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닌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닌주의는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소비에트 연방 내 권력 투쟁 과정에서 성립된 사상으로, 마르크스주의를 혁명적으로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레닌은 제국주의 분석, 프롤레타리아 독재, 전위당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간의 연계, 철학적 문제에 대한 유물론적 해답, 프롤레타리아 독재 하의 경제 구조, 공산주의자들의 행동 전략 등을 다루었다. 레닌주의는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사회 변혁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 레온 트로츠키 등은 레닌주의를 각기 다르게 해석하며 권력 투쟁을 벌였고, 스탈린은 일국 혁명 이론을, 트로츠키는 영구 혁명 이론을 주장하며 대립했다. 레닌주의는 권위주의적 해석, 경제적 비효율성, 수정주의 논쟁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은 이오시프 스탈린이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자연과 사회의 발전 법칙을 설명하며, 스탈린의 권력 강화와 정당화를 위해 1936년 소련 헌법 도입 과정에서 작성된 저작이다.
  • 소련 - 스타하노프 운동
    스타하노프 운동은 1930년대 소련에서 시작된 노동 생산성 향상 운동으로, 소련 공산당 주도하에 사회주의 경쟁의 한 형태로 전개되어 생산 목표 초과 달성을 장려했지만 과도한 목표 설정과 실적 부풀리기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 레닌주의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블라디미르 레닌 -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는 데살로니가후서에서 유래한 격언으로, 노동 윤리를 강조하며 식민지 운영 원칙, 사회주의 원칙 등으로 적용되었으나 왜곡되어 비판받기도 했고, 현대에는 노동 윤리 및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사회 곳곳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레닌주의
레닌주의 개요
레닌 초상화
로마자 표기leninizm
핵심 사상마르크스주의를 바탕으로 한 전위당론, 제국주의론, 프롤레타리아 독재 강조
역사적 맥락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당대회1903년
피의 일요일1905년
8월 블록 사건1912년
러시아 2월 혁명1917년 3월
4월 테제 발표1917년 4월
러시아 10월 혁명1917년 11월 7일
러시아 내전1917년 11월 7일 시작
1917년 러시아 총선1917년 11월 25일
체카 설립1917년 12월 20일
핀란드 내전1918년 1월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성립1918년 3월 2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년 3월 3일
전시공산주의 실시1918년 6월
스파르타쿠스 동맹 봉기1919년 1월
폴란드-소비에트 전쟁1919년 2월
코민테른 창설1919년 3월
몽골 독립 혁명1921년 3월 1일
크론시타트 반란1921년 3월 7일
신경제정책 도입1921년 3월 21일
중국 공산당 창건1921년 7월 23일
소련 성립1922년
주요 특징
핵심 개념공산주의
노농동맹
마르크스주의
민족자결
민족해방
민주집중제
반영론
반제국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소비에트 제도
"약한 고리" 이론
이중 권력 이론
일국 혁명론
일국사회주의
전위당론
통일전선
헤겔주의 철학
인민민주주의에서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혁명적 상황" 이론
상징 및 표어낫과 망치
노동자 마르세예즈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붉은 광장
붉은 별
인터내셔널가
영향공포 정치
바뵈프주의
블랑키주의
정통 마르크스주의
주요 저서
주요 저서"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경제 낭만주의의 특성에 관하여" (1897년)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일보 전진 이보 후퇴" (1904년)
"민주주의 혁명에서 사회민주주의당의 두 가지 전술" (1905년)
"사회주의와 종교" (1905년)
"아나키즘인가? 사회주의인가?" (1906년)
"농업문제와 소위 '마르크스 비판'" (1907년)
"볼셰비키와 소부르주아" (1907년)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1908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년)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 요소" (1913년)
"철학 노트" (1913년)
"사회주의와 전쟁" (1915년)
"제2국제당의 붕괴" (1915년)
"제국주의론" (1916년)
"국가와 혁명" (1917년)
"우리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임무" (1917년)
"이중권력" (1917년)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신자 카우츠키" (1918년)
"공산주의청년여성론" (1919년)
"소비에트 정부는 무엇인가?" (1919년)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1919년)
"공산주의에서의 좌익소아병" (1920년)
"공산주의청년학생론" (1920년)
"농업 문제에 관한 테제" (1920년)
"우리 혁명에 관하여" (1923년)
"협동조합에 관하여" (1923년)
"10월 혁명과 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전략" (1924년)
관련 조직
정당볼셰비키당 (1903년 ~ 1952년)
몽골 인민당 (1921년 ~ )
중국 공산당 (1921년 ~ )
인도 공산당 (1925년 ~ )
조선공산당 (1925년 ~ 1928년, 1945년 ~ 1946년)
인도차이나 공산당 (1930년 ~ 1945년)
국제 조직공산주의 인터내셔널 (1919년 ~ 1943년)
기타 조직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1919년 ~ 1922년)
상하이파 고려공산당 (1921년 ~ 1922년)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년 ~ 1927년)
분파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보르디가주의
볼셰비즘
부하린주의
티토주의
주요 인물
주요 인물레닌 (1870년 ~ 1924년)
제르진스키 (1877년 ~ 1926년)
스탈린 (1878년 ~ 1953년)
트로츠키 (1879년 ~ 1940년)
천두슈 (1879년 ~ 1942년)
톰스키 (1880년 ~ 1936년)
리코프 (1881년 ~ 1938년)
카메네프 (1883년 ~ 1936년)
루카치 (1885년 ~ 1971년)
알렉산드라 킴 (1885년 ~ 1918년)
라흐야 (1885년 ~ 1936년)
B. 쿤 (1886년 ~ 1938년)
부하린 (1888년 ~ 1938년)
리다자오 (1888년 ~ 1927년)
보르디가 (1889년 ~ 1970년)
김재봉 (1890년 ~ 1944년)
무케르지 (1891년 ~ 1937년)
티토 (1892년 ~ 1980년)

2. 용어

'레닌주의'라는 용어는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소련 내 권력 투쟁 과정에서 성립되었다.[101] 레닌은 자신의 사상을 마르크스주의의 혁명적 실천이라고 하였으며, 외부의 반공주의자 및 비(非)공산주의 저술가들은 레닌과 볼셰비키파의 사상을 ‘볼셰비즘’이라고 불렀다.

이는 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에 대해 카를 마르크스 사후 그의 이론을 신봉하는 활동가들이 사상 투쟁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했던 상황과 비슷하다. 요시프 스탈린은 1924년 자신의 저서인 『레닌주의의 기초』에서 레닌주의를 "제국주의 및 프롤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마르크스주의"라고 정의하였는데, 코민테른은 이 정의를 수용하여 레닌주의를 보편적 원리로 규정하였다. 이는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발전하였다.[99]

그러나 이러한 "레닌주의"의 내용은 좌익 사회민주주의 주요 타격론, 사회주의 일당제, 당내 분파 금지 등, 레닌 자신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것도 포함하고 있었으며,[99] 훗날 스탈린주의라고 불리며 비판받은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스탈린 비판, 반스탈린주의).

3. 역사적 배경

19세기 말,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당 선언》을 통해 공산주의 혁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사회경제적 후진성은 프롤레타리아 계급 형성을 촉진했고, 블라디미르 레닌러시아 혁명이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이라고 주장했다.[101]

4. 레닌의 주요 이론

레닌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러시아 현실에 맞게 발전시켜 다양한 이론을 제시했다.

'''블랑키주의 비판'''

레닌은 오귀스트 블랑키(Auguste Blanqui)의 비밀결사주의와 자신의 노선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블랑키주의가 소수 지식인의 음모에 의한 혁명 방식이며, 소수에 의한 쿠데타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105] 그러나 당시 러시아 사회의 경제적 후진성과 반동적 사상 조류를 고려하여 소수 직업혁명가의 역량 확보를 강조하였고, 이 지점에서 블랑키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이루게 됐다. 특히 폭력혁명에 대한 긍정 및 합법·비합법 활동의 배합은 블랑키의 주장과 흡사하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과 블랑키의 차이는 지엽적이며 본질적으로는 같다고 평가했다.[106]

'''전위당론'''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당 선언』(1848)에서 공산당을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혁명으로 이끌 유일한 정치적 전위로 제시했다. 레닌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1902)에서 노동 계급 출신의 혁명적 전위당이 정치 운동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프로레타리아가 혁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다른 사회주의 정당과 아나코-생디칼리스트들이 주장하는 노동조합 투쟁의 경제 운동과는 다르다고 보았다.

'''민족 자결권'''

레닌은 억압받는 민족의 사회민주주의자는 억압받는 민족이 독립 국가를 형성할 권리(민족 자결권)를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민족 자결권에 관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해서는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내란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제2인터내셔널의 가맹 정당들이 각각 “자국” 정부의 전쟁을 지지한 것을 격렬하게 비판하고, 제3인터내셔널을 창설할 것을 촉구했다(『사회주의와 전쟁』).

'''4월 테제'''

러시아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자, 거기서 성립한 임시 정부를 부르주아지의 권력, 소비에트를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의 권력으로 파악하고, 4월 테제에서 전자에서 후자로 권력을 전면적으로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와 혁명'''

국가와 혁명』은 마르크스-엥겔스의 폭력 혁명론을 부활시켰다. 사회주의 혁명에서는 기존의 국가 기구는 파괴되어야 하며, 그것을 대체하는 코뮌형 국가도 공산주의의 실현과 함께 소멸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교자 카우츠키'''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교자 카우츠키』에서는 “프롤레타리아의 혁명적 독재는 부르주아지에 대한 프롤레타리아의 폭력에 의해 쟁취되고 유지되는 권력이며, 어떤 법률에도 구속되지 않는 권력이다”라는 인식을 보이면서, 러시아 혁명에서 성립한 소비에트를 부르주아 민주주의보다 고도한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레닌은 저서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에서 경험일원주의(經驗一元主義)를 비판했다. 레닌은 사회 발전의 일반 법칙을 고찰하고, 역사적 보편성의 선형성을 통해 인간 의식 활동이 단순한 감각 인지의 인과론적 조합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사회주의와 종교'''

레닌은 종교가 사람들을 속이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정치와 종교는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학과 무신론(신이 없다는 믿음)을 널리 알려서 종교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26]

'''공산주의 운동에서 '좌익' 소아병'''

레닌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볼셰비키 내 '좌익공산주의파'들이 자신의 정책을 비판하자, 이들의 이론과 행동 지침을 비판하기 위해 《공산주의 운동에서 ‘좌익’소아병》을 저술했다.[124]

'''협동조합에 관하여'''

레닌은 신경제정책(NEP) 시기에 협동조합을 통해 사회주의 경제 조직을 형성하고, 농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1. 제국주의론 (1916)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6년에 저작한 『제국주의론』에서 자본주의제국주의의 관계를 설명하고, 거대 초국적 기업과 강대국 자본주의가 약소국 경제를 착취하는 방식을 분석했다. 레닌에 따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은 더 많은 잉여가치를 독점하기 위해 식민지 쟁탈전을 필연적으로 벌일 수밖에 없다.[9]

레닌은 『제국주의론』에서 자본주의의 '정치·경제의 불균등 발전'(Неравномерное экономическое и полит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ru)을 공식화했다. 이 이론은 사적 소유, 이윤 추구, 생산의 무정부성 등 자본주의의 태생적 불균등성에 기반한다. 소규모 소유와 생산에 기반한 소영업자들은 자본주의의 불균등성으로 인해 몰락하고, 이익은 소수 대자본에 집중된다. 그 결과 독점자본주의가 형성되고, 원료 생산지와 강매 시장을 찾기 위해 제국주의로 나아가게 된다.[142]

레닌은 영국인도를 서서히 지배하기 시작한 18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제국주의 단계가 시작되었고, 유럽 대륙의 경우 1860년대 말 식민지 팽창을 시작한 프랑스가 그 기점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 시기는 제국주의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이었기에 제국주의 포화 상태는 아니었다. 레닌은 카를 마르크스가 이 시기에 세계혁명론을 주장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단계에 머물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143]

자본주의의 불균등성이 제국주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자본주의 국가는 '서로 협력하는 경제 관계로서의 상호의존성'을 버리지 못한다. 결국 일국혁명은 '자본주의 세계의 공고한 연합'에 의해 진압될 것이다. 레닌은 1871년 파리 코뮌 진압이 바로 이러한 사건이라고 분석했다. 이후 제국주의 팽창이 극에 달하고 성숙한 제국주의 국가가 성립되어 다른 제국주의 국가와 경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제국주의 국가는 더 이상 다른 제국주의 국가와 협력 관계를 가지지 않으며, 자본 경쟁은 극에 달한다. 결국 제국주의 국가는 저발전된 자본주의 국가나 봉건 국가를 자국의 제국주의 팽창을 위해 정치, 외교, 경제적으로 재분할하게 된다. 레닌은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인민이 전쟁으로 죽고, 기아, 역병, 학살을 동반한 전쟁의 참상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제국주의 체제를 '인류 역사상 가장 광적이고 야만적인 체제'라고 표현했다.[144]

여기서 일국혁명의 정당성이 생긴다. 제국주의 세력의 세계 재분할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약한 고리'가 등장하고, 그 약한 고리에서 혁명이 일어날 경우 제국주의 블록은 연합된 저항을 보이지 못한다. 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바로 그 재분할의 결과이며, 약한 고리는 차르 체제의 러시아 제국이라고 보았다.

불균등 발전 법칙에 따르면, 제국주의 국가는 이윤율을 증가시켜 자본을 팽창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세계 재분할을 시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약한 고리'가 만들어지고, 제국주의 국가는 '제국주의 열강 사이의 대립(경쟁)' 속에서 이 약한 고리에서 일어난 혁명에 쉽게 대처할 수 없다. 결국 제국주의 체제는 혁명으로 무너지고 자본주의는 설 자리를 잃는다. 따라서 레닌은 제국주의 시대에 보편성을 갖는 혁명은 세계혁명이 아닌 일국혁명이라고 보았다. 즉, 세계혁명은 불균등성이 심화되지 않은 자본주의 단계에서나 유의미하며, 제국주의 시대에는 '약한 고리'에 집중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일국혁명이 더 효과적이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 체계를 받아들여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했다.[145]

레닌의 경제 분석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세계 금융 시스템으로 변모하며, 산업화된 국가들이 식민지에 금융 자본을 수출하여 원주민의 노동 착취와 자원 착취를 통해 이익을 실현한다. 이러한 초과 이윤 획득으로 부유한 국가들은 대다수 노동자보다 약간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리는 국내 노동 귀족 계층을 유지하며, 자본주의 모국에서 평화로운 노사 관계를 보장한다. 따라서 제국주의적 세계 금융 시스템이 유지되는 한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일어날 수 없다. 최초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20세기 초 자본주의 세계 금융 시스템 내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약한 국가인 러시아 제국과 같은 저개발 국가에서 발생해야 한다.[9]

레닌의 1917년 저서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신 단계』 러시아어 초판 표지

4. 2. 국가와 혁명 (1917)

Государство и революцияru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은 멘셰비키의 교조주의적 주장을 비판하고, 생산력 발전을 세계적 단위에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147]

레닌은 "현재의 자본주의는 제국주의 단계로 넘어왔다. 생산력의 과잉 시대로 진입한 현 시점에서 혁명의 고조는 제국주의 분쟁의 중심지인 유럽에서 산발적이며, 분산적일 수밖에 없다.", "러시아 프롤레타리아는 유럽 프롤레타리아 중에서 가장 계급적으로 각성된 의식을 갖고 있다."[148]라고 언급하였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노동계급의 지지 아래 수립되어야 하며, 공산당은 차르 정부의 인민에 의한 타도를 이끌고, 그 후 정부 권력을 노동 계급에게 이양할 것이다. 지배 계급의 변화 – 부르주아에서 프롤레타리아로 – 는 사회주의의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12]

4. 3. 무엇을 할 것인가? (1902)

블라디미르 레닌은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사회주의 혁명가와 일반적인 근로 대중을 구분하고, 전자가 후자를 통일적으로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전위당론’이라고 부른다.[12]

레닌은 노동자 대중의 파편화에 근거한 순수 자발적 혁명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교육 수준이 낮은 노동자들은 스스로 자본의 노예 생활을 자처할 수 있으며, 당의 지도 없이는 룸펜프롤레타리아 대열에 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노동자 대다수가 아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결체가 없는 혁명 행위에서 그들은 공산주의를 멋대로 해석하여, 그런 사상 분열이 혁명 행위의 분열로도 이어질 것이라 믿었다. 그는 일부 활동성이 높은 노동자, 직업 혁명가, 사회주의 학자들이 전위대를 조직해 다수의 산업 노동자, 농민들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레닌은 산업 노동자, 농민과 직업 혁명가 간의 위계질서와 상명하복 관계를 주장했다. 실제로 볼셰비키는 노동자와 농민으로 이루어진 소수 혁명가가 지휘하는 레닌의 전위대였고, 러시아 제국을 철저히 전복시켰다.

그러나 전위당론은 주로 아나키스트들과 좌파공산주의자들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여러 마르크스주의자, 레닌주의 외의 공산주의자들은 레닌주의를 권위주의의 일종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아나키스트 FAQ의 저자들은 "이 순전한 엘리트주의는 사회주의는 노동계급의 자기해방이라는 관점을 전면적으로 위배한다. 더욱이 이것은 권력을 지닌 자의 선의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에 기반을 둔 유토피아적 발상이다."라고 언급했다.[111]

4. 4. 농업 문제와 소위 '마르크스 비판' (1907)

레닌은 농민의 혁명성을 인정하고 빈농과의 협력을 강조하였다. 그는 1907년에 집필된 『1905-1907년 제1차 러시아 혁명에서 사회민주당의 농업 강령』에서 모든 토지의 국유화를 당의 새로운 농업 강령으로 제시했다.[121] 또한 러시아 농업의 자본주의화는 농민 주도의 미국식과 지주 주도의 프로이센식이라는 두 가지 길이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레닌은 멘셰비키가 농민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나로드니키주의가 농업 발전을 거부하는 것을 모두 비판했다. 그는 중농과의 동맹을 통해 사회주의 경제를 조직하고자 했으며, 부농을 제외한 대부분의 농민이 프롤레타리아 주도의 사회주의 경제 조직에 적대적이지 않다고 보았다. 레닌은 두 계급 사이에 계급투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121]

레닌은 농민과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파괴적인 계급투쟁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가 사회주의 조직 과정에서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보았다. 빈농은 볼셰비키에 의해 국유화된 토지에서 농업노동자로 일하며 트랙터와 같은 농업 장비를 무상으로 사용하고, 이를 통해 생산력을 높인 후 소농과 중농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당은 중농의 토지를 몰수하지 않고, 세금 제도 및 농산물 회수제를 통해 국가 기관과 생산 조직 사이의 괴리성을 없앤다고 주장했다.

레닌은 공업화의 필수 요건으로 '농업 인구의 사회주의 조직화'를 제시하며, 이는 오직 협동조합을 통해서만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협동조합에 관하여』(1923년 1월)에서 "모든 대량 생산수단을 지배하는 국가 권력, 프롤레타리아트의 수중에 있는 국가 권력, 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프롤레타리아트와 수백만 소농 및 영세농과의 동맹, 프롤레타리아트의 농민에 대한 확실한 지도력"이 협동조합을 통해 완전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전부라고 주장했다.[154]

4. 5.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

블라디미르 레닌은 저서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에서 경험일원주의(經驗一元主義)를 비중 있게 비판했다. '경험일원주의'는 러시아 의사이자 볼셰비키 내 전진파(前進派, Вперёд)[128] 소속 경험주의 이론가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Алекса́ндр Богда́нов, 1873 - 1928)가 1906년 저술한 책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레닌은 이 입장을 '기계론'(Механицизм), '마하주의'(Махизм), '유아론'(Солипсизм) 등으로 표현했다. 경험일원주의는 영국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가 처음 주장했고, 프랑스 좌익 부르주아 사상의 핵심 개념이다. 물리학·생물학 분야에서는 에른스트 마하(Ernst Mach)와 리하르트 아베나리우스(Richard Avenarius)가 시작했고, 러시아에서는 보그다노프가 주창했다. 이 입장은 여러 경험주의, 절충주의, 불가지론적 전제들과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다.

1903년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이론가들에 따르면, 감각적으로 인지된 요소는 인지된 대상 물질의 객관성(물자체)과 완전히 일치한다. 이는 "가시적 사물은 그 자체로 존재하며, '물자체'와 '현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주장과 같다. 또한, 어떠한 정합이나 기초주의적 회의도 필요 없다고 보았다.[129] 의식 활동에서 논의되는 시공간은 모두 감각된 것들의 파지에 의해 의식(意識)이 조작하는 것이며, 객관적 시공간은 자연과학에서만 논의된다. 즉, 의식적 시공간은 감각을 통해 파생되는 부차적 의식 조작일 뿐이다. 이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유적존재(Gattungswesen)로서의 인간'을 부정하고, 사적유물론에 따른 생산관계 발전을 부정하는 논리로 이어진다. 이들은 사회 발전도 감각 인지에 따른 행동 에너지 증감에 따라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기계론적 결정주의로 귀결된다.[130]

레닌은 사회 발전의 일반 법칙을 고찰하고, 역사적 보편성의 선형성을 통해 인간 의식 활동이 단순한 감각 인지의 인과론적 조합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경험일원주의자들은 의지 활동이 물질적 측면에서 논의되는 에너지 활동이라고 전제한다. 따라서 감각 인지는 그 자체로 물질적 활동이며, 시공간성이 존재해도 개별 의식과 독립적이므로, 반영주의자들이 말하는 '의식성'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 레닌은 마르크스주의를 경험일원주의 틀에 맞추려는 주장에 대해, 인간 행동이 감각 인지에서 파생된다면 역사 법칙은 존재할 수 없다고 반박하며, 경험일원주의는 마르크스주의 반대 논리라고 비판했다. 또한, 이들의 감각주의적 유아론 입장도 비판했다. 그는 인간이 성숙한 인식을 통해 물자체 ― 레닌은 물자체를 단일 물질에 대한 개별적 인식과 연결하지 않았다. 그는 단일 물질에 대한 개별적 인식은 가능하지만, 주관적 관념이 아닌 대상성에 기초한 연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즉, 역사의 발전과 물질 속성을 연구하는 과학 발전을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다고 보았다. ― 를 알 수 있으며, 성숙한 의식은 경험된 '불완전한 인지'를 비판, 종합, 회의하여 형성된다고 했다. 이 비판은 변증 과정이며, 변증이 있는 한 인지되는 감각은 불완전하다. 레닌은 인간이 사물을 인지하는 그대로 물자체를 알게 된다면, 과학은 원시시대부터 매우 빠르게 발전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131]

레닌은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에서 기계론적 경험주의 비판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지만, 그의 비판이 경험주의에 대한 본질적 비판이 되기 어렵고, 논리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예를 들어, 과학 발전 정도와 속도, 이를 인간 인지 문제와 연결한 부분에서 레닌은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은 공산주의 사상을 기계론과 기술주의(技術主義)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강력한 시도로 평가되며, 러시아 공산주의 사상 이해에 핵심적인 텍스트로 여겨진다.

4. 6. 사회주의와 종교 (1905)

블라디미르 레닌은 종교가 사람들을 속이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정치와 종교는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학과 무신론(신이 없다는 믿음)을 널리 알려서 종교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26]

4. 7. 공산주의 운동에서 '좌익' 소아병 (1920)

블라디미르 레닌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볼셰비키 내 '좌익공산주의파'들이 자신의 정책을 비판하자, 이들의 이론과 행동 지침을 비판하기 위해 《공산주의 운동에서 ‘좌익’소아병》을 저술했다.[124]

레닌은 이 문헌에서 좌익공산주의파의 주장을 비판하며, 그들의 극좌 모험주의가 사회주의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특히 유럽 혁명에서 공산주의 운동가들이 보수적인 의회 활동을 꺼리는 것을 비판하며, 부르주아 정치의 기만성을 알리기 위해 어떤 곳에든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산주의자가 의회라는 합법적인 공간과 폭력적인 노동운동 및 혁명 준비라는 비합법적인 공간 모두에서 투쟁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의회 활동에만 가치를 두는 것은 우경이며, 비합법 활동에만 가치를 두는 것은 맹동주의라고 비판했다.[124]

레닌은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서 활동하는 공산주의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행동 지침을 제시했다.[124]

# 공산주의자는 합법적인 정치 세력 획득 가능성이 없을 때, 의회에서 가장 덜 반동적인 세력을 비판적으로 지지하여 부르주아 정치의 허위성을 알려야 한다.

# 합법과 비합법 영역 모두에서 투쟁하되, 방식은 달라야 한다.

# 부르주아 법의 기만성을 인지하고, 합법 투쟁에서 적극 이용해야 한다.

# 현실 정치에 참여하여 스스로를 알려야 하며, 의회, 노동조합, 언론, 시민단체 등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

# 이론과 행동의 괴리는 군중과의 괴리를 야기하므로, 공산주의자는 실천가여야 하며, 도덕 행실에 주의해야 한다.

# 집권 및 정권 유지 과정에서 임시 변동책 사용을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레닌은 공산주의 운동이 현실과 괴리되어서는 안 되며, 사회 변혁은 최상의 수단과 방법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좌익' 소아병자들이 구체적 현실을 보지 않고 혁명을 공상적으로 관망하여 혁명의 퇴조를 불러온다고 비판하며, 공산주의 운동에 현실적이고 냉정한 수단이 필요함을 역설했다.[124]

4. 8. 협동조합에 관하여 (1923)

레닌은 신경제정책(NEP) 시기에 협동조합을 통해 사회주의 경제 조직을 형성하고, 농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서 『협동조합에 관하여』(О кооперации, 1923)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레닌은 신경제정책을 "노동계급의 사회주의 부문이 농민의 획득을 놓고 투쟁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했다.[149] 당시 경제는 국유화된 사회주의 공업 부문, 국가자본주의 부문, 소생산자(소부르주아) 부문, 사적 자본주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레닌은 노동계급이 농민을 포함한 소생산자 집단을 사회주의 건설에 참여시키고, 사적 자본주의 부문을 제한해야 한다고 보았다.

레닌은 혁명에서 중농과 동맹했던 것처럼, 사회주의 경제 조직 과정에서도 중농과 동맹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부농을 제외한 대부분의 농민이 프롤레타리아가 주도하는 사회주의 경제 조직에 적대적이지 않으며, 두 계급 사이에 계급투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21]

농민과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계급투쟁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의 형성과 관련이 있다. 빈농은 국유화된 토지에서 농업노동자로 일하며 농업장비를 무상으로 사용하고, 생산력을 증가시킨 후 소농과 중농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당은 중농의 토지를 몰수하지 않고, 세금 제도 및 농산물 회수제를 통해 국가 기관과 생산 조직 사이의 괴리를 없앤다.

레닌은 공업화의 필수 요건으로 '농업 인구의 사회주의 조직화'를 꼽았고, 이는 협동조합을 통해서만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단, 이는 노동계급이 국가 조직을 장악하고 주요 생산수단이 국유화된 시점에서 의미가 있다.

레닌이 주장하는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은 자본주의 국가의 협동조합과 다르다. 자본주의 국가의 협동조합은 총회에서 권한이 동등하고 국가의 직접적인 개입이 없지만,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은 국가가 사업 방향과 물자, 인프라를 지원하고 직접 개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55]

레닌은 농민의 자발적 참여를 위해 물질적 보상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협동조합 가입자에 대한 세금 혜택, 국영은행 대출 혜택 등을 제시하고, 국가 기관이 협동조합을 지원하며, 구성원이 외부 거래자와 무역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농민이 발전된 농업 체계에 적응하는 '새로운 농민'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150]

소생산자(수공업, 소공업 종사자)들은 협동조합화를 통해 사회주의 생산 관계로 전환했다. 정부는 협동조합 결성 시 세금 혜택, 신용 제공, 전문집단의 사업 전략 피드백, 자금 지원, 타 공업과의 연계망 제공 등을 통해 소생산자 집단의 대공업화를 지원했다.

수공업은 사회주의적 공업화 이전에 일용품 생산을 담당했다. 이러한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은 제1차 5개년 경제 개발 계획 때도 활용되었다. 1933년 1월 1일 수공업 협동조합은 14,811개, 소속 인원은 160만여 명에 이르렀다.[156] 이를 통해 사회주의적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주의 계획 경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156]

니콜라이 부하린은 농촌에서 자본주의 생산 관계를 유지하고 협동조합을 신용 협동조합으로 제한하며, 국가 개입을 최소화하고 협동조합 간 경쟁을 촉발시키려 했다. 이는 레닌의 생각과 대립되는 것이었다.[149]

민주집중파는 신경제정책 폐지와 급진적 국유화를 주장했다. 레닌은 이들의 주장이 현실성이 없고 노동계급과 농민 사이의 계급투쟁을 격화시킨다고 비판했다.

5. 레닌주의의 영향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발전된 레닌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혁명적으로 계승한 사상으로, 20세기 전반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99] 제2인터내셔널에서의 논쟁, 특히 카를 카우츠키와의 논쟁(전투적 마르크스주의), 제국주의론,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노농동맹론, 전위당 조직론 등이 레닌주의의 기본적인 내용이다.[99]

레닌의 사상은 레닌 사후 "레닌주의"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1924년 요시프 스탈린의 『레닌주의의 기초』에서 제국주의 및 프롤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마르크스주의로 정의되었다.[99] 코민테른은 이 정의를 받아들여 레닌주의를 보편적 원리로 규정하고,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통해 세계화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발전시켰다.[99]

레닌주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제국주의론과 프롤레타리아 혁명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실현 조건과 형태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의 상호 관계 (노농동맹)
민족 문제 일반의 의의
프롤레타리아 세계혁명을 위한 식민지·반식민지 국가에서의 민족 운동의 특수한 의의
당의 역할 (전위당 조직론)
제국주의 전쟁 시대의 프롤레타리아 전술
과도기의 프롤레타리아 국가의 역할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2단계론)
이 시기의 프롤레타리아 국가의 구체적인 형태로서의 소비에트 권력 (사회주의 일당제)
기회주의적 경향과 혁명적 경향 등으로 인한 노동 운동의 분열의 원천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 자신의 내부에서의 사회 계층화 문제
공산주의 운동 내에서의 우익적·사회민주주의적 경향 및 좌익적 편향의 극복 (좌익 사회민주주의 주요 타격론)



그러나 이러한 "레닌주의"는 좌익 사회민주주의 주요 타격론, 사회주의 일당제, 당내 분파 금지 등 레닌 자신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으며,[99] 후에 스탈린주의로 비판받기도 했다.

레닌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재건을 위해 『해야 할 일?』에서 전국적인 정치 신문 구상을 제시하고, 노동 운동에 주력하는 경향을 경제주의라고 비판했다. 러시아 1차 혁명 당시에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수행하는 주체가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토지의 국유화를 제시했다. 또한, 민족 자결권을 옹호하며 제1차 세계 대전을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제2인터내셔널과 결별하여 제3인터내셔널 창설을 촉구했다.

제국주의론』에서 레닌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마지막 단계로 파악하고, 2월 혁명 이후 4월 테제를 통해 소비에트로 권력 이양을 주장했다. 『국가와 혁명』에서는 국가 소멸론을 제시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교자 카우츠키』에서는 소비에트가 부르주아 민주주의보다 고도한 민주주의를 구현한다고 주장했다.

5. 1. 한국의 민주화 운동

한국의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레닌주의의 혁명 이론은 억압적인 권위주의 체제에 맞서는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특히, 전위당 조직론은 민주화 운동 단체의 조직 및 운영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2. 한국의 노동 운동

레닌주의의 노동 계급 중심 혁명 이론은 한국의 노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동조합 결성과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투쟁 과정에서 레닌주의는 중요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5. 3. 한국의 사회 변혁 운동

블라디미르 레닌의 제국주의론과 민족 해방 이론은 한국의 사회 변혁 운동, 특히 반외세 및 통일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민족 자결권 옹호는 한국 사회의 중요한 의제로 자리 잡았다.[146]

레닌은 제국주의 국가가 '정치·경제의 불균등 발전'에 따라 생존을 위해 세계를 재구조화하며, 이 과정에서 내정간섭과 침략전쟁을 동반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국주의 국가는 스스로를 파괴할 수 있는 '약한 고리'를 만들게 된다. 동시에 제국주의 국가는 초과이윤을 국내 인민에게 분배하고, 노동자 기만 전략을 사용하며, 이는 '노동귀족'(Arbeiteraristokratiede)의 자본가와의 타협으로 이어져 혁명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분석은 독일 혁명 실패와 헝가리 소비에트 붕괴 이후 레닌과 볼셰비키가 중국을 새로운 혁명의 발산지로 여기게 된 배경이 되었다. 레닌은 중국을 제국주의 열강의 재분할 대상이자 '약한 고리'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1920년 코민테른의 지시로 1921년 중국 공산당이 창건되었고, 소련은 반제국주의 연대 명분으로 쑨원의 중국 국민당을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독립 자금을 지원하였다.[146]

소련의 중국 혁명 지원은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민족 모순' 개념을 만들고, 중국 혁명의 성격을 재진단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민족 모순'은 '계급 모순'에서 파생된 문제로, 제국주의가 약소 민족을 억압하며 발생하는 '민족 모순'은 본질적으로 자본주의의 '계급 모순'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은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 지배 구조에 의존하기 때문에 약소 민족의 '민족' 개념이 제국주의 체제의 약한 고리를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반제민족주의자들의 식민지 민족해방운동을 적극 지원했다.

레닌은 억압받는 민족의 민족주의를 인정하고 자결권을 옹호하며, 러시아 제국(1721~1917)의 모든 영토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수립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러시아 쇼비니즘에 반대했다.[22][23] 그는 "억압받는 어떤 민족의 부르주아 민족주의는 억압에 대항하는 일반적인 민주적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이 내용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24]

6. 레닌주의에 대한 비판

레닌주의는 제2인터내셔널에서 카를 카우츠키와의 논쟁(전투적 마르크스주의), 제국주의론,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노농동맹론, 전위당 조직론 등을 기본 내용으로 하며, 20세기 전반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99] 레닌주의를 비판하는 사상은 반레닌주의라고도 불린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인간의 감각성이 '어그러진 외물 인지'일 뿐이라는 점은 동의했으나, "그것은 완전히 비선형적으로 분산되었기에 인간이 물자체를 알 수 없다."는 논리를 철저히 비판했다. 레닌은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분산된 무언가'의 물자체를 알 수 있다고 보았다.

레닌의 사상을 "레닌주의"라고 부르는 것은 레닌 사후에 시작되었다. 1924년 요시프 스탈린의 『레닌주의의 기초』에서의 정의가 가장 유명하다.[99] 코민테른은 스탈린에 의한 정식화를 받아들여 레닌주의를 보편적 원리로 규정하고,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통해 세계화되어, 후에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발전했다.[99] 그러나 이러한 "레닌주의"는 스탈린주의와 같이 레닌 자신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것도 포함하고 있었다.[99]

레닌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재건을 위해 『해야 할 일?』에서 전국적인 정치 신문의 구상을 제시하고, 노동 운동에 주력하려는 경향을 경제주의라고 비판했다. 러시아 1차 혁명 발발 후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적 독재”라는 슬로건을 제시하고, 모든 토지의 국유화를 당의 새로운 농업 강령으로 제시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해서는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제2인터내셔널과 결별하여 제3인터내셔널 창설을 촉구했다. 『제국주의론』에서는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새로운 단계로 파악했고, 2월 혁명 후 4월 테제에서 소비에트로 권력 이양을 주장했다. 『국가와 혁명』은 마르크스-엥겔스의 폭력 혁명론을 부활시켰으며,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교자 카우츠키』에서는 소비에트를 옹호하였다.

6. 1. 권위주의 비판

블라디미르 레닌은 저서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사회주의 혁명가와 일반 근로 대중을 구분하고, 혁명가가 근로 대중을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전위당론'이라고 부른다. 레닌은 노동자 대다수가 사회주의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당의 지도 없이는 혁명이 분열될 것이라고 보았다.[111]

레닌은 저서 『공산주의 운동에서 ‘좌익’소아병』에서 전위당론에 반대하는 자들을 비판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당의 지도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위당론은 아나키스트와 좌파공산주의자들로부터 권위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들은 레닌주의가 소수 엘리트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노동 계급의 자기 해방이라는 사회주의의 기본 원칙을 위배한다고 지적했다.[111]

6. 2. 경제적 비효율성 비판

Ленинизмru에 기반한 중앙집권적 계획 경제는 경제적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압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6. 3. 수정주의 논쟁

레닌 사후, 소비에트 연방 내 권력 투쟁 과정에서 '레닌주의'라는 용어가 성립되었다. 이오시프 스탈린, 니콜라이 부하린, 레온 트로츠키 등은 각자 레닌주의를 다르게 해석했다.[149] 스탈린은 일국 혁명 이론과 반영주의를 중심으로 레닌주의를 해석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형성했다. 부하린은 신경제정책(NEP)을 기반으로 레닌을 해석했으나, 이는 '우익 기회주의'로 분류된다.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 정치혁명 및 반(反)관료주의에 기초한 트로츠키주의를 형성했다.[149]

트로츠키 추방 이후, 국제공산주의 운동은 제4인터내셔널(트로츠키 지지)과 코민테른(스탈린 지지)으로 나뉘어 과학적 이데올로기에 관한 논쟁이 격화되었다. 마르크스-레닌주의트로츠키주의 중 어느 것이 레닌주의의 진정한 계승자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트로츠키주의는 멘셰비키 이론의 급진적 경향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트로츠키는 농민 문제에서 레닌과 다른 입장을 보였고,[149] 스탈린은 농업 집산화 과정에서 레닌의 입장을 고수하여 레닌주의의 일반적 계승자로 여겨진다.[149]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에서 스탈린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한 나라에서의 사회주의)와 트로츠키주의(영구 혁명)는 레닌주의로부터 정통적 계승을 주장했다. 소비에트 공산당 내에서 각 이념 집단은 상대의 정치적 정당성을 부정했다.[27] 레닌은 사망 직전까지 스탈린의 과도한 정치적 영향력에 맞서 싸웠다.[19][28] 스탈린이 서기장 직책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많은 행정 권력을 축적했기 때문이다.[29][30]

7. 의의와 평가

레닌주의는 러시아 혁명을 이끈 핵심 사상으로,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현실에 맞게 발전시킨 사상이다. 당시 유럽에 만연했던 세 가지 경향, 즉 카를 카우츠키멘셰비키의 교조주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수정주의, 볼셰비키 내 '좌익공산주의파'와 로자 룩셈부르크의 소아병적 사회주의에 대항하며 탄생했다.[101]

레닌은 마르크스주의의 변증법을 계승하여 기계론에 맞서는 반영주의 인식론을 확립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구체화하고, 『제국주의론』을 통해 제국주의 시대의 혁명을 '약한 고리론'에 기초한 일국 혁명으로 재규정하여 약소민족의 자결권 운동과 사회주의 혁명을 통합하는 데 기여했다.[102]

블라디미르 레닌차르 체제의 러시아에 사회주의 국가 소련을 건설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에 실천적 행동 지침, 즉 프롤레타리아와 빈농의 지지를 받는 공산당이 혁명의 전위대가 되어 구체제를 전복하고, 소비에트를 통해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할 때까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과도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103] 공유재산, 프롤레타리아 독재, 제국주의자본주의의 관계, 신식민지 존재를 이론화하고, 변증법적 유물론을 현대적으로 개조하여 역사적 유물론, 정치, 사회적 유물론 사고관을 정립했다.[104]

레닌의 혁명 이론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 제국주의 분석: 제1차 세계 대전을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약한 고리'를 통해 사회주의 혁명이 촉발될 수 있음을 설명하여 소련 성립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는 식민지 해방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 마르크스주의를 철학 발전의 연장선에서 해석하여 정통마르크스주의의 수동성을 극복했다.
  • 프롤레타리아 독재 구체화: 사회주의 단계의 정책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사회주의 국가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만들었다.
  • 공산주의자 행동 강령 제시: 부르주아 민주주의 사회에서 혁명 실천 전략과 전술을 구상하고, 농민 문제, 당 조직론 등으로 확장했다.


요시프 스탈린은 『레닌주의의 기초』에서 레닌주의를 "제국주의 및 프롤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마르크스주의"이자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이론과 전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이론과 전술"로 정의했다.[100] 코민테른은 이를 수용하여 레닌주의를 보편적 원리로 규정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발전시켰다.[99]

레닌주의는 제2인터내셔널과의 논쟁, 제국주의론,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노농동맹론, 전위당 조직론 등을 통해 20세기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99] 그러나 스탈린주의로 이어져 스탈린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Leninist Politic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12-19
[2]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1999
[3] 백과사전 Leninism
[4] 백과사전 The Columbia Encyclopedia 1994
[5] 백과사전 Dictionary of Wars 2007
[6] 학술지 The canon and the mushroom Lenin, sacredness, and Soviet collapse https://www.journals[...] 2021-02-07
[7] 서적 Lenin Rediscovered: What is to be Done? in Context Brill Academic Publishers
[8] 서적 The Faces of Janus: Marxism and Fascism in the Twentie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2000
[9] 학술지 The Impact of Russian Culture on Soviet Communism West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53-12
[10] 서적 United States of Europe Slogan
[11] 서적 Left-Wing Communism: an Infantile Disorder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3-01-05
[12] 서적 The New Penguin Dictionary of Modern History: 1789–1945 1994
[13]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1-11-30
[14]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http://marxists.org/[...] Progress Publishers 2011-11-30
[15] 서적 The Prophet Armed: Trotsky 1879–1921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16] 서적 Lenin and the Russi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993
[17] 서적 Marx Engels Lenin on Scientific Socialism https://books.google[...] Novosti Press Ajency Publishing House 2016-03-18
[18]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From Lenin to Stalin: 1917–1929 1979
[19] 서적 Lenin's Last Struggle 1969
[20] 서적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Peter Bedrick Books 1983
[21]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http://marxists.org/[...] Progress Publishers 2011-12-02
[22]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http://marxists.org/[...] Progress Publishers 2011-11-30
[23] 서적 The State in Socialist Society St. Antony's College 1984
[24]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http://marxists.org/[...] Progress Publishers 2011-11-30
[25] 웹사이트 The Question of Nationalities or 'Autonomisation http://marxists.org/[...] 2011-11-30
[26] 간행물 On Proletcult Organisations 1920-12-01
[27]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2000
[28]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From Lenin to Stalin: 1917–1929 1979
[29] 서적 Trotsky: The Prophet Unarmed (1921-1929)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Lenin's Collected Works Progress Publishers 2011-11-30
[31] 서적 The Soviet Union 1917-199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32] 서적 The Prophet Unarmed: Trotsky 1921-1929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03
[33] 서적 The Soviet Colossus: History and Aftermath https://books.google[...] M. E. Sharpe 2015-05-18
[34] 서적 Trotsky: The Eternal Revolutionar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996
[35] 웹사이트 "To L. D. Trotsky", 13 December 1922 https://www.marxists[...]
[36]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37] 웹사이트 Platform of the Joint Opposition http://www.marxists.[...] 2011-11-28
[38] 웹사이트 When the Soviet Union Entered World Politics https://publishing.c[...] UC Press E-Books Collection 2019-12-17
[39] 웹사이트 Socialism in One Country versus Permanent Revolution http://soviethistory[...] 2019-12-17
[40] 서적 Speeches Delivered at the Fifth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September-October, 1950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Bulletin of the Embassy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1950
[41]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998
[42] 서적 Stalin https://archive.org/[...] Allen Lane 2017
[43] 학술지 The Old Man https://www.lrb.co.u[...] 2010-04-22
[44] 서적 The Revolution Betrayed 1938
[45] 서적 Stalin's Terror of 1937–1938: Political Genocide in the USSR 2009
[46] 서적 Three Whys of the Russian Revolution
[47] 학술지 Lenin: Individual and Politics in the October Revolution
[48] 서적 Stalin: The First In-depth Biography Based on Explosive New Documents from Russia's Secret Archives Anchor Books 1997
[49] 서적 Communism: A History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Publishing
[50] 서적 The Cheka: Lenin's Political Pol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1]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52] 서적 The Bolshevik revolution 1917 - 1923. Vol. 1 Penguin Books 1977
[53] 서적 Leninism Under Lenin https://books.google[...] Merlin Press 1985
[54] 서적 After the Vote Was Won: The Later Achievements of Fifteen Suffragis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1-10
[55] 서적 Lenin's Plan for Building Socialism in the USSR, 1917–1925 https://books.google[...] Novosti Press Agency Publishing House 1976
[56] 서적 Lenin: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5-06-24
[57] 서적 A Companion to Gender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58] 서적 The End of the Communi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11
[59] 서적 The End of the Communi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11
[60] 서적 Leninism and Western Socialism Verso Books 1981
[61] 서적 Lenin's Last Testamen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
[62]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63] 학술지 We Are Starting to Learn about Trotsky https://www.jstor.or[...] 1990
[6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in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0-01
[65] 서적 Molotov and Soviet Government: Sovnarkom, 1930-41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7-27
[66] 서적 The prophet unarmed: Trotsky, 1921-1929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965
[67] 서적 Russia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pper Saddle River, N.J. : Prentice Hall 2003
[68] 서적 Trotsky: The Prophet Unarmed (1921–1929)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Stali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8-16
[70] 서적 Trotsky: a biographer's problems. In The Trotsky reappraisal. Brotherstone, Terence; Dukes, Paul,(ed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2
[71] 서적 A people's tragedy : a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Viking Books 1997
[72] 서적 The Crimes Of The Stalin Era, Special Report To The 20th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1956
[73] 서적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04
[74] 웹사이트 Top 10 lies about the Bolshevik Revolution https://www.marxist.[...] 2017-11-01
[75] 서적 Democracy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athfinder 1971
[76] 웹사이트 Revolution Besieged. The Dissolutio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https://www.marxists[...]
[77] 서적 Stalinism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20-10-07
[78] 서적 Beyond Totalitarianism: Stalinism and Nazism Compar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07
[79]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1923-1927: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8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in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0-01
[81] 학술지 The Blackmail of the Single Alternative: Bukharin, Trotsky and Perestrojka https://www.jstor.or[...] 1990
[82] 웹사이트 The Nationalities Question in the Russian Revolution (Rosa Luxemburg, 1918) http://libcom.org/li[...] Libcom.org 2006-07-11
[83] 학술지 The 'Advance Without Authority': Post-modernism, Libertarian Socialism and Intellectuals 2001
[84] 웹사이트 Herman Gorter, Open Letter to Comrade Lenin, 1920 https://www.marxists[...]
[85] 웹사이트 Lenin As Philosopher https://www.marxists[...] 1938
[86] 잡지 The Struggle Against Fascism: Begins with the Struggle Against Bolshevism https://www.marxists[...] 1939
[87] 웹사이트 Fundamental Theses of the Party https://www.marxists[...] 1951
[88] 잡지 The Lenin Legend https://www.marxists[...] 1935
[89]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Russian Revolution for Today http://www.leftcom.o[...] 2017-10-06
[90] 웹사이트 Lenin's Legacy http://www.leftcom.o[...] 2015-01-21
[91] 웹사이트 Have we become 'Leninists'? – part 1 http://en.internatio[...]
[92] 웹사이트 The Renegade Kautsky and his Disciple Lenin https://libcom.org/f[...] 1977
[93] 뉴스 The Other Killing Machine https://www.nytimes.[...] 2003-05-11
[94] 웹사이트 The Soviet Union Versus Socialism http://www.chomsky.i[...] Our Generation 1986
[95] Youtube Chomsky on Lenin, Trotsky, Socialism & the Soviet Union
[96] 서적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s Organizational Emperor 2009
[97] 서적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in Singapore 2002
[98] 서적 Deepening Democracy?: The Modern Left and Social Movements in Chile and Peru 1988
[99] 웹사이트 レーニン主義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00] 간행물 イ・スターリン『レーニン主義の諸問題』 http://ciml.250x.com[...]
[101]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Third Edition 2013-06-12
[102] 서적 The Impact of Russian Culture on Soviet Communism 2013-06-12
[103]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2013-06-12
[104] 학술지 The Western Political Quarterly 2013-06-12
[105] 서적 레닌전집 제10권
[106] 웹사이트 Leninism or Marxism? http://www.marx.org/[...] 2007-04-25
[107] 서적 Selected Philosophical Works: Volume 1 (Unspecified)
[108] 웹인용 The Development of the Monist View of History https://www.marxists[...] 2020-06-05
[109] 서적 The Soviet Tragedy: A History of Socialism in Russia, 1917–1991 https://archive.org/[...] Free Press
[110] 웹사이트 The Origins of Bolshevism and What Is To Be Done? http://www.wsws.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2005-09-06
[111] 웹사이트 An Anarchist FAQ https://theanarchist[...] 2020-06-04
[112] 웹사이트 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 Wikisource https://de.wikisourc[...] 2022-12-12
[113] 웹사이트 The Essence of Christianity http://www.marxists.[...]
[114] 웹사이트 The German Ideology http://www.marxists.[...]
[115] 서적 Социализм и религия Новая Жизнь
[116] 웹인용 노동자당이 종교에 대해 가져야 하는 태도 http://ciml.250x.com[...] 2021-02-03
[117] 서적 A History of Soviet Atheism i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Believer St Martin's Press
[118] 서적 #추정 사회민주주의의 농업강령
[119] 서적 사회민주주의의 농업강령 백두
[120] 서적 사회민주주의의 농업강령 백두
[121] 서적 노농동맹과 농민문제 학민사
[122] 서적 노농동맹과 농민문제 학민사
[123] 서적 사회민주주의의 농업강령 백두
[124] 서적 사회민주주의의 농업강령 백두
[125] 서적 레닌저작집 4-3 전진
[126] 웹사이트 Итоги и перспективы. Глава 5. Пролетариат у власти и крестьянство http://www.1917.com/[...]
[127] 일반
[128] 일반
[129] 일반
[130]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1]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2]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3]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4]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5]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6] 일반
[137]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38] 일반
[139]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40] 일반
[141] 서적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아침
[142]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43]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44]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45] 기타 Письмо т. Ермаковскому — Сталин И. В., Сочинения, Том 7.
[146] 논문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Understood by Lenin and the Bolsheviks http://talpykla.isto[...]
[147] 서적 국가와 혁명 돌베개
[148]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49] 서적 苏联兴亡史 (소련 흥망사) 上海人民出版社
[150] 웹인용 On Cooperation https://www.marxists[...] 2020-04-12
[151] 기타
[152] 기타
[153] 기타
[154] 웹인용 On Cooperation https://www.marxists[...] 2020-04-12
[155] 웹인용 On Cooperation https://www.marxists[...] 2020-04-12
[156] 서적 苏联社会主义经济史 (소련 사회주의 경제사) 北京: 生活ㆍ读书ㆍ新知三联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