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호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호롯은 사람, 도구, 음식 등에 영향을 미치는 제의적 오염인 '부정'에 대한 율법을 다루는 유대교의 율법 조항이다. 부정은 전염성을 가지며, 부정의 정도에 따라 1차에서 4차까지 감염될 수 있다. 주요 부정의 요인으로는 사체, 기는 것, 죽은 채 발견된 것, 정결하게 하는 물, 붉은 암송아지와 아자제르의 염소, 정액, 유출병자, 월경하는 여성, 아이를 낳은 여성, 피부병자 등이 있다. 부정을 씻는 정결례는 미크베에서 물에 담그는 것을 포함하며, 정결례를 마친 후에도 특정 조건에 따라 정결함의 정도가 달라진다. 부정한 사람은 성전 출입이 제한되고, 부정한 음식은 폐기해야 하며, 판단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엄격하게 판단한다. 미쉬나 토호롯은 부정의 심각성과 적용 범위를 고려하여 순서가 정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 - 라숀 하라
    라숀 하라는 유대교에서 금기시하는 '악한 말'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구절로, 험담, 비방, 명예훼손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해를 끼치는 모든 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유대교 - 유대교의 기원
    유대교는 철기 시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서 야훼 신앙이 국가신으로 자리 잡는 과정과 관련되어 있으며, 요시아 왕의 종교 개혁을 통해 야훼 유일신 숭배 강화, 율법 준수 강조, 예루살렘 성전 중심 예배 등의 변화를 겪으며 발전했고, 바빌론 유수와 귀환, 토라의 편집, 다양한 종파 분화, 랍비 유대교 발전 등의 주요 변화를 거쳤다.
토호롯
일반 정보
유형미슈나의 여섯 번째 질서
주제정결례법
구성정결례에 관한 법률
분할미슈나의 열두 논문
탈무드바빌로니아 탈무드에는 해당 사항 없음, 예루살렘 탈무드에는 해당 사항 있음
내용
켈림다양한 종류의 용기와 그들의 부정
오홀로트부정의 확산
네가임피부와 의복의 나병
파라붉은 암송아지 정결 의식
토호롯정결의 일반적인 경우
미크바오트정결 의식에 사용되는 물의 수집
니다여성의 생리적 불순물
마키시린오염의 전염을 가져오는 액체
자빔비정상적인 남성 배출물
테불 욤하루 동안 정결례를 통해 정결하게 된 자
야다임손의 정결
욱치인음식의 오염

2. 부정의 정도

부정(טמאה, 툼아)’은 사람이나 도구, 옷, 음식, 음료수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제의적인 오염을 가리킨다. 여기서 부정은 특정한 통로를 통해서 다른 사람이나 물체에 그 영향을 전이시킬 수 있다는 성격이 매우 중요하며, 이렇게 다른 대상을 오염시키는 존재를 ‘부정의 아버지(אב הטמאה, 아브 핫툼아)’라고 불렀다. 부정해졌지만 다른 대상에게 부정을 전이시키지 않는 존재는 ‘부정의 자식(ולד הטמאה, 발라드 핫툼아)’라고 부르며, 정도에 따라 1~4차까지 감염될 수 있다. 부정의 요인이 되는 존재들을 정도의 차이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으며, 부정이 다른 대상에게 전이되면 한 단계 낮은 상태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순위명칭비고
1부정의 아버지의 아버지(아비 아봇 핫툼아)
2부정의 아버지(아브 핫툼아)
3부정의 자식(발라드 핫툼아)1차 감염자(리숀 레툼아)
42차 감염자(쉐니 레툼아)
53차 감염자(쉘리쉬 레툼아)
64차 감염자(레비이 레툼아)


3. 부정을 전이시키는 요인들

마이모니데스에 따르면, 쎄데르 토호롯에서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부정하게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을 다룬다. 이러한 부정의 요인들은 경전의 순서나 심각성 정도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유대 백과사전에서는 경전의 길이가 감소하는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니다에 대해서만 다루는데, 이는 다른 대부분의 정결법이 예루살렘 성전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루살렘 탈무드는 니다의 네 챕터만 다룬다.

부정을 전이시키는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 '''사체(메트)''': '부정의 아버지의 아버지'이며, 접촉한 사람은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 이를 '사체의 부정(טמא מת|테메 메트he)'이라고 한다.[1]
  • '''기는 것(쉐레츠)''': 레위기에 언급된 8가지 기는 것(두더지, 쥐, 큰 도마뱀 종류, 도마뱀붙이, 육지 악어, 도마뱀, 사막 도마뱀, 카멜레온)의 사체는 접촉을 통해 부정을 전이시킨다.[1]
  • '''네벨라(죽은 채 발견된 것)''': 정결법에 따라 도살되지 않은 모든 동물의 사체는 '부정의 아버지'이다.[1]
  • '''메 하타앗(정결하게 하는 물)''': 붉은 암송아지를 태운 재로 만든 물로, 시체의 부정에 감염된 사람을 정결하게 하지만, 만드는 과정에 참여한 사람은 부정해진다.[1]
  • '''붉은 암송아지와 아자제르의 염소''': 붉은 암송아지를 도살하여 태우는 사람, 속죄일에 아자제르의 염소를 광야로 끌고 나가는 자는 부정하다.[1]
  • '''쉬크밧 제라(정액)''': 9세 이상 유대인 남성에게서 유출된 정액은 접촉하는 사람과 그릇 등을 부정하게 만든다.[1]
  • '''자브(유출병자)''':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유출되는 남성으로, '부정의 아버지'이다.[1]
  • '''닛다(월경하는 여성)''': 이레 동안 부정하며, '부정의 아버지'이다.[1]
  • '''욜레뎃(아이를 낳은 여성)''': 아들을 낳으면 7일, 딸을 낳으면 14일 동안 닛다와 같은 상태가 된다.[1]
  • '''메쪼라(피부병자)''': '부정의 아버지'이며, 접촉, 옮기기, 같은 공간에 있는 것만으로도 부정을 전이시킨다.[1]

3. 1. 사체(מת, 메트)

인간의 시체는 '부정의 아버지의 아버지'이며, 시체와 접촉한 사람은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사체의 부정(טמא מת|테메 메트he)'이라고 부른다.[1]

토기 그릇, 도구, 음식, 음료수가 시체와 접촉하면 '부정의 자식'(1차 감염자)이 된다. 이러한 물건들은 그 자체로 '부정의 아버지'가 될 수 없다.[1]

사체의 부정이 전이되면 사람은 '부정의 아버지'이므로 이레 동안 부정하며, 물건은 '부정의 자식'이므로 해질녘까지 부정하다.[1]

3. 2. 기는 것(שרץ, 쉐레츠)

땅에 붙어서 기거나 기는 것처럼 보이는 동물이나 곤충, 다리가 없거나 없는 것처럼 보이는 파충류, 설치류, 양서류, 연체동물 등을 포함한다. 이런 동물 자체는 부정을 전이시키지 않지만, 기는 것들의 사체는 부정을 전이시킨다.

레위기에서 언급하는 기는 것 8가지는 두더지(족제비), 쥐, 큰 도마뱀 종류(두꺼비), 도마뱀붙이(고슴도치), 육지 악어(특정한 도마뱀 종류), 도마뱀, 사막 도마뱀(달팽이), 카멜레온(두더지)이며, 부정하여 먹을 수 없고 그 사체를 만지면 저녁까지 부정하다.(레위기 11:29-31)[1] 기는 것들을 부르는 고대 히브리어 낱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여 몇 가지 다른 해석 가능성이 있다.[1]

기는 것의 사체는 접촉을 통해 사람과 그릇, 음식, 음료수에 부정을 전이시키지만, 옮기는 것만으로는 부정해지지 않는다.[1]

3. 3. 죽은 채 발견된 것(נבלה, 네벨라)

정결법에 따라 도살되지 않은 모든 동물의 사체는 '부정의 아버지'이며, 직접 접촉하거나 옮기기만 해도 부정이 전이된다.[1]

3. 4. 정결하게 하는 물(מי חטאת, 메 하타앗)

붉은 암송아지를 태운 재로 만든 물( 민수기 19:1-10)로, 시체의 부정에 감염된 사람에게 뿌려 정결하게 한다.[1] 그러나 이 물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한 사람은 부정해진다.[1]

3. 5. 붉은 암송아지와 아자제르의 염소

정결하게 하는 물을 만들기 위해 붉은 암송아지를 도살하여 태우는 사람은 부정하다.[1]

속죄일에 바친 제물 중 아자제르의 염소를 끌고 광야로 나가는 자는 부정하다.

그 외에도 정결 제물로 드린 소나 염소를 진영 밖에서 태워 드리는 자는 부정하다.

3. 6. 정액(שכבת זרע, 쉬크밧 제라)

9세 이상 유대인 남성에게서 유출된 정액은 접촉하는 사람과 그릇, 음식, 음료수를 부정하게 만든다.[1] 정액을 설정한 사람(בעל קרי|바알 케리he)은 1차 감염자로 분류된다.

3. 7. 유출병자(זב, 자브)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유출되는 사람은 '유출병자(זב, 자브)'가 되며, '부정의 아버지'이다.[1] 유출병자는 접촉, 옮기기, 들리기, 앉거나 눕기를 통해 부정을 전이시킨다.[1] 유출병 환자의 침이나 가래도 '부정의 아버지'이다.[1]

일회적으로 체액이 유출되면 그 사람은 1차 감염자로 취급되며, 유출액은 직접 접촉했을 때만 부정을 전이시킨다. 그러나 유출이 반복되면 유출병자(자브)가 되며, 세 번 이상 반복되면 ‘완전한 유출병자’로 확정된다(זב גמור, 자브 가무르).[1]

유출병자는 부정의 아버지이며 직접 접촉하는 사람과 그릇, 음식을 부정하게 만들고, 그를 들어 옮기는 사람, 그가 드는 사람이나 물건에게도 부정이 전이된다. 유출병자 때문에 부정해진 대상은 1차 감염자가 된다.[1] 유출병자가 앉거나 누웠던 자리도 부정해지는데, 이때 부정해진 대상은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1] 유출액 자체도 부정의 아버지이며 접촉하거나 옮기면 감염될 수 있다.[1]

이레 동안 유출이 없으면 정결례를 행하고 정결해진다(레위기 15:13).[1]

정상적인 월경 기간인 이레가 지나서도 유출이 있는 여성은 역시 유출병자(זבה, 자바)가 된다. 열하루를 지나서 계속 유출이 있는지 조사하여 없으면 정결하지만 다시 유출이 있으면 ‘작은 유출병자(זבה קטנה, 자바 케타나)’가 된다. 그 후에도 사흘 동안 계속 유출이 있으면 ‘큰 유출병자(זבה גדולה, 자바 게돌라)’가 된다. 큰 유출병자는 다시 이레의 유출 기간을 지내고, 다시 검사를 받는다.[1]

이 방법은 유출병자와 관련되어 있는데, 원래 앉을 수 있도록 만든 도구나 가구 위에 유출병자가 몸무게를 실어서 앉거나 눕거나 올라타면 부정이 전이된다. 직접 접촉이 없어도 성립한다.[1] 유출병자가 이런 방법으로 부정을 전이시키면 일반적인 원칙과 달리 감염된 대상이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 그리고 감염된 대상은 접촉과 옮기기를 통해 다른 사람과 물건에 부정을 전이시킬 수 있다.[1]

3. 8. 월경하는 여성(נדה, 닛다)

월경하는 여성은 이레 동안 부정하다.[1] '부정의 아버지'이며 유출병 환자와 마찬가지로 직접 접촉, 옮기기, 들리기, 앉거나 눕기를 통해 부정을 전이시킨다.[1]

월경하는 여성과 성관계를 가질 수 없으며, 모르고 죄를 저지르면 정결제물을 바쳐야 한다.[1] 월경하는 여성과 성관계를 한 남성은 '부정의 아버지'이며 월경하는 여성과 마찬가지로 부정을 전이시킨다.[1]

이레가 지나고 더 이상 유출이 없으면 정결례장에서 씻고 정결해진다.[1]

3. 9. 아이를 낳은 여성(יולדת, 욜레뎃)

아이를 낳은 여성은 아들을 낳으면 7일, 딸을 낳으면 14일 동안 부정하며, 월경하는 여성과 같은 상태가 된다.[1]

부정한 기간이 지나면 정결레장에서 씻고 정결해진다.[1]

아이를 낳은 후 아들이면 33일, 딸이면 66일 안에는 유출이 있어도 그 여성은 부정하지 않다(יושבת על דם טהור|요쉐벳 알 담 타호르he).[1]

3. 10. 피부병자(מצורע, 메쪼라)

피부병(צרעת, 짜라앗)에 걸린 사람은 '부정의 아버지'이며, 접촉, 옮기기, 앉거나 눕기, 같은 공간에 있는 것만으로도 부정을 전이시킨다.[1] 피부병은 의류, 가죽 제품,[1] 집에도 발생할 수 있다.[1] 피부병 진단은 제사장이 내리며, 피부병 확진을 받으면 확정된 피부병자(מצרע מוחלט, 메쪼라 무흘랏)가 되어 격리해야 한다(מצרע מוסגר, 메쪼라 무스가르).[1]

피부병자는 다른 사람과 그릇, 음식, 음료수에 직접 접촉하거나 옮기거나, 앉거나 눕는 행위를 통해 부정을 전이시킨다.[1] 또한 피부병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이나 그릇도 부정하다.[1]

피부병에서 회복하면 머리를 깎고 제물을 바쳐야 한다.[1] 정결례 과정에 있는 피부병자를 ‘날을 세는 피부병자(מצורע בימי ספרו, 메쪼라 비메 싸프로)’라고 부르며, 그는 아직 부정의 아버지이며 직접 접촉을 통해 부정을 전이시킨다.[1]

4. 부정을 전이하는 방법

쎄데르 토호롯에서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부정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들을 다룬다.


  • 접촉(מגע, 마가아): '부정의 아버지'와 직접 접촉하면 부정이 전이된다.[1]
  • 옮기기(משא, 마싸): 정결한 사람이 부정한 것을 옮기면 부정이 전이된다.[1]
  • 들리기(היסט, 헤쎗): 유출병 환자가 정결한 사람이나 물건을 움직이면 부정이 전이된다.[1]
  • 얹기(מדרס, 미드라쓰), 앉기(מושב, 모샤브), 눕기(משכב, 미쉬카브), 올라타기(מרכב, 미르카브): 유출병 환자가 앉거나, 눕거나, 올라타면 부정이 전이된다.[1]
  • 들어오기(ביאה, 비아): 피부병(짜라앗)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으면 부정이 전이된다.[1]
  • 덮기(אהל, 오헬): 시체가 사람이나 물건을 덮거나, 반대로 사람이나 물건이 시체를 덮거나, 시체가 사람/물건과 같은 공간에 있으면 부정이 전이된다.[1]

4. 1. 접촉(מגע, 마가아)

'부정의 아버지'와 직접 접촉하면 부정이 전이되어 1차 감염자가 된다.[1] 이때 '부정의 아버지'와 육체적으로 직접 접촉해야 하며, 중간에 사람이나 물체가 끼어들어서는 안 된다.[1]

4. 2. 옮기기(משא, 마싸)

정결한 사람이 부정한 사람이나 물건을 들어 옮기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동시킬 때 부정이 전이된다(옮기기 부정).[1] 이 부정은 부정의 요인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도 성립된다.[1]

자연스럽게 옮기기 부정은 사람에게만 적용된다.[1] 랍비들은 막대기로 밀거나 수레를 차서 짐이 움직여도 부정이 전이된다고 주장한다.[1]

4. 3. 들리기(היסט, 헤쎗)

유출병 환자가 정결한 사람이나 물건의 무게를 지탱하거나 움직이게 하면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도 부정이 전이된다.[1]

4. 4. 얹기(מדרס, 미드라쓰), 앉기(מושב, 모샤브), 눕기(משכב, 미쉬카브), 올라타기(מרכב, 미르카브)

유출병자가 앉거나, 눕거나, 올라타는 행위를 통해, 원래 앉도록 만들어진 도구나 가구에 부정이 전이된다. 이는 직접 접촉이 없어도 성립한다. 이렇게 유출병자에 의해 부정해진 대상은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1] 이 대상은 접촉과 옮기기를 통해 다른 사람과 물건에 부정을 전이시킬 수 있다.

4. 5. 들어오기(ביאה, 비아)

피부병(짜라앗)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이나 그릇은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도 부정하게 된다.[1] 피부병이 발견된 옷이나 집도 마찬가지이다.[1]

이 공간에 머물지 않고 지나가기만 하면 부정은 전이되지 않는다.[1]

4. 6. 덮기(אהל, 오헬)

어떤 공간을 길이 1 테팍, 너비 1 테팍 이상인 넓이로 덮으면, 그 공간에 인간의 시체와 함께 있을 때 부정이 전이된다.[1]

덮기 부정에는 다음 세 가지가 있다.[1]

경우설명
(1)시체가 다른 사람이나 물건을 덮는 경우
(2)사람이나 물건이 시체를 덮을 경우
(3)시체가 다른 사람이나 물건과 같은 공간에 노출되었을 경우


5. 부정에 감염되는 대상들

부정은 사람, 물건, 음식, 음료수에 전이될 수 있다. 히브리 성서에 따르면 사람과 물건은 부정의 아버지의 아버지와 부정의 아버지에 의해서만 부정해질 수 있지만, 랍비들은 더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였다. 반면 음식과 음료수는 부정의 자식에 의해서도 부정해질 수 있다.[1]

5. 1. 사람(אדם, 아담)

미쉬나에서 '사람'은 유대인을 가리키며, 외국인은 부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았다.[1]

그러나 후대 랍비들은 모든 외국인을 유출병자와 같다고 간주했다.[1]

5. 2. 물건(כלים, 켈림)

부정에 감염될 수 있는 물건에는 다음 7가지가 있다.

  • 나무로 만든 도구[1]
  • 가죽으로 만든 그릇이나 도구[1]
  • 염소 가죽으로 만든 자루[1]
  • 뼈로 만든 도구들
  • 토기
  • 금속 그릇이나 도구
  • [1]


히브리 성서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랍비들이 정결법과 관련해서 추가하여 논의하는 물건으로는 유리 그릇이 있다.

물건은 다음과 같은 부정에 감염되면 부정의 아버지가 된다.

  • 사체의 부정 때문에 부정해진 사람과 접촉한 물건은 부정해진다.
  • 금속 그릇이나 도구와 토기를 제외한 물건이 사체와 접촉하면 부정해진다.
  • 유출병자가 앉거나 누운 의자나 침대는 부정해진다.
  • 피부병에 감염된 옷이나 천은 부정해진다.


부정해진 물건이 부서지면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감염되었던 부정도 소멸되고 정결해진다. 금속이 아닌 다른 재료로 만든 그릇은 부서진 조각들을 수선하여 다시 그릇으로 만들어도 원래 부정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금속 그릇은 다시 그릇으로 만들면 원래 부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토기를 제외한 모든 물건은 정결례장(히브리어: מקוה|미크베he)에서 물에 담그면 정결해진다.

토기를 제외한 모든 물건은 부정의 아버지와 접촉하면 바깥 면과 안쪽 면의 구별없이 부정해진다. 토기는 부정의 아버지가 안쪽 면에 떨어져야 전체가 부정해지며, 토기의 바깥 면에만 접촉했다면 안쪽 면은 계속해서 정결하다. 부정의 아버지가 토기의 안쪽 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그 그릇 안쪽 공간에 있으면 그릇 전체가 부정해진다.

5. 3. 음식(אוכלין, 옥흘린)

음식에는 성별하지 않은 일상적인 음식(חולין|훌린he), 성별하여 바친 음식(תרומה|테루마he), 지극히 거룩한 음식(קדש|코데쉬he)의 세 가지가 있다. 음식은 사람이나 물건과 달리 부정의 아버지뿐만 아니라 부정의 자식과 접촉해도 부정해진다. 이때 음식은 2-4차 감염자가 된다.[1]

부정에 감염된 음식은 다음과 같이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1]

  • 성별하지 않은 일상적인 음식(훌린)은 부정에 감염되면 2차 감염자가 되지만 그 이하 3-4차 감염자는 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2차 감염자와 접촉해도 부정해지지 않으며 정결을 유지한다.[1]
  • 성별하여 바친 음식(테루마)은 부정에 감염되면 3차 감염자가 되지만 그 이하 4차 감염자는 될 수 없다. 3차 감염자와 접촉해도 부정해지지 않으며 정결을 유지한다.[1]
  • 지극히 거룩한 음식(코데쉬)은 4차 감염자가 되는 유일한 음식이다. 4차 감염자와 접촉해도 부정해지지 않으며 정결을 유지한다.[1]


3차 감염자가 된 성별한 음식과 4차 감염자가 된 지극히 거룩한 음식은 원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지만 다른 음식에 부정을 전이하지 않으며, 이런 음식은 무효(פסול|파쑬he)가 되었다고 부른다.[1]

음식은 특정한 액체 7가지로 젖은 이후에만 부정에 감염될 수 있다(הכשר|헤크쉐르he; 음료수 참조).[1]

5. 4. 음료수(משקין, 마쉬킨)

랍비들은 정결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7가지 액체에 대해 모두 동의한다.[1]

그 외 과일에서 나오는 과일즙도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다.[1]

음료수는 헤크쉐르도 필요없고 최소한의 용량도 상관없이 부정의 영향을 받는다.[1]

6. 부정을 씻는 정결례

제의적 부정(טמאה, 툼아)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사람, 도구, 옷, 음식, 음료수 등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을 말한다. 부정은 특정 통로를 통해 다른 사람이나 물체에 영향을 전이시킬 수 있으며, 다른 대상을 오염시키는 존재를 '부정의 아버지(אב הטמאה, 아브 핫툼아)'라고 불렀다. 부정해졌지만 다른 대상에게 부정을 전이시키지 않는 존재는 '부정의 자식(ולד הטמאה, 발라드 핫툼아)'라고 부르며, 정도에 따라 1~4차까지 감염될 수 있다. 부정이 다른 대상에게 전이되면 한 단계 낮은 상태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부정의 요인이 되는 존재들을 정도의 차이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명칭비고
1부정의 아버지의 아버지(아비 아봇 핫툼아)
2부정의 아버지(아브 핫툼아)
3부정의 자식(발라드 핫툼아)1차 감염자(리숀 레툼아)
42차 감염자(쉐니 레툼아)
53차 감염자(쉘리쉬 레툼아)
64차 감염자(레비이 레툼아)


6. 1. 정결례의 종류

대부분의 부정은 정결례장(מקוה, 미크베)에서 물에 몸을 담가 정결하게 할 수 있다.

사체의 부정은 붉은 암송아지를 태운 재로 만든 속죄의 물을 뿌리고 정결례장에서 물에 담가야 한다.

피부병자는 새를 제물로 드리는 제사, 털 깎기, 정결례를 통해 정결해진다.

6. 2. 정결례 후의 상태

טבול יום|테불 욤he이라고 불리는 '낮에 씻은 사람'은 정결례를 마쳤지만 해가 질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아직 완벽하게 정결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된다. 낮에 씻은 사람은 일상적인 음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둘째 십일조를 먹을 수 있다. 그러나 성별한 음식이나 지극히 거룩한 음식에 접촉하면 부정을 전이시켜 3차 감염자로 만든다. 또한 이들은 '여인들의 뜰'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1]

מחוסרי כפורים|메후쓰레 킵푸림he이라고 불리는 '제물까지 바쳐야 하는 경우'는 일반적인 정결례 외에 성전에 제물을 바쳐야만 완전히 정결해지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유출병에 걸린 남녀, 피부병자, 그리고 아이를 낳은 여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정결례를 마친 다음 날 제물을 바쳐야 하며, 제사가 끝날 때까지는 완전히 정결해지지 않으므로,[1] 제사가 끝날 때까지 성전에 출입할 수 없으며 거룩한 음식을 먹을 수 없다.[1]

7. 정결법과 관련된 사후처리

부정한 사람이 성전에 들어오면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끊어지고(כרת, 카렛), 신께 버림받고 죽게 된다.[1] 부정한 물건을 성전에 들여오면 채찍질을 받는다.

부정한 음식은 불태워야 한다. 성별한 음식(תרומה|테루마he)이나 지극히 거룩한 음식(קדש|코데쉬he)이 부정해지면 제물로 바칠 자격이 무효(פסול, 파쑬)가 되며 불로 태워야 한다. 지극히 거룩한 음식과 둘째 십일조가 부정해지면 불에 태워야 한다. 성별한 제물이 부정해지면 제물로는 쓸 수 없지만 불쏘시개나 등잔 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부정한 사람은 성별한 음식이나 지극히 거룩한 음식을 먹을 수 없다.

8. 판단이 불분명한 부정

어떤 사람이나 그릇, 도구가 부정하게 만드는 요인에 노출되었는지 불분명한 경우에는, 의심이 드는 한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의심이 드는 상황이 개인적인 영역에서 나타났다면 부정하다고 판단하고, 공공 영역에서 나타났다면 정결하다고 판단한다.

부정하다는 의심은 상황을 묻고 대답을 들을 수 있을 만큼 지성이 있는 사람일 때만 성립된다.

9. 미쉬나 토호롯의 순서

마이모니데스는 미쉬나 토호롯의 순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이유를 제시한다.


  • '''켈림(Kelim)'''은 부정의 단계를 소개하고, 다양한 부정이 어떤 대상에 적용되는지를 규정하기 때문에 맨 처음에 나온다.
  • '''오홀롯(Oholot)'''은 가장 심각한 유형의 부정을 설명하기 때문에 그 다음에 나온다.
  • '''네가임(Negaim)'''은 심각성 측면에서 오홀롯 다음이며, 시체와 마찬가지로 ''메초라''(metzorah)가 천막 부정을 전달하기 때문에 네가임 다음에 파라(Parah)가 나온다. 파라는 이미 다루어진 심각한 부정에 대한 정화를 설명한다.
  • 다음 단계는 덜 심각한 부정('''토호롯(Tohorot)''')과 그것을 정화하는 방법인 침례('''미크바옷(Mikvaot)''')이다.
  • '''니다(Niddah)'''는 덜 심각한 부정이지만, 오직 일부 사람(여성)에게만 적용된다는 특징이 있어 그 다음에 나온다.
  • '''마크시린(Makshirin)''', '''자빔(Zavim)''' 및 '''테불 톰(Tevul Tom)'''은 경전의 순서에 따라 ''니다'' 다음에 나온다.
  • 다음 단계는 랍비의 부정만 다루는 '''야다임(Yadaim)'''이다.
  • '''우크친(Uktzin)'''은 제한적이고 경전적 근거가 없으며, 율법은 현자들의 추론에서 파생되었으므로 마지막에 나온다.


한편, 유대 백과사전은 경전이 길이가 감소하는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고 보았다.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니다만 다루며, 예루살렘 탈무드는 니다의 네 챕터만 다룬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정결법이 예루살렘 성전이 없을 때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