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불핀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불핀치는 1796년 매사추세츠주 뉴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작가이다. 건축가 찰스 불핀치의 아들로,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보스턴 라틴 스쿨에서 교편을 잡는 등 다양한 직업을 거쳤다. 1837년 보스턴 머천트 뱅크에 입사하여 평생 은행원으로 근무하며, 8권의 저서를 발표했다. 그는 보스턴 박물관 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노예제 폐지 운동을 지지했으며, 1867년 보스턴에서 사망했다. 불핀치는 신화 해설서인 《불핀치의 신화》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책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원전 각색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책 편집자 - 마거릿 트루먼
    마거릿 트루먼은 미국의 소설가, 전기 작가, 가수로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딸이며, 성악가 활동과 더불어 아버지와 어머니의 전기 및 추리 소설 '수도 범죄' 시리즈로 유명하고,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도서관 및 박물관 이사회와 루즈벨트 연구소 이사로도 활동했다.
  • 미국의 책 편집자 - 머리 로스바드
    머리 로스바드는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을 옹호하고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창한 미국의 경제학자, 역사학자, 정치 이론가이다.
  • 신화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신화학자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 동문 - 폴 로머
    폴 로머는 내생적 성장 이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1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로서, 지식이 장기 경제 성장의 동력임을 밝히고 혁신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모형화했으며, 애플리아 설립 및 세계은행 수석경제학자 역임 등의 활동을 했다.
  •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 동문 - 존 킹 페어뱅크
    미국의 중국사학자인 존 킹 페어뱅크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중국사 연구를 개척하고 미중 관계 이해에 기여했으나, 냉전 시대 공산주의에 대한 유화적 태도와 베트남 전쟁 시기 미국의 제국주의 옹호로 비판받았다.
토머스 불핀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토머스 불핀치
출생일1796년 7월 15일
출생지매사추세츠 주 뉴턴
사망일1867년 5월 27일
사망지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직업은행원, 작가
국적미국
작품 활동
장르신화와 전설
가족
친척찰스 불핀치(미번역)

2. 생애

토머스 불핀치는 보스턴 라틴 스쿨,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를 거쳐 1814년 하버드 대학교 고전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 모교인 라틴 스쿨에서 교편을 잡다가 이듬해 형의 가게에서 일을 도왔다. 1818년 국회의사당 설계를 맡은 아버지를 따라 워싱턴 D.C.로 이주하였고, 실업계 진출을 꿈꿨다. 1825년 보스턴으로 돌아가 여러 사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837년 보스턴에 위치한 머천트 뱅크에 들어가 평생 근무하였다. 그사이 6년간 보스턴 박물관 협회의 회장직을 맡았고, 노예제 폐지 운동에서 윌리엄 L. 개리슨을 지지하였다. 온화하고 논쟁을 싫어하는 성격이었으며,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청소년 문제에 관심이 많아 가난한 아이들의 보호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6][7]

불핀치는 교육받은 중산층 상인 집안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는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주 의사당과 워싱턴 D.C.미국 국회의사당 일부를 설계한 건축가 찰스 불핀치였다.[2]

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818년: 국회의사당 설계를 담당한 아버지 찰스를 따라 가족과 함께 워싱턴 D.C.로 이주.
  • 1825년: 보스턴으로 귀환.
  • 1837년: 보스턴 머천트 뱅크에 입행. 평생 은행원으로 근무하며, 이 기간 동안 8권의 저서를 발표.
  • 1867년 5월 27일: 71세의 나이로 사망. 묘소는 케임브리지의 마운트 오번 묘지 (Mount Auburn Cemetery) 에 있다.

2. 1. 출생과 가문

토머스 불핀치는 1796년 7월 15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뉴턴에서 열한 명의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6][7] 그의 아버지는 워싱턴 D.C.의 미국 의회의사당과 보스턴매사추세츠주 의사당을 설계한 건축가 찰스 불핀치였다.[2]

2. 2. 교육 배경

보스턴 라틴 스쿨(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 하버드 대학교라는 이른바 엘리트 코스를 밟았으며, 1814년 하버드 대학교 고전학과를 졸업하였다.[6][7]

2. 3. 경력 및 사회 활동

불핀치는 보스턴 라틴 스쿨에서 교사로 일하다가 이듬해 형의 가게에서 일했다.[6] 1818년, 미국 국회의사당 설계를 맡은 아버지를 따라 워싱턴 D.C.로 이주하여 실업계에 진출하고자 했다.[6] 1825년 보스턴으로 돌아와 여러 사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837년 보스턴에 위치한 머천트 뱅크에 입사하여 평생 근무하였다.[6] 그 사이 6년 간 보스턴 박물관 협회의 회장직을 맡았고, 노예제 폐지 운동에서 윌리엄 L. 개리슨을 지지하였다.[6] 온화하고 논쟁을 싫어하는 성격으로 평생 독신으로 지냈으며,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갖고 가난한 아이들의 보호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6]

2. 4. 사망

불핀치는 1867년 5월 27일 보스턴에서 71세로 생애를 마쳤다. 케임브리지의 마운트 오번 묘지(Mount Auburn Cemetery) 가족 묘지에 묻혔으며, 그의 곁에는 애제자 매튜 에드워드(1837년 ~ 1859년)가 안장되어 있다.[6][7]

3. 《불핀치의 신화》

토머스 불핀치는 성경시편을 재편성하기도 했지만, 1881년에 이전에 쓴 세 편의 저작을 편집한 《불핀치의 신화》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불핀치의 신화》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대중화한 고전 작품으로, 1855년 첫 작품인 《신화의 시대》가 출판된 이후 160년이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널리 읽히고 있다.

이 편집본은 그가 죽은 후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이 정리한 것으로, 로마 이야기, 브리튼 이야기, 프랑스 이야기로 알려진 신화적 전설에 속하는 다양한 이야기를 실었다. 불핀치는 신화를 딱딱한 학문이 아닌 유연한 학문으로 제시하고자 했다.[9]

《불핀치의 신화》는 독일에서 나온 신화를 처음 공부하는 교양 있는 미국인을 위해 출판되었으며, 불필요하게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내용, 심리학적, 민족지학적인 정보는 담고 있지 않다. 이 책은 미국의 많은 공립 학교에서 여전히 교육되고 있다.

3. 1. 구성 및 내용

1881년, 불핀치는 이전에 쓴 세 편의 저작을 편집하여 《불핀치의 신화》를 출간했다. 이 책은 그가 죽은 후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이 정리한 것으로, 로마 이야기, 브리튼 이야기, 프랑스 이야기로 알려진 신화적 전설에 속하는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8]

  • ''신화의 시대, 또는 신과 영웅의 이야기''(1855년)
  • ''기사의 시대, 또는 전설의 아서 왕''(1858년)
  • ''샤를마뉴의 전설, 또는 중세의 로맨스''(1863년)


《불핀치의 신화》는 신화를 대중화한 고전으로, 1855년 첫 작품인 신화의 시대가 출판된 이후 160년이 지난 현재에도 널리 읽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표준으로 여겨진다. 불핀치는 머리말에서 이 책이 학자나 신학자, 철학자가 아닌 일반 영문학 독자를 위한 것이며, 일상 대화에 자주 등장하는 신화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8] 그는 신화를 딱딱한 학문이 아닌, 재미있는 이야기로 풀어내고자 했으며, 독자들이 신화에 대한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9]

불핀치는 고전 신화를 설명하기 위해 오비디우스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주로 인용했다. 북유럽 신화는 토머스 퍼시 주교가 번역한 폴 앙리 말레의 작품에서 발췌했다.[10]

《불핀치의 신화》는 원래 독일에서 나온 신화를 처음 공부하는 교양 있는 미국인을 위해 출판되었으며, 불필요하게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내용은 제외되었다. 이 책은 미국의 많은 공립 학교에서 여전히 교육되고 있으며, 남북 전쟁 이전의 넓은 독자층에게 고전 문화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비록 에디스 해밀턴의 저작에 의해 대체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고고학적인 내용이 없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3. 2. 집필 의도 및 특징

불핀치는 학자가 아닌 일반 독자를 위한 신화 해설서를 집필하고자 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 《불핀치의 신화》 머리말에서 "우리의 책은 학자들을 위해 씌어진 것이 아니다... 영문학 독자를 위한 책에 가깝다... 일상의 격조 높은 대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이야기를 하나도 빠짐없이 이해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인 것이다."[8]라고 밝혔다.

그는 신화를 딱딱한 학문이 아닌, 이야기책처럼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신화 속의 이야기를 즐거움의 원천이 되는 방법으로 얘기를 풀어가고자 한다."[9]고 자신의 집필 의도를 설명했다.

불핀치는 고전 신화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오비디우스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인용했다.[10] 북유럽 신화의 경우, 토머스 퍼시가 번역한 폴 앙리 말레의 저작을 참조했다.[3]

또한, 불핀치는 원전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기보다는, 불필요하게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내용을 삭제하고 윤리적인 내용을 강조하는 등 일반 독자층을 고려하여 내용을 각색했다. 그의 부고 기사에는 "모든 불쾌한 부분을 삭제했다"라고 언급되기도 했다.[3]

이러한 특징 덕분에 《불핀치의 신화》는 신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한 입문서로 오랫동안 사랑받았으며, 미국의 많은 공립 학교에서 교재로 채택되기도 했다. 마리 샐리 클리어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불핀치의 신화》가 남북 전쟁 이전 시대 미국의 넓은 독자층에게 고전 문화를 "대중화"한 책이라고 평가했다.[4]

3. 3. 평가 및 영향

《불핀치의 신화》는 신화를 대중화한 고전으로, 1855년 첫 작품인 《신화의 시대》가 출판된 이후 16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널리 읽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표준이다. 이 책은 불핀치가 사망한 후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이 정리한 것으로, 로마 이야기, 브리튼 이야기, 프랑스 이야기로 알려진 다양한 신화적 전설을 담고 있다.[8] 불핀치는 자신의 책이 학자나 철학자가 아닌, 일반 영문학 독자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8]

불핀치는 고전 신화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오비디우스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인용했으며, 북구 신화는 토머스 퍼시가 번역한 폴 앙리 말레의 작품에서 발췌했다.[10]

《불핀치의 신화》는 미국 공립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될 정도로 널리 읽혔다. 마리 샐리 클리어리는 이 책이 남북 전쟁 이전 시대에 고전 문화를 "민주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1]

불핀치의 책은 이디스 해밀턴의 저작에 영향을 주었지만, 고고학적인 내용은 담고 있지 않다.[11]

4. 기타 저작

토머스 불핀치는 《불핀치의 신화》 외에도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1853년 《히브리 서정 역사》, 1855년 《신화의 시대》, 1858년 《기사도 시대》, 1860년 《소년 발명가》, 1862년 《샤를마뉴 전설》, 1863년 《신화 시대의 시》, 1865년 《셰익스피어, 독서 수업에 맞춰 각색》, 1866년 《오리건과 엘도라도》를 발표했다.

4. 1. 목록


  • 1853년 - 히브리 서정 역사
  • *: 구약성서의 시편에 관한 연구.
  • 1855년 - 신화의 시대 (The Age of Fable; or, The Beauties of Mythology)
  • *: 그리스·로마 신화를 중심으로,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인도 불교, 북유럽 신화 등 세계 각국의 신화에 대한 연구·해설서.
  • 1858년 - 기사도 시대 (The Age of Chivalry; or, Legends of King Arthur and the Knights of the Round Table)
  • *: 아더 왕과 원탁의 기사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기사도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작품.
  • 1860년 - 소년 발명가 (The Boy Inventor; or, Memoir of Mathew Edwards)
  • *: 불핀치의 보호 아래 있던 가난한 청년 매튜 에드워즈의 죽음을 애도하며 쓰인 작품.
  • 1862년 - 샤를마뉴 전설 (Legends of Charlemagne; or, Romance of the Middle Ages)
  • *: 프랑스의 샤를마뉴 전설을 다룬 작품.
  • 1863년 - 신화 시대의 시 (Poetry of the Age of Fable)
  • *: 위의 각 작품에 인용된 시를 한 권으로 묶은 작품.
  • 1865년 - 셰익스피어, 독서 수업에 맞춰 각색 (Shakespeare Adapted for Reading Classes)
  • 1866년 - 오리건과 엘도라도 (Oregon and Eldorado; or, Romance of the Rivers)

5. 한국어 번역본

토머스 불핀치의 저작들은 다양한 출판사와 역자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 '''《The Age of Fable영어》 번역본'''


오쿠보 히로시 역의 『완역 그리스・로마 신화』, 사도야 시게노부 역의 『그리스 신화와 영웅 전설』, 노가미 야에코 역의 『그리스・로마 신화 - 부록 인도・북유럽 신화』 등이 있다.

  • '''《The Age of Chivalry영어》 번역본'''


아더 왕 전설을 중심으로 한 중세 기사 이야기를 다룬다. 오쿠보 히로시 역의 신역 아더 왕 이야기일본어와 중세 기사 이야기 기사도의 시대일본어, 노가미 야에코 역의 기사도 이야기일본어, 나카지마 코토 역의 기사도 시대일본어 등이 있다.

  • '''《Legends of Charlemagne영어》 번역본'''


이치바 야스오 역, 고단샤 학술 문고에서 2007년에 출판되었다.

5. 1. 《불핀치의 신화》 번역본

The Age of Fable영어 번역

5. 2. 《기사도 시대》 번역본

The Age of Chivalry영어의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新訳 アーサー王物語일본어''' (오쿠보 히로시 역, 카도카와 문고, 1993년) ISBN 404-2243037

: ''The Age of Chivalry'' 중 아더 왕 전설 관련 부분만 번역.

  • '''中世騎士物語 騎士道の時代일본어''' (오쿠보 히로시 역, 카도카와 문고, 1974년)

: ''The Age of Chivalry'' 완역.

  • '''騎士道物語일본어''' (노가미 야에코 역, 이와나미 문고, 개정 1980년) ISBN 400-3222520

: ''The Age of Chivalry'' 중 아더 왕 전설을 중심으로 한 중세 기사 이야기. 초판은 1942년 간행. 와이드판 1991년.

  • '''騎士道時代일본어''' (나카지마 코토 역, 구 토잔보 백과 문고, 1939년)

: ''The Age of Chivalry'' 중 "아더 왕과 원탁의 기사의 이야기"만 번역한 초역판.

5. 3. 《샤를마뉴 전설》 번역본

Legends of Charlemagne영어의 번역본이다. 이치바 야스오 역, 고단샤 학술 문고에서 2007년에 출판되었다(ISBN 406-1598066). 구판은 사회사상사 (현대 교양 문고, 1994년), 문원사(와이드판, 2004년)에서 출간되었다.[10]

6. 평가와 비판

토머스 불핀치는 신화와 전설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데 큰 기여를 했지만, 그의 저작은 비판적인 시각에서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긍정적 평가


  • 대중화 기여: 불핀치는 복잡하고 어려운 신화와 전설을 쉽고 간결한 문체로 풀어내어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의 책은 오랫동안 신화 입문서로 널리 읽혔으며, 신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 광범위한 자료 수집: 불핀치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뿐만 아니라 북유럽 신화, 동양 신화, 아서 왕 전설 등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와 전설을 폭넓게 다루었다. 이는 독자들이 다양한 신화 체계를 접하고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 문학적 가치: 불핀치의 책은 단순한 신화 해설서를 넘어 문학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유려한 문체와 서사적 구성은 독자들에게 흥미와 감동을 선사하며,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비판적 평가

  • 원전 왜곡 및 누락: 불핀치는 신화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원전의 내용을 각색하거나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내용은 순화되거나 삭제되었으며, 이는 원전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시대적 한계: 불핀치의 저작은 19세기에 쓰여졌기 때문에,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시대착오적인 해석이나 편견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이나 유색인종에 대한 묘사는 현대의 가치관과 충돌할 수 있다.
  • 학문적 엄밀성 부족: 불핀치의 책은 학문적인 연구서라기보다는 대중적인 교양서에 가깝다. 따라서 신화의 기원이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은 부족하며, 학문적인 엄밀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토머스 불핀치는 신화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지만, 그의 저작은 비판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독자들은 불핀치의 책을 읽을 때 원전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을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A Book of Decided Usefulness: Thomas Bulfinch’s ‘The Age of Fable’ The Classical Journal 1980-02
[2] 웹사이트 Literary King's Chapel http://www.kings-cha[...] 2022-04-18
[3] 서적 Northern Antiquities: or, a Description of the Manners, Customs, Religion and Laws of the Ancient Danes, And Other Northern Nations; Including Those of Our Own Saxon ancestors. With a translation of the [[Edda]], or system of [[Rune|runic]] mythology, and other pieces, from the ancient [[Icelandic language|Islandic tongue]] London 1770
[4] 문서 1980
[5] 논문 A Book of Decided Usefulness: Thomas Bulfinch’s ‘The Age of Fable’ The Classical Journal 1980-02
[6] 서적 그리스·로마 신화 범우사 2000-09-27
[7] 서적 그리스 로마 신화 하서출판사 1991-04-01
[8] 서적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 https://terms.naver.[...] 창해 2016-09-08
[9] 서적 그리스·로마 신화 범우사 2000-09-27
[10] 서적 Northern Antiquities: or, a Description of the Manners, Customs, Religion and Laws of the Ancient Danes, And Other Northern Nations; Including Those of Our Own Saxon ancestors. With a translation of the [[Edda]], or system of [[Rune|runic]] mythology, and other pieces, from the ancient [[Icelandic language|Islandic tongue]] London 1770
[11] 문서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