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네도아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네도아라는 루마니아 후네도아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후녀디 가문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철기 시대에는 철이 채굴되었다. 다키아 시대에는 중요한 요새가 있었고, 로마 시대에는 철 생산이 이루어졌다.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으며, 후녀디 가문의 거점이자 철 생산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에 통합되었다. 공산주의 시대에는 철강 생산 중심지로 성장했지만, 1989년 혁명 이후 산업 구조 변화를 겪었다. 주요 명소로는 후녀디 성(코르빈 성)이 있으며, 다양한 스포츠 시설과 유명 운동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도시 - 부쿠레슈티
부쿠레슈티는 루마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덤보비차 강 연안에 위치하며, 왈라키아 공국, 루마니아 공국을 거쳐 루마니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기쁨의 도시'라는 뜻과 함께 '동방의 파리'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2차 세계 대전과 차우셰스쿠 정권 시기를 거쳐 현대화와 역사 지구 복원 사업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루마니아의 도시 - 시비우
시비우는 루마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인 이민자들이 건설하여 중세 시대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수도를 거쳐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면서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후네도아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독일어 이름 | 아이젠마르크트 (Eisenmarkt) |
헝가리어 이름 | 버이더후녀드 (Vajdahunyad) |
행정 | |
국가 | 루마니아 |
주 | 후네도아라 주 |
시장 | 단 보보우차누 (Dan Bobouțanu) |
임기 | 2020–2024 |
소속 정당 | PSD |
지리 | |
고도 | 278m |
면적 | 97.30km² |
인구 | |
총 인구 (2011년) | 57,524명 |
인구 밀도 | 613명/km²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31006–331167 |
지역 번호 | (+40) 02 54 |
웹사이트 | 후네도아라 공식 웹사이트 |
2. 어원
후네도아라라는 지명은 후녀디 가문(코르비누스 가문이라고도 함)의 이름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어 이름인 "Hunedoara"는 헝가리어 이름 "Hunyadvár"를 음역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후녀드의 성"을 의미하며, 많은 헝가리 도시들이 이러한 접미사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Hungnod'' (1265), ''Huniad'' (1278), ''Hwnyadwar'' (1409), ''Vayda Hunyadi'' (1575)와 같은 이름들이 기록되었다. 후기의 헝가리어 이름 ''Vajdahunyad'' (보이보드 후녀드)는 존 후녀디를 직접적으로 지칭한다.
석기 시대 도구가 성 근처의 Sânpetru(성 베드로) 언덕과 주변 마을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철이 매우 풍부했는데, 철기 시대부터 트라키아 부족에 의해 이 지역에서 채굴되었다.[2] 다키아인 요새인 오라슈티 산맥, 특히 사르미제게투사는 다키아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으며, 후네도아라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이곳에서 생산된 철로 공급되었다.[2] 8개의 다키아 철 용광로 유적이 성 근처의 Sânpetru 언덕에서 발견되었다.[2] 다키아 동전과 로마 제국 동전의 중요한 금전적 보물의 발견은 이 장소의 중요성을 증명한다.[2]
3. 역사
다키아가 서기 106년경 정복되어 로마 속주로 바뀐 후, 철이 풍부한 이 지역은 로마인들의 관심을 끌었고, 그들은 용광로를 건설하여 이 지역을 개발하기 시작했다.[2] "빌라 루스티카"는 텔리우크에 등장했는데, 이곳은 사르미제게투사 언덕에 있는 로마 요새였으며, 다키아의 제13 게미나 군단의 전초기지였다.[2] 그들의 주요 카스트룸은 아풀룸에 있었다.[2] 다른 로마 유물들은 도시 지역과 로마 마을의 유적이 발견된 페스티스에서도 발견되었다.[2] 로마 속주 다키아의 새로운 수도인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도 인근에 위치해 있었다.[2]
이동 시대 동안 로마의 군사 및 행정적 후퇴 이후, 비록 철 생산이 계속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지역에는 중요한 역사적 유적이 없었다.[2] 이 지역의 민족 구조는 특히 고트족, 훈족, 슬라브족, 페체네그족, 마자르족, 쿠만족으로 인해 크게 변화했다.[2]
헝가리 정복 이전의 트란실바니아 인구의 민족성에 대한 학술적 논쟁이 진행 중이다 (루마니아인의 기원 참조).[2] 1000년 이후 헝가리 왕국의 일부로 슬라브족의 영향 아래 작은 정치적 분쟁이 발생했다(크냐즈가 통치).[2] 카르파티아 산맥 남쪽에서는 페체네그족과 쿠만족이 정치적 권력을 가지고 있었고, 후네도아라는 헝가리 왕관의 완충 지대 역할을 했다.[2]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처 산에 사는 발라크족은 독창적인 고지대 문화를 발전시켰다.[2] 그들의 땅은 "Țara Pădurenilor"(우드랜더스 국가)라고 불리며, 인구 통계학적으로 이 지역을 지배하기 시작했다.[2] 이 지역에는 또한 상당수의 독일 작센족, 몽골 침공 이후 헝가리 왕관에 의해 데려온 식민지 개척자, 그리고 나중에는 인도 아대륙에서 이주해 온 로마니족이 거주했다.[2]
이 도시에 대한 최초의 기록 증거는 1265년에 훈노드라는 이름으로 가죽 태닝과 양모 가공의 중심지로 기록되었다.[2] 후네도아라 시는 트란실바니아에서 중요한 철 추출 및 가공 중심지가 되었다.[2] "코르푸스 인스크립티오룸 라티노룸"은 지역 주민을 "natas ibi, ubi ferum nascitur"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철이 태어난 곳에서 태어났다"는 의미이다.[2] 무기와 도구 제조의 근간으로서, 도시 산업은 이 지역에 필수적이었다.[2]
이 도시는 14세기부터 주로 후녀디 가문의 거주지로 알려져 왔다.[2] 1409년 10월 18일, 보이크 (헝가리어: Vajk, 루마니아어: Voicu)는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드로부터 군사적 용맹을 인정받아 후네도아라 영지를 받았다.[2] 후녀디 가문의 기원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 보이크가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드로부터 군사적 용맹을 인정받은 것을 기록한 동일한 문서에는 그의 세 아들, 모고스, 라두, 그리고 후녀디 야노시 (헝가리어: János Hunyadi; 루마니아어: Ioan de Hunedoara)도 언급되어 있다.[2] 후네도아라는 1448년 헝가리 왕으로부터 도시 특권을 받았다.[2] 후녀디 야노시는 고대 요새 위에 성채를 통합하여 국회 및 기사를 위한 두 개의 주요 홀을 만들었다.[2]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이 1448년에 성 근처에 건설되었고, 유명한 이탈리아 수도사인 카피스트라노의 요한이 교황에 의해 터키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조직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며, 성에서 살았다.[2] 카피스트라노의 요한은 나중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시작하여 벨그라드로 행진하는 농민들을 십자군으로 선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후녀디 야노시는 오스만 제국과의 점점 더 심화되는 대결에서 선두적인 군사 지도자였다.[2] 그는 지기스문드를 섬기며 후스 전쟁에서 군사 전술을 마스터했고, 헝가리에서 가장 뛰어난 전사가 되었다.[2] 그는 트란실바니아의 보이보드(공작)로 승진하고 임명되었으며, 당시 트란실바니아는 헝가리 왕국의 자치 지역이었다.[2] 헝가리 섭정으로 선출된 그는 몰다비아와 왈라키아 공국과 연합하여 십자군을 결성하여 투르크족에 대항하여 세르비아와 불가리아를 해방했다.[2] 이 십자군은 잠시 동안 발칸 반도의 분열된 세력을 통합했으며, 전투에서 승리하여 헝가리 왕국을 오스만 제국의 점령으로부터 1세기 이상 보호했다.[2] 비록 그는 군사 캠프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아들 머터여시(헝가리어: 마차시 코르비누스)는 나중에 헝가리 왕들 중 가장 유명해졌다.[2] 교황 교황 비오 2세는 그를 아틀레타 크리스티("그리스도의 챔피언")와 왈라키아의 백기사라고 불렀다.[2]
1457년 머터여시는 왈라키아 농노들에게 정교회 교회를 짓도록 허락했는데, 이 교회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장식되어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2] 그는 후네도아라의 성과 봉건 영지를 계속 통합했다.[2] 후네도아라 성은 중세 시대에 가장 큰 성 중 하나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이 중앙 유럽에 접근하면서 전쟁과 절망의 시대에 그의 귀족 전사 및 정치가 가문의 위대함을 증명했다.[2] 후녀디 통치 시대에 후네도아라는 철의 시장(opiddum)이 되었다.[2] 머터여시 코르비누스는 이 도시에 면세 지역으로 지정했고, 이 특권은 17세기까지 지속되었다.[2] 인구는 1512년에 784명에서 17세기에 896명으로 다양했다.[2] 머터여시가 사망한 후, 후네도아라는 그의 아들인 야노시 (헝가리어: János; 루마니아어: Ioan)에게 넘어갔지만, 그 역시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2] 그의 아내 베아트리스 데 프랑게판은 1509년에 호엔촐레른의 게오르그, 브란덴부르크 후작과 결혼했다.[2] 그러나 게오르그 데 브란덴부르크는 후네도아라에 거주하지 않고 대신 대표자인 죄르지 스톨츠를 임명했다.[2]
1514년 죄르지 도자의 농민 반란 동안, 일부는 성에 갇혀 고문을 받았을 것이다.[2] 당시 이 도시는 184채의 집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상당한 규모였으며, 임명된 동방 정교회 사제가 통치했다.[2] 1528년에 화재로 124채의 집이 파괴되었다.[2] 1534년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투르크에 의해 정복되었을 때, 성은 오라데아의 주교인 치박 임레의 반란 동안 포위되었고, 2년 후 야노슈 자포야는 성을 다른 재산과 함께 토뢰크 벌린트에게 기증하여 그를 헝가리에서 가장 부유한 귀족으로 만들었다.[2] 1557년에는 종교 개혁을 전파한 토뢰크 야노슈가 성에서 불충실한 아내 켄디 안나를 살해한 것으로 언급되었다.[2] 1601년에는 용감한 미하엘의 왈라키아 군대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고 오스만 종속을 합스부르크로 전환하기 위한 캠페인에서 성을 포위했다.[2] 미하엘은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를 통치했다.[2]
이 도시와 성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장군인 조르조 바스타의 반종교 개혁으로부터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고 살아남았다.[2] 1618년까지 성의 소유권은 베틀렌 가문으로 넘어갔다.[2] 트란실바니아의 보이보드인 베틀렌 가브리엘은 성을 통합하고 확장했으며, 그의 조카 베틀렌 이슈트반에게 주었는데, 그는 아름다움으로 유명한 아내 세치 메리와 함께 이곳에서 살았다.[2]
헝가리 개혁 교회는 1634년에 후네도아라에 설립되었고,[2] 신교도 반합스부르크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나중에 트란실바니아 공작이 된 퇴쾨리 임레가 성을 소유하고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2] 1685년까지 성은 친합스부르크 트란실바니아 공작인 아퍼피 미하이의 소유가 되었다.[2] 1710년에 옛 교회는 프란체스코회로 반환되었고, 1725년에 수도원 지위를 되찾았다.[2] 이 무렵, 인구의 대다수는 루마니아인이었다.[2]
당시 현재의 후네도아라 대부분은 체르나 강이 구불구불 흐르는 무성한 평야였다.[2] 최초의 고로가 1603년에 건설되었고, 그 뒤로 4개가 더 건설되었다.[2] 현대적인 철 생산은 성 베드로 언덕(산페트루) 기슭에서 시작되었으며, 성의 가장 멀리 떨어진 탑인 네보이샤(세르비아어로 "두려워하지 마세요"라는 뜻으로, 중세 시대에 포위 공격 시 마지막 피난처를 제공하기 위해 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탑; cf. 네보이샤 타워)에 가까웠다.[2] 광산 샤프트는 여전히 볼 수 있다.[2] 철 생산 공장도 근처에 있었다.[2]
1667년에는 체르나 강에 강철 공장이 있었는데, 1699년까지 490톤의 선철과 66톤의 철을 생산했다.[2] 1714년에 게오르그 슈타인힐베르트가 두 번째 공장을 만들었고, 1727년에 세 번째 공장이 만들어졌다.[2] 1743년에는 재무부에서 직접 운영했다.[2] 언급된 공장 중 하나는 주요 다리 아래에 위치해 있었고, 현재 그 벽은 폐허가 되었다.[2]
철 추출을 위한 세계 최초의 키가 큰 산업용 용광로는 후네도아라 근처의 톱리차에 1750년에 건설되었고, 나중에는 고바시디아에 1806년에 건설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2] 두 용광로 모두 오늘날 방문할 수 있다.[2] 도로로 가는 길은 텔리우쿠 인페리어르 (당시 알소텔레크)와 텔리우쿠 수페리어르 (당시 펠소텔레크)를 통해서만 가능했다.[2] 2001년까지, 19세기와 20세기에 건설된 협궤 철도 시스템이 후네도아라 성에서부터 747미터와 42미터 길이의 터널을 거쳐 산을 지나 즐라스티 근처에서 "Țara Pădurenilor"(우드랜더스 국가)의 숨막힐 듯한 풍경을 지나 고바시디아로 이어졌다.[2] 마지막 소유주인 Talc-돌로미타 즐라스티 회사에 의해 즐라스티에서 고바시디아와 크래치우네아사까지 해체되어 폐기되었다.[2] 후네도아라 성에서 즐라스티까지 남아 있던 마지막 2.3km 길이의 협궤 철도 시스템은 Talc-돌로미타 즐라스티 회사에서 2007년까지 사용했다.[2] 2009년 여름에 이 노선의 마지막 잔여 구간을 철거했다.[2] 현재 관광 목적으로 기차 노선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2]
18세기와 19세기 초에 후네도아라 시가 점점 더 산업화되면서, 근처 지역의 농민들이 도시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인구가 증가했다.[2] 트란실바니아의 독일인, 헝가리인, 세켈리인만 국회에 대표되었다 (유니오 트리움 나티오눔 참조).[2] 당시 인구의 약 50%를 차지했던 루마니아인들은 착취당한다고 느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2] 후네도아라 군의 농민들은 1784년 호레아, 클로슈카 및 크리샨의 반란을 지지했는데, 당시 그들은 근처 데바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2]
후네도아라 성은 지역 귀족에게 피난처를 제공했고, 군사 방어로서 마지막 기능을 수행했다.[2] 나중에 이 지역의 대표들은 1848년 혁명 동안 블라지에 열린 루마니아 국민 회의에 파견되었는데, 거기서 루마니아인들은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독립하려는 헝가리의 시도에 저항하기로 결정했다.[2] 이것은 트란실바니아 전역에서 소규모 봉기를 시작했지만, 헝가리 군대에 의해 빠르게 진압되었는데, 후네도아라 북쪽의 아푸세니 산맥은 예외였으며, 그곳에서 트리뷴 아브람 얀쿠는 헝가리군이 금광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고군분투했다.[2]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이 루마니아인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과 마자르화 운동은 후네도아라의 루마니아 인구를 더욱 악화시키고 소외시켰다.[2]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후네도아라 군의 루마니아인들은 루마니아 군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고, 루마니아 국민 회의는 1918년에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와의 통합을 선언했다.[2] 전쟁이 끝난 후 트란실바니아는 루마니아의 일부가 되었다.[2] 도시 안팎의 루마니아 인구는 빠르게 정치적 권리와 대표성을 얻었으며, 산업 발전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속도로 이루어졌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철소는 추축국의 전쟁 노력이었다.[2] 루마니아 군은 동부 전선에서 70만 명의 병사를 잃었고, 연합군은 추축국에 맞서 싸우는 40만 명의 병사를 추가로 잃었다.[2]
소련 점령과 그 후의 공산 정권 이후, 산업이 선호되었고, 후네도아라는 한동안 루마니아와 발칸 반도에서 가장 큰 철강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었다.[2] 도시가 커지고 공장이 너무 많이 확장되어 도시의 크기와 같거나 초과했다.[2] 인구도 87,0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2] 축구팀인 코르비눌 후네도아라는 오랫동안 스테아우아나 디나모에 필적하며 루마니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축구팀 중 하나였다.[2] 대형 경기장이 커버된 수영장과 스케이트장과 같은 다른 스포츠 시설과 함께 건설되었다.[2] 코르비눌 스포츠 클럽 외에도, 각기 다른 스포츠 시설을 제공하는 건설자(Constructorul)와 시데루르지스툴(Siderurgistul)이라는 두 개의 다른 스포츠 클럽이 건설되었다.[2] 다른 주목할 만한 건설로는 극장, 여러 개의 대형 영화관, 많은 학교와 고등학교, 공과 대학이 포함되었다.[2]
공산주의 붕괴는 강철에 대한 옛 시장이 사라지고, 많은 기업이 문을 닫거나 버려져야 함을 의미했다.[2] 그러나 루마니아와 외국 자본 벤처의 투자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2] 현재 아르셀로-미탈이 제철소의 잔해를 운영하고 있다.[2] 제철소는 현재 제2전기 제철소, 연속 주조기 및 압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2] 2007년과 그 이후에 강철 생산량이 50만 톤 이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2] 나머지 생산 시설은 철거되었거나 민간 투자자에게 판매되었다.[2]
3. 1. 중세 시대
후네도아라에는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철기 시대에는 트라키아 부족이 철을 채굴했다. 다키아인 시대에는 오라슈티 산맥의 다키아 요새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후네도아라 근처에서 철을 공급받았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로마인들이 정착했으며, 빌라 루스티카와 로마 요새 유적이 발견되었다.
1265년, 후네도아라는 가죽 태닝과 양모 가공의 중심지로 처음 기록되었다. 1409년, 보이크가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드로부터 후네도아라 영지를 받으면서 후녀디 가문의 거점이 되었다. 후녀디 야노시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군사 지도자로, 헝가리 섭정을 역임하고 십자군을 이끌었다. 교황 교황 비오 2세는 그를 아틀레타 크리스티("그리스도의 챔피언")와 왈라키아의 백기사라고 불렀다.[2] 그의 아들 마차시 1세는 헝가리 왕으로 즉위하여 후네도아라의 발전에 기여했다.
3. 2. 근세 시대
16세기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후네도아라는 여러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534년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투르크에 의해 정복되었을 때, 성은 오라데아의 주교인 치박 임레의 반란 동안 포위되었고, 2년 후 야노슈 자포야는 성을 다른 재산과 함께 토뢰크 벌린트에게 기증하여 그를 헝가리에서 가장 부유한 귀족으로 만들었다. 1557년에는 종교 개혁을 전파한 토뢰크 야노슈가 성에서 불충실한 아내 켄디 안나를 살해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17세기에는 베틀렌 가브리엘과 퇴쾨리 임레 등 트란실바니아 공작들이 후네도아라 성을 소유했다. 헝가리 개혁 교회는 1634년에 후네도아라에 설립되었고, 신교도 반합스부르크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나중에 트란실바니아 공작이 된 퇴쾨리 임레가 성을 소유하고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18세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 하에 후네도아라는 철 생산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714년에 게오르그 슈타인힐베르트가 두 번째 공장을 만들었고, 1727년에 세 번째 공장이 만들어졌다. 1743년에는 재무부에서 직접 운영했다. 철 추출을 위한 세계 최초의 키가 큰 산업용 용광로는 후네도아라 근처의 톱리차에 1750년에 건설되었고, 나중에는 고바시디아에 1806년에 건설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
3. 3. 근대 시대
19세기, 후네도아라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가 성장했다. 후네도아라 군의 농민들은 1784년 호레아, 클로슈카 및 크리샨의 반란을 지지하여 인근 데바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1848년 혁명 당시에는 블라지에 열린 루마니아 국민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여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독립하려는 헝가리의 시도에 저항하기로 결정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후네도아라 군의 루마니아인들은 루마니아 군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고, 1918년에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와의 통합을 선언했다. 전쟁이 끝난 후 트란실바니아가 루마니아에 통합되면서 후네도아라는 루마니아의 도시가 되었고, 산업 발전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철소는 추축국의 전쟁 노력이었다. 루마니아 군은 동부 전선에서 70만 명의 병사를 잃었고, 연합군은 추축국에 맞서 싸우는 40만 명의 병사를 추가로 잃었다.
3. 4. 현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후네도아라의 제철소는 추축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했다. 루마니아 군은 동부 전선에서 70만 명의 병사를 잃었고, 연합군은 추축국에 맞서 싸우는 40만 명의 병사를 추가로 잃었다.
소련 점령과 그 후의 공산 정권 시대에 후네도아라는 루마니아 최대의 철강 생산 중심지로 발전했다. 산업 발전으로 인해 도시가 확장되고 인구가 87,000명 이상으로 급증했다. 스테아우아나 디나모에 필적하는 축구팀 코르비눌 후네도아라가 있었고, 대형 경기장, 수영장, 스케이트장 등 스포츠 시설과 극장, 영화관, 학교, 공과 대학 등이 건설되었다.
1989년 공산주의 붕괴 이후,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 많은 기업이 문을 닫거나 버려지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루마니아와 외국 자본 투자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며 회복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아르셀로미탈이 제철소를 운영하며, 제2전기 제철소, 연속 주조기, 압연 공장을 통해 철강 생산을 지속하고 있다. 2007년 이후 강철 생산량은 50만 톤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4. 인구
1850년 인구 조사에서 후네도아라는 루마니아인이 다수였으며, 헝가리인, 독일인, 슬로바키아인, 로마인 등이 거주했다.[3] 종교는 정교회, 그리스 가톨릭, 가톨릭, 개혁교, 복음주의, 유대교 등으로 구성되었다.[3] 1900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 1,987명, 헝가리인 1,896명, 독일인 365명, 슬로바키아인 101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0년 트리아농 조약으로 트란실바니아가 루마니아에 편입된 후 헝가리인의 수는 감소했다.[3]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후에는 대부분의 독일인 가정이 도시를 떠났다.
공산주의 시대에는 제철소 가동으로 인구가 89,000명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하여 2021년 인구 조사에서는 50,457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네도아라의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92.13%, 헝가리인 5.19%, 로마인 1.74%, 기타 0.85%이다.[4]
5. 명소
5. 1. 코르빈 성 (후녀디 성)

코르빈 성은 후녀디 성 또는 후네도아라 성(루마니아어: ''카스텔룰 후니아질로르'' 또는 ''카스텔룰 코르비노르''; 헝가리어: ''바이도후냐디 바르'')라고도 불리며, 후네도아라에 있는 고딕 건축-르네상스 건축 성이다. 유럽에서 가장 큰 성 중 하나이며, 루마니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성은 코르빈 성과 후녀디 또는 후네도아라 성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후녀디는 같은 가문에 대한 국제적으로 더 널리 알려진 이름이며, 코르빈은 주로 루마니아인들이 사용한다.
인상적인 규모와 건축적 아름다움으로 고딕 양식, 르네상스 양식, 바로크 양식이 추가된 중세 예술의 가장 인상적인 기념물 중 하나로 꼽힌다. 건물은 즐라스티 강이 흐르는 바위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인상적인 도개교, 수많은 탑, 여러 개의 내부 뜰, "기사 홀"과 "의회 홀"이라는 두 개의 큰 홀이 있으며, 잠시 동안 트란실바니아 의회가 이곳에 자리 잡았다.
성의 역사는 주로 후녀디 가문과 관련이 있으며, 야노시 후녀디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오늘날 성은 후녀디의 기록된 후손이 없기 때문에 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블라드 2세 드라쿨, 악명 높은 블라드 드라큘라의 아버지인 왈라키아의 통치자는 후녀디와의 불화로 약속한 도움을 제공하지 못해 이곳에 갇혔다. 성과 그 주변은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제작을 위해 국제 영화 회사에서 자주 사용된다.
5. 2. 기타 명소
후네도아라 근처 언덕에 서면 도시의 전경을 볼 수 있다. 2004년에 철 박물관은 폐쇄되었다. 키지드 숲 근처에 위치한 후네도아라 동물원에는 사자, 곰, 늑대 등 다양한 동물들을 수용하고 있다.6. 스포츠
후네도아라는 2002 볼링 월드컵을 개최한 현대적인 볼링장 중 하나를 자랑한다. 그 외 스포츠 시설로는 붉은 점토 테니스 코트와 실내 수영장이 있다. 후네도아라 출신의 저명한 운동선수로는 전 WBO 복싱 세계 챔피언이자 전국 랠리 챔피언인 미하이 레우, 미하엘 클라인 (축구 선수)와 더불어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인 마리아 치온칸, 그리고 유명 축구 골키퍼인 보그단 로본츠가 있다. 199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인 마리아 네쿨리타 선수도 후네도아라 출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20 local elections
https://prezenta.roa[...]
Central Electoral Bureau
2021-06-08
[2]
웹사이트
The White Knight of Wallachia
http://www.roman-cat[...]
[3]
웹사이트
Populația rezidentă după grupa de vârstă, pe județe și municipii, orașe, comune, la 1 decembrie 2021
https://www.recensam[...]
INSSE
2023-05-31
[4]
웹사이트
Ethno-demographic Structure of Romania
http://www.agentia.o[...]
The Ethnocultural Diversity Resource Center
2011-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