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끝혀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턱끝혀근은 혀의 대부분을 이루는 부채꼴 모양의 혀바깥기원근육으로, 아래턱뼈의 턱끝가시에서 시작하여 혀와 목뿔뼈에 닿는다. 혀밑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혀동맥의 혀밑가지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턱끝혀근은 혀를 내밀고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기능을 하며, 양쪽 근육이 함께 작용하면 혀 중간 부분을 아래로 누른다. 턱끝혀근의 수축은 상기도를 안정시키고, 이완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이 있다. 혀밑신경 손상 시 혀가 손상된 근육 쪽으로 휠 수 있으며, 17세기 초 헬키아 크루크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혀 - 미뢰
미뢰는 혀의 유두에 있는 미각 수용체로, 설유두를 제외한 버섯, 잎새, 둥근 유두에 존재하며, 지지 세포와 미각 세포로 구성되어 맛을 감지하고 뇌로 전달하며, 기능은 흡연, 음주, 노화 등으로 저하될 수 있다. - 혀 - 프렌치 키스
프렌치 키스는 입을 벌려 혀를 사용하는 키스의 한 형태로, 친밀함, 낭만,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며 질병 감염 경로가 될 수도 있다.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턱끝혀근 | |
---|---|
개요 | |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genioglossus |
이는곳 (Origin) | 아래턱뼈 턱끝가시의 위쪽 부분 (턱뼈결합) |
닿는곳 (Insertion) | 혀의 아래쪽 부분과 목뿔뼈의 몸통 |
작용 (Action) | 아래쪽 섬유: 혀를 앞으로 내밂 중간 섬유: 혀를 아래로 누름 위쪽 섬유: 혀끝을 뒤아래쪽으로 당김 |
혈액 공급 | 혀동맥 |
신경 분포 | 혀밑신경 |
2. 구조
턱끝혀근은 혀 몸통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채꼴 모양의 혀바깥기원근육(설외근)이다.[3] 아래턱뼈의 턱끝가시에서 시작되어 목뿔뼈(설골)와 혀의 아래쪽에 닿는다.[13][9] 턱끝혀근은 좌우 쌍으로 존재하며,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중격에 의해 혀의 정중선에서 분리된다.[3]
턱끝혀근은 혀밑신경(설하신경)의 지배를 받으며,[13] 이는 입천장혀근을 제외한 혀의 모든 근육도 마찬가지이다.[10]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혀동맥의 혀밑가지가 혈액을 공급한다.[13][11]
개의 턱끝혀근은 수평 부분과 비스듬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12]
2. 1. 기시부와 정지부
턱끝혀근은 혀 몸통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채꼴 모양의 혀바깥기원근육(설외근)이다. 아래턱뼈의 턱끝가시에서 시작되어 일부 섬유는 목뿔뼈(설골)에서 직접 기시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며, 혀의 아래쪽에 닿는다.[13][9][4][1][3] 턱끝혀근은 혀밑신경(설하신경)의 지배를 받으며,[13]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혀동맥의 혀밑가지가 혈액을 공급한다.[13][11] 개의 턱끝혀근은 수평 부분과 비스듬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12]2. 2. 신경 지배
턱끝혀근은 혀밑신경의 지배를 받으며,[13] 이는 입천장혀근을 제외한 혀의 모든 근육도 마찬가지이다.[10][2]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혀동맥의 혀밑가지가 혈액을 공급한다.[13][11]2. 3. 혈액 공급
혀밑동맥의 혈액은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설동맥에서 공급된다.[4][3]2. 4. 기타 동물
개 턱끝혀근은 수평 구획과 사선 구획으로 나뉜다.[7]3. 기능
왼쪽과 오른쪽 턱끝혀근은 혀를 내밀며 반대쪽으로 혀를 움직인다. 양쪽 턱끝혀근이 함께 작용하면 혀 중간 부분을 아래로 누른다.[13][4] 턱끝혀근은 부채꼴 모양의 설외근 중 하나로, 혀 몸통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턱끝극에서 시작하여, 설골과 혀 등에 닿는다. 설하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혀를 앞쪽과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4. 임상적 중요성
턱끝혀근의 수축은 허탈되기 쉬운 상기도 부분을 안정하게 하고 확장시킨다. 턱끝혀근과 턱끝목뿔근의 이완은 특히 렘수면 중일 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관련되어 있다.[14][5][8] 따라서 아래턱뼈를 앞으로 당겨 기도 공간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혀가 뒤로 가서 마취 중에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3][4]
종종 혀밑신경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환자가 혀를 내밀도록 요청하여 턱끝혀근의 기능을 대신 볼 수 있다. 혀밑신경의 말초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근육 쪽으로 혀가 휠 수 있다.[3] 혀가 양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면으로 돌출되면 혀밑신경은 손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3]
4. 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턱끝혀근의 수축은 허탈되기 쉬운 상기도 부분을 안정하게 하고 확장시킨다. 턱끝혀근과 턱끝목뿔근의 이완은 특히 렘수면 중일 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관련되어 있다.[14][5][8] 따라서 아래턱뼈를 앞으로 당겨 기도 공간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혀가 뒤로 가서 마취 중에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3][4]4. 2. 혀밑신경 손상
턱끝혀근의 수축은 허탈되기 쉬운 상기도 부분을 안정시키고 확장시킨다.[14] 턱끝혀근과 턱끝목뿔근의 이완은 특히 렘수면 중일 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되어 있다.[14][5][8] 따라서 아래턱뼈를 앞으로 당겨 기도 공간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혀가 뒤로 가서 마취 중에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3][4]혀밑신경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환자가 혀를 내밀도록 하여 턱끝혀근의 기능을 대신 볼 수 있다. 혀밑신경의 말초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근육 쪽으로 혀가 휠 수 있다.[3] 혀가 양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면으로 돌출되면 혀밑신경은 손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3]
5. 역사
'Genioglossus'라는 이름은 턱을 뜻하는geneion/γένειονgrc과 혀를 뜻하는 glōssa/γλῶσσαgrc가 합쳐진 것이다. 가장 먼저 턱끝혀근을 기록된 것은 17세기 초 헬키아 크루크에 의해서였다.[15][6]
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anatomy
https://books.google[...]
Jaypee Bros.
[2]
서적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Saunders/Elsevier
[3]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4]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5]
저널
Risks of general anaesthesia in people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6]
웹사이트
genioglossus - definition of genioglossus in English {{!}}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7-03-26
[7]
저널
Neuromuscular specializations of the pharyngeal dilator muscles: II. Compartmentalization of the canine genioglossus muscle
[8]
간행물
Risks of general anaesthesia in people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9]
서적
Essentials of anatomy
https://books.google[...]
Jaypee Bros.
[10]
서적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Saunders/Elsevier
[11]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https://archive.org/[...]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2]
저널
Neuromuscular specializations of the pharyngeal dilator muscles: II. Compartmentalization of the canine genioglossus muscle
[13]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14]
저널
Risks of general anaesthesia in people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15]
웹인용
genioglossus - definition of genioglossus in English
https://en.oxforddic[...]
2017-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