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2.1. 역대 국무원
- 2.1.1. 제1기 국무원 (1954년 9월 ~ 1959년 4월)
- 2.1.2. 제2기 국무원 (1959년 4월 ~ 1965년 1월)
- 2.1.3. 제3기 국무원 (1965년 1월 ~ 1975년 1월)
- 2.1.4. 제4기 국무원 (1975년 1월 ~ 1978년 3월)
- 2.1.5. 제5기 국무원 (1978년 3월 ~ 1983년 6월)
- 2.1.6. 제6기 국무원 (1983년 6월 ~ 1988년 4월)
- 2.1.7. 제7기 국무원 (1988년 4월 ~ 1993년 3월)
- 2.1.8. 제8기 국무원 (1993년 3월 ~ 1998년 3월)
- 2.1.9. 제9기 국무원 (1998년 3월 ~ 2003년 3월)
- 2.1.10. 제10기 국무원 (2003년 3월 ~ 2008년 3월)
- 2.1.11. 제11기 국무원 (2008년 3월 ~ 2013년 3월)
- 2.1. 역대 국무원
- 3. 구성
- 4. 회의
- 5. 산하 기관
- 6. 권력 관계
- 7. 비판 및 논란
- 참조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행정 기관으로, 1949년 중앙인민정부 정무원에서 시작되어 1954년 헌법 제정 이후 현재의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국무원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 부장 등으로 구성되며, 국무원 총리가 국무원 활동을 지도하고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한다. 국무원 상무회의는 국무원의 중요 문제를 논의·결정하며, 국무원 산하에는 26개의 부처와 여러 위원회, 직속 기구 등이 있다.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의 행정 기관이지만,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있으며, 2024년 국무원 조직법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도와 이념을 따라야 한다는 점이 명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중국지진국
중국지진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진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지진 관측, 예측, 피해 방지, 비상 구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국무원 직속 기구인 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는 중국 국유 기업의 자산 관리 및 감독을 담당하며, 국유 기업 개혁 주도, 국가 자본 투자 전략 변화, 자산 가치 보존 및 증대, 한국 경제 협력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로마자 표기 |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Guówùyuàn |
약칭 | 국무원 |
설립일 | 1954년 9월 27일 |
전신 | 중앙인민정부 정무원 (1949–1954)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위치 | 베이징시 중난하이 국무원 판공청 |
모토 | 인민을 위해 복무한다 |
웹사이트 | 중국 중앙인민정부 |
헌법적 동의어 | 중앙인민정부 |
정부 기관 | |
기관 유형 |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집행 기관, 국가 행정 최고 기관 |
주요 인물 | |
총리 | 리창 |
상무 부총리 | 딩쉐샹 |
부총리 | 허리펑, 장궈칭, 류궈중 |
국무위원 | 왕샤오훙, 우전룽, 선이친 |
산하 기관 | |
주요 기관 | 국무원 판공청 |
구성 부서 | 26개 구성 부서 (내각 수준) |
기타 정보 | |
이전 정부 | 중화민국 정부 (1948년 - 1949년) |
2. 역사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마오쩌둥 주석의 중앙인민정부위원회가 발족하면서, 국무원의 전신인 정무원이 중앙인민정부의 집행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저우언라이가 정무원 총리를 맡았다. 정무원은 현재의 국무원과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했지만, 최고 국가행정기관인 국무원과 달리 정무원은 중앙인민정부에 직속하는 국정 최고 집행기관이었다. 또한 정무원은 군사 관련 관리권이 없었고, 국방부도 설치되지 않았다.
1954년 9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이 제정됨에 따라, 9월 27일 정무원은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가 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초대 국무원 총리에는 저우언라이가 다시 취임했고, 군사 관리 기관으로서 국방부가 설치되었다.
2. 1. 역대 국무원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마오쩌둥 주석의 중앙인민정부위원회가 발족했다. 국무원의 전신인 정무원은 중앙인민정부의 집행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저우언라이가 정무원 총리에 취임했다. 정무원은 현재의 국무원과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했지만, 국무원이 최고 국가행정기관인 데 반해 정무원은 중앙인민정부에 직속하는 국정 최고 집행기관이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정무원은 군사 관련 관리권이 없었고, 국방부도 설치되지 않았다.1954년 9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에 따라 9월 27일 정무원은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가 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초대 국무원 총리에는 저우언라이가 다시 취임했고, 군사 관리 기관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가 설치되었다.
2. 1. 1. 제1기 국무원 (1954년 9월 ~ 1959년 4월)
1954년 9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이 제정됨에 따라, 9월 27일 정무원은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가 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 위치 지정되었다. 초대 국무원 총리에는 저우언라이가 다시 취임했고, 군사 관리 기관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가 설치되었다.2. 1. 2. 제2기 국무원 (1959년 4월 ~ 1965년 1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59년 4월부터 1965년 1월까지 존속한 제2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2. 1. 3. 제3기 국무원 (1965년 1월 ~ 1975년 1월)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이 건국된 이후, 1965년 1월부터 1975년 1월까지 존속했던 제3기 국무원은 저우언라이가 총리를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의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2. 1. 4. 제4기 국무원 (1975년 1월 ~ 1978년 3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中华人民共和国第四届国务院|중화인민공화국 제4기 국무원중국어 (1975년 1월 ~ 1978년 3월)에 대한 내용이 없다.2. 1. 5. 제5기 국무원 (1978년 3월 ~ 1983년 6월)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제5기 국무원(1978년 3월 ~ 1983년 6월)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이 없으므로,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성립 배경과 초기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마오쩌둥 주석의 중앙인민정부위원회가 발족되었고, 국무원의 전신인 정무원이 중앙인민정부의 집행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저우언라이가 정무원 총리에 취임했다. 정무원은 현재의 국무원과 기능이 유사했지만, 중앙인민정부에 직속된 국정 최고 집행기관이었으며 군사 관련 관리권은 없었다. 국방부도 설치되지 않았다.
1954년 9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에 따라 9월 27일 정무원은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가 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 자리 잡았고, 저우언라이가 초대 국무원 총리에 다시 취임했다. 군사 관리 기관으로 국방부가 설치되었다.
2. 1. 6. 제6기 국무원 (1983년 6월 ~ 1988년 4월)
주어진 자료에는 中华人民共和国第六届国务院|중화인민공화국 제6기 국무원중국어(1983년 6월 ~ 1988년 4월)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제공된 소스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초기 역사와 구조 변화에 대한 개요를 담고 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마오쩌둥 주석의 중앙인민정부위원회와 저우언라이 총리의 정무원이 설치되었고, 1954년 헌법 제정에 따라 정무원이 국무원으로 개편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이 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6기 국무원에 대한 내용은 찾을 수 없다.2. 1. 7. 제7기 국무원 (1988년 4월 ~ 1993년 3월)
주어진 자료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제7기(1988년 4월 ~ 1993년 3월)에 대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2. 1. 8. 제8기 국무원 (1993년 3월 ~ 1998년 3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8기 국무원 (1993년 3월 ~ 1998년 3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2. 1. 9. 제9기 국무원 (1998년 3월 ~ 2003년 3월)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 주석의 중앙인민정부위원회가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중앙정부로서 출범했다. 국무원의 전신인 정무원은 중앙인민정부의 집행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저우언라이가 정무원 총리에 취임했다. 정무원은 현재의 국무원과 기능은 거의 같았지만, 중앙인민정부에 직속하는 국정 최고 집행기관으로 위치 지정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국무원은 최고 국가행정기관) 또한 정무원은 군사 관련 관리권이 없었고, 국방부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1954년 9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에 따라, 9월 27일 정무원은 국무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가 되어 최고 국가행정기관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저우언라이가 초대 국무원 총리에 다시 취임했고, 국방부가 군사 관리 기관으로서 설치되었다.
2. 1. 10. 제10기 국무원 (2003년 3월 ~ 2008년 3월)
주어진 원본 소스는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중국어의 초기 역사와 1954년의 구조 개편에 대한 내용만 담고 있으므로, 제10기 국무원 (2003년 3월 ~ 2008년 3월)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다.2. 1. 11. 제11기 국무원 (2008년 3월 ~ 2013년 3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제11기(2008년 3월 ~ 2013년 3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3. 구성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중앙인민정부이며, 최고 국가 권력 기관(전국인민대표대회 및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행정 기관이자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다.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대해 행정상의 책임을 지며, 업무를 보고할 의무가 있다(대회 폐회 중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대해 책임을 지며, 업무 보고 의무가 있다).[3]
1982년 12월 10일, 제5기 전인대 제5차 회의에서 개정된 국무원 조직법에 따르면, 국무원은 국무원 총리(총리), 국무원 부총리(수명), 국무위원(수명), 각 부장(각 성 장관에 상당), 각 위원회 주임(청장관에 상당), 중국인민은행 행장, 심계서 심계장(회계검사장), 국무원 비서장(사무장관)으로 구성된다.
국무원은 26개의 구성 부처를 포함하며, 중국 전역의 성급 정부를 감독한다.[11] 각 부처는 하나의 부문을 감독하며, 위원회는 부처보다 상위이며 관련 행정 기관의 활동에 대한 정책을 설정하고 조정한다. 사무처는 지속적인 관심사항을 다루며, 구성 부처의 설립, 해산 또는 통합은 총리가 제안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NPC) 또는 상무위원회가 결정한다.[8] 국(局)과 청(廳)은 부처보다 하위에 있다. 부처 외에도 국무원에 직접 보고하는 38개의 중앙 직할 정부 기구가 있다.
국무원은 상무회의와 전체회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회의 모두 국무원총리가 주관한다. 국무원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의 임기는 각각 5년이며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각 부총리는 총리를 지원하여 특정 행정 분야를 감독하며,[9] 비서장은 국무원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국무원판공청을 이끈다.[8]
국무원은 국방부를 통제하지만, 인민해방군은 중앙군사위원회(CMC)가 통제한다.[12]
3. 1. 국무원 총리
국무원총리는 국무원의 수장으로, 국무원 활동을 지도하고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한다.[6]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에서 선출되는 것이 관례이다.[7]총리는 국가주석이 제청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승인을 거쳐 국가주석이 임명한다. 임기는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임기와 같은 5년이며, 연속 3선은 할 수 없다.
2024년 5월 1일 현재 국무원총리는 리창이다.
3. 2. 국무원 부총리
국무원총리를 보좌하며, 주요 업무의 책임자가 된다. 리펑 내각(제7기)부터 상무부총리(제1부총리)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에서, 기타 부총리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중에서 선출된다.[9] 총리의 해외 순방 등의 기간에는 상무 업무 담당 부총리가 총리의 직무를 대행한다.2024년 5월 1일 현재 국무원 부총리는 딩쉐샹, 허리펑, 장궈칭, 류궈중 4명이다. 이 중 최선임 부총리가 상무 부총리이며, 딩쉐샹이 이 직책을 맡고 있다.[8]
직책 | 성명 | 당직 | 담당 | 겸임 |
---|---|---|---|---|
국무원 부총리 | 딩쉐샹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서열 6위) | 발전개혁(경제개발)·재정·교육·과학기술·홍콩마카오사무·생태환경 등 | |
국무원 부총리 | 허리펑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재경위원회 弁公室 주임 | 거시경제·화폐·금융·미중 무역협상 등 | 중앙금융위원회 弁公室 주임, 중앙금융공작위원회 서기 |
국무원 부총리 | 장궈칭 | 중앙정치국 위원 | 산업 및 정보화·교통·방재·세관·국영기업 등 | |
국무원 부총리 | 류궈중 | 중앙정치국 위원 | 농업·위생(복지)·건강보험·식품안전·기상 등 |
3. 3. 국무위원
문화대혁명 이후, 복귀한 고참 간부들에게 명예직으로 부총리직을 남발했거나, 실각 전 지위로 일시에 복귀시켰기 때문에, 결국 부총리가 20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1982년 5월 4일 제5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23차 회의에서 국무위원이 증설되었다.[6] 부총리와 마찬가지로, 중요 업무의 책임자가 된다. 대우는 부총리와 동급이지만, 서열은 부총리보다 낮다.2024년 5월 기준, 국무위원은 외교부, 국방부, 공안부장이 겸임하고 있다.
현직 국무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성명 | 당직 | 담당 | 겸임 |
---|---|---|---|---|
국무위원 | 리상푸 (2023년 10월 24일 면직)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국방건설·국방동원·군사행정·군사외교 등(군사지휘권 없음) | 국방부장(국방장관에 해당)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전략지원부대 상장 |
국무위원 | 왕샤오홍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요인경호·공안(경찰·치안)·사법(교도소 등)·국가안전(정보공작 등) 등 | 공안부장(경찰청장에 해당) |
국무위원 | 우정룽 | 국무원 일상업무 등, 총리의 해외순방에 수행 | 국무원 비서장(내각관방장관에 해당) | |
국무위원 | 천이친 | 문화 및 관광·내정(총무)·퇴역군인사무·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노동)·체육 등 | 특명담당장관에 해당 중화전국부녀연합회 주석 | |
국무위원 | 친강 (2023년 10월 24일 면직) | 외교 등 | 외교부장(외무장관에 해당) |
3. 4. 비서장
국무원 비서장은 국무원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고 국무원 판공청(사무국)의 업무를 책임진다. 보통 부총리나 국무위원이 겸임하며, 여러 명의 부비서장이 비서장을 보좌한다.[8]3. 5. 현 제14기 국무원 상무회의 구성원 (2023년 3월 ~ 2028년 3월)
# | 직책 | 사진 | 이름 | 당적 | 당내 직책 | |
---|---|---|---|---|---|---|
1 | 총리 | ![]() | 리창() | style="background:#FF3333;"| | 중국 공산당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서기 |
2 | 부총리 (1순위) | ![]() | 딩쉐샹() | style="background:#FF3333;"| | 중국 공산당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부서기 |
3 | 부총리 | ![]() | 허리펑()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 공산당 | 중앙정치국 위원 |
4 | 부총리 | ![]() | 장궈칭()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 공산당 | 중앙정치국 위원 |
5 | 부총리 | ![]() | 류궈중() | style="background:#FF3333;"| | 중국 공산당 | 중앙정치국 위원 |
6 | 국무위원 공안부장 | ![]() | 왕샤오훙()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 공산당 |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정법위원회 부서기 |
7 | 국무위원 국무원 비서장 | 우정룽()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 공산당 | 국무원 기관 당조 서기 | |
8 | 국무위원 | ![]() | 선이친()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 공산당 |
4. 회의
국무원 전체회의는 6개월에 한 번 열리며, 국무원 구성원 전원으로 구성된다.[14] 국무원 총리가 주재하고,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처 및 위원회 장관, 인민은행 총재, 감찰원장, 그리고 사무총장이 참석한다. 국무원 전체회의는 국무원 전체 활동의 중요 문제에 대해 논의·결정하며, 국무원 각 부서의 중요 문제에 대한 논의와 결정을 한다.[15] 필요에 따라 비회원을 초청하여 참석할 수 있다.[15]
회의 사이에는 한 달에 2~3회 국무원 상무회의가 열려 업무를 지휘하며, 총리는 필요에 따라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14]
4. 1. 국무원 상무회의
국무원총리가 주관하는 국무원 상무회의는 국무원 활동의 중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하는 회의이다. 국무원 부총리, 국무위원 및 비서장으로 구성되며, 주 1회 개최된다.[14] 주요 업무는 국무원 사무 중 중요한 사항의 토의 결정, 법률 초안 검토, 행정 법규 초안 심의 등이다.[8] 그밖에 다른 중요 사항을 검토하고 결정하며, 상무회의의 조직 업무는 국무원 사무청이 맡는다.현재까지 총 14대 상무회의 임원들이 임명되었으며, 현 제14대 국무원 상무회의 임원(2023년 3월 - 2028년 3월) 명단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이름 | 임원 | 정당 | 당직 | |
---|---|---|---|---|---|
1 | 리창 | 국무원총리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서기 |
2 | 딩쉐샹 | 국무원 부총리 (수석)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부서기 |
3 | 허리펑 | 국무원 부총리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비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4 | 장궈칭 | 국무원 부총리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비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5 | 류궈중 | 국무원 부총리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비상무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6 | 왕샤오훙 |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장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7 | 우정룽 | 국무위원 및 비서장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8 | 선이친 | 국무위원 | style="background:#FF3333;" |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 국무원 당조 임원 |
역대 국무원 상무회의 주요 임원들은 다음과 같다.
- '''1959년 4월 - 1965년 1월'''
- 총리: 저우언라이(周恩来)
- 부총리: 천윈(陳雲), 임표(林彪), 펑더화이(彭德懷), 덩샤오핑(鄧小平), 덩쯔후이(鄧子恢), 허롱(賀龍), 천이(陳毅), 우란후(烏蘭夫), 리푸춘(李富春), 리시엔녠(李先念), 예룽전(聶榮臻), 보이보(薄一波), 탄전린(譚震林), 루딩이(陸定一), 로루이칭(羅瑞卿), 시중쉰(習仲勛)
- 비서장: 시중쉰(習仲勛)(겸임)
- '''1993년 3월 - 1998년 3월'''
- 총리: 리펑(李鵬)
- 부총리: 주룽지(朱鎔基), 추자화(雛家華), 첸치천(銭其琛), 리란칭(李嵐清), 오방국(呉邦国), 강춘운(姜春雲)
- 국무위원: 리티에잉(李鉄映), 치하오톈(遅浩田), 쑹젠(宋健), 리구이셴(李貴鮮), 천쥔성(陳俊生), 쓰마이아이마이티(司馬義・艾買提)(위구르족), 펑페이윈(彭珮雲)(여), 뤄간(羅幹)
- 비서장: 뤄간(羅幹)(겸임)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총리: 주룽지(朱鎔基)
- 부총리: 리란칭(李嵐清), 첸치천(錢其琛), 오방국(吳邦國), 원자바오(溫家寶)
- 국무위원: 츠하오톈(遲浩田), 뤄간(羅幹), 우이(吳儀)(여), 쓰마이아이마이티(司馬義・艾買提)(위구르족), 왕중위(王忠禹)
- 비서장: 왕중위(王忠禹)(겸임)
- '''2003년 3월 - 2008년 3월'''
- 총리: 원자바오(温家宝)
- 부총리: 황쥐(黄菊)(상무부총리, 2007년 6월 2일 사망), 우이(呉儀)(무역, 위생 담당), 쩡페이옌(曽培炎)(경제 담당), 후이량위(回良玉)(농업 담당)
- 국무위원: 저우융캉(周永康)(정법 담당), 차오강촨(曹剛川)(국방 담당), 탕자쉬안(唐家璇)(외교 담당), 화젠민(華建敏), 천즈리(陳至立)(교육 담당)
- 비서장: 화젠민(겸임)
4. 2. 국무원 전체회의
국무원 총리가 주재하고,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처 및 위원회 장관, 인민은행 총재, 감찰원장, 그리고 사무총장이 참석한다. 국무원 전체회의는 반년에 1회 개최되어 국무원 전체 활동의 중요 문제에 대해 논의·결정하며, 국무원 각 부서의 중요 문제에 대한 논의와 결정을 한다.[15] 필요에 따라 비회원을 초청하여 참석할 수 있다.[15]5. 산하 기관
국무원은 26개의 구성 부처를 포함하며, 각 부처는 해당 분야를 감독한다. 위원회는 부처보다 상위 기관으로, 관련 행정 기관의 활동에 대한 정책을 설정하고 조정한다.
순위 | 상징 | 기관명 | 기관장 | 정당 |
---|---|---|---|---|
1 | 외교부 | 왕이 | 중국공산당 | |
2 | -- | 국방부 | 웨이펑허 | 중국공산당 |
3 | --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허리펑 | 중국공산당 |
4 | -- | 교육부 | 천바오성 | 중국공산당 |
5 | -- | 과학기술부 | 왕즈강 | 중국공산당 |
6 | 공업정보화부 | 먀오웨이 | 중국공산당 | |
7 | --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 바터얼 | 중국공산당 |
8 | 공안부 | 자오커즈 | 중국공산당 | |
9 | 국가안전부 | 천원칭 | 중국공산당 | |
10 | -- | 민정부 | 황수셴 | 중국공산당 |
11 | 사법부 | 푸정화 | 중국공산당 | |
12 | -- | 재정부 | 류쿤 | 중국공산당 |
13 | -- | 인력자원사회보장부 | 장지난 | 중국공산당 |
14 | -- | 자연자원부 | 루하오 | 중국공산당 |
15 | -- | 생태환경부 | 리간제 | 중국공산당 |
16 | -- | 주택도시농촌건설부 | 왕멍후이 | 중국공산당 |
17 | 교통운수부 | 리샤오펑 | 중국공산당 | |
18 | -- | 수리부 | 어징핑 | 중국공산당 |
19 | -- | 농업농촌부 | 한창푸 | 중국공산당 |
20 | 상무부 | 중산 | 중국공산당 | |
21 | -- | 문화관광부 | 뤄수강 | 중국공산당 |
22 | -- | 국가위생보건위원회 | 마샤오웨이 | 중국공산당 |
23 | -- | 퇴역군인사무부 | 쑨사오청 | 중국공산당 |
24 | -- | 응급관리부 | 왕위푸 | 중국공산당 |
25 | 중국인민은행 | 이강 | 중국공산당 | |
26 | -- | 심계서 | 후쩌쥔 | 중국공산당 |
이 외에도 국무원 직속기구, 판사기구, 국무원 각 부·위원회 관리 국가국 등이 있다. 국(局)과 청(廳)은 부처보다 하위에 있으며, 국무원에 직접 보고하는 38개의 중앙 직할 정부 기구가 있지만, 이들 기구의 수장들은 불규칙적으로 국무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한다.
5. 1. 국무원 직속 기구
순위 | 상징 | 기관명 | 기관장 | 정당 |
---|---|---|---|---|
1 | 외교부 | 왕이 | 중국공산당 | |
2 | 국방부 | 웨이펑허 | 중국공산당 | |
3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허리펑 | 중국공산당 | |
4 | 교육부 | 천바오성 | 중국공산당 | |
5 | 과학기술부 | 왕즈강 | 중국공산당 | |
6 | 공업정보화부 | 먀오웨이 | 중국공산당 | |
7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 바터얼 | 중국공산당 | |
8 | 공안부 | 자오커즈 | 중국공산당 | |
9 | 국가안전부 | 천원칭 | 중국공산당 | |
10 | 민정부 | 황수셴 | 중국공산당 | |
11 | 사법부 | 푸정화 | 중국공산당 | |
12 | 재정부 | 류쿤 | 중국공산당 | |
13 | 인력자원사회보장부 | 장지난 | 중국공산당 | |
14 | 자연자원부 | 루하오 | 중국공산당 | |
15 | 생태환경부 | 리간제 | 중국공산당 | |
16 | 주택도시농촌건설부 | 왕멍후이 | 중국공산당 | |
17 | 교통운수부 | 리샤오펑 | 중국공산당 | |
18 | 수리부 | 어징핑 | 중국공산당 | |
19 | 농업농촌부 | 한창푸 | 중국공산당 | |
20 | 상무부 | 중산 | 중국공산당 | |
21 | 문화관광부 | 뤄수강 | 중국공산당 | |
22 | 국가위생보건위원회 | 마샤오웨이 | 중국공산당 | |
23 | 퇴역군인사무부 | 쑨사오청 | 중국공산당 | |
24 | 응급관리부 | 왕위푸 | 중국공산당 | |
25 | 중국인민은행 | 이강 | 중국공산당 | |
26 | 심계서 | 후쩌쥔 | 중국공산당 |
5. 2. 국무원 각 부·위원회 관리 국가국
다음은 기관장이 각료급 이상인 기관들이다.순위 | 상징 | 기관명 | 기관장 | 정당 |
---|---|---|---|---|
1 | 외교부 | 왕이 | 중국공산당 | |
2 | 국방부 | 웨이펑허 | 중국공산당 | |
3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허리펑 | 중국공산당 | |
4 | 교육부 | 천바오성 | 중국공산당 | |
5 | 과학기술부 | 왕즈강 | 중국공산당 | |
6 | 공업정보화부 | 먀오웨이 | 중국공산당 | |
7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 바터얼 | 중국공산당 | |
8 | 공안부 | 자오커즈 | 중국공산당 | |
9 | 국가안전부 | 천원칭 | 중국공산당 | |
10 | 민정부 | 황수셴 | 중국공산당 | |
11 | 사법부 | 푸정화 | 중국공산당 | |
12 | 재정부 | 류쿤 | 중국공산당 | |
13 | 인력자원사회보장부 | 장지난 | 중국공산당 | |
14 | 자연자원부 | 루하오 | 중국공산당 | |
15 | 생태환경부 | 리간제 | 중국공산당 | |
16 | 주택도시농촌건설부 | 왕멍후이 | 중국공산당 | |
17 | 교통운수부 | 리샤오펑 | 중국공산당 | |
18 | 수리부 | 어징핑 | 중국공산당 | |
19 | 농업농촌부 | 한창푸 | 중국공산당 | |
20 | 상무부 | 중산 | 중국공산당 | |
21 | 문화관광부 | 뤄수강 | 중국공산당 | |
22 | 국가위생보건위원회 | 마샤오웨이 | 중국공산당 | |
23 | 퇴역군인사무부 | 쑨사오청 | 중국공산당 | |
24 | 응급관리부 | 왕위푸 | 중국공산당 | |
25 | 중국인민은행 | 이강 | 중국공산당 | |
26 | 심계서 | 후쩌쥔 | 중국공산당 |
5. 3. 국무원 의사협조기구와 임시기구
직책 | 이름 | 한자 | 비고 |
---|---|---|---|
총리 | 저우언라이 | 周恩来 | |
부총리 | 천윈 | 陳雲 | |
부총리 | 린뱌오 | 林彪 | |
부총리 | 펑더화이 | 彭德懷 | |
부총리 | 덩샤오핑 | 鄧小平 | |
부총리 | 덩쯔후이 | 鄧子恢 | |
부총리 | 허룽 | 賀龍 | |
부총리 | 천이 | 陳毅 | |
부총리 | 우란후 | 烏蘭夫 | |
부총리 | 리푸춘 | 李富春 | |
부총리 | 리셴녠 | 李先念 | |
부총리 | 예룽전 | 聶榮臻 | |
부총리 | 보이보 | 薄一波 | |
부총리 | 탄전린 | 譚震林 | |
부총리 | 루딩이 | 陸定一 | |
부총리 | 뤄루이칭 | 羅瑞卿 | |
부총리 겸 비서장 | 시중쉰 | 習仲勛 | 겸임 |
6. 권력 관계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헌법 제57조에 따라 법률상 최고 권력 기관이다.[3]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 공산당과 지도-피지도의 관계에 있으며, 공산당은 인사권을 통해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제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와 국무원은 감독-피감독 관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능력 면에서 국무원이 우위에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의 행정 기관이자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다.[3] 국무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대해 행정상의 책임을 지며, 업무를 보고할 의무가 있다(대회 폐회 중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대해 책임을 지며, 업무 보고 의무가 있다).
2024년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2차 회의에서 국무원 조직법이 개정되어 중공 중앙위원회의 국무원에 대한 지도가 명문화되었다.[4][5] 개정된 법률은 또한 국무원이 중공의 이념과 정책을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4]
7.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The Tiananmen Papers - The Chinese Leadership's Decision To Use Force Against Their Own People - in Their Own Words
https://www.scribd.c[...]
PublicAffairs
2024-05-11
[2]
간행물
Article 85 of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en.npc.gov.cn[...]
2022-08-08
[4]
웹사이트
Xi's dominance in Chinese politics to grow with change to State Council: expert
https://www.scmp.com[...]
2024-03-06
[5]
뉴스
China passes law granting Communist Party more control over cabinet
https://www.reuters.[...]
2024-03-11
[6]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7]
뉴스
China's backroom power brokers block reform candidates
https://www.scmp.com[...]
2021-09-26
[8]
웹사이트
NPC 2024: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Revised State Council Organic Law
https://npcobserver.[...]
2024-04-15
[9]
뉴스
Meet the 4 men tapped to run China's economy
https://edition.cnn.[...]
2023-06-19
[10]
웹사이트
What are the Policy Assignments of China's New State Council Leadership?
https://asiasociety.[...]
2023-06-19
[11]
웹사이트
China's new State Council: What analysts might have missed
https://www.brooking[...]
2023-03-07
[12]
논문
Media Relations in China's Military: The Case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Office
https://www.jstor.or[...]
2009
[13]
서적
China's Other Army: The People's Armed Police in an Era of Reform
https://inss.ndu.edu[...]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ic Studies
2019-04-16
[14]
뉴스
New work rules for China's State Council put the party firmly in charge
https://www.scmp.com[...]
2023-03-28
[15]
웹사이트
State Council Meetings
http://english.www.g[...]
[16]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