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마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마토사우루스는 트란실바니아에서 발견된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으로, 1895년 발견된 두개골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프란츠 노프차가 1899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로 명명했으나, 이후 속명이 변경되어 1903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로 재명명되었다. 텔마토사우루스는 늪지 도마뱀이라는 뜻이며, 약 6800만 년 전 마스트리히트절에 하체그 섬에서 서식했다. 이 공룡은 5m 길이, 500kg 무게로 추정되며, 어린 개체에서 아멜로블라스토마라는 종양이 발견되기도 했다. 텔마토사우루스는 관목, 초본 식물, 잎, 씨앗 등을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브라키오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는 최대 25m에 달하는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긴 목과 앞다리가 긴 체형을 가졌으며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었고, 대중문화에서 상징적인 공룡으로 묘사된다.
  • 190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오르니톨레스테스
    오르니톨레스테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새 도둑"이라는 뜻의 소형 수각류 공룡으로, 날렵한 몸집과 날카로운 이빨로 작은 동물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에 의해 명명된 이후 깃털 존재 여부와 식성 등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 백악기 후기 유럽의 공룡 - 크라스페도돈
    크라스페도돈은 벨기에에서 발견된 치아 화석에 기반하여 명명되었으며, 한때 이구아노돈류로 분류되었으나 신각룡류, 특히 케라톱소이데아에 더 가까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현재는 노멘 두비움으로 간주된다.
  • 백악기 후기 유럽의 공룡 - 암펠로사우루스
    암펠로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 프랑스 남부에서 서식했으며 갑옷 역할을 하는 골편을 가진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 공룡으로, 화석 발견지가 포도원과 가까운 데서 속명, 인근 강의 라틴어 명칭에서 종명이 유래되었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에드몬토사우루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하드로사우루스과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9~12m의 몸길이, 오리 부리 형태의 입, 그리고 피부 자국이 보존된 미라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E. regalis*와 *E. annectens* 두 종이 인정되고, 티라노사우루스와 공존했던 생태 환경과 식생, 성장 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마이아사우라
    마이아사우라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8~9m 길이의 하드로사우루스과 초식 공룡으로, 눈 사이의 짧고 단단한 볏과 무리 생활 및 둥지 군집을 통해 새끼를 키운 흔적이 발견된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의 속명이 특징이다.
텔마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홀로타입 두개골
홀로타입 두개골
학명Telmatosaurus
명명자놉차, 1903년
타입 종Telmatosaurus transsylvanicus
타입 종 명명자놉차, 1899년
동의어Hecatasaurus Brown, 1910
Limnosaurus Nopcsa, 1899 (선취)
길이5 미터
무게600 킬로그램
시대마스트리흐트절, 7000만 년 전 ~ 6600만 년 전
분류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아목조각아목
하드로사우루스과
종 목록T. transsylvanicus

2. 발견과 역사

1895년 트란실바니아의 농노들이 영주의 딸 일로나 노프차를 위해 후네도아라에서 공룡 두개골을 발견하여 헌정하였다. 일로나의 오빠인 프란츠 노프차는 이 발견을 계기로 빈 대학교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하게 되었다.[15][2][10] 1899년 프란츠는 그 화석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la명명했다. '늪지 도마뱀'이라는 뜻의 학명은 늪지에 서식하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습성을 참고한 것이며, 종명은 발견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에서 따왔다.[15][2][10]

텔마토사우루스의 두개골 완모식표본


텔마토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Telmatosaurus transsylvanicusla의 척추 뼈


이후 프란츠는 림노사우루스/Limnosaurusla라는 속명이 이미 오스니얼 찰스 마시1875년 악어목의 속명(지금은 프리스티캄프수스(''Pristichampsus'')로 재분류되었다)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1903년 속명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la로 재명명했다. ''Telma''는 습지를 뜻한다.[16][3][11] 1910년 바넘 브라운이 재명명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헥카타사우루스/Hecatasaurusla로 명명하였지만[17][4][12] 지금은 후행 객관적 동의어(junior objective synonym)로서만 사용된다.

사람과 비교한 ''텔마토사우루스''의 크기


1915년 프란츠는 이 종의 학명을 바꿔 올소메루스 트란실바니쿠스/Orthomerus Transsylvanicusla로 반려하려 했으나,[18][5][13] 1980년대부터 올소메루스/Orthomerusla라는 이름은 의문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la라는 속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6][14]

모식 표본 '''NHMUK PV R 3386''' (이전에는 BMNH R 3386으로 지칭됨)은 약 6800만 년 전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산페트루 지층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에는 유럽 군도의 섬 중 하나인 하체그 섬의 일부였다. 이는 아래턱이 있는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 복원도

2. 1. 초기 발견

1895년 트란실바니아의 농노들이 영주의 딸 일로나 노프차를 위해 후네도아라에서 공룡 두개골을 발견하여 헌정하였다. 이를 계기로 일로나의 오빠인 프란츠 노프차는 빈 대학교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하게 되었다.[15][2][10] 1899년 프란츠는 그 화석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로 명명했다. '늪지 도마뱀'이라는 뜻의 학명은 늪지에 서식하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습성을 참고한 것이며, 종소명은 발견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에서 따왔다.[15][2][10]

이후 프란츠는 림노사우루스(''Limnosaurus'')라는 속명이 이미 오스니얼 찰스 마시1875년 악어목의 속명(지금은 프리스티캄프수스(''Pristichampsus'')로 재분류)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1903년 속명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로 재명명했다. ''Telma''는 습지를 뜻한다.[16][3][11] 1910년 바넘 브라운이 재명명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헥카타사우루스(''Hecatasaurus'')로 명명하였지만[17][4][12] 지금은 동의어로서만 사용된다. 1915년 프란츠는 이 종의 학명을 바꿔 올소메루스 트란실바니쿠스(''Orthomerus Transsylvanicus'')로 반려하려 했으나,[18][5][13] 1980년대부터 올소메루스(''Orthomerus'')라는 이름은 의문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텔마토사우루스라는 속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6][14]

모식 표본 '''NHMUK PV R 3386''' (이전에는 BMNH R 3386)은 약 6800만 년 전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산페트루 지층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에는 유럽 군도의 섬 중 하나인 하체그 섬의 일부였다. 이는 아래턱이 있는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다.

2. 2. 프란츠 노프차의 연구

1895년 트란실바니아의 농노들이 일로나 노프차에게 후네도아라에서 발견한 공룡 두개골을 헌정하였다. 일로나의 오빠인 프란츠 노프차는 이 발견을 계기로 빈 대학교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하게 되었다.[15][2][10] 1899년 프란츠는 그 화석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로 명명했다. 속명은 '늪지 도마뱀'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늪지에 서식하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습성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종명은 발견된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에서 따왔다.[15][2][10]

후에 프란츠는 림노사우루스(''Limnosaurus'')라는 속명이 이미 오스니얼 찰스 마시1875년 악어목의 속명(지금은 프리스티캄프수스(''Pristichampsus'')로 재분류되었다)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1903년에 속명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로 재명명했다. ''Telma''는 습지를 뜻한다.[16][3][11] 1910년 바넘 브라운이 재명명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헥카타사우루스(''Hecatasaurus'')로 명명하였지만[17][4][12] 지금은 후행 객관적 동의어(junior objective synonym)로서만 사용된다. 모식 표본 '''NHMUK PV R 3386''' (이전에는 BMNH R 3386)은 약 6800만 년 전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산페트루 지층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에는 유럽 다도해의 섬 중 하나인 하체그 섬의 일부였다. 이는 아래턱이 있는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다.

1915년 프란츠는 이 종의 학명을 바꿔 올소메루스 트란실바니쿠스(''Orthomerus Transsylvanicus'')로 반려하려 했으나,[18][5][13] 1980년대부터 올소메루스(''Orthomerus'')라는 이름은 의문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텔마토사우루스라는 속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하드로사우루스류 자료도 텔마토사우루스로 지정되지만, 동일성을 증명하기는 어렵다.[6][14]

2. 3. 학명의 변경

1895년 트란실바니아의 농노가 영주의 딸 일로나 노프차에게 후네도아라에서 발견한 공룡 두개골을 헌정하였다. 일로나의 오빠인 프란츠 노프차는 화석 발견을 계기로 빈 대학교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했다.[15][2][10] 1899년 프란츠는 그 화석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로 명명했다. 학명은 '늪지 도마뱀'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늪지에 서식하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습성을 참고한 것이며, 종소명은 발견된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에서 따왔다.[15][2][10]

후에 프란츠는 림노사우루스(''Limnosaurus'')라는 속명이 이미 오스니얼 찰스 마시1875년 악어목의 속명(지금은 프리스티캄프수스(''Pristichampsus'')로 재분류되었다)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속명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로 재명명했다. ''Telma''는 습지를 뜻한다.[16][3][11] 1910년 바넘 브라운이 재명명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헥카타사우루스(''Hecatasaurus'')로 명명하였지만[17][4][12] 지금은 동의어로서만 사용된다.

1915년 프란츠는 이 종의 학명을 바꿔 올소메루스 트란실바니쿠스(''Orthomerus Transsylvanicus'')로 반려하려 했으나[18][5][13] 1980년대부터 올소메루스(''Orthomerus'')라는 이름은 의문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텔마토사우루스라는 속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6][14]

2. 4. 추가 발견

1895년 트란실바니아의 농노들이 영주의 딸 일로나 노프차에게 후네도아라에서 발견한 공룡 두개골을 헌정하였다. 일로나의 오빠인 프란츠 노프차는 화석 발견을 계기로 빈 대학교에서 고생물학을 공부했다.[15][2][10] 1899년 프란츠는 그 화석을 림노사우루스 트란실바니쿠스(''Limnosaurus transsylvanicus'')로 명명했다. 속명은 '늪지 도마뱀'이라는 의미이며, 늪지에 서식하는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습성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종명은 발견된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에서 따왔다.[15] 이후 프란츠는 림노사우루스(''Limnosaurus'')라는 속명이 이미 오스니얼 찰스 마시1875년 악어목의 속명(지금은 프리스티캄프수스(''Pristichampsus'')로 재분류되었다)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속명을 텔마토사우루스(''Telmatosaurus'')로 재명명했다. ''Telma''는 습지를 뜻한다.[16][3][11] 1910년 바넘 브라운이 재명명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헥카타사우루스(''Hecatasaurus'')로 명명하였지만[17][4][12] 지금은 동의어로서만 사용된다. 모식 표본 '''NHMUK PV R 3386''' (이전에는 BMNH R 3386으로 지칭됨)은 약 6800만 년 전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산페트루 지층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에는 유럽 군도의 섬 중 하나인 하체그 섬의 일부였다. 이는 아래턱이 있는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다.

1915년 프란츠는 이 종의 학명을 바꿔 올소메루스 트란실바니쿠스(''Orthomerus Transsylvanicus'')로 반려하려 했으나[18][5][13] 1980년대부터 올소메루스(''Orthomerus'')라는 이름은 의문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텔마토사우루스라는 속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스페인, 프랑스, 독일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하드로사우루스류 자료가 ''오르토메루스''로 분류되었지만, 이제는 종종 ''텔마토사우루스''로 지정되지만, 동일성을 증명하기는 어렵다. 많은 루마니아 단편과 알에도 마찬가지이다.[6][14]

3. 생김새

상대적으로 작은 개체의 텔마토사우루스는 길이가 5미터이고 무게는 500kg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섬의 왜소 발육화의 한 예시이다. 텔마토사우루스는 비교적 소형의 하드로사우루스류에 속한다.

4. 고생물학

4. 1. 고병리학

Dumbrava 등이 연구한 어린 ''텔마토사우루스''[7]는 아래턱에 아멜로블라스토마라고 불리는 큰 비암성 종양을 가지고 있었다. 이 양성 종양이 공룡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이며, 이 발견 전까지 아멜로블라스토마는 현대 포유류(인간 포함)와 파충류에서만 알려져 있었다.[7] 공룡에서 아멜로블라스토마의 발견은 양성 종양 발달이 비교적 현대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특징이라는 증거를 제공한다.

턱 기형을 가진 어린 개체의 복원도


이 종양이 초기 발달 단계에서 공룡에게 심각한 고통을 유발했을 가능성은 인간과 같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낮지만, 연구자들은 종양의 크기로 보아 이 공룡이 성체가 되기 전에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7] 보존된 유해가 두 개의 아래턱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사망 원인을 확인할 수 없다.[7] 연구자들은 아멜로블라스토마의 존재가 사망에 기여했을지 의문을 품었다.[7] 현대 사례에서 포식자는 종종 무리 내에서 약하거나 부상당한 개체를 노린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7] 이 공룡의 종양은 죽었을 때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지만, 조기 사망에 간접적으로 기여했을 수 있다.

4. 2. 식성

''텔마토사우루스''는 C3 탄소 고정을 하는 식물관목, 초본 식물, 과 씨앗을 먹었다.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문서 "Dinosaurierreste aus Siebenbürgen (Schädel von ''Limnosaurus transsylvanicus'' nov. gen. et spec.)"
[3] 문서 "''Telmatosaurus'', new name for the dinosaur ''Limnosaurus''"
[4] 문서 "The Cretaceous Ojo Alamo beds of New Mexico with description of the new dinosaur genus ''Kritosaurus''"
[5] 문서 "Die dinosaurier der Siebenbürgischen landesteile Ungarns"
[6] 문서 "''Telmatosaurus'' and the other hadrosaurids of the Cretaceous European Archipelago. An overview"
[7] 간행물 A dinosaurian facial deformity and the first occurrence of ameloblastoma in the fossil record
[8] 간행물 PRELIMINARY DATA ON DINOSAURS HABITAT DURING THE UPPER MA-ASTRICHTIAN, HATEG BASIN, ROMANIA https://www.osti.gov[...] 2001
[9] 서적 Transylvanian Dinosau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10] 문서 "Dinosaurierreste aus Siebenbürgen (Schädel von ''Limnosaurus transsylvanicus'' nov. gen. et spec.)"
[11] 문서 "''Telmatosaurus'', new name for the dinosaur ''Limnosaurus''"
[12] 문서 "The Cretaceous Ojo Alamo beds of New Mexico with description of the new dinosaur genus ''Kritosaurus''"
[13] 문서 "Die dinosaurier der Siebenbürgischen landesteile Ungarns"
[14] 문서 "''Telmatosaurus'' and the other hadrosaurids of the Cretaceous European Archipelago. An overview"
[15] 문서 "Dinosaurierreste aus Siebenbürgen (Schädel von ''Limnosaurus transsylvanicus'' nov. gen. et spec.)"
[16] 문서 "''Telmatosaurus'', new name for the dinosaur ''Limnosaurus''"
[17] 문서 "The Cretaceous Ojo Alamo beds of New Mexico with description of the new dinosaur genus ''Kritosaurus''"
[18] 문서 "Die dinosaurier der Siebenbürgischen landesteile Ungar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