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풍 봉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봉선화는 2002년 12월 괌에 큰 피해를 입힌 강력한 태풍이다. 11월 하순 폰페이섬 부근에서 발생하여 열대 폭풍, 태풍으로 발달하며 괌에 접근, 12월 8일 괌에 상륙하여 최대풍속 175km/h, JTWC 기준 240km/h를 기록했다.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2005년 태풍 위원회에서 제명되어 '노을'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풍 봉선화
기본 정보
2002년 12월 8일, 최대 강도에 가까운 태풍 봉선화
2002년 12월 8일 최대 강도에 가까운 태풍 봉선화
태풍 이름200226 봉선화 (PONGSONA)
종류열대 태풍
해역북서태평양
발생일2002년 12월 2일
소멸일2002년 12월 12일
세력
최대 풍속 (JMA, 10분 평균)90kt (175km/h)
최저 기압 (JMA)940hPa
최대 풍속 (KMA, 10분 평균)46m/s
최대 풍속 (JTWC, 1분 평균)130kt (285km/h)
최저 기압 (JTWC)910hPa
최대 크기 (직경, KMA)1040km
최대 강풍 반경 (KMA)650km
피해
사망자1명 (간접)
재산 피해7억 3천만 달러 (년 기준 }} 달러)
영향 지역, 북마리아나 제도
관련 정보
태풍 시즌2002년 태평양 태풍 시즌
디지털 태풍200226 (PONGSONA)

2. 발생과 진로

2002년 11월 하순 경 폰페이섬 동남동쪽 약 625 km 부근 해상에서 저기압 지대에 위치한 상승기류가 발생했다.[2] 이 상승기류는 12월 1일에 순환기류로 발달했으나 초기에는 매우 약한 상태를 유지했다.[2]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발달하기 시작해 12월 2일, 일본 기상청(JMA)은 폰페이섬 동북동쪽 약 735 km 해상에 있을 때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시켰다.[3] 곧이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령을 내렸고 이날 열대저기압에 '열대저기압 31W'의 이름을 붙였다.[2]

열대 저기압은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발달했다. 12월 3일에는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고 JMA는 이 폭풍에 '봉선화(PONGSONA)'로 명명한 후에 남쪽에 위치한 고기압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서쪽으로 진로를 바꾸었고 강력해지기 시작했다.[2][3]

2002년 12월 3일, 일본 기상청(JMA)은 봉선화를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하고, '봉선화(PONGSONA)'로 명명했다.[3] 봉선화는 남쪽에 위치한 고기압대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이 강해졌다. 12월 4일에는 북쪽에 있는 기압 능선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2] 12월 5일눈의 특징이 발달하면서 JMA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봉선화를 남동쪽 약 1150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2][3]

태풍 봉선화는 12월 7일에 괌에 접근하면서 태풍의 눈이 지름 약 55 km로 발달하며 급격히 발달했다.[2] 12월 8일, 괌에 상륙한 봉선화는 JMA 기준 10분 최대풍속 175 km/h, JTWC 기준 1분 최대풍속 240 km/h를 기록하며 최성기를 맞았고,[2][3] JTWC는 봉선화를 슈퍼태풍으로 분류했다.[2] 이후 북마리아나 제도 서쪽의 아열대성 고기압대가 약화되면서 북북서쪽으로 이동했다.[2][3]

태풍 봉선화의 이동 경로


2002년 12월 9일, 태풍 봉선화는 북쪽의 중위도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대류가 약해지기 시작했다.[2] 건조한 공기가 순환의 남서쪽 부분으로 유입되었고, 순환은 감소하는 대류로부터 노출되었다.[2] 12월 11일, 웨이크섬 북서쪽 약 1,400 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JMA)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봉선화가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했다.[2][3]

12월 10일 약화되는 태풍 봉선화

2. 1. 발생 초기

2002년 11월 하순 경 폰페이섬 동남동쪽 약 625 km 부근 해상에서 저기압 지대에 위치한 상승기류가 발생했다.[2] 이 상승기류는 12월 1일에 순환기류로 발달했으나 초기에는 매우 약한 상태를 유지했다.[2]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발달하기 시작해 12월 2일, 일본 기상청(JMA)은 폰페이섬 동북동쪽 약 735 km 해상에 있을 때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시켰다.[3] 곧이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령을 내렸고 이날 열대저기압에 '열대저기압 31W'의 이름을 붙였다.[2]

열대 저기압은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발달했다. 12월 3일에는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고 JMA는 이 폭풍에 '봉선화(PONGSONA)'로 명명한 후에 남쪽에 위치한 고기압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서쪽으로 진로를 바꾸었고 강력해지기 시작했다.[2][3]

2. 2. 세력 강화

2002년 12월 3일, 일본 기상청(JMA)은 봉선화를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하고, '봉선화(PONGSONA)'로 명명했다.[3] 봉선화는 남쪽에 위치한 고기압대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이 강해졌다. 12월 4일에는 북쪽에 있는 기압 능선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2] 12월 5일눈의 특징이 발달하면서 JMA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봉선화를 남동쪽 약 1150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2][3]

2. 3. 최성기 및 경로 변경

태풍 봉선화는 12월 7일에 괌에 접근하면서 태풍의 눈이 지름 약 55 km로 발달하며 급격히 발달했다.[2] 12월 8일, 괌에 상륙한 봉선화는 JMA 기준 10분 최대풍속 175 km/h, JTWC 기준 1분 최대풍속 240 km/h를 기록하며 최성기를 맞았고,[2][3] JTWC는 봉선화를 슈퍼태풍으로 분류했다.[2] 이후 북마리아나 제도 서쪽의 아열대성 고기압대가 약화되면서 북북서쪽으로 이동했다.[2][3]

2. 4. 약화 및 소멸

2002년 12월 9일, 태풍 봉선화는 북쪽의 중위도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대류가 약해지기 시작했다.[2] 건조한 공기가 순환의 남서쪽 부분으로 유입되었고, 순환은 감소하는 대류로부터 노출되었다.[2] 12월 11일, 웨이크섬 북서쪽 약 1,400 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JMA)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봉선화가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했다.[2][3]

3. 피해

3. 1. 미크로네시아 연방

태풍 봉선화는 초기에 폰페이섬에 열대 폭풍의 단계로 영향을 끼쳐 폭우와 돌풍을 동반했으나 피해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4] 이후 추크에 강풍이 불고 높은 파도가 해안가를 덮쳐 여러 환초를 덮쳤다.[4]

3. 2. 괌

태풍 봉선화는 태풍의 눈의 지름이 약 65km인 매우 강한 상태로 괌섬 북부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4] 최대풍속은 232km/h, 돌풍은 278km/h가 관측되었으며, 최저기압은 935hPa로 괌에 영향을 준 태풍 중 세 번째로 강력했다.[4] 이는 1900년의 태풍(926hPa)과 1962년의 태풍 카렌(932hPa) 다음 가는 기록이다.[4]

강풍으로 섬 전체의 통신이 두절되고 정전 및 전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4][9] 715개의 전신주와 513개의 변압기가 파손되어 약 5,200만 달러(2002년 USD)의 피해가 발생했다.[7] 괌 메모리얼 병원의 벽이 붕괴되고 시설의 3분의 2가 파괴되었으며, 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의 내비게이션 장치가 손상되는 등 주요 시설물도 피해를 입었다.[7] 태풍으로 1,300채의 가옥이 파괴되고, 1,825채가 심각하게 손상되었으며, 4,800채가 경미한 손상을 입었다.[10] 섬의 우물 65%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고, 대부분 지역에서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7][9]

괌 대학교에서 650mm의 폭우가 내려 파고 강과 아산 강이 범람, 도로와 다리가 파손되었다.[4] 해안가에서는 최대 6m의 폭풍 해일이 발생하여 심각한 해안 침식과 해안 피해를 야기했다.[7]

괌 전체 피해액은 7억 달러(2002년 USD) 이상으로 집계되었으며, 193명이 부상당하고 1명이 간접적으로 사망했다.[4]

태풍 봉선화가 지나간 괌의 모습


태풍으로 인한 괌의 피해

3. 3. 북마리아나 제도

태풍 봉선화가 지나간 로타섬의 모습


태풍 봉선화는 북마리아나 제도의 로타섬에 137 km/h의 돌풍을 불게하여 114채의 집을 파괴시키고 460채의 집에 피해를 입혔다.[7] 이로 인해 약 200가구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상송에 6.7 m의 파도가 덮쳐 심각한 해안 침식을 일으켰고, 석유 항만과 파이프를 파괴했다.[7] 봉선화는 섬의 작물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7] 10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3천만 달러(2002년 기준)의 재산 피해를 냈다.[7]

티니언섬에서는 2채의 집이 완파, 7채가 심각한 피해, 8채가 약한 피해를 입었다.[7] 강풍으로 전선이 끊겨 섬 전체에 정전이 발생했고, 작물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7]

사이판섬에서는 2채의 집이 파괴, 15채가 피해를 입었고, 이 중 7채는 심각했다. 최대 풍속은 71 km/h였고, 섬에 정전을 일으켰다. 6명이 작은 부상을 입었고, 총 피해액은 10만 달러(2002년 기준)였다.[7]

3. 3. 1. 로타섬



태풍 봉선화는 북마리아나 제도 3개의 유인도 중 하나인 로타섬에 137 km/h의 돌풍을 불게 하였고, 이 강풍은 114채의 집을 파괴시켰을 뿐만 아니라 460채의 집에 피해를 입혔다.[7] 이로 인해 약 200가구의 이재민이 생겼으며 상송에 6.7 m에 달하는 파도가 덮쳐 심각한 해안가 침식을 야기시켰고 석유 항만과 파이프를 파괴시켰다.[7] 또한 봉선화는 섬의 작물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7] 이 섬에서는 10명의 부상자가 생겼고 3천만 달러(2002년 기준)의 재산 피해를 냈다.[7]

3. 3. 2. 티니언섬

티니언섬에서는 2채의 주택이 완파되었고, 7채는 심각한 피해를, 8채는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7] 강풍으로 인해 전선이 끊겨 섬 전체에 두 번의 정전이 발생했다.[7] 농작물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7]

3. 3. 3. 사이판섬

사이판섬에서는 2채의 주택이 파괴되었고 15채의 주택이 피해를 입었으며, 그 중 7채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 섬에서의 최대풍속은 71 km/h를 기록했고 이 강풍은 섬에 산발적인 정전을 일으켰다. 6명이 작은 부상을 입었고 총 피해액은 10만 달러(2002년 기준)로 집계되었다.[7]

4. 복구 및 지원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태풍 봉선화가 을 강타한 당일 괌을 주요 재난 지역으로 선포했고,[11] 며칠 뒤에는 북마리아나 제도까지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여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통해 긴급 구호 자금을 지원했다.[13]

미국 적십자사미국 농무부와 협력하여 이재민들에게 식량과 식수, 임시 거처 등을 제공했다.[12] 미국 농무부는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 지원을 제공했다. 미국 중소기업청은 피해를 입은 기업과 주민들에게 저금리 융자를 제공했는데, 태풍 발생 3개월 후 괌에 1억 3,000만 달러(2003년 USD),[1] 로타에 910만 달러(2003년 USD)의 저금리 대출을 승인했다.[14]

카브라스 섬에서는 태풍으로 인해 가솔린 탱크에 화재가 발생하여 5일 만에 진화되었고, 이로 인해 5개의 가솔린 탱크가 전소되었다.[7]

미 해군 괌 해군 병원 리사 브라운 중위가 태풍 봉선화로 인해 집을 잃은 찰란 파고-오르도트 아이에게 크리스마스 휴일 행사를 열어 장난감을 주고 있다.


카브라스 섬의 휘발유 탱크 화재


태풍 봉선화가 을 강타한 날,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은 괌을 주요 재난 지역으로 선포했다.[11] 섬의 주민 2,271명이 대피소에 피신해 있었고, 다음 날에는 3,467명으로 증가하였다.[7] 미국 적십자사미국 농무부와 협력하여 2주 동안 대피소 사람들에게 식사를 제공했다.[12] 연방 및 기타 기관의 협력을 통해, 태풍 발생 100일 만에 괌의 재난 지원금은 3억 달러(2003년 기준)를 넘었으며, 초기 재난 대응에 6,000만 달러가 사용되었다. 약 2만 9천명이 지원을 신청했으며, 미국 신용보증기금은 1억 3천만 달러(2003년 기준)의 저금리 대출을 승인했다.[1]

카브라스 섬에서는 강풍의 마찰로 인해 가솔린 탱크에 불이 붙어 폭발했고, 주변 탱크로 번져 5일 후에 진압되었다. 이 화재로 5개의 가솔린 탱크가 전소되었다.[7]

2002년 12월 11일, 부시 대통령은 북마리아나 제도까지 재난 지역을 확대 선포하고 지원했다.[13] 로타섬에서는 건물 잔해 제거에 구호단체 예산의 75%가 사용되었고, 미국 신용보증기금은 147명에게 910만 달러(2003년 기준)를 저금리로 대출했다. 로타 섬에 지원한 총액은 1740만 달러(2003년 기준)이었다.[14] 또한, 부시 대통령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대한 재난 지원을 승인했다.[15]

4. 1. 미국 정부의 지원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태풍 봉선화가 을 강타한 당일 괌을 주요 재난 지역으로 선포했고,[11] 며칠 뒤에는 북마리아나 제도까지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여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통해 긴급 구호 자금을 지원했다.[13]

미국 적십자사미국 농무부와 협력하여 이재민들에게 식량과 식수, 임시 거처 등을 제공했다.[12] 미국 농무부는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 지원을 제공했다. 미국 중소기업청은 피해를 입은 기업과 주민들에게 저금리 융자를 제공했는데, 태풍 발생 3개월 후 괌에 1억 3,000만 달러(2003년 USD),[1] 로타에 910만 달러(2003년 USD)의 저금리 대출을 승인했다.[14]

카브라스 섬에서는 태풍으로 인해 가솔린 탱크에 화재가 발생하여 5일 만에 진화되었고, 이로 인해 5개의 가솔린 탱크가 전소되었다.[7]

4. 2. 국제사회의 지원

태풍 봉선화가 을 강타한 날,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은 괌을 주요 재난 지역으로 선포했다.[11] 섬의 주민 2,271명이 대피소에 피신해 있었고, 다음 날에는 3,467명으로 증가하였다.[7] 미국 적십자사미국 농무부와 협력하여 2주 동안 대피소 사람들에게 식사를 제공했다.[12] 연방 및 기타 기관의 협력을 통해, 태풍 발생 100일 만에 괌의 재난 지원금은 3억 달러(2003년 기준)를 넘었으며, 초기 재난 대응에 6,000만 달러가 사용되었다. 약 2만 9천명이 지원을 신청했으며, 미국 신용보증기금은 1억 3천만 달러(2003년 기준)의 저금리 대출을 승인했다.[1]

카브라스 섬에서는 강풍의 마찰로 인해 가솔린 탱크에 불이 붙어 폭발했고, 주변 탱크로 번져 5일 후에 진압되었다. 이 화재로 5개의 가솔린 탱크가 전소되었다.[7]

2002년 12월 11일, 부시 대통령은 북마리아나 제도까지 재난 지역을 확대 선포하고 지원했다.[13] 로타섬에서는 건물 잔해 제거에 구호단체 예산의 75%가 사용되었고, 미국 신용보증기금은 147명에게 910만 달러(2003년 기준)를 저금리로 대출했다. 로타 섬에 지원한 총액은 1740만 달러(2003년 기준)이었다.[14] 또한, 부시 대통령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대한 재난 지원을 승인했다.[15]

5. 제명

태풍 봉선화가 끼친 심각한 피해로 인해 2005년 11월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했던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와 WMO 태풍 위원회는 제38차 연례회의에서 이름 '봉선화(PONGSONA)'를 퇴출시키기로 결정했고 대체 이름으로는 '노을(NOUL)'이 선택되었다.[16]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uper Typhoon Pongsona: The First 100 Days Over $300 Million In Disaster Relief And Assistance http://www.fema.gov/[...] 2013-01-02
[2]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Summary for December 2002 http://australiaseve[...] 2006-07-19
[3] 웹사이트 2002 Western Pacific Tropical Summary https://web.archive.[...] 2013-01-02
[4] 웹사이트 Super Typhoon Pongsona Service Assessment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2006-10-07
[5] 뉴스 Residents told: Prepare for typhoon https://web.archive.[...] 2006-10-07
[6] 웹사이트 Brace for impact:Pongsona to hit Guam and Rota this afternoon https://web.archive.[...] KUAM 2006-10-07
[7] 간행물 Pacific https://web.archiv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0-27
[8] 웹사이트 When the Media is a Disaster Victim: How one small Paper kept the world informed http://www.fema.gov/[...] 2013-01-02
[9] 웹사이트 Update on Recovery Efforts in Guam and Rota following Super Typhoon Pongsona https://web.archive.[...] 2007-06-29
[10] 웹사이트 Hope Prevails Amid Complex Recovery in Guam http://www.redcross.[...] RedCross.org 2007-07-23
[11] 웹사이트 President Declares Major Disaster For Guam Typhoon http://www.fema.gov/[...] 2002-12-08
[12] 웹사이트 Coordinating Massive Federal Aid For Guam http://www.fema.gov/[...] 2013-01-02
[13] 웹사이트 President Orders Disaster Aid For Northern Mariana Islands Typhoon Response https://web.archive.[...] 2002-12-11
[14] 웹사이트 CNMI Disaster Assistance Tops $17 Million For Typhoon Pongsona https://www.fema.gov[...] 2013-01-02
[15] 웹사이트 President Declares Major Disaster For Micronesia http://www.fema.gov/[...] 2013-01-02
[16] 웹사이트 38th Session of the Typhoon Committee https://web.archive.[...] 2007-07-27
[17] Digital Typho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