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르모필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르모필레 전투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기원전 480년에 벌어진 전투로, 페르시아의 대규모 침공에 맞서 소수의 그리스 연합군이 결사항전한 사건이다. 주요 사료는 헤로도토스의 '역사'이며, 페르시아의 크세르크세스 1세는 육상과 해상에서 압도적인 병력을 동원하여 그리스를 침략했다. 그리스는 좁은 테르모필레 협곡을 방어선으로 삼아 수적 열세를 극복하려 했으나, 배신자의 도움으로 페르시아군이 우회로를 통해 측면을 공격하면서 패배했다. 전투에서 레오니다스 1세가 이끄는 스파르타 군을 포함한 그리스군은 전멸했지만, 그들의 용맹함은 그리스인들의 사기를 높였고, 이후 살라미스 해전과 플라타이아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테르모필레 전투는 서양 문화에서 자유와 희생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현재도 전적지에는 기념물들이 세워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80년 - 살라미스 해전
    살라미스 해전은 기원전 480년 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군이 페르시아 제국 해군에 맞서 싸워 승리하며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전환점이 된 해전이다.
  • 기원전 480년 - 아르테미시온 해전
    아르테미시온 해전은 기원전 480년 제2차 페르시아 전쟁 중 그리스 연합 함대와 페르시아 제국 함대가 에우보이아 섬 북쪽 아르테미시온 해협에서 테르모필레 전투와 동시에 3일간 벌인 해전으로, 승패는 가리지 못했으나 그리스 해군이 페르시아 해군에 맞서 싸우며 자신감을 얻고 살라미스 해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경험을 쌓았다.
  •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전투 - 살라미스 해전
    살라미스 해전은 기원전 480년 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군이 페르시아 제국 해군에 맞서 싸워 승리하며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전환점이 된 해전이다.
  •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전투 - 마라톤 전투
    기원전 490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마라톤 평원에서 벌어진 마라톤 전투는 밀티아데스 지휘 하의 아테네가 다리우스 1세의 페르시아군을 격파하여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을 저지하고 아테네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마라톤 경기의 기원이 된 중요한 전투이다.
  • 테르모필레 전투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테르모필레 전투 - 에피알테스
    에피알테스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 페르시아 군에게 테르모필레 협곡의 비밀 통로를 알려주어 그리스 군을 배신한 인물이다.
테르모필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전투명테르모필레 전투
일부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전투 정보
레오니다스, 자크-루이 다비드
자크=루이 다비드의 "테르모필레의 레오니다스" (1814) 루브르 박물관
시기기원전 480년 7월 21일 - 23일, 8월 20일, 또는 9월 8일 - 10일
장소고대 그리스 테르모필레
교전 세력
교전국 1그리스 도시 국가
교전국 1-세부스파르타
테스피아이
테베
기타
교전국 2아케메네스 제국
지휘관
지휘관 1레오니다스 1세 (스파르타)
데모필루스 (테스피아이)
레온티아데스 (테베)
지휘관 2크세르크세스 1세
마르도니오스
휘다르네스
아르타파누스
병력 규모
병력 17,000명
병력 2120,000–300,000명
피해 규모
피해 14,000명 (헤로도토스)
피해 2약 20,000명 (헤로도토스)
결과
결과페르시아의 승리
결과-세부페르시아, 포키스, 보이오티아, 아티카 점령
관련 정보
관련 전투 상자제2차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
그리스 군 부대스파르타 군대
헬롯
기타 그리스 군
페르시아 군 부대페르시아 군대

2. 문헌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주요 사료는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저술한 '역사'이다.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헤로도토스는 당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던 소아시아의 할리카르낫소스 출신으로, 기원전 440-430년경에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기원을 추적한 '역사'를 저술했다.[195][196] 헤로도토스의 역사 서술 방식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것이었으며, 서구 사회에서 '역사'라는 학문 분야를 정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90]

투키디데스를 비롯한 후대의 역사가들은 헤로도토스를 비판하기도 했지만,[197][198] 투키디데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헤로도토스가 다루지 않은 부분부터 시작하며 그의 역사 기록의 정확성을 인정했다.[190] 플루타르코스는 헤로도토스를 '야만인 옹호자'라고 비난했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헤로도토스가 공정하게 역사를 기록했음을 시사한다.[199] 19세기 이후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재평가되었으며,[201] 현대에는 그의 '역사'가 중요한 사료로 인정받고 있다. 다만, 병력 수와 날짜 등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190]

시칠리아 출신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역시 자신의 저서 '역사총서'에서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대해 기술했으며, 이는 헤로도토스의 기록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203] 이 외에도 플루타르코스, 크니도스의 크테시아스 등 다른 고대 역사가들과 아이스킬로스와 같은 극작가들의 작품에서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 뱀기둥과 같은 고고학적 유물들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다.[204]

3. 배경

아테네에레트리아는 기원전 499년부터 494년까지 다리우스 1세페르시아 제국에 맞서 이오니아 반란을 지원했다. 페르시아 제국은 비교적 젊었고, 속국들 사이에서 반란이 자주 일어났다.[23] 다리우스 1세는 찬탈자였기 때문에 자신의 통치에 대한 반란을 진압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1]

이오니아 반란은 제국의 통합을 위협했고, 다리우스 1세는 반란에 관련된 세력, 특히 아테네를 처벌하겠다고 결심했다.[24] 그는 분열된 그리스 세계로 제국을 확장할 기회를 엿보았다.[25] 기원전 492년, 마르도니우스가 이끄는 원정대가 그리스로 가는 길을 확보하고 트라키아를 다시 정복했으며, 마케도니아를 페르시아의 속국으로 만들었다.[26]

스파르타인들이 페르시아 사절을 우물에 던져 넣는 모습


기원전 491년, 다리우스 1세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에 사절을 보내 복종의 표시로 "흙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했다.[27] 대부분의 도시 국가는 이에 따랐으나, 아테네는 사절을 재판에 회부하여 처형했고, 스파르타는 사절을 우물에 던져 넣었다.[1][28] 이는 스파르타가 페르시아와 전쟁 상태에 돌입했음을 의미했다.[1]

기원전 490년, 다리우스 1세는 다티스와 아르타페르네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파견하여 낙소스를 공격하고 키클라데스 섬들을 점령했다. 이후 에레트리아를 포위하여 파괴하고,[30] 마라톤 만에 상륙하여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마라톤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여 페르시아 군은 아시아로 철수했다.[31]

오늘날 전투 현장. 왼쪽의 칼리드로몬 산과 수세기에 걸쳐 하천 퇴적물의 축적으로 형성된 넓은 해안 평야. 오른쪽의 도로는 기원전 480년의 해안선을 근사하게 나타낸다.


다리우스 1세는 그리스 정복을 위해 대규모 군대를 모집했으나, 기원전 486년 이집트에서 반란이 일어나 원정이 연기되었다.[32] 다리우스 1세는 이집트 원정을 준비하다 사망했고,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33]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침공 준비를 재개했다.[34] 그는 헬레스폰트에 다리를 건설하고 아토스 산 지협에 운하를 파는 등 대규모 공사를 진행했다.[1] 기원전 480년 초, 사르디스에 집결한 크세르크세스 1세의 군대는 부교를 통해 헬레스폰트를 건너 유럽으로 진군했다.[36]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군의 규모는 매우 커서 강물을 모두 마셔버릴 정도였다고 한다.[37]

아테네는 기원전 480년대 중반부터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준비했으며, 기원전 482년 테미스토클레스의 지시에 따라 삼단 노선 함대를 건설했다.[38] 그러나 아테네는 병력이 부족하여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지원이 필요했다. 기원전 481년, 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리스 전역에 사절을 보냈으나,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의도적으로 제외했다.[39] 코린토스에서 열린 회의에서[40]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동맹이 결성되었다.[41]

기원전 480년 봄, 테살리아 대표단은 템페 계곡에서 크세르크세스 1세의 진격을 막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42] 중장 보병 10,000명이 파견되었으나,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1세의 경고로 퇴각했다.[43] 테미스토클레스는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페르시아 육군을 저지하고, 아르테미시온 해협에서 페르시아 해군을 저지하는 전략을 제안했고, 의회는 이를 채택했다.[1]

4. 전초전

그리스와 페르시아 군의 테르모필레아르테미시온 진군을 보여주는 지도


페르시아 군은 트라키아마케도니아를 거쳐 천천히 진군하는 듯 보였다. 기원전 480년 8월, 그리스인 스파이는 페르시아 군의 임박 소식을 그리스에 전했다.[226] 당시 스파르타는 카르네이아 축제 기간이었고, 군사 활동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이는 스파르타가 마라톤 전투에 늦게 도착한 이유이기도 하다.[227] 또한 고대 올림픽 기간이어서 올림픽 휴전 기간이었기에, 스파르타 전군을 전쟁에 투입하는 것은 신성모독으로 여겨졌다.[227][228]

이러한 상황에서 에포로스는 긴급성을 고려하여 왕 중 한 명인 레오니다스 1세가 이끄는 선발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레오니다스는 300명의 친위대 ''히페이스''를 데리고 갔다. 이 원정은 가는 길에 가능한 많은 그리스 군을 모아 스파르타 주력군의 도착을 기다리기 위한 것이었다.[19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스파르타는 연초에 델포이에서 다음과 같은 신탁을 받았다고 한다.



라케다이몬 넓은 거리에 사는 사람들이여!

카르네이아 축제를 성대히 하라! 그렇지 않으면

너희들의 영광스런 마을이 페르세우스의 자식들에게 약탈당하거나

스파르타 전국이 약탈당해야 할 것이며

왕과 헤르클레스의 자손을 잃은 통곡이 사방에 퍼질지니라[229]



헤로도토스는 레오니다스가 승리할 만큼 충분한 군대가 없음을 알고 죽음을 각오했으며, 그래서 자식이 있는 스파르타인만 선발했다고 전한다.[230]

스파르타 군은 테르모필레로 가는 도중 여러 도시에서 파견된 군대로 보강되어, 고개에 도착할 무렵에는 7,000명 이상이었다.[190] 레오니다스는 포키스인들이 이전에 방벽을 쌓았던 테르모필레 고개의 가장 좁은 곳에 진영을 구축하고 방어했다.[231] 또한 레오니다스는 테르모필레 고개를 우회할 수 있는 산길이 있다는 정보를 트라키스에서 입수하고, 1,000명의 포키스 병력을 산길에 배치하여 페르시아 군의 우회를 막았다.[232]

8월 중순, 말리 만 너머로 페르시아 군이 테르모필레로 접근하는 것이 관측되었다.[233] 페르시아 군이 테르모필레에 도착하자 그리스는 전쟁위원회를 소집했다. 일부 펠로폰네소스 대표는 코린토스 지협으로 철수하여 펠로폰네소스의 통행로를 봉쇄하자고 제안했다.[190] 인접 지역인 포키스와 로크리스는 분노하며 테르모필레 방어를 주장하고, 원군을 요청했다. 레오니다스는 소란을 가라앉히고 테르모필레 방어에 동의했다.[234]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한 병사가 "야만인 놈들의 화살 때문에 해를 볼 수가 없어"라고 불평하자, 레오니다스는 "멋있지 않나? 그럼 우린 그놈들과 싸우는 그림자를 가지게 될 걸세"라고 답했다고 한다.[235] 헤로도토스는 비슷한 말을 남겼지만, 디에네케스와 관련된 것으로 기록했다.[236]

크세르크세스 1세는 레오니다스에게 사절을 보내 협상을 시도했다. 그리스인들에게는 자유와 페르시아 백성의 우방이라는 칭호, 그리고 더 나은 땅에 재정착할 기회를 제안했다.[237] 레오니다스가 이를 거부하자, 사신은 크세르크세스가 “무기를 내려놔라”라고 쓴 서신을 전달했다. 레오니다스는 "Μολὼν λαβέgrc" (와서 가져가라)라고 답했다.[238] 사신이 빈손으로 돌아가자 전투는 불가피해졌다.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인들이 퇴각하도록 4일을 기다린 후, 공격 부대를 보냈다.[239]

5. 양군 전력

헤로도토스[66][67]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68]의 기록에 따르면, 테르모필레 전투에 참전한 그리스 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병력헤로도토스디오도로스
스파르타 중장보병300명300명
스파르타 경장보병-1,000명
테게아 병사500명3,000명
(레오니다스 왕 지휘하의 그리스 병사)
만티네이아 병사500명
아르카디아 오르코메노스 병사120명
아르카디아 각 도시 병사1,000명
코린토스 병사400명
플리우스 병사200명
미케네 병사80명
테스피아이 병사700명
테바이 병사400명400명
로크리스・오푼티아 병사불명(지구 전체 병력)1,000명
말리스 병사-1,000명
포키스 병사1,000명1,000명
합계5,200명7,700명



5세기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의 현대 재현


헤로도토스는 스파르타군으로 참전한 것은 300명의 중장보병뿐이라고 한 반면, 디오도로스는 스파르타군에는 300명의 중장보병 외에 1,000명의 경장보병이 참전했다고 주장했다. 디오도로스가 1,000명이라고 전하는 로크리스・오푼티아(테르모필레의 정동쪽)의 전체 병력을 더한 그리스 측의 총 수는 7,000명 전후로 추정된다. 다만, 디오도로스만이 언급한 말리스(테르모필레의 정서쪽)는 직전에 페르시아군 본대에 점령되어 실제로 참전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전투 마지막 날에는 대부분의 병력이 퇴각했고, 스파르타, 테스피아이, 테베 병사들만 남아 총 1,400명에서 2,400명 정도였다.

5. 1. 페르시아군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의 규모에 대해서는 고대 사료와 현대 학자들 간에 큰 이견이 있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군의 총병력을 260만 명으로 추정했으나[192], 현대 학자들은 이를 과장된 숫자로 보고, 일반적으로 12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로 추정한다.[242] 이러한 현대 학자들의 추정치는 대개 당시 페르시아의 물류 능력, 각 작전 기지의 지속 가능성, 전반적인 인력 제약 등을 연구하여 얻어진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군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고 기록했다.

보병1,700,000
기병80,000
아라비아 낙타 부대・리비아 전차 부대20,000
유럽에서 참가한 보병300,000
합계2,100,00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 외에 수병이 541,610명 있었고 총 병력은 2,641,610명이었다. 또한 비전투원이 동수로 동행했다고 가정하여 원정 부대의 총 병력을 5,283,220명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이는 명백히 페르시아 원정군의 실제 병력으로는 과도하며 실제 수치로 인정되지 않는다.

페르시아 원정군의 육상 부대 실제 병력에 대해서는 많은 학설이 제기되어 15,000명에서 30만 명까지 다양한 추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단위가 한 자릿수 잘못 전달되었다는 해석에 따르면 페르시아 육전 부대의 총수는 21만 명이 된다. 20세기 이후 학자들의 견해에 한정하면 페르시아 육군의 총수를 10만 명 이하로 추정하는 견해가 많이 보이지만, 20만 명 이상으로 보는 설도 유력하다.

테르모필레 전투에 참전한 페르시아 군의 정확한 규모는 불분명하지만, 상당한 수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243]

5. 2. 그리스군

헤로도토스[244][245]디오도로스 시켈로스[246]에 따르면, 그리스 군은 다음과 같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군대헤로도토스디오도로스
스파르타인, 페리오이코이900?[190]700명 또는 1,000명
스파르타 호플리테스300[190]300명
만티네이아500명3,000명
(레오니다스에게 파견된 기타 펠로폰네소스인)
테게아500명
오르코메노스 (아르카디아)120명
기타 아르카디아인1,000명
코린토스400명
플리오스인200명
미케네80명
전체 펠로폰네소스3,100명[190] 또는 4,000명4,000명 또는 4,300명
테스피아이700명
말리스인1,000명
테베400명400명
포키스1,000명1,000명
로크리스 (오푼티안)"전 병력"1,000명
총합5,200명 (또는 6,100명) 오푼티안 로크리스 인 추가7,400명 (또는 7,700명)



헤로도토스는 스파르타군으로 참전한 것은 300명뿐이라고 하는 반면, 디오도로스는 스파르타군에는 300명 외에 1,000명의 스파르타 경장 보병이 참전했다고 하며, 디오도로스가 1,000명이라고 전하는 로크리스・오푼티아(테르모필레의 정동쪽)의 전체 병력을 더한 그리스 측의 총 수는 7,000명 전후로 추정된다. 디오도로스만이 기재하는 말리스(테르모필레의 정서쪽)는 직전에 페르시아군 본대에 점령되어 실제로 참전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전투 마지막 날까지 남은 병력은 스파르타, 테스피아이, 테베의 병사들로, 총 1,400명~2,400명 정도였다.

6. 전략 전술적 고려

그리스군은 테르모필레 협곡의 좁은 지형을 이용해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자 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포키스인들은 온천에서 흘러나오는 시냇물을 연결하여 늪을 만들었고, 이 늪을 가로지르는 둑길은 마차 한 대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좁았다.[231] 협곡의 폭은 100m 정도로, 그리스군이 페르시아 대군을 저지하기에 충분했다.

테르모필레는 호플리테 팔랑크스 대형에 이상적인 지형이었다.[1] 좁은 협곡에서는 팔랑크스 대형이 쉽게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었고, 기병의 측면 공격 위협도 없었다. 팔랑크스는 경무장한 페르시아 보병에 비해 유리했다.[1]

그리스군의 약점은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산길이었다. 이 길은 페르시아 보병이 쉽게 통과할 수 있었고, 그리스군의 측면을 공격할 수 있었다.[77] 레오니다스는 이 길을 막기 위해 포키스 군을 배치했다.[78]

전략적으로 그리스군은 테르모필레를 방어함으로써 병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었다.[1] 페르시아군의 진격을 막으면 결정적인 전투를 피할 수 있었고, 방어적 입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 테르모필레와 아르테미시온의 좁은 통로를 방어함으로써 수적 열세를 극복할 수 있었다.[1] 반면 페르시아군은 대규모 군대를 보급하는 문제로 인해 장기간 주둔이 어려웠다.[76] 따라서 페르시아군은 후퇴하거나 테르모필레 협곡을 돌파해야 했다.[1]

테르모필레 전투와 살라미스에서의 움직임


테르모필레는 옛날부터 테살리아에서 중앙 그리스로 통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험준한 산과 바다 사이에 낀 좁은 길은 폭이 15미터 정도밖에 되지 않아 페르시아 기마 부대가 전개할 수 없었다.

7. 전투



테르모필레는 예로부터 테살리아에서 중앙 그리스로 통하는 주요 도로였다. 험준한 산과 바다 사이에 낀 이 길은 가장 좁은 곳이 15미터 정도밖에 되지 않아, 페르시아 원정군의 주력 부대인 기마 부대가 전개하기 어려웠다. 크세르크세스 1세의 명령으로 테르모필레에 돌입한 메디아·키시아 연합군은 많은 전사자를 내면서도 종일토록 싸웠지만, 그리스 군의 피해는 적었고 그들을 물리칠 수 없었다.[181]

스파르타의 중장보병을 선봉으로 하는 그리스 군의 강함을 본 크세르크세스는 히다르네스가 이끄는 불멸대를 투입했지만, 뛰어난 장비와 훈련을 갖춘 그리스 군을 돌파하지 못했다. 그리스 군은 오른손에 페르시아 군보다 긴 2.5미터 이상의 장창, 왼손에 큰 둥근 방패를 들고 팔랑크스를 형성하여 페르시아 군과 싸웠다. 좁은 지형을 이용한 팔랑크스 진형은 페르시아 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스파르타 군은 적 앞에서 후퇴하는 척하다가 페르시아 군이 추격해 오면 방향을 돌려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182]

다음 날에도 페르시아 군은 그리스 군과 격돌했지만 상황은 바뀌지 않았다. 페르시아 군의 피해는 늘어만 갔고, 그리스 군을 돌파할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크세르크세스는 고심했지만, 그리스 인으로부터 정보를 얻어[183] 산을 지나 해안선을 우회하는 아노파이아 간도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그리스 군의 배후에 군대를 보내기로 했다. 페르시아 불멸대는 현지인을 매수하여 야간에 이 산길로 들어갔다. 이 길을 방어하던 포키스 군 1,000명은 페르시아 군과 마주치자 산 정상으로 올라가 방어했지만, 페르시아 군은 이들을 무시하고 간도를 통과했다.[184]

날이 밝아올 무렵, 보초의 보고로 아노파이아 도를 돌파당한 것을 알게 된 레오니다스 1세는 작전 회의를 열었지만, 철저 항전할 것인지 철수할 것인지 의견이 갈렸다. 결국 철수를 주장하는 그리스 군은 각자 방어선에서 철수했고, 스파르타 중장보병 300명, 테베 400명, 테스피아이 병 700명 등 총 1,400명(혹은 스파르타 경장보병 1,000명을 더해 2,400명)은 테르모필레에 남았다.[185]

아침이 되자 우회 부대는 그리스 군의 배후인 알페노이에 도착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스파르타 군에게 항복을 권유했지만, 레오니다스는 "Μολών λαβέ|모론 라베(와서 가져가라)el"라고 답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오전 10시경 전군에 진격을 지시했다. 레오니다스가 이끄는 그리스 군도 이에 맞서 전진했다. 그리스 군은 전투를 마친 병사가 성벽 뒤에서 쉴 수 있도록 가도의 성벽 바로 앞에서 싸웠지만, 이날은 폭이 넓은 곳까지 나아갔다.[186]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스파르타 군은 페르시아 군을 밀어냈다. 레오니다스가 쓰러지자 그리스 군과 페르시아 군은 그의 시신을 두고 격렬한 싸움을 벌였다. 그리스 군은 왕의 유해를 회수하고 적군을 격퇴하기를 4번이나 반복했으며, 스파르타 군은 우세했다. 그러나 알페노이로부터 우회 부대가 진군해오자, 스파르타·테스피아이 양군은 다시 가도까지 후퇴하여 성벽 뒤 작은 언덕에 진을 쳤다.[187] 그들은 페르시아 군에게 끝까지 저항했고, 창이 부러지면 칼로, 칼이 부러지면 맨손이나 이빨로 싸웠다. 페르시아 병사는 스파르타 병사를 두려워하여 육탄전을 피했고, 결국 원거리에서 화살 세례를 퍼부어 스파르타·테스피아이 군을 쓰러뜨렸다. 테베 군을 제외하고는 전멸했다. 헤로도토스는 이날 하루에만 페르시아 군 전사자가 2만 명에 달했다고 기록했다.

이 전투에서 스파르타인 중에서는 알페오스와 마론 형제, 디에네케스가, 테스피아이인 중에서는 디튀람보스가 용맹을 떨쳤다. 아리스토데모스는 심한 안질환으로 전장을 떠났지만, 다시 돌아오지 못했고, 이듬해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치욕을 씻고자 분전하다 전사했다.

7. 1. 첫째 날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 군이 철수하기를 기다리며 4일을 보냈고, 5일째 되는 날 공격을 명령했다. 먼저 5,000명의 궁수들에게 화살을 쏘게 했지만, 그리스 군의 청동 방패와 투구에 막혀 효과가 없었다.[90]

스파르타 호플리테스(빅스 크레이터, 기원전 500년경)와 아케메네스 왕조의 스키타이 전사(기원전 480년경, 크세르크세스 1세의 무덤) 복장 묘사. 그리스에 대한 페르시아의 2차 침공 당시.


이후 크세르크세스는 메디아와 키시아 군 10,000명을 투입하여 정면 공격을 시도했다.[91][92] 그리스 군은 테르모필레 고개에서 가장 좁은 지역인 포키스 성벽 앞에서 방어선을 구축했다.[93][1] 디오도로스는 "병사들은 어깨를 맞대고 섰다"고 묘사하며, 그리스 군이 용맹함과 방패 크기에서 우위를 점했다고 설명한다.[94] 이는 겹치는 방패로 벽을 만들고 창끝을 내밀어 싸우는 그리스 식 팔랑크스 전술로, 좁은 지형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95]

페르세우스 프로젝트 자료에 근거한 그리스 팔랑크스 병진


페르시아 군의 약한 방패와 짧은 창, 칼은 그리스 호플리테스와의 전투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94][96]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각 도시의 부대들은 함께 뭉쳐 있었고, 피로를 줄이기 위해 교대로 전투에 참여했다.[97] 그리스 군은 수많은 메디아 군을 죽였고, 이를 지켜보던 크세르크세스는 자리에서 세 번이나 일어났다고 한다.[98] 크테시아스는 첫 공격에서 스파르타 군은 2~3명만 전사했을 정도로 피해가 적었다고 기록했다.[1]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는 정예 부대인 불멸대 10,000명을 투입하여 재차 공격을 시도했으나,[94][96] 이들 역시 그리스 군을 뚫지 못했다.[96] 스파르타 군은 후퇴하는 척하다가 돌아서서 적을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96]

헤로도토스[66][67]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68]에 따르면, 그리스 군의 병력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그룹헤로도토스 기록디오도로스 시쿨루스 기록
라케다이몬인/페리오이코이900명?[1]700명 또는 1,000명
스파르타 호플리테스300명[1]300명
만티네이아500명3,000명
(레오니다스와 함께 파견된 다른 펠로폰네소스인)
테게아500명
아르카디아 오르코메노스인120명
다른 아르카디아인1,000명
코린토스400명
플리우스인200명
미케네80명
총 펠로폰네소스인3,100명[1] 또는 4,000명4,000명 또는 4,300명
테스피아이700명
말리아인1,000명
테베400명400명
포키스인1,000명1,000명
오푼티안 로크리스인"그들이 가진 전부"1,000명
총계5,200명 (또는 6,100명) + 오푼티안 로크리스인7,400명 (또는 7,700명)


7. 2. 둘째 날

크세르크세스는 보병을 다시 투입하여 공격을 시도했으나, 페르시아군은 첫째 날과 마찬가지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67][98] 결국 크세르크세스는 공격을 중단시키고 군대를 후퇴시켰다.[190][1]

같은 날, 후퇴한 크세르크세스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던 중, 트라키스 출신의 에피알테스라는 자로부터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산길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었다.[190][1] 에피알테스는 보상을 바라고 페르시아 군을 인도했다.[268][99] 이 일로 인해 에피알테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악몽'을 뜻하게 되었고, 그리스 문화에서 배신자를 상징하는 오명을 얻게 되었다.[269][100]

에피알테스가 노출시킨 측면


테르모필레 전투 장면(19세기 삽화)


헤로도토스는 크세르크세스가 그날 저녁 히다르네스에게 병력을 주어 그리스군을 포위하도록 보냈다고 전한다.[270][101] 다만, 헤로도토스는 그 병력이 정확히 어떤 부대였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271] 첫날 전투에서 불멸대가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히다르네스가 받은 병력은 불멸대의 잔여 병력을 포함한 증강된 부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히다르네스는 이 임무에 2만 명의 병력을 투입했다고 한다.[272][102] 그 길은 페르시아 군영 동쪽에서 아노파이아 산의 절벽 능선을 따라 이어졌으며, 포키스로 이어지는 길과 로크리스의 알페노스로 이어지는 말리아 만으로 갈라지는 길이었다.

7. 3. 셋째 날

산길을 지키던 포키스 군은 떡갈나무 잎이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듣고 페르시아 군 분대가 접근하는 것을 알아차렸다. 헤로도토스는 포키스 군이 매우 놀랐다고 기록했다.[103] 히다르네스 역시 그리스 군이 주둔하고 있을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에 당황했다.[104] 그는 포키스 군이 스파르타 군이라고 생각하여 두려워했지만, 트라키스의 에피알테스가 아니라고 알려주었다.[103] 포키스 군은 페르시아 군의 공격을 피해 언덕 근처로 후퇴하여 저항을 준비했다.[103] 그러나 페르시아 군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포키스 군에게 화살을 퍼부은 뒤, 그리스 주력군을 포위하기 위해 그대로 지나쳐 갔다.[103]

포키스 군이 보낸 전령을 통해 우회로 방어에 실패했다는 소식을 들은 레오니다스는 새벽에 군사 회의를 소집했다.[1] 디오도로스는 퀴마 출신의 페르시아인 티르라스티아다스가 그리스 군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고 기록했다.[105] 그리스 군 내부에서는 철수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렸지만, 레오니다스는 스파르타 군과 함께 테르모필레에 남기로 결정했다.[1] 레오니다스는 자신의 군대가 포위되었다는 것을 알고 연합군에게 원한다면 떠나도 좋다고 말했다. 많은 그리스 군이 그의 제안을 받아들여 떠났지만, 약 2천 명의 병사들은 남아 싸우다 전사하기로 했다. 데모필로스 장군의 지휘 아래 테스피아이 군 700명은 떠나기를 거부하고 전투에 합류했다.[108] 400명의 테베 군과 스파르타 군을 따라온 헬로트들도 남았다.[1]

레오니다스의 행동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스파르타 군은 임전무퇴라는 법을 따랐다는 주장과, 테르모필레에서의 비겁함이 후퇴 불가라는 관념을 만들었다는 주장이 있다.[109] 레오니다스가 스파르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기로 결심했다는 주장도 있다.[1] 일반적으로 레오니다스가 다른 그리스 군의 퇴각을 돕기 위해 후방 부대를 맡았다는 이론이 받아들여진다.[1][1] 만약 모든 군대가 철수했다면, 페르시아 기병대가 그리스 군을 궤멸시켰을 것이다. 반면, 모든 군대가 테르모필레에 남았다면 포위되어 전멸했을 것이다.[1] 레오니다스는 퇴각을 엄호하고 협곡을 계속 막음으로써 3,000명 이상의 병사들을 구하고, 그들이 다시 싸울 수 있도록 했다.[1]

테베 군의 참전 이유도 논쟁거리다. 헤로도토스는 테베 군이 인질로 참전했다고 주장했지만, 플루타르코스는 인질이었다면 다른 그리스 군과 함께 보내졌을 것이라고 반박했다.[1] 테베 군은 페르시아 지배에 반대했던 "충성파"였을 가능성이 높다.[1] 그들은 자발적으로 테르모필레에 왔고, 페르시아가 보이오티아를 점령하면 테베로 돌아갈 수 없었기 때문에 끝까지 남았을 것이다.[1] 테스피아이 군은 크세르크세스에게 항복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페르시아가 보이오티아를 점령하면 도시가 파괴될 위험에 처했기 때문에 남았다.[1] 그러나 테스피아이의 나머지 병력은 페르시아 군 도착 전에 성공적으로 대피했다.[1] 테스피아이 군은 자발적으로 남기로 결정했으며, 그들의 부대가 도시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호플리테스를 대표했다는 점에서 더욱 놀랍다.[110] 이는 테스피아이의 국민성으로 보이며, 이후 역사에서도 테스피아이 군은 최소 두 번 이상 죽을 때까지 싸웠다.[1]

페르시아인에게 포위된 스파르타인들, 테르모필레 전투. 19세기 삽화


동이 트자 크세르크세스는 헌주를 올리고, 불멸자들이 산에서 내려올 시간을 벌어준 뒤 진격을 시작했다.[111] 경장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된 1만 명의 페르시아 군이 그리스 군 전방에 돌격했다. 그리스 군은 더 많은 페르시아 군을 살상하기 위해 방벽 밖, 협곡의 넓은 곳으로 나아가 페르시아 군을 맞이했다.[111] 그들은 창이 부러질 때까지 창으로 싸웠고, 그 후에는 ''시포스''(단검)로 싸웠다.[112] 헤로도토스는 이 전투에서 크세르크세스의 형제 아브로코메스와 히페란테스가 전사했다고 기록했다.[112] 레오니다스 역시 페르시아 궁수의 화살에 맞아 전사했고, 양측은 그의 시신을 두고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그리스 군은 레오니다스의 시신을 확보했다.[112] 불멸자들이 접근하자 그리스 군은 방벽 뒤 언덕으로 물러났다.[114] 테베 군은 아군에게서 물러나 손을 들고 페르시아 군에게 항복했지만, 항복이 받아들여지기 전에 일부가 살해되었다.[114] 왕은 테베 군 포로들에게 왕실 표식을 새기도록 했다.[113] 헤로도토스는 남은 방어자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관을 쓴 아케메네스 왕이 그리스 호플리테스를 죽이는 모습. 기원전 500년–475년경, 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에 조각된 원통형 인장에서 가져온 인상.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여기서 그들은 마지막까지 자신들을 방어했고, 아직 칼을 가진 자들은 그것을 사용했고, 다른 사람들은 손과 이빨로 저항했다.[114]

크세르크세스는 방벽 일부를 무너뜨리고 언덕을 포위하도록 명령했고, 페르시아 군은 마지막 그리스 군이 쓰러질 때까지 화살을 퍼부었다.[114] 1939년, 고고학자 스피리돈 마리나토스는 테르모필레 발굴 중 콜로노스 언덕에서 다수의 페르시아 청동 화살촉을 발견했는데, 이는 그리스 군이 최후를 맞이한 장소가 방벽 근처의 작은 언덕임을 시사한다.[115]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은 2만 명의 전사자를 냈다.[116] 그리스 후위군은 전멸했고, 첫 이틀간의 전투에서 사망한 병사를 포함하여 약 2천 명의 손실을 입었다.[117] 헤로도토스는 4천 명의 그리스 군이 사망했다고 언급했지만, 포키스 군이 전투 중 사망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이는 참전한 거의 모든 그리스 군의 숫자(헤로도토스의 추산)이며,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118]

8. 영향

테르모필레 전투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 군이 승리했지만, 그리스 군의 용맹함과 희생은 그리스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레오니다스 1세와 스파르타 군의 영웅적인 항전은 그리스인들의 사기를 크게 높였다.[1]

305px

  • 그리스군의 사기 고취: 테르모필레에서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레오니다스와 그의 부하들이 보여준 용기는 그리스 전역에 퍼져나가 다른 폴리스(도시국가)들이 페르시아에 맞서 싸울 의지를 다지게 했다.[1]
  • 살라미스 해전플라타이아이 전투 승리에 기여: 테르모필레에서 시간을 번 덕분에 그리스군은 전열을 재정비할 수 있었고, 이후 살라미스 해전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24][1]
  • 자유와 조국 수호의 상징: 테르모필레 전투는 자유와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웅들의 이야기로 전해지며, 오늘날까지도 용기와 희생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특히,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싸운 그리스군의 모습은 자유를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42]
  • 군사적 교훈: 테르모필레 전투는 훈련, 장비, 지형의 효과적인 사용이 어떻게 전력을 강화하는지 보여주는 예시로 활용된다.[144]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40년 뒤, 레오니다스의 유해는 스파르타로 돌아와 성대한 예우를 받으며 다시 묻혔고, 그를 추모하는 장례 경기가 매년 열렸다.[112][119]

upright

9. 유산

제2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테르모필레 전투는 고대와 현대, 그리고 동시대 문화에서 널리 알려진 전투이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이 전투에서 그리스인들이 보여준 용맹함을 높이 평가한다.[302] 하지만 페르시아의 침공이라는 큰 틀에서 보면, 테르모필레 전투는 그리스의 명백한 패배였다.[303] 그리스군의 전략은 테르모필레와 아르테미시온 해전에서 페르시아군의 발목을 잡아두는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보이오티아와 아티카를 내주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르모필레 전투는 자유를 위해 싸운 소수의 자유인들이 압도적인 수의 제국군에 맞서 결사항전을 벌였다는 점에서 큰 영감을 주었다.[313] 특히, 동양의 전제군주제에 대비되는 서구적 가치, 즉 병사들이 스스로 전장과 방법, 항쟁을 결정했다는 점이 테르모필레에서 그리스군의 용기를 통해 더욱 강력하게 드러났다.[313]

군사적으로 테르모필레 전투는 결정적인 전투는 아니었지만, 방어자들이 훈련, 장비, 지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전력을 극대화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315]

크세르크세스 1세레오니다스 1세의 시체를 찾자 분노하여 목을 자르고 십자가형에 처하라고 명령했다. 이는 페르시아가 전통적으로 적군의 맹장을 예우했기 때문에 이례적인 일이었다.[284][289] 페르시아군이 철수한 뒤 그리스군은 시신을 수습하여 언덕에 묻었고, 페르시아 침공이 끝난 뒤에는 돌사자상을 세워 레오니다스를 기렸다.[291] 레오니다스의 유골은 전쟁이 끝난 지 40년 후에 스파르타로 돌아와 성대한 장례식이 치러졌고, 매년 그를 기리는 경기가 개최되었다.[283][292]

테르모필레가 함락되자 그리스 함대는 아르테미시온 해전에서 철수하여 살라미스 해전을 준비할 수 있었다. 이후 페르시아군은 아테네로 진군했지만, 플라타이아 전투와 미칼레 해전에서 그리스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며 그리스 침공은 종결되었다.

9. 1. 기념물

시모니데스의 경구가 새겨진 비문


시모니데스가 쓴 유명한 경구는 테르모필레에서 전사한 스파르타 군인들의 무덤 위에 세워진 기념비에 새겨져 있다. 이 비문은 그들이 마지막으로 쓰러진 언덕에 1955년에 새로 새겨졌다. 헤로도토스가 기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Ὦ ξεῖν', ἀγγέλλειν Λακεδαιμονίοις ὅτι τῇδε|오 크세인', 앙겔레인 라케다이모니오이스 호티 테데|나그네여, 라케다이몬인(Lacedaemonians)에게 전하라.grc

κείμεθα, τοῖς κείνων ῥήμασι πειθόμενοι|케이메타, 토이스 케이논 레마시 페이토메노이|우리가 여기 누워 그들의 말에 복종한다고.grc

'약속'을 뜻하는 ῥήμασι πειθόμενοι|레마시 페이토메노이grc 대신 '법률'이나 '명령'을 뜻하는 πειθόμενοι νομίμοις|페이토메노이 노미모이스grc로 대체된 고대 문헌도 있다.[319]

이 시는 비문에 주로 사용되는 엘레지아 연시 형식이며, 라코닉 문구처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 경구의 여러 영어 번역과 그에 대한 비고이다.

시모니데스 경구의 영어 번역과 비고
번역비고
지나가는 자여, 스파르타인들에게 말하라, 우리가 여기 그들의 법에 복종하며 누워 있다고.윌리엄 리슬 보울스[148]
나그네여, 스파르타인들에게 우리가 그들이 바라던 대로 행동했고, 여기에 묻혔다고 말하라.윌리엄 골딩[149]
나그네여! 스파르타에게 말하라, 그녀의 충실한 무리가 여기 죽어 누워, 그녀의 명령을 기억한다고.프란시스 호지슨[150]
나그네여, 이 말을 전하라, 스파르타인들에게, 엎드려 이곳에 우리는 남아, 충실히 그들의 법을 지키네.조지 캠벨 매컬리[151]
나그네여, 이 메시지를 스파르타인들에게 전하라, 우리가 여기 그들의 법에 순종하며 누워 있다고.윌리엄 로저 페이튼[152]
지나가시는 나그네여, 스파르타인들에게 말하라, 여기 그들의 법에 순종하며 누워 있다고.스티븐 프레스필드[153]
가거라, 나그네여, 그리고 라케다이몬에 말하라 여기, 그녀의 명령에 복종하여, 우리가 쓰러졌다고.조지 롤린슨[154]
가거라, 길을 걷는 자여, 스파르타의 도시에 소식을 전하라 여기, 그들의 명령을 다하고, 우리가 누웠다고.시릴 E. 로빈슨[155]
가서, 스파르타인들에게 말하라, 읽는 이들이여: 우리는 그들의 명령을 받아, 여기 죽어 누워 있노라.오브리 드 셀린쿠르[156]
친구여, 라케다이몬에게 말하라 여기에 우리가 누워 있다 우리의 명령에 복종하며.윌리엄 셰퍼드[157]
지나가시는 분, 라케다이몬에 말하라, 그들의 말에 순종하며 우리가 여기 누워 있다고하다스 (1950)[158]
아, 나그네여, 스파르타인들에게 말하라 우리가 여기 그들의 말에 순종하며 누워 있다고.1962년 영화 300 스파르탄에서[159]
나그네여, 우리가 여기에 누워 있는 것을 발견하면, 스파르타인들에게 우리가 그들의 명령을 따랐다고 말하라.1977년 영화 고 테이 더 스파르탄스에서[160]
지나가는 자여, 스파르타인들에게 말하라: 여기, 스파르타 법에 따라, 우리가 누워 있다고.프랭크 밀러 (1998; 이후 2007년 영화 300에 사용)


9. 2. 전설

테르모필레 전투는 고대와 현대, 그리고 동시대 문화에서 널리 알려진 전투이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이 전투에서 그리스인들이 보여준 용맹함을 높이 평가한다.[302] 하지만 페르시아의 침공이라는 큰 틀에서 보면, 테르모필레 전투는 그리스의 명백한 패배였다.[303]

이 전투는 자유를 위해 싸운 소수의 자유인들이 압도적인 수의 제국군에 맞서 결사항전을 벌였다는 점에서 큰 영감을 주었다.[313] 특히, 동양의 전제군주제에 대비되는 서구적 가치, 즉 병사들이 스스로 전장과 방법, 항쟁을 결정했다는 점이 테르모필레에서 그리스군의 용기를 통해 더욱 강력하게 드러났다.[313]

군사적인 측면에서 테르모필레 전투는 결정적인 전투는 아니었지만, 방어자들이 훈련, 장비, 지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전력을 극대화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315]

테르모필레 전장 주변에는 여러 기념물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창과 방패를 든 레오니다스 1세의 동상을 포함한 "레오니다스 기념비"이다. 이 기념비에는 레오니다스의 청동상이 있으며, 동상 아래에는 "Μολὼν λαβέ"("와서 가져가라!" - 크세르크세스의 무기 반납 요구에 대한 레오니다스의 답변)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162]

레오니다스 기념비


헤로도토스의 기록에는 전투와 관련된 여러 일화들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스파르타인들의 간결한 말투와 재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레오니다스는 떠나기 전 아내 고르고에게 "좋은 남자와 결혼해서 좋은 아이들을 낳으시오."라고 말했다.[163]
  • 페르시아 정찰병이 그리스 군대의 규모와 스파르타인들이 체조를 하고 머리를 빗는 모습을 보고하자, 크세르크세스는 망명한 스파르타 왕 데마라토스에게 조언을 구했다. 데마라토스는 스파르타인들이 전투를 준비하는 것이며, 목숨을 걸기 전에 머리를 치장하는 것이 그들의 관습이라고 설명했다.[164]
  • 페르시아 사절이 크세르크세스와 합류하면 모든 그리스의 왕위를 주겠다고 제안하자, 레오니다스는 "삶의 고귀한 것들에 대해 안다면, 다른 사람의 재산을 탐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스를 위해 죽는 것이 내 백성을 다스리는 것보다 낫다."라고 답했다.[165] 무기를 넘겨 달라는 요구에는 "Μολὼν λαβέ|몰론 라베grc" ( "와서 가져가라.")라고 답했다.[166]
  • 스파르타 병사 디에네케스는 페르시아 화살이 너무 많아 "태양을 가릴 것"이라는 말을 듣자, "훨씬 좋군...그럼 우리는 그늘에서 싸우겠군."이라고 응수했다.[167]
  • 전투 후 크세르크세스가 그리스인들의 의도를 묻자, 아르카디아 탈영병들은 다른 남자들이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고 답했다. 우승 상품이 "올리브 화관"이라는 말을 들은 페르시아 장군 티그라네스는 "맙소사, 마르도니우스, 당신은 우리와 싸우라고 이런 사람들을 데려왔소? 그들은 부가 아니라 명예를 위해 싸우는구려!"라고 말했다.[168]

참조

[1] 웹사이트 Gongaki (2021) https://sci-cult.com[...] 2021-07-22
[2] 서적 Bradford (1980)
[3] 서적 Greswell (1827)
[4] 서적 The Persian Empire: A Corpus of Sources of the Achaemenid Period https://books.google[...] 2023-05-10
[5] 서적 Ancient Persia https://archive.org/[...] NJ Berkeley Heights 1932
[6] 웹사이트 Herodotus VIII, 24 https://www.perseus.[...] 2022-10-20
[7] 웹사이트 BBC Radio 4 – In Our Time, Thermopylae http://www.bbc.co.uk[...] 2014-11-26
[8] 웹사이트 Battle of Thermopylae {{!}} Date, Location, and Facts https://www.britanni[...] 2019-08-30
[9] 간행물 Barkworth, 1992. The Organization of Xerxes' Army
[10] 웹사이트 Herodotus VIII, 25 https://www.perseus.[...] 2022-10-20
[11] 문서 Μάχη τῶν Θερμοπυλῶν
[12] 웹사이트 Herodotus on Thermopylae - Livius https://www.livius.o[...] 2023-09-13
[13] 웹사이트 Diodorus XI, 28–34 https://www.perseus.[...] 2020-09-14
[14] 웹사이트 Note to Herodotus IX, 81 https://www.perseus.[...] 2020-09-14
[15] 서적 The Great Persian War and its Preliminaries; A Study of the Evidence, Literary and Topographical http://catalog.hathi[...] John Murray, Albemarle Street, London 1901
[16] 문서 Chapter II, Strategy Frederick A. Praeger 1967
[17] 문서 The Topography of the Battle of Plataea: The City of Plataea, the Field of Leuctra http://catalog.hathi[...]
[18] 서적 Thermopylae : the battle that changed the world Pan 2007
[19] 서적 Thermopylae : the battle that changed the world Pan 2007
[20] 서적 Thermopylae : the battle that changed the world Pan 2007
[21] 서적 Thermopylae : the battle for the West Da Capo Press 2004
[22] 서적 Thermopylae : the battle that changed the world Pan 2007
[23] 서적 Holland
[24] 웹사이트 Herodotus V, 105 https://www.perseus.[...] 2021-08-31
[25] 서적 Holland
[26] 웹사이트 Herodotus VI, 44 https://www.perseus.[...] 2021-08-31
[27] 서적 Holland
[28] 웹사이트 Herodotus VII, 133 https://www.perseus.[...] 2021-08-31
[29] 서적 LacusCurtius Herodotus Book VII: Chapter 134 https://penelope.uch[...]
[30] 웹사이트 Herodotus VI, 101 https://www.perseus.[...] 2021-08-31
[31] 웹사이트 Herodotus VI, 113 https://www.perseus.[...] 2021-08-31
[32] 서적 Holland
[33] 서적 Holland
[34] 서적 Holland
[35] 서적 Holland
[36] 웹사이트 VII, 35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4-11-26
[37] 간행물 They Died the Spartan's Death
[38] 문서 Holland, p. 217–223
[39] 웹사이트 VII, 32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8-31
[40] 웹사이트 VII, 145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8-31
[41] 문서 Holland, p. 226
[42] 문서 Holland, pp. 248–249
[43] 웹사이트 VII, 173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3-11-06
[44] 문서 Holland, pp. 255–257
[45] 웹사이트 VIII, 40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0-12-03
[46] 문서 Holland, pp. 255–256
[47] 웹사이트 VII, 206 https://archive.toda[...] Herodotus
[48] 문서 Holland, pp. 258–259.
[49] 웹사이트 VII, 220 https://archive.org/[...] Rawlinson translation of Herodotus
[50] 웹사이트 VII, 205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0-11-07
[51] 웹사이트 VII, 217 https://archive.toda[...] Herodotus
[52] 문서 Holland, pp. 269–270
[53] 웹사이트 VII, 207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0-11-28
[54] 웹사이트 Apophthegmata Laconica https://penelope.uch[...] Plutarch
[55] 웹사이트 Herodotus Book 7: Polymnia, 226 Sacred-texts.com 2014-11-26
[56] 문서 Holland, pp. 270–271
[57] 문서 Plutarch, Apophthegmata Laconica, section "Leonidas, son of Anaxandridas", saying 11
[58] 서적 Naqs-e Rostam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8-10-18
[59] 서적 Naqs-e Rostam – Encyclopaedia Iranica List of nationalities of the Achaemenid military with corresponding drawings http://www.iranicaon[...] 2018-10-18
[60] 웹사이트 VII, 186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4-19
[61] 웹사이트 Photius' excerpt of Ctesias' Persica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4-11-26
[62] 문서 Holland, p. 237
[63] 서적 The Greek and Persian Wars 500–323 B.C. https://books.google[...] Osprey
[64] 문서 Holland, p. 394.
[65] 문서 de Souza, p. 41.
[66] 웹사이트 VII, 202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1-08
[67] 웹사이트 VII, 203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8-31
[68] 웹사이트 XI, 4 https://www.perseus.[...] Diodorus Siculus 2021-08-31
[69] 웹사이트 VII, 228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1-08-02
[70] 웹사이트 VIII, 25 https://www.perseus.[...] Herodotus 2020-09-14
[71] 간행물 Macan, note to Herodotus VIII, 25
[72] 웹사이트 Pausanias X, 20 https://www.perseus.[...] 2021-08-31
[73] 간행물 Green, p. 140
[74] 간행물 Bradford, p. 106
[75] 간행물 Bury, pp. 271–282
[76] 간행물 Holland, pp. 285–287
[77] 간행물 Holland, p 288
[78] 간행물 Holland, pp. 262–264
[79]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Phocis and Ozolian Locri, chapter 21 https://www.perseus.[...] 2021-02-20
[80] 웹사이트 Herodotus VII, 176 https://www.perseus.[...] 2021-08-31
[81] 웹사이트 Herodotus VIII, 201 https://www.perseus.[...] 2021-08-31
[82] 서적 The Battle for the West: Thermopylae McGraw-Hill Book Company
[83] 간행물 Dore, pp. 285–286
[84] 웹사이트 1941 Battle of Thermopylae http://www.leonidas.[...] 2019-08-01
[85] 웹사이트 Map of Thermopylae http://www.mlahanas.[...] 2014-11-26
[86] 웹사이트 Map of Thermopylae http://uoregon.edu/~[...] Uoregon.edu 2014-11-26
[87] 웹사이트 Thermopylae, Attempt to reconstruct the ancient landscape - Livius https://www.livius.o[...] 2022-01-30
[88] 서적 Egypt, Greece, and Rome: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0-18
[89] 서적 Naqs-e Rostam – Encyclopaedia Iranica List of nationalities of the Achaemenid military with corresponding drawings http://www.iranicaon[...] 2018-10-18
[90] 웹사이트 Hoplites Arms and Armor http://faculty.fairf[...] 2014-09-09
[91]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0 https://www.perseus.[...] 2020-11-23
[92]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XI, 6 https://www.perseus.[...] 2020-09-14
[93] 웹사이트 Herodotus VII, 208 https://www.perseus.[...] 2020-12-11
[94]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XI, 7 https://www.perseus.[...] 2020-09-14
[95] 간행물 Holland, p. 274
[96]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1.1 https://www.perseus.[...] 2021-08-31
[97] 웹사이트 Herodotus VII, 204 https://www.perseus.[...] 2020-12-11
[98]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2 https://www.perseus.[...] 2020-12-19
[99]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3 https://www.perseus.[...] 2021-08-31
[100] 간행물 Tegopoulos, entry for Εφιάλτης
[101]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5 https://www.perseus.[...] 2021-08-31
[102] 간행물 Green (2006), p. 59
[103]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8 https://www.perseus.[...] 2020-11-09
[104] 간행물 Holland, p. 291–293
[105]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Library, Book XI, Chapter 8, section 5 https://www.perseus.[...] 2013-10-09
[106] 웹사이트 Herodotus VII, 219 https://www.perseus.[...] 2021-08-31
[107] 웹사이트 Herodotus VII, 220 https://www.perseus.[...] 2020-11-06
[108] 웹사이트 Herodotus VII, 222 https://www.perseus.[...] 2020-11-22
[109] 서적 Lazenby, pp. 144–145
[110] 서적 Lazenby, pp. 259–260
[111] 웹사이트 Herodotus VII, 223 https://www.perseus.[...] 2020-12-06
[112] 웹사이트 Herodotus VII, 224 https://www.perseus.[...] 2020-12-09
[113] 웹사이트 Herodotus VII 233 https://www.perseus.[...] 2020-11-09
[114] 웹사이트 Herodotus VII, 225 https://www.perseus.[...] 2020-12-27
[115] 서적 Crawford, p. 302
[116] 웹사이트 Herodotus VIII, 24 https://www.perseus.[...] 2020-11-14
[117] 서적 Holland, p. 397
[118] 서적 Lazenby, p. 148
[119] 웹사이트 Pausanias III, 14 https://www.perseus.[...] 2021-06-21
[120] 서적 Holland, p. 294
[121] 웹사이트 Herodotus VIII, 50 https://www.perseus.[...] 2021-08-31
[122] 웹사이트 Herodotus VIII, 71 https://www.perseus.[...] 2021-08-31
[123] 서적 Holland, pp. 299–303
[124] 서적 Holland, pp. 327–334
[125] 웹사이트 Herodotus VIII, 97 https://www.perseus.[...] 2021-08-31
[126] 웹사이트 Herodotus VIII, 115 https://www.perseus.[...] 2022-08-15
[127] 서적 Holland, p. 327–329
[128] 서적 Holland, pp. 338–341
[129] 서적 Holland, p. 357–359
[130] 웹사이트 Herodotus VII 64-66 https://penelope.uch[...]
[131] 서적 Holland, p. xviii
[132] 서적 Lazenby, p. 151
[133] 서적 Tung & Tung, p. 239
[134] 서적 Marozzi, p. 74
[135] 서적 Cawkwell, pp. 105–106
[136] 웹사이트 Herodotus IX, 1 https://www.perseus.[...] 2020-09-14
[137] 웹사이트 Greco-Persian Wars: Battle of Thermopylae http://www.historyne[...] HistoryNet 2006-06-12
[138] 웹사이트 Herodotus VIII, 1–19 https://www.perseus.[...] 2020-09-14
[139] 서적 Cawkwell, p. 104
[140] 서적 Lazenby, p. 150
[141] 문서 Michel de Montaigne, quoted in Holland, p. xviii.
[142] 웹사이트 History and the Movie "300" https://web.archive.[...] 2009-03-27
[143] 문서 Lazenby, pp. 248–253
[144] 문서 Eikenberry, 1996
[145] 간행물 Sparse Spartan Verse: Filling Gaps in the Thermopylae Epigram https://www.academia[...] Aureal Publications 2014-10-10
[146] 문서 "this sublime distich (ἡ θρυλουμένη ἐπιγραφή) is quoted with variations by Strabo 429 (and others): (1) ὦ ξέν᾽, ἀπάγγειλον and (2) τοῖς κείνων πειθόμενοι νομίμοις. ''Longe praestat Herodotea lectio'' (Valck.). [[Cicero]], [[Tusculanae Disputationes|Tusc.]] 1. 42. 101, translates (from the inferior version) ''dic hospes Spartae, nos te hic vidisse iacentes, dum sanctis patriae legibus obsequimur.''" (Macan, note to Herodotus VII, 228)
[147] 웹사이트 Sparse Spartan Verse: Filling Gaps in the Thermopylae Epigram https://openresearch[...] 2014
[148] 문서 Strachey, p. 481
[149] 문서 Golding, excerpt from The Hot Gates.
[150] 문서 Merivale, p. 64
[151] 문서 Macauley translation of Herodotus, p. 220
[152] 문서 Paton, p. 139
[153] 문서 Pressfield, p. 384
[154] 문서 Rawlinson translation of Herodotus, p. 51
[155] 문서 Robinson, p. 65
[156] 문서 Sélincourt translation of Herodotus (1954)
[157] 문서 Translation by William Shepherd, from the Cambridge series of translations by Greek and Roman authors.
[158] 문서 Moses Hadas, A History of Greek Literature (1950), p. 56.
[159] 문서 Credited writers for the film are: George St. George, Gian Paolo Callegari, Remigio Del Grosso, Giovanni d'Eramo, and Ugo Liberatore.
[160] 문서 Screenplay by Wendell Mayes, based on the novel "Incident at Muc Wa" by Daniel Ford.
[161] 문서 Ruskin, p. 212
[162] 서적 Southern Europ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63] 문서 Plutarch, Apophthegmata Laconica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2008.01.0197%3Achapter%3D51%3Asection%3D2 Plut. Apoph. 51.2]
[164] 문서 Herodot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dt.+7.209.1 VII, 209]
[165] 문서 Plutarch, Moralia, 225, saying 10
[166] 문서 Plutarch, Apophthegmata Laconica, Saying 11.
[167]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7, chapter 226, section 1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4-11-26
[168]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8, chapter 26, section 1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4-11-26
[169] 웹사이트 Greece Issues Commemorative Coins for 2500th Anniversary of Battle of Thermopylae https://greece.greek[...] 2020-02-09
[170] 논문 Alexander at the Persian Gates 1980
[171] 서적 Envy of the Gods: Alexander the Great's Ill-Fated Journey across Asia Da Capo Press 2004
[172]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Middle East Harmondsworth 1973
[173] 서적 Alexander the Great's Art of Strategy https://books.google[...] Gotham 2023-03-22
[174] 웹사이트 ARIOBARZANES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8-08-10
[175] 서적 Spartan Society ISD LLC 2023-01-10
[176] 서적 Cultural Responses to the Persian Wars: Antiquity to the Third Millennium OUP Oxford 2023-01-10
[177] 서적 Cultural Responses to the Persian Wars: Antiquity to the Third Millennium OUP Oxford 2023-01-10
[178] 서적 歴史
[179] 서적 歴史
[180] 서적 歴史
[181] 서적 歴史
[182] 서적 歴史
[183] 서적 歴史
[184] 서적 歴史
[185] 서적 歴史
[186] 서적 歴史
[187] 서적 歴史
[188] 서적 歴史
[189] 웹사이트 Simonides_of_Ceos (Wikiquote) https://en.wikiquote[...]
[190] 문서 Lemprière
[191] 문서 Greswell
[192] 웹사이트 VII,186 http://www.perseus.t[...]
[193] 웹사이트 VIII, 25 http://www.perseus.t[...]
[194] 웹사이트 VIII, 24 http://www.perseus.t[...] 2008-05-02
[195] 문서 On the Laws I, 5
[196] 문서 홀랜드
[197] 웹사이트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http://www.perseus.t[...]
[198] 문서 Finley
[199] 문서 홀랜드
[200] 웹인용 Herodotus: Father of History, Father of Lies http://www.loyno.edu[...] 2008-01-18
[201] 문서 홀랜드
[202] 문서 Fehling
[203] 웹사이트 Bibliotheca Historica http://www.perseus.t[...]
[204] 웹사이트 IX, 81 http://www.perseus.t[...]
[205] 문서 홀랜드
[206] 웹사이트 V, 105 http://www.perseus.t[...]
[207] 문서 홀랜드
[208] 웹사이트 VI, 44 http://www.perseus.t[...]
[209] 문서 홀랜드
[210] 웹사이트 VII, 133 http://www.perseus.t[...]
[211] 문서 VI, 101 http://www.perseus.t[...]
[212] 문서 VI, 113 http://www.perseus.t[...]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저널 "They Died the Spartan’s Death"
[218] 서적
[219] 문서 VII, 32 http://www.perseus.t[...]
[220] 문서 VII, 145 http://www.perseus.t[...]
[221] 서적
[222] 서적
[223] 문서 VII, 173 http://www.perseus.t[...]
[224] 서적
[225] 문서 VIII, 40 http://www.perseus.t[...]
[226] 서적
[227] 웹아카이브 VII, 206 http://data.perseus.[...] 2013-08-13
[228] 서적
[229] 웨이백 VII, 242 http://www.greektext[...] 2007-03-13
[230] 문서 VII, 205 http://www.perseus.t[...]
[231] 문서 VII, 176 http://www.perseus.t[...]
[232] 웹아카이브 VII, 217 http://data.perseus.[...] 2013-08-13
[233] 서적
[234] 문서 VII, 207 http://www.perseus.t[...]
[235]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http://penelope.uchi[...]
[236] 웹인용 Herodotus Book 7: Polymnia, 226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11-26
[237] 서적
[238]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239] 문서 VII, 210 http://www.perseus.t[...]
[240] 웹인용 "Photius' excerpt of Ctesias' Persica (2)" http://www.livius.or[...] Livius.org 2014-11-26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문서 VII, 202 http://www.perseus.t[...]
[245] 문서 VII, 203 http://www.perseus.t[...]
[246] 웹사이트 XI, 4 http://www.perseus.t[...]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247] 웹사이트 VII, 228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48] 간행물 note to Herodotus VIII, 25 Macan
[249] 간행물 pp. 248–253 Lazenby
[250] 간행물 pp. 285–287 Holland
[251] 간행물 p 288 홀랜드
[252] 간행물 pp. 262–264 홀랜드
[253] 웹사이트 VII, 176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54] 웹사이트 VIII, 201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55] 서적 The Battle For The West: Thermopylae https://archive.org/[...] McGraw-Hill Book Company
[256] 간행물 pp. 285–286 Dore
[257] 웹인용 테르모필레 지도 http://www.mlahanas.[...] Archive.org 2014-11-26
[258] 웹인용 Map of Thermopylae http://uoregon.edu/~[...] Uoregon.edu 2014-11-26
[25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livius.or[...] 2017-07-24
[260] 웹사이트 VII, 210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1] 웹사이트 XI, 6 http://www.perseus.t[...] 디오도로스 스켈로스
[262] 웹사이트 VII, 208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3] 웹사이트 XI, 7 http://www.perseus.t[...] 디오도로스 스켈로스
[264] 간행물 p. 274 홀랜드
[265] 웹사이트 VII, 211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6] 웹사이트 VII, 204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7] 웹사이트 VII, 212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8] 웹사이트 VII, 213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69] 간행물 entry for Εφιάλτης Tegopoulos
[270] 웹사이트 VII, 215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1] 웹사이트 VII, 215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2] 간행물 p. 59
[273] 웹사이트 VII, 218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4] 간행물 p. 291–293 홀랜드
[275] 웹인용 디오도루스 시켈로스, Library, XI권, 8장, 5절 http://www.perseus.t[...] 2013-10-09
[276] 웹사이트 VII, 219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7] 웹사이트 VII, 220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8] 웹사이트 VII, 222 http://www.perseus.t[...] 헤로도토스
[279] 간행물 pp. 144–145 Lazenby
[280] 간행물 p. 294 홀랜드
[281] 서적 Lazenby, pp. 259–260
[282] 웹사이트 VII, 223 http://www.perseus.t[...]
[283] 웹사이트 VII, 224 http://www.perseus.t[...]
[284] 웹사이트 VII, 225 http://www.perseus.t[...]
[285] 서적 Crawford, p. 302
[286] 웹사이트 VIII, 24 http://www.perseus.t[...]
[287] 서적 홀랜드, p. 397
[288] 서적 Lazenby, p. 148
[289] 웹사이트 VII, 181 http://www.perseus.t[...]
[290] 웹인용 VII, 35 http://www.perseus.t[...] Perseus.tufts.edu 2014-11-26
[291] 웹사이트 VII, 238 http://www.perseus.t[...]
[292] 웹사이트 III, 14 http://www.perseus.t[...]
[293] 서적 홀랜드, p. 294
[294] 웹사이트 VIII, 50 http://www.perseus.t[...]
[295] 웹사이트 VIII, 71 http://www.perseus.t[...]
[296] 서적 홀랜드, pp. 299–303
[297] 서적 홀랜드, pp. 327–334
[298] 웹사이트 VIII, 97 http://www.perseus.t[...]
[299] 웹사이트 VIII, 115 http://www.perseus.t[...]
[300] 서적 홀랜드, pp. 338–341
[301] 서적 홀랜드, p. 357–359
[302] 서적 홀랜드, p. xviii
[303] 서적 Lazenby, p. 151
[304] 서적 Tung & Tung, p. 239
[305] 서적 Marozzi, p. 74
[306] 서적 콕웰, pp. 105–106
[307] 웹사이트 IX, 1 http://www.perseus.t[...]
[308] 웹인용 Greco-Persian Wars: Battle of Thermopylae http://www.historyne[...] HistoryNet 2009-03-27
[309] 웹사이트 VIII, 1–19 http://www.perseus.t[...]
[310] 서적 콕웰, p. 104
[311] 서적 Lazenby, p. 150
[312] 서적 Michel de Montaigne, quoted in Holland, p. xviii
[313] 웹인용 Victor Hanson article http://www.victorhan[...] Victor Hanson article 2009-03-27
[314] 서적 Lazenby, pp. 248–253
[315] 서적 Eikenberry, 1996
[316] 서적 반 룬의 지리학 도서출판 아이필드
[317] 서적 반 룬의 지리학 도서출판 아이필드
[318] 웹인용 Sparse Spartan Verse: Filling Gaps in the Thermopylae Epigram http://www.academia.[...] Aureal Publications 2014-11-09
[319] 기타 note to Herodotus VII, 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