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토마노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 토마노프는 코카서스 지역, 특히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역사와 계보학 연구에 기여한 역사가이다. 191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러시아 혁명 이후 망명 생활을 했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양학을 전공하고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서양사 속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귀족의 계보를 연구했고, 1970년 은퇴 후 로마에서 역사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기독교 코카서스 역사 연구》, 《기독교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알바니아) 역사를 위한 계보 및 연대기 매뉴얼》 등이 있으며, 비잔틴 제국과 관련된 연구도 수행했다. 그는 몰타 기사단의 단원이자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로 활동했으며, 종교적 서품을 받아 프라 키릴로도 불렸다. 1997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동양학자 -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는 (본문 내용 부족으로 추가 정보 필요) 인물이다. - 조지아계 미국인 -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딸로서, 소련에서의 생활, 결혼, 미국 망명, 귀환 및 재망명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냉전 시대 정치적 격변과 개인적 고뇌를 겪은 인물이다. - 조지아계 미국인 - 조지 발란신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안무가 조지 발란신은 20세기 발레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발레 뤼스 활동 후 미국으로 건너와 아메리카 발레 학교와 뉴욕 시티 발레를 설립하여 미국 발레의 기틀을 다지고 신고전주의 발레를 확립, 400편이 넘는 작품을 안무했다. - 조지아의 귀족 - 일리아 차브차바제
일리야 차브차바제는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의 지도자로서, 러시아 제국 시대에 조지아의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 문화 부흥을 이끌었으며, 조지아어 부활과 문학 육성, 교육 진흥을 통해 조지아 사회의 근대화를 추구한 "근대 조지아 국가의 아버지"로 존경받는 작가, 시인, 언론인,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 조지아의 귀족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 키릴 토마노프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키릴 리보비치 투마노프 |
| 로마자 표기 | Kiril Lvovich Tumanov |
| 다른 이름 | 시릴 레오 투마노프 (Cyril Leo Toumanoff) |
| 출생과 사망 | |
| 출생 | 1913년 10월 13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 사망 | 1997년 2월 4일, 이탈리아, 로마 |
| 묻힌 곳 | ヴェラーノ墓地 |
| 국적 | |
| 국적 | 러시아 제국 미국 |
| 학문 분야 | |
| 분야 | 역사학, 계보학 |
| 근무지 | 조지타운 대학교 |
| 모교 | 조지타운 대학교 |
| 지도 교수 | John Coddington (하버드 대학교) Robert Pierpont Blake (하버드 대학교) Նիկողայոս Ադոնց (브뤼셀 자유 대학교) მიხეილ წერეთელი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 |
| 박사 과정 학생 | Robert H. Hewsen |
| 기타 | |
2. 생애
1917년, 키릴 투마노프(Kirill Tumanov)의 부모는 10월 혁명의 소란에 휩쓸려 페트로그라드에서 아스트라한으로 피신했다. 아스트라한에는 어머니 엘리자베타의 부모가 살고 있었고, 키릴 투마노프는 아스트라한에서 1918년 2월까지 조부모의 보호를 받았다.[1] 러시아 내전 중 아버지 레프 투마노프는 백군에 참가했다. Иван Алексеевич Бирюковru 소장이 이끄는 아스트라한 코사크 군은 백군의 중심이 되었다. 아스트라한 시 노동자 병사 대표 평의회는 볼셰비키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어머니 엘리자베타는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1]
백군이 패배하자 투마노프 가족은 프랑스의 파리로 이주했고, 그 후 1928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키릴 투마노프는 1931년 Lenox School for Boys영어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했다. 지도 교수는 John Coddington영어과 Robert Pierpont Blake영어였는데, 둘 다 저명한 동양학자였다. 그들은 재능 있는 젊은이를 위해 브뤼셀 유학 자금을 지원했고, 투마노프는 Նիկողայոս Ադոնցhy 밑에서 Armenian studies영어을 연구했다. 투마노프는 또한 베를린 유학 자금 지원을 받아 მიხეილ წერეთელიka 밑에서 Georgian studies영어을 연구했다. 이 기간 동안 투마노프는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고, 이로 인해 정교회 신자였던 아버지와 갈등이 생겼다. 이 불화는 1943년까지 이어졌고, 아버지의 임종 시에 두 사람은 화해했다.[1]
투마노프는 1942년부터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근무했다. 1943년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투마노프는 서양사에서의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귀족의 계보를 연구했고, 그 업적은 이후 코카서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 역사학 명예 교수로 퇴임 후 로마로 이주했다. 그 후 투마노프는 로마에서 역사 컨설턴트로 일했다. 투마노프는 귀족과 왕조에 관한 연구의 1인자로 인정받아 몰타 기사단의 단원이 되었다. 투마노프는 몰타 기사단에서 중앙 정부의 수석 역사 컨설턴트를 역임했다. 또한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로도 인정받았다. 수도회에도 관여했으며, 투마노프는 "키릴 사제"로도 알려졌다.
1997년, 키릴 투마노프는 로마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투마노프는 로마의 Cimitero del Veranoit에 있는 몰타 기사단 예배당에 매장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배경
키릴 토마노프는 1913년 10월 10일[2][3]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제국 군 장교였던 레오 투마노프 공작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레오 투마노프는 투마니쉬빌리 가문(러시아식으로 투마노프)의 후손으로, 이 가문은 15세기에 원래 고향인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에서 이주해왔다.[4][1] 예레반에서 태어난 그의 선조들은 1783년 조지아 왕 이레클리 2세와 러시아 여제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 체결된 게오르기예프스크 조약에 첨부된 조지아 공작 목록에 올라 있었으며, 1850년 12월 6일, 러시아 제국의 조지아 공작 가문 목록에 ''크냐즈'' 투마노프로 공식적으로 등록되었다.[5] 토마노프의 어머니인 엘리자베타 즈다노바는 서유럽 귀족과 계보적으로 연관된 여러 러시아 귀족 가문의 후손이었다.[1]2. 2. 러시아 혁명과 망명
키릴 토마노프의 부모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피해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탈출했다. 그의 아버지는 백 러시아군에 합류했으며, 어머니는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되었다.[1] 키릴 토마노프는 가족이 세르비아로 도망치기 전, 아스트라한에 있는 외조부모의 보호를 받았다. 러시아 내전 중 아버지 레프 투마노프는 백군에 참가했고, Иван Алексеевич Бирюковru 소장이 이끄는 아스트라한 코사크 군은 백군의 중심이 되었다. 아스트라한 시 노동자 병사 대표 평의회는 볼셰비키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어머니 엘리자베타는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1]백군이 패배하자 투마노프 가족은 프랑스의 파리로 이주했고, 1928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25년, 그는 아버지와 함께 미국으로 탈출했다. 그는 1931년 레녹스 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했다.[1] 지도 교수는 John Coddington영어과 Robert Pierpont Blake영어였는데, 둘 다 저명한 동양학자였다. 그들은 재능 있는 젊은이를 위해 브뤼셀 유학 자금을 지원했고, 투마노프는 Նիկողայոս Ադոնցhy 밑에서 Armenian studies영어을 연구했다. 투마노프는 또한 베를린 유학 자금 지원을 받아 მიხეილ წერეთელიka 밑에서 Georgian studies영어을 연구했다. 이후 그는 브뤼셀에서 니콜라스 아돈츠 아래에서 아르메니아학을, 베를린에서 미하일 체레텔리 아래에서 그루지야어를 공부했다.[1] 이 기간 동안 토마노프는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했다. 그는 정교회 신자인 아버지와 갈등을 겪었지만, 1943년 아버지가 임종할 때 화해했다.[1]
토마노프는 1943년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곧 그곳에서 교수로 임용되어 1970년 역사학 명예 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이후 로마로 이주했다.[1] 그는 귀족 및 왕조 문제에 대한 권위자였으며, 몰타 기사단의 기사, 고위 역사 컨설턴트, 그랜드 매지스트리,[6] 그리고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였다.[1] 그는 종교적 서품을 받은 후 프라 키릴로 알려지게 되었다.
토마노프는 1997년 로마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그는 로마 캄포 베라노에 있는 몰타 기사단 예배당에 묻혔다.[7]
2. 3. 학문적 여정
키릴 토마노프의 부모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피해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탈출했다. 그의 아버지는 백 러시아군에 합류했으며, 그의 어머니는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되었다.[1] 토마노프는 가족이 세르비아로 도망치기 전, 아스트라한에서 외조부모의 보호를 받았다. 러시아 내전 중, 아버지 레프 토마노프는 백군에 참가했고, 어머니 엘리자베타는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1]백군이 패배하자 투마노프 가족은 프랑스 파리를 거쳐 1928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1931년 레녹스 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했다.[1] 지도 교수는 동양학자 John Coddington영어과 Robert Pierpont Blake영어였는데, 이들의 지원으로 브뤼셀에서 Նիկողայոս Ադոնցhy에게 아르메니아학/Armenian studies영어을, 베를린에서 მიხეილ წერეთელიka에게 조지아학/Georgian studies영어을 공부했다.[1] 이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하여 정교회 신자인 아버지와 갈등을 겪었지만, 1943년 아버지 임종 시에 화해했다.[1]
1943년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0년 역사학 명예 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1]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토마노프는 서양사에서의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귀족의 계보를 연구했고, 그 업적은 이후 코카서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은퇴 후 로마로 이주하여 역사 컨설턴트로 일했다.[1] 귀족 및 왕조 문제의 권위자로, 몰타 기사단의 기사이자 중앙 정부의 수석 역사 컨설턴트,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였다.[1][6] 종교적 서품을 받은 후에는 프라 키릴로 알려졌다.
1997년 로마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캄포 베라노에 있는 몰타 기사단 예배당에 묻혔다.[1][7]
2. 4. 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시절
토마노프는 1943년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곧 그곳에서 교수로 임용되어 1970년 역사학 명예 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1]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토마노프는 서양사에서의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귀족의 계보를 연구했고, 그 업적은 이후 코카서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귀족 및 왕조 문제에 대한 권위자였으며, 몰타 기사단의 기사, 고위 역사 컨설턴트, 그랜드 매지스트리,[6] 그리고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였다.[1] 그는 종교적 서품을 받은 후 프라 키릴로 알려지게 되었다.2. 5. 은퇴 이후와 죽음
키릴 토마노프는 1970년 조지타운 대학교 역사학 명예 교수로 은퇴한 후 로마로 이주했다.[1] 그는 귀족 및 왕조 문제에 대한 권위자였으며, 몰타 기사단의 기사이자 고위 역사 컨설턴트, 그랜드 매지스트리,[6] 그리고 보헤미아의 그랜드 프라이어였다.[1] 종교적 서품을 받은 후에는 프라 키릴로 알려졌다.토마노프는 1997년 로마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 로마 베라노 묘지에 있는 몰타 기사단 예배당에 묻혔다.[7]
3. 연구 업적 및 주요 저서
'''키릴 토마노프'''의 연구는 코카서스 지역, 특히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역사, 계보학, 연대기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는 ''Traditio'', ''르 뮈제옹'', ''아르메니아 연구 리뷰'', ''한데스 암소리아'' 등 저명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토마노프의 연구는 중세 조지아 역사 문학, 초기 바그라티드 가문, 15세기 바그라티드 가문의 공동 주권 제도, 비잔티움과 이란 사이의 기독교 코카서스, 8세기부터 11세기까지의 이베리아 바그라티드 가문,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초기 이베리아 왕들의 연대기, 마미코니드 가문과 리파리티드 가문, 3세기 아르메니아 아르사시드 가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또한, 그는 ''기독교 코카서스 역사 연구''(1963), ''기독교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알바니아) 역사를 위한 계보 및 연대기 매뉴얼''(1976), ''고대부터 19세기까지의 기독교 코카서스 왕조; 계보 및 연대 표''(1990) 등 주요 저서를 출간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비잔티움과 러시아의 황제 교황주의, 제3의 로마, 모스크바, 코카서스와 비잔티움 등 비잔틴 제국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3. 1. 주요 저서 목록
-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er of the Empire of Trebizond and the Georgian Queen Thamar영어, Speculum, 15 (1940).
- Medieval Georgian Historical Literature (VIIth-XVth Centuries)영어, Traditio 1 (1943).
- The old Manuscript of the Georgian Annals: The Queen Anne Codex (QA) 1479-1495영어 Traditio 5 (1947)
- The Early Bagratids. remarks in connexion vith some recent publications영어, 르 뮈제옹 62 (1949).
- The Fifteenth-Century Bagratids and the institution of Collegial Sovereignty in Georgia영어, Traditio 7 (1949-1951)
- Christian Caucasia between Byzantium and Iran. New light from Old Sources영어, Traditio 10 (1954).
- La noblesse géorgienne sa genèse et sa structure프랑스어, Rivista Araldica, Sett (1956).
- Chronology of the Kings of Abasgia and other problems영어, 르 뮈제옹,69 (1956)
- Caucasia and Byzantine studies영어, Traditio 12 (1956)
- The Bagratids of Iberia from the Eight to the Eleven Century영어, 르 뮈제옹 74 (1961)
- The dates of the Pseudo-Moses of Chorence영어, 한데스 암소리아,75 (1961)
-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영어, 조지타운 대학교 출판부, (1963).
-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IV cap XIV "Armenia and Georgia"영어, nouv.éd 1966.
- Chronology of the Early Kings of Iberia영어, article dans Traditio 25 (1969)
- {{llang|en|The Mamikonids and the Liparitids, Armeniaca Venise (1969).
- The Third-Century Armenian Arsacid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Commentary영어, 아르메니아 연구 리뷰 no 6 (1969) pages 233 à 281.
- Caucasia and Byzantium영어, Traditio,27 (1971)
- L’Ordre de Malte dans l’Empire de Russie : Grand-Prieuré Catholique de Russie프랑스어, Rivista Araldica, Maggio-Giugno (1973)
- Manuel de généalogie et de chronologie pour l’histoire de la Caucasie chrétienne (Arménie, Géorgie, Albanie)프랑스어, Éd. Aquila, Rome, (1976).
- Aransahikides ou Haykides ? Derniers rois de Siounie프랑스어, 한데스 암소리아 (1976)
- Les Maisons Princières Géorgiennes de l’Empire de Russie프랑스어, Rome, (1983).
- The Albanian Royal Succession영어, 르 뮈제옹 97 (1984).
- The Social Myth: Introduction to Byzantinism영어, Viella libreria editrice, Rome (1984).
- Heraclids and the Arsacids영어, 아르메니아 연구 리뷰 no 19 (1985).
- Problems of Aransahikid Genealogy영어, 르 뮈제옹 98 (1985).
- Les dynasties de la Caucasie chrétienne de l’Antiquité jusqu’au XIXe siècle ; Tables généalogiques et chronologiques프랑스어, Rome, 1990.
- "비잔티움과 러시아의 황제교황주의", 신학 연구, VII (1946).
- "제3 로마, 모스크바: 정치-종교적 아이디어의 기원과 중요성", ''가톨릭 리뷰'' 40:4 (1955).
- ''몰타 기사단과 러시아 제국'' (로마, 1969) 올게르드 드 셰르보비츠-웨초르와 공저.
- ''러시아 제국의 귀족 목록''프랑스어 (로마, 1982).
3. 2. 학문적 영향
키릴 토마노프는 코카서스 지역, 특히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역사, 계보학, 연대기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는 ''Traditio'', ''Le Muséon'', ''Revue des Études Arméniennes'', ''Handes Amsorya'' 등 저명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토마노프의 연구는 중세 조지아 역사 문학, 초기 바그라티드 가문, 15세기 바그라티드 가문의 공동 주권 제도, 비잔티움과 이란 사이의 기독교 코카서스, 8세기부터 11세기까지의 이베리아 바그라티드 가문,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초기 이베리아 왕들의 연대기, 마미코니드 가문과 리파리티드 가문, 3세기 아르메니아 아르사키드 가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또한, 그는 ''기독교 코카서스 역사 연구''(1963), ''기독교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알바니아) 역사를 위한 계보 및 연대기 매뉴얼''(1976), ''고대부터 19세기까지의 기독교 코카서스 왕조; 계보 및 연대 표''(1990) 등 주요 저서를 출간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비잔티움과 러시아의 황제 교황주의, 제3의 로마, 모스크바, 코카서스와 비잔티움 등 비잔틴 제국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4. 종교 활동
5. 평가
참조
[1]
간행물
In Memoriam: Cyril Toumanoff.
[2]
문서
U.S., World War II Draft Cards Young Men, 1940–1947
[3]
문서
Massachusetts, U.S., State and Federal Naturalization Records, 1798–1950
[4]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5]
서적
Титулованные роды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Опыт подробного перечисления всех титулованных российских дворянских фамилий, с указанием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аждой фамилии, а также времени получения титула и утверждения в нем
Гос. публ. ист. б-ка России
[6]
서적
The Knights of Malta: 900 years of care
Irish Association of the Sovereign Military Hospitaller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of Rhodes, and of Malta
[7]
서적
Дворянский календарь: справочная родословная книга российского дворянств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е Дворянское Собрание
[8]
статья
Рецензия на статью: С. Toumanoff. Caucasia and Byzantium, опубликованную в журнале Тraditio, №27, 1971, стр. 111-152
[9]
논문
In Memoriam: Cyril Toumanoff
[10]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11]
서적
Титулованные роды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Опыт подробного перечисления всех титулованных российских дворянских фамилий, с указанием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аждой фамилии, а также времени получения титула и утверждения в нем
Гос. публ. ист. б-ка России
[12]
서적
The Knights of Malta: 900 years of care
Irish Association of the Sovereign Military Hospitaller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of Rhodes, and of Malta
[13]
서적
Дворянский календарь: справочная родословная книга российского дворянств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е Дворянское Собрание
[14]
간행물
In Memoriam: Cyril Toumanoff.
[15]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16]
서적
Титулованные роды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Опыт подробного перечисления всех титулованных российских дворянских фамилий, с указанием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аждой фамилии, а также времени получения титула и утверждения в нем
Гос. публ. ист. б-ка Росси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