롯해 수많은 글들을 통해 SWP의 이론적 기반을 튼튼히 하는데 일조하였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SWP와 국제사회주의자 그룹에 관련된 출판사들에서 간행되었는데, 책갈피(Bookmarks) 사가 대표적이다. 하먼의 작품 중 68 혁명을 다룬 《세계를 뒤흔든 1968》은 RATM의 추천을 받기도 했다. 그들의 추천사는 'Evil Empire'의 음반 속지에 실려 있다.[1]

3. 2. 노동 운동과 혁명

하먼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서 노동자 계급의 역할과 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저술은 주로 SWP 관련 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다.[1]

그의 저서 《세계를 뒤흔든 1968》은 68 혁명을 다룬 것으로, 록 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TM)이 추천하기도 했다.[3]

3. 3. 제국주의론

크리스 하먼은 레닌의 제국주의론과 마르크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제국주의론을 펼쳤다. 그는 자본주의 국가 간의 경쟁이 제국주의를 낳는다고 주장했다.[1] 이러한 주장은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이론가로서 그의 주요 역할과 다양한 주제에 대한 수많은 책과 기사를 통해 드러났다.[2]

하먼은 베트남 전쟁 시기 베트남 연대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호찌민이 베트남 트로츠키주의 운동 지도자 타 뚜 타우를 살해한 것을 비난하는 등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분명히 했다.

그의 저서 ''The Fire Last Time''은 1960년대 후반 학생 및 노동자 봉기를 다루며, 록 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앨범 ''악의 제국'' 라이너 노트에서 추천되기도 했다.[3] 이는 하먼의 제국주의론이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하먼은 2009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사회주의 연구 센터(CSS) 회의에서 강의 도중 심장마비로 사망했지만, 그의 제국주의론은 여전히 유효하며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

4. 저서

번역서명원제원작 발행 년도번역 년도역자출판사비고
동유럽에서의 계급투쟁Class Struggles in Eastern Europe19881994김형주갈무리
오늘의 세계경제1994이원영갈무리
마르크스주의와 공황론1995김종원풀무질
소련의 해체와 그 이후의 동유럽1995이원영갈무리
현대 프랑스 철학의 성격논쟁1995이원영갈무리앨릭스 캘리니코스 등 공저
마르크스주의와 국가자본주의 논쟁1995한석원풀무질에르네스트 만델 등 공저
쉽게 읽는 마르크스주의Explaining The Crisis: A Marxist Reappraisal19972001배규식북막스맑스주의 입문서. 잉여노동, 자본주의 사회 분석 등을 설명.
민족문제의 재등장19922001배일룡책갈피
신자유주의 경제학 비판19952001심인숙책갈피
노동자 계급에게 안녕을 말할 때인가19872001이원영책갈피앨릭스 캘리니코스 공저
저항의 세계화2002정영욱북막스
세계를 뒤흔든 1968The Fire Last Time: 1968 And After19882004이수현책갈피
민중의 세계사A People's History of The World19992004천경록책갈피
패배한 혁명: 독일 1918~192319972007임성윤풀무질
새로운 제국주의론2009이수현책갈피
21세기 대공황과 마르크스주의2009정성진책갈피정성진 편, 공저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크리스 하먼의 사상과 저작은 한국 사회, 특히 진보 진영과 노동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면서, 한국의 지식인 사회와 운동 진영에 다양한 논쟁과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이론가로서 그의 역할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책과 기사를 통해 한국 사회에 소개되었다.[2]

하먼의 저작 중 1968년 5월 프랑스 사건과 1960년대 후반의 학생 및 노동자 봉기에 대한 내용을 담은 ''The Fire Last Time''은 록 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앨범 ''악의 제국'' 라이너 노트에서 추천되기도 했다.[3] 이는 그의 사상이 단순한 학문적 영역을 넘어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하먼은 베트남 연대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코누에이 홀 회의에서 호찌민을 비판하여 좌파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이는 베트남 트로츠키주의 운동 지도자 타 뚜 타우의 죽음과 관련된 논쟁으로, 한국의 진보 진영에도 그의 사상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하먼의 사상은 노동계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그의 일부 급진적인 주장은 한국 사회의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참조

[1] 뉴스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11-09
[2] 블로그 Chris Harman's blog http://chrisharman.b[...]
[3] 웹사이트 Rage Against the Machine: Book List https://web.archive.[...] 2011-11-17
[4] 뉴스 Chris Harman obituary http://www.guardian.[...] 영국 가디언지 2009-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