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레옴브로토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파우사니아스의 아들이자 아게시폴리스 1세의 동생으로, 기원전 380년 형의 죽음으로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다. 그는 테바이 원정을 여러 차례 감행했으나,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 동맹군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그의 죽음은 스파르타가 그리스의 패권을 잃는 계기가 되었으며, 레오니다스 1세에 이어 전장에서 사망한 두 번째 스파르타 왕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스파르타의 장군 - 클레오메네스 3세
    클레오메네스 3세는 스파르타의 아기아드 왕조 왕으로, 스파르타 사회 구조 개혁과 군사력 강화를 시도했으나 클레오메네스 전쟁에서 패배 후 이집트로 망명, 반란 실패 후 자결했다.
  • 고대 스파르타의 장군 - 파우사니아스 (장군)
    파우사니아스는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그리스 연합군을 승리로 이끈 스파르타의 장군이었으나, 페르시아와 내통한 혐의로 고발당해 도주하다가 굶어 죽었다.
  • 스파르타 패권 - 펠로폰네소스 동맹
    펠로폰네소스 동맹은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 외 지역의 도시 국가들이 맺은 동맹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레욱트라 전투 패배 이후 해체되었다.
  • 스파르타 패권 - 아게실라오스 2세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360년까지 스파르타의 왕으로,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코린트 전쟁을 이끌었으며, 테베에 대한 정책으로 스파르타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클레옴브로토스 1세
기본 정보
이름클레옴브로토스 1세
로마자 표기Kleombrotos
그리스어Κλεόμβροτος
통치 정보
칭호스파르타
재위 기간기원전 380년 ~ 기원전 371년
이전 통치자아게시폴리스 1세
다음 통치자아게시폴리스 2세
개인 정보
사망일기원전 371년 7월 6일
사망 장소레욱트라, 보이오티아
자녀아게시폴리스 2세와 클레오메네스 2세

2. 생애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파우사니아스의 아들이며, 선왕 아게시폴리스 1세의 동생이다. 아테네 원정 실패를 이유로 아버지 파우사니아스가 스파르타에서 망명했을 때, 형 아게시폴리스 1세와 함께 친척인 아리스토데모스의 후견을 받았다.[1]

기원전 380년 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테바이에 주둔했던 스파르타 군이 테바이 인들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기원전 379년 테바이 원정을 감행했다. 키타이론 산을 넘어 적 수비대를 제압하고 플라타이아이, 테스피아이를 거쳐 키노스케팔라이에 머물렀다. 이후 테스피아이에 스포드리아스와 군자금을 남기고 귀국했다.[6] 기원전 376년 다시 테바이에 파견되었으나, 키타이론에서 테바이-아테네 연합군에 패해 철수했다.[7]

기원전 371년 보이오티아를 침공, 에파메이논다스를 피해 암브로소스로 진군하여 카이레아스를 격파하고 크레우시스를 점령, 테바이 삼단노선 12척을 빼앗았다.[8][9] 이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 동맹군과 싸우다 전사했다.[10][11] 그는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전사한 레오니다스 1세에 이어 두 번째로 전장에서 사망한 스파르타 왕이 되었으며, 이 패배로 스파르타는 그리스의 패권을 잃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파우사니아스의 아들인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선대 왕 아게시폴리스 1세의 동생이며, 이후 왕이 되는 아게시폴리스 2세와 클레오메네스 2세의 아버지였다.[12] 아버지 파우사니아스가 아테네 원정 실패로 스파르타에서 망명했을 때, 클레옴브로토스와 형 아게시폴리스 1세는 아직 어려 친척인 아리스토데모스의 후견을 받았다.[13]

기원전 380년, 형 아게시폴리스 1세가 사망하자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스파르타의 왕위를 계승했다.[14]

2. 2. 테베와의 전쟁

기원전 380년, 형 아게시폴리스 1세가 죽자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왕위에 올랐다. 테바이에 주둔한 스파르타 군이 테바이 인들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기원전 379년에 스파르타와 펠로폰네소스 동맹 군을 이끌고 테바이 원정을 시작했다.[14] 클레옴브로토스는 키타이론 산을 넘어 진격하여 테바이 수비대 150명을 살육하고, 우호국인 플라타이아이로 향했다. 이어서 테스피아이를 거쳐 키노스케팔라이에 10일 정도 주둔한 후 테스피아이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곳에 스포드리아스에게 용병 고용을 위한 군자금과 동맹군의 3분의 1을 남기고 귀국했다.[14]

기원전 376년, 클레옴브로토스는 다시 테바이를 공격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국경 부근의 키타이론에서 테바이, 아테네 연합군에게 패하여 철수하였다.[15]

2. 3. 레우크트라 전투와 최후

기원전 371년,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보이오티아를 다시 침공했다. 테바이의 장군 에파메이논다스는 케피소스 호수 근처에 진을 쳤지만, 클레옴브로토스는 포키스의 암브로소스로 진군하여 에파메이논다스를 지나쳤다. 그는 카이레아스가 이끄는 테바이 군을 물리치고 크레우시스를 점령하여 그곳의 테바이 삼단노선 12척을 빼앗고, 이어서 레우크트라로 향했다.[16][17]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클레옴브로토스는 에파메이논다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 동맹군과 싸우다 패하여 전사했다.[18][19] 그는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전사한 레오니다스 1세에 이어 두 번째로 전장에서 사망한 스파르타 왕이 되었다. 이 패배로 스파르타그리스의 패권을 잃고, 테베가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게 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파우사니아스[4]
아게시폴리스 1세[4]
아들아게시폴리스 2세[4]
아들클레오메네스 2세[4]


참조

[1] 서적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ntiquities Harper & Brothers
[2]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1867
[3] 문서 Xenophon
[4] 문서 パウサニアス
[5] 문서 ibid
[6] 문서 クセノポン
[7] 문서 ibid
[8] 문서 パウサニアス
[9] 문서 クセノポン
[10] 문서 パウサニアス
[11] 문서 クセノポン
[12] 문서 파우사니아스
[13] 문서 ibid
[14] 문서 크세노폰
[15] 문서 ibid
[16] 문서 파우사니아스
[17] 문서 크세노폰
[18] 문서 파우사니아스
[19] 문서 크 세노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