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다람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다람쥐속(Ratufa)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속으로, 4종의 다람쥐가 포함된다. 크림색큰다람쥐, 검은큰다람쥐, 인도큰다람쥐, 회색털큰다람쥐가 있으며, 동남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에 분포한다. 선사 시대에는 더 넓은 지역에 분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다람쥐속 - 검은큰다람쥐
검은큰다람쥐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대형 다람쥐로,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윗부분과 밝은 황토색 아랫부분의 이색을 띠며, 주행성 잡식성 동물이지만, 서식지 파괴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어 분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큰다람쥐속 - 인도큰다람쥐
인도큰다람쥐(*Ratufa indica*)는 인도 아대륙의 울창한 숲에 서식하며 몸길이 35~50cm, 몸무게 1.5~3kg 정도의 다양한 색상을 가진 다람쥐로, 과일, 꽃, 견과류 등을 먹고 나무 위에서 생활하지만 서식지 훼손과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가 시급하다. - 아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아시아의 포유류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큰다람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Ratufa |
명명자 | J.E. Gray, 1867 |
속 | 쥐목(설치목) |
아목 | 다람쥐아목 |
과 | 다람쥐과 |
아과 | 큰다람쥐아과 (Ratufinae) |
명명자 (아과) | Moore, 1959 |
영어 이름 | Oriental giant squirrels (오리엔탈 자이언트 다람쥐) |
이명 | Eoscuirus Rukaia |
화석 범위 | 마이오세 중기 - 현재 |
하위 종 | |
종 | Ratufa affinis Ratufa bicolor Ratufa indica Ratufa macroura |
2. 하위 종
- 크림색큰다람쥐 (''Ratufa affinis'') - 태국 남부,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에서 보르네오
- 검은큰다람쥐 (''Ratufa bicolor'') - 히말라야 산맥 동부, 미얀마,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수마트라, 자바, 발리
- 인도큰다람쥐 (''Ratufa indica'') - 인도 아대륙
- 회색큰다람쥐 (''Ratufa macroura'') - 스리랑카, 인도 남부[2]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3년 머서(Mercer)와 로스(Roth), 2004년 스테판(Steppa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7]
현재 큰다람쥐속에는 4종이 존재한다.
그림 | 일반명칭 | 학명 | 분포 |
---|---|---|---|
![]() | 크림색 큰다람쥐 | Ratufa affinis | 타이-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 | 검은큰다람쥐 | Ratufa bicolor | 방글라데시 북부, 인도 북동부, 네팔 동부, 부탄, 중국 남부, 미얀마,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 수마트라, 발리 및 인근 작은 섬) |
![]() | 인도큰다람쥐 | Ratufa indica | 인도 |
![]() | 회색털 큰다람쥐 | Ratufa macroura | 인도 남부, 스리랑카 |
선사 시대에는 이 계통이 더 널리 분포했다. 예를 들어, ''Ratufa''와 매우 유사하며, 적어도 Ratufinae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동물들이 초기 랑기안 시대 (중신세, 약 1600만 년 전 ~ 1520만 년 전) 독일의 함바흐 동물군에 속해 있었다.[1]
4. 분포
큰다람쥐속에는 현재 4종이 속해 있다.
그림 | 일반명칭 | 학명 | 분포 |
---|---|---|---|
크림색 큰다람쥐 | Ratufa affinis | 타이-말레이 반도, 수마트라(인도네시아), 보르네오(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
검은큰다람쥐 | Ratufa bicolor | 방글라데시 북부, 인도 북동부, 네팔 동부, 부탄, 중국 남부, 미얀마,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수마트라, 발리 및 인근 작은 섬) | |
인도큰다람쥐 | Ratufa indica | 인도 | |
회색털 큰다람쥐 | Ratufa macroura | 인도 남부, 스리랑카 |
선사 시대에는 이 다람쥐들의 분포 지역이 더 넓었다. 예를 들어, ''Ratufa''와 매우 유사하며, 적어도 Ratufinae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동물들이 초기 랑기안 시대(약 1,600만 년 전 ~ 1,520만 년 전) 독일의 함바흐 동물군에 속해 있었다.[1]
5. 갤러리
참조
[1]
논문
A Miocene rodent nut cache in coastal dunes of the Lower Rhine Embayment, Germany
[2]
서적
Squirre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The book of Indian Animals
Mumbai: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and Oxford University Press. Pp. ''xxiii'', 324, 28 color plates by Paul Barruel.
[4]
논문
A Miocene rodent nut cache in coastal dunes of the Lower Rhine Embayment, Germany
[5]
웹사이트
Ratufa Gray, 1867
http://www.gbif.org/[...]
2013-07-01
[6]
서적
小型草食獣 動物大百科 5
平凡社
1986
[7]
문서
Mercer and Roth, 2003; Steppan et al., 2004
[8]
문서
''Syntheosciurus'', ''Rheithrosciurus'', ''Microsciurus''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