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전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전린은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02년 후난성에서 태어나 1983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그는 1926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한 후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여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저장성 당위원회 서기, 장쑤성 인민정부 주석 등을 역임했으며, 중앙 부비서장, 부총리를 거쳐 당 중앙 서기처 서기, 정치국 위원까지 올랐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반대 입장을 표명하여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 복권되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중앙 고문위원회 부주임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인민해방군 군인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주저우시 출신 - 리리싼
리리산은 중국 공산당 초기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극좌적 모험주의 노선으로 몰락했고,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노동부장을 역임했으나 문화대혁명 때 숙청당한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이다. - 주저우시 출신 - 쑹스룬
쑹스룬은 황푸 군관학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장진호 전투를 지휘했으며, 톈안먼 사건 당시 계엄령에 반대하다 1991년 사망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탄전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譚震林 (간체자: 谭震林) |
| 로마자 표기 | Tán Zhènlín |
| 한국어 표기 | 탄전린 |
| 출생과 사망 | |
| 출생일 | 1902년 4월 24일 |
| 출생지 | 청나라 후난성 유현 |
| 사망일 | 1983년 9월 30일 |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정치 경력 | |
| 소속 정당 | 중국공산당 |
|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 부주임 |
| 취임일 | 1982년 |
| 퇴임일 | 1983년 9월 30일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 부위원장 |
| 취임일 | 1975년 1월 17일 |
| 퇴임일 | 1983년 6월 21일 |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부총리 |
| 취임일 | 1959년 4월 27일 |
| 퇴임일 | 1975년 1월 17일 |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 서기 |
| 취임일 | 1956년 9월 28일 |
| 퇴임일 | 1966년 8월 |
| 중국공산당 저장성 위원회 | 서기 |
| 취임일 | 1949년 5월 |
| 퇴임일 | 1952년 9월 |
| 정부 직책 | |
| 저장성 인민정부 | 주석 |
| 취임일 | 1949년 8월 |
| 퇴임일 | 1955년 1월 |
| 장쑤성 인민정부 | 주석 |
| 취임일 | 1949년 8월 |
| 퇴임일 | 1955년 1월 |
| 중국공산당 항저우시 위원회 | 서기 |
| 취임일 | 1949년 5월 |
| 퇴임일 | 1949년 8월 |
| 항저우시 인민정부 | 시장 |
| 취임일 | 1949년 5월 |
| 퇴임일 | 1949년 9월 |
| 중국인민해방구 저장성 군구 | 정치위원 |
| 취임일 | 1949년 5월 |
| 퇴임일 | 1952년 2월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장슈셴, 거후이민 |
| 자녀 | 탄징위안, 탄샤오광 |
2. 생애
탄전린은 1902년 4월 24일 청나라 후난성 유현에서 태어나 1983년 9월 30일 베이징에서 사망한 중국 공산당의 정치인이다. 1926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한 후, 중일 전쟁과 제2차 국공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당과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2월 역류' 사건으로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이후 복권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투쟁
1902년 4월 24일 (청 광서제 28년), 후난성 유현에서 태어났다. 1926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였다. 중일 전쟁이 발발한 후, 탄전린은 신사군을 지휘하여 일본군과 푸젠성, 장쑤성에서 싸웠다.2. 2. 국공 내전 시기
제2차 국공 내전이 발발한 후, 탄전린은 쑤위와 쑤중 전투를 지휘하여 7번의 승리를 거두었다. 1949년 2월, 제3야전군 제1부 정치위원을 맡았고, 5월에는 저장성이 해방되면서 저장성 당위원회 서기, 저장성 인민정부 주석, 저장성 군구 정치위원에 취임하였다.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2월, 탄전린은 제3야전군 제1부 정치위원을 맡았고, 5월에는 저장성이 해방되었다. 그는 저장성 당위원회 서기, 저장성 인민정부 주석, 저장성 군구 정치위원에 취임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화둥 군구 및 제3야전군 부 정치위원을 겸임했다. 1952년부터는 중국 공산당 중앙 화둥국 제3서기, 화둥 군정위원회 부주석, 장쑤성 인민정부 주석으로 전임한다.2. 4. 중앙 정치 활동
1954년 12월, 탄전린은 중앙으로 옮겨 중국 공산당 중앙 부비서장(차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차관)에 취임했다. 1956년 중국 공산당 제8차 전국 대표 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 서기처 서기에 당선되었고, 1958년 중국 공산당 제8기 5중 전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967년 2월 14일과 16일, 저우언라이 주최로 중난하이 회인당에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탄전린은 천이, 예젠잉, 리셴녠, 쉬샹첸, 녜룽전 등과 함께 문화 대혁명 진행 방식에 불만을 표명했다. 탄전린은 "당의 지도 없이 대중 스스로가 자신을 해방하고, 자신을 교육하고, 스스로 혁명을 한다는 것은 형이상학이다", "당신들(장춘차오 등 문화 대혁명 추진파)의 목적은 고참 간부를 일소하려는 것이며, 이번은 당의 역사상 가장 잔혹한 투쟁이다"라고 주장하며, 마오쩌둥과 문화 대혁명 추진파를 비판했다. 1967년 2월 17일, 린뱌오에게 "장칭은 주석의 지시를 듣지 않고, 측천무후보다 흉악하며, 자신은 이전부터 이미 마지막 결심을 했고, 희생은 각오하고 있다"라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1967년 2월 18일, 마오쩌둥은 탄전린을 비판했고, 이후 이 회의 사건은 '2월 역류'라는 이름으로 공산당에서도 비판받았다. 이후 탄전린은 박해를 받았으며, 1969년 4월 중국 공산당 제9차 전국 대표 대회 종료까지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에서 해임되었다.
1973년 8월 24일 중국 공산당 제10차 전국 대표 대회에서 탄전린은 중앙 위원에 선출되었다. 1975년 1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어 재임하였다. 1982년, 중국 공산당 중앙 고문위원회 부주임에 당선되었다.
2. 5. 문화대혁명과 2월 역류
1967년 2월 14일과 16일, 저우언라이의 주최로 중난하이의 회인당에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탄전린은 천이, 예젠잉, 리셴녠, 쉬샹첸, 녜룽전 등과 함께 문화 대혁명의 진행 방식에 대한 불만을 표명했다. 이 자리에서 탄전린은 "당의 지도 없이, 대중 스스로가 자신을 해방하고, 자신을 교육하고, 스스로 혁명을 한다는 것은 형이상학이다", "당신들(장춘차오 등 문화 대혁명 추진파)의 목적은 고참 간부를 일소하려는 것이며, 이번은 당의 역사상 가장 잔혹한 투쟁이다"라고 주장하며, 마오쩌둥과 문화 대혁명 추진파를 비판했다. 회의 다음 날인 2월 17일에는 린뱌오에게 "장칭은 주석의 지시를 듣지 않고, 측천무후보다 흉악하며, 자신은 이전부터 이미 마지막 결심을 했고, 희생은 각오하고 있다"라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2월 18일에 마오쩌둥은 탄전린을 비판했고, 이후 이 회의의 사건은 "2월 역류"라는 이름으로 공산당에서도 비판이 가해졌다. 이후, 탄전린은 박해를 받았다. 1969년 4월의 중국 공산당 제9차 전국 대표 대회 종료까지, 탄전린은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에서 해임되었다.2. 6. 복권과 이후 활동
1973년 8월 24일, 중국 공산당 제10차 전국 대표 대회에서 탄전린은 중앙 위원에 선출되었다. 1975년 1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었고, 이후 재임되었다. 1982년, 중국 공산당 중앙 고문위원회 부주임에 당선되었다. 1983년 9월 30일에 베이징에서 사망했다.2. 7. 사망
谭震林|탄전린중국어은 1983년 9월 30일 베이징에서 사망했다.3. 가족
탄전린은 평생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는 장수셴이고, 두 번째 아내는 거후이민이다.
4.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an Zhenlin
http://english.peopl[...]
[2]
서적
The Land of Five Flavors
[3]
뉴스
1967年谭震林当面反驳毛泽东:不该跟你干革命
http://news.ifeng.co[...]
Ifeng
[4]
서적
Building for Oil: Daqing and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Socialist Stat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21
[5]
웹사이트
Tan Zhenlin
http://www.chinavita[...]
[6]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岩波書店
1988
[7]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岩波書店
1988
[8]
뉴스
专访谭震林女儿谭泾远:父亲是小个子,硬汉子(图)
http://www.chinanews[...]
中新網
2007-07-27
[9]
뉴스
谭震林之子谭晓光:父亲做了他应该做的事情
http://news.ifeng.co[...]
鳳凰網
2012-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