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모니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모니데스는 1135년 또는 1138년 코르도바에서 태어난 유대인 랍비, 철학자, 의사이다. 그는 유대교 법률을 집대성한 14권의 저작 《미슈네 토라》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킨 철학 저서 《길을 잃은 자들을 위한 안내서》를 저술했다. 마이모니데스는 의학에도 정통하여 살라딘의 궁정 의사로 활동했으며, 그의 저술은 유대교, 철학, 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유대교 신앙을 13가지 원리로 정리했으며, 부정 신학을 통해 신을 묘사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5년 출생 - 망누스 하랄손
망누스 하랄손은 하랄 4세의 사생아 아들로, 12세기 중반 시구르 2세, 잉에 1세, 에이스테인 2세와 함께 1142년부터 1145년까지 노르웨이를 공동 통치했으나, 전사로서의 공적 없이 병으로 요절하여 노르웨이 역대 왕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랍비 - 요하난 벤 자카이
요하난 벤 자카이는 1세기 유대교 랍비이자 바리새파 학자로, 예루살렘 공방전 중 평화를 옹호하며 야브네에 학교를 세워 유대교 재건에 기여하고 랍비 유대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랍비 - 랍비 아키바
랍비 아키바는 1세기 후반에서 2세기 초 유대교 율법학자로서, 무학에서 시작하여 토라의 구전 전승을 정리하고 해석하여 할라카 발전에 기여했으며, 바르 코흐바의 난 당시 바르 코흐바를 메시아로 인정하고 로마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의학자 - 카를 융
카를 융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 창시자로,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으나 집단 무의식, 원형, 개성화 등의 독자적인 개념을 제시하며 심리학, 종교,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즘과의 관계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의학자 - 허준
허준은 조선 중기의 의관으로, 서자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뛰어난 의술로 선조의 주치의를 역임하고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동아시아 의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후 정1품 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마이모니데스 | |
---|---|
기본 정보 |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중동 철학, 유대 철학 |
시대 | 중세 철학, 12세기 철학 |
학파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주요 관심사 | 신학 할라카 천문학 의학 |
주요 저서 | 미슈네 토라 길 잃은 자들을 위한 지침서 |
주요 사상 | 마이모니데스의 규칙 황금률 13가지 믿음의 원칙 |
영향 받은 인물 | 탈무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 파라비 아비센나 아벰파체 아베로에스 알-가잘리 |
영향을 준 인물 | 사실상 모든 후대 유대 철학 상당한 가톨릭 신학 특히 바뤼흐 스피노자,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제임스 조이스, 장 보댕,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아이작 뉴턴, 레오 스트라우스, 마르틴 부버, 프란츠 로젠츠바이크, 미하엘 프리들렌더, 에밀 파켄하임, 에마뉘엘 레비나스 |
기타 정보 | |
![]() | |
배우자 | (1) 나다니엘 바루흐의 딸 (2) 미샤엘 할레비의 딸 |
2. 생애
마이모니데스는 1135년 또는 1138년 스페인의 코르도바에서 태어나 1204년 이집트 푸스타트에서 사망한 유대교 랍비, 의사, 철학자이다. 그는 알-안달루스와 북아프리카에서 활동했으며, 중세 유대 철학과 이슬람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자신을 "스페인인 모세 랍비 마이몬의 아들"(משה ברבי מימון הספרדי)이라고 불렀다.[124][125] 아랍어로는 "오바댜의 아들 마이몬의 아들 모세" (أَبُو عَمْرَان مُوسَى بْن مَيْمُون بْن عُبَيْد ٱللّٰه ٱلْقُرْطُبِيّ, ''Abū ʿImrān Mūsā bin Maimūn bin ʿUbaydallāh al-Qurṭubī'') 또는 "마이몬의 아들 모세" (موسى بن ميمون)라고 불렸다. 그리스어로는 Μωησής Μαϊμονίδης "모세 마이모니데스"로 표기된다. 그는 때때로 "위대한 독수리"(הנשר הגדול, haNesher haGadol)로도 알려져 있다.
마이모니데스는 무와히드 왕조의 종교 박해를 피해 가족과 함께 모로코의 페스, 팔레스타인의 아크를 거쳐 이집트의 카이로와 푸스타트에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유대력에 관한 논문을 쓰고, 『미슈나 주해』 편집에 착수하는 등 학문적 활동을 이어갔다.[122]
1953년 이스라엘에서 국제 과학사 회의가 개최된 것을 기념하여 그의 우표가 발행되었고,[144] 그의 초상화는 이스라엘 지폐에도 사용되었다.[145]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135년 또는 1138년 스페인의 코르도바에서 태어났다. 당시 코르도바는 무와히드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유대교와 기독교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1165년경 카이로로 이주하였다.[124][125]마이모니데스는 대대로 랍비 가문 출신으로, 그의 가족은 판사, 학자, 재정가를 배출했다.[126] 그의 아버지 마이몬 벤 조셉은 학자이자 코르도바 유대교 사회의 최고 판사이기도 했다.[127] 마이모니데스는 아버지로부터 토라를 배웠으며,[129] 어린 시절부터 과학과 철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아랍어 번역을 통해 고대 그리스 철학을 접하고 이슬람 문화의 과학과 학문에 몰두했다.[15]
무와히드 왕조의 박해를 피해 알메리아 지방을 거쳐 모로코의 페스로 이주하였다. 방랑 생활 중에도 유대력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고, 1168년에는 『미슈나 주해』를 완성하여 발표하였다.[122] 페스에서는 숨어 지내는 유대교도를 옹호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132] 1166년에는 카이로 남부의 푸스타트로 이주하였다.[129]
2. 2. 이집트에서의 활동
1165년경 카이로로 이주한 마이모니데스는 그곳에서 의사로 일했다. 그러던 중 살라흐 앗 딘에게 발탁되어 그와 그의 아들 알 아프달의 주치의가 되었다. 그 후 카이로의 유대교단을 지휘하였다.1168년에는 오랫동안 편집해왔던 『미슈나 주해』를 발표했다. 1173년에는 이집트를 지배하는 아이유브 왕조의 군주 살라딘의 왕비를 시중드는 여성과 결혼했다.[139]
마이모니데스는 아이유브 왕조의 카디 알-파딜과 친분을 맺고, 1185년[140](혹은 1187년경[141])에 궁정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알-파딜의 신임을 얻게 되면서 의사로서의 명성이 높아졌고, 궁정 의원으로서의 명성은 그를 카이로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의 지위에 올려놓았다.[141] 1185년에는 아들이 태어났고, 아들에게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을 지었다.[141]
마이모니데스는 살라딘과 그의 아들 알-아지즈의 시의가 되어 이슬람의 왕족, 귀족들을 진찰했다.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로부터 잉글랜드 왕실의 시의가 될 것을 제안받았지만, “야만적인” 유럽 세계보다 “문명적인” 이슬람 세계를 더 좋아하여 권유를 거절했다.[123][142]
이주 후, 현지 유대교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며,[125] 직무에는 무보수로 종사했다.[129] 유대인 사회에서 발생한 법적 문제에 적절한 답변을 해주었고, 상담자들은 모세를 칭찬했다.[137] 하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병상에 눕는 일이 많아지고, 종종 카라이트파와 대립했다.[133] 푸스타트 이주 후, 바빌로니아파와 팔레스타인파로 나뉘어 서로 다른 종교 의례를 행하는 현지 유대인의 통합을 시도했다.[138]
2. 3. 사망
רמב"ם|람밤he은 1204년에 푸스타트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갈릴리 호수변의 티베리아스에 매장되었고, 그 무덤은 지금도 순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143] 장례 행렬은 베두인에게 습격당했지만 참례자들은 동요하지 않았고, 베두인들도 장례 행렬에 합류했다는 전승이 남아 있다.[143] 카이로의 랍비 모세 벤 마이몬의 회당 지하의 한 방은, 병들고 가난한 유대교도들이 밤을 보내며 치유를 기원하는 곳이 되었다.3. 주요 저서
마이모니데스는 강의보다 저술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전달하는 것을 선호했다.[146] 그의 저서는 주로 아랍어로 쓰였지만, 곧바로 히브리어로 번역되었고, 사후 수십 년 후에는 라틴어로도 번역되어 유럽 철학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유대교 법률을 집대성한 《미슈네 토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려 한 《길을 잃은 자들을 위한 안내서》, 미슈나에 대한 주석서인 《미슈나 주해》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의학원리집》과 같은 의학 관련 저서도 남겼다.
3. 1. 미슈네 토라
《미슈네 토라》는 마이모니데스가 유대교 법률을 집대성한 14권의 저작이다. 이 책은 탈무드의 모든 구속력 있는 법률을 모아 게오님의 견해를 통합하고 있으며, 유대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유대인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하였다.[75] 《미슈네 토라》는 후대의 유대법 성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르바 아 투림과 술한 아루크 등의 저서는 이 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75]마이모니데스는 가능한 한 광범위하고 심오한 유대법 법전을 만들고자 했다. 이 작업은 탈무드에서 모든 구속력 있는 법을 수집하고 게오님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75]
후대의 유대법 법전인 라비 야아코브 벤 아셰르의 『알바 아 투림』, 라비 요세프 카로의 『술한 아루크』는 『미슈네 토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출판 당시 많은 반대가 있었다. 그에는 주로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벤 마이몬은 저술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원전에 대한 참조를 붙이지 않았다. 둘째, 서론에서 유대법을 완결에 이르게 하기 위해 탈무드 연구를 “잘라내려” 하는 인상을 주었다. 후에 그는 그러한 의도가 없었다고 적고 있다. 그의 가장 강력한 반대자는 프로방스의 랍비들이었고, 아브라함 벤 다비드(라아바드 3세)의 비판은 『미슈네 토라』의 거의 모든 판본에 인쇄되어 있다.[75]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슈네 토라》는 할라카(유대법) 체계화를 위한 기념비적인 공헌으로 인식되었다. 수세기 동안 널리 연구되었고, 그 할라카적 결정은 후대의 판결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라비 요세프 카로는 『미슈네 토라』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술한 아루크』나 다른 후대의 법전을 따르도록 강요하려는 사람들에게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누가 람반(벤 마이몬)을 따르는 공동체에 다른 재판관을 따르도록 강요할까? …람반은 최고의 재판관이며, 이스라엘 땅과 아랍 땅, 마그레브 여러 나라의 모든 공동체는 그의 말에 따라 실천하고 그를 그들의 랍비로 받아들이고 있다.”[75]
그의 자주 인용되는 법적 격언에 “'''죄 없는 한 사람을 사형시키느니 차라리 천 명의 범죄자를 무죄로 풀어주는 것이 낫다'''”가 있다. 그는 절대적인 확실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피고의 사형을 집행하면 증명 책임의 감소로 이어지고 우리는 함부로 유죄 판결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논했다.[75]
3. 2. 길을 잃은 자들을 위한 안내서
《길을 잃은 자들을 위한 안내서》(아랍어: دلالة الحائرين, dalālat al-ḥā'irīn, 히브리어: מורה נבוכים, Moreh Nevukhim, 줄여서 『인도』라고도 함)는 마이모니데스의 대표적인 철학 저서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고 구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25] 이 책은 주데오-아랍어(히브리 문자로 표기된 고전 아랍어)로 쓰였으며, 1186년에서 1190년 사이에 완성되었다.마이모니데스는 이 책에서 토라의 성구에 숨겨진 의미를 아리스토텔레스 학파[125]와 알킨디, 아비세나 등 아랍 철학자들의 견해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유대교 신학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128] 그는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상 세계에 대한 권위자이지만, 계시는 천상 세계에 대한 권위자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에 대한 지식에서 철학과 계시는 합일하며, 진리 추구는 종교적인 의무라고 보았다.
이 책은 그의 제자인 세우타의 요셉 벤 유다에게 보낸 세 부분으로 구성된 서간 형태이며, 마이모니데스의 철학적 견해를 보여주는 주요 정보원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 "우리의 성스러운 율법의 진리를 믿도록 훈련받고, 도덕과 종교적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며, 동시에 철학적 연구에도 능숙한 종교인을 계몽하기 위해서."
- "예언자들에게 나타나는 어떤 모호한 이상현상을 설명하려는 것으로, 그것들은 이상현상으로 엄밀하게 특징지어지지 않았다. 무지하고 피상적인 독자는 그것들을 상징적이지 않고 문자 그대로 해석한다. 지식 있는 사람조차도 문자 그대로 이해할 때는 당황하게 되지만, 우리가 그 상징을 설명하거나, 그 어휘가 단순한 비유임을 시사하면 당황에서 완전히 해방된다."
또한 그는 유대 신비주의에서 성경의 주요 두 가지 신비적 텍스트인 창세기(베레시트)의 창조 신학과 에스겔서의 하나님의 전차(메르카바) 신학에 관한 부분에 체계적인 주석을 달았다.
《길을 잃은 자들을 위한 안내서》는 출판 이후 "중세의 나머지 시대의 거의 모든 철학 작품은 마이모니데스의 견해를 인용, 주석 또는 비판"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의 기독교 신학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125][128] 유대교 내부에서도 널리 보급되었지만, 일부 공동체에서는 연구를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등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147]
3. 3. 기타 저서
《미슈나 주해》는 1166년부터 1168년까지 저술된 미슈나에 대한 주석서이다.[19] 마이모니데스는 23세에 미슈나 주석을 쓰기 시작하여 30세에 출판했다고 전해진다.[19]4. 철학 및 신학 사상
마이모니데스는 유대 학문, 율법(할라카), 철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당대는 물론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려 노력했다. 그는 『길을 잃은 자를 위한 안내』에서 토라에 포함된 법 조항의 기능과 목적을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설명하며, 철학과 계시가 진리 추구에 있어 합일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견해는 당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65]
그는 미슈나 주석(산헤드린 10장)에서 유대교의 필수적인 신앙으로 여겨지는 "13개의 신앙 원리"를 공식화했다. 이 원리들은 하느님의 존재, 유일성, 영성, 영원성, 숭배의 대상, 예언자들을 통한 계시, 모세의 탁월함, 토라의 신성한 기원과 영구성, 하느님의 전지전능함, 의로움에 대한 보상과 악에 대한 벌, 유대 메시아의 도래, 죽은 자의 부활을 포함한다. 이 원리들은 처음에는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널리 받아들여져 정통 유대인들의 핵심 신앙 원리로 간주된다.[67]
마이모니데스는 신정론 문제에 대해서도 저술했는데, 그는 악이 선의 부재일 뿐이며, 신은 악을 창조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상에는 세 가지 유형의 악, 즉 자연이 초래하는 악,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가하는 악, 인간이 스스로에게 가하는 악이 있다고 보았다.[83][84][85][86]
또한, 마이모니데스는 점성술을 비판하며, 인간의 운명이 별자리에 달려 있다는 개념을 조롱했다. 그는 합리적인 증거, 감각적 증거 또는 신뢰할 수 있는 권위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는 것만 믿어야 한다고 주장했다.[87]
마이모니데스의 주요 저작으로는 『미슈네 토라』, 미슈나 주석, 『길을 잃은 자를 위한 안내』, 미츠봇의 책, 테슈보트 (답변), 논리학 논고 등이 있다.
마이모니데스는 이슬람 철학자들, 특히 "제2의 스승"이라 불리는 알 파라비와 "제1의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철학적 사상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둔스 스코투스 등 스콜라 철학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64]
4. 1. 신 존재 증명과 부정 신학
마이모니데스는 아브라함의 신을 철학자들이 필연적 존재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시했다. 그는 신이 우주에서 유일하며, 토라(율법)는 그러한 유일성 때문에 신을 사랑하고 두려워하라고 명령한다고 보았다(신명기 10:12).[74] 마이모니데스에게 이것은 신의 작품을 묵상하고 그 창조에 들어간 질서와 지혜에 경탄해야 함을 의미했다. 이렇게 할 때, 사람은 필연적으로 신을 사랑하게 되고 신에 비해 자신의 무력함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74]마이모니데스는 스콜라 철학과 유사하게, 신이 계시한 진리와 인간의 마음이 발견한 과학 및 철학적 결과 사이에는 모순이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과 탈무드의 가르침에 의존하여 후자의 근거를 전자에서 찾는다고 주장했다.[75]
마이모니데스는 신플라톤주의 주석가들에 대한 존경심으로 인해 부정 신학의 신봉자가 되었다. 부정 신학에서는 신을 부정적인 속성을 통해 묘사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어, "신은 존재한다"라고 말하는 대신 "신은 비존재가 아니다"라고 말하고, "신은 지혜롭다"라고 말하는 대신 "신은 무지하지 않다"라고 말하는 식이다. 즉, 신이 "무엇인가"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무엇이 아닌가"를 묘사함으로써 신에 대한 지식을 얻고 표현하려는 것이다.[76]
마이모니데스는 신이 유형적 존재가 아니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것은 그의 우상 숭배에 대한 생각의 중심이었다. 그는 성서에 나오는 신에 관한 모든 인격화된 구절은 비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6] 또한 신이 이성, 지성, 과학, 그리고 자연을 구현하고 전능하며 묘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78] 그는 과학, 과학 분야의 발전, 그리고 자연의 이해를 통한 미지의 발견이 신을 감사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78]
길을 잃은 자를 위한 안내 제3권 28장[89]에서 마이모니데스는 지적 완성을 가져오는 신에 대한 믿음인 "참된 믿음"과 사회 질서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필요한 믿음"을 구분한다. 그는 신에 대한 인격화된 진술을 후자의 범주에 놓는다. 그는 예로서 신이 악을 행하는 사람들에게 "분노"한다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아비케나의 견해를 따라 신은 인간의 감정이 없으므로 사람들에게 분노하지 않지만, 사람들이 신이 분노한다고 믿는 것이 중요하며, 그래야 그들이 악을 행하는 것을 그만둘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4. 2. 13가지 신앙 원리
마이모니데스는 유대교의 핵심 신앙을 13가지 원리로 정리했다. 이 13가지 신앙 원리는 다음과 같다.[140]번호 | 내용 |
---|---|
1 | 신의 존재 및 창조주 |
2 | 신의 유일성 |
3 | 신의 영성(精神性)과 비물질성 |
4 | 신의 영원성 |
5 | 유일신만이 숭배의 대상 |
6 | 신의 예언자를 통한 계시의 신뢰성 |
7 | 예언자들 중 모세의 탁월성 |
8 | 시나이산에서 주어진 신의 토라 |
9 | 신의 토라의 불변성 |
10 | 신의 인간 행위에 대한 전지(全知) |
11 | 선행에 대한 상과 악행에 대한 응보 |
12 | 메시아의 도래 |
13 | 죽은 자의 부활 |
이 원리들은 처음에는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널리 받아들여져 정통 유대인들의 핵심 신앙 원리로 간주된다.
4. 3. 예언과 계시
마이모니데스는 예언을 이성과 지성을 통해 신을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했다. 그는 모든 인간이 학문과 명상을 통해 예언자적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예언자가 되기 위해서는 신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이전의 생각들(예를 들어, 라비 유다 할레비가 그의 『쿠자리』에서 묘사한 바와 같이)을 명시적으로 거부하지는 않았다.[44] 마이모니데스는 예언이 가장 학식 있고 세련된 개인의 최고 목표라고 가르친다.4. 4. 악의 문제
마이모니데스는 신정론(신의 존재와 악의 존재를 조화시키려는 철학적 시도)에 대해 저술하면서, 전능하고 선한 신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받아들였다.[83][84][85][86] 그는 "혼란에 빠진 자들을 위한 안내서"에서 인간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악은 개인의 속성에서 비롯되고, 모든 선은 보편적으로 공유되는 인간성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안내서 3:8).마이모니데스는 신이 전능하고 전능선하다는 가정하에 악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악은 단지 선의 부재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신은 악을 창조하지 않았고, 선이 없는 곳에 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안내서 3:10).
마이모니데스는 세상에서 악이 선보다 더 크다는 일반적인 견해에 대해, 인간의 관점에서만 존재를 보면 악이 선을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주 전체를 보면 선이 악보다 훨씬 더 흔하다고 말했다(안내서 3:12).
마이모니데스는 세상에는 세 가지 유형의 악이 있다고 보았다.
- 자연이 초래하는 악
-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가하는 악
- 인간이 스스로에게 가하는 악 (안내서 3:12)
마이모니데스는 첫 번째 유형의 악이 가장 드물지만 가장 필요하며, 삶과 죽음의 균형 자체가 신의 계획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두 번째 유형의 악은 비교적 드물고 인류가 스스로 초래한다고 썼다. 세 번째 유형의 악은 인간이 스스로에게 가하는 것이며 세상 대부분 고통의 원인인데, 사람들이 자신의 육체적 욕망에 굴복한 결과이다. 마이모니데스는 스스로에게 가하는 해악에서 비롯되는 대부분의 악을 막으려면 자신의 신체적 충동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4. 5. 점성술 비판
마이모니데스는 마르세이유에서 온 점성술에 관한 질문에 답하면서, 합리적인 증거, 감각적 증거 또는 신뢰할 수 있는 권위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는 것만 믿어야 한다고 했다.[87] 그는 자신이 점성술을 연구했으며, 그것이 과학으로 묘사될 만한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운명이 별자리에 달려 있다는 개념을 조롱하며, 그러한 이론이 삶의 목적을 빼앗고 인간을 운명의 노예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88]5. 의학적 업적
마이모니데스는 천식, 치질, 성교,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의 격언에 대한 주석, 양생론, 중독학, 의료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의학 저서를 남겼다. 의학 관련 저서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의학지언집(al-Fuṣūl fil-Ṭibb)』이다.[152] 그는 할례법을 개선하였으며, 치질은 변비에서부터 생긴다고 하여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채소를 주식으로 하는 가벼운 식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52]
6. 영향 및 유산
마이모니데스의 미슈네 토라(Mishneh Torah)는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에게 유대법과 윤리의 주요 권위 있는 성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며, 후대의 다른 성문화들이 종종 비교 대상으로 삼는 표준이 되었다.[99] 이는 랍비 예시바(yeshivot, 신학교)에서 깊이 연구되고 있다. 그의 묘비명으로도 사용된 중세의 유명한 말은 "토라의 모세(Mosheh)에서 모세(마이모니데스, Mosheh)까지, 모세와 같은 자는 없었다."이다. 이는 주로 그의 랍비 저술을 가리킨다.[37]
마이모니데스는 중세 유대 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Aristotelian thought)을 성경적 신앙에 적용하여 후대 유대 사상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101] 그의 사후 1세기 후, 스페인의 유대인들은 마이모니데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전통적인 신앙과 관습을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적용하려고 시도하여, 스페인과 남프랑스 유대인 사회에서 지적 논쟁(Maimonidean Controversy)을 불러일으켰다.[102]
마이모니데스에 대한 가장 엄격한 중세 비판은 하스다이 크레스카스(Hasdai Crescas)의 오르 아도나이(Or Adonai)이다. 크레스카스는 종교 문제뿐만 아니라 중세 과학(물리학과 기하학과 같은)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에서도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의 확실성을 파괴함으로써 절충주의적 경향에 반기를 들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성경적 신앙을 개척적으로 종합한 덕분에, 마이모니데스는 기독교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아퀴나스는 『명제에 대한 주석(Commentary on the Sentences)』을 포함한 여러 저서에서 마이모니데스를 언급하고 있다.[106]
마이모니데스는 신학, 철학, 의학 분야에서의 종합적인 능력 덕분에, 특히 의학 분야에서 진화하는 규범에 대한 논의에서 오늘날에도 매력적인 자료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사망 선고를 허용하여 장기 기증(organ donation)을 위한 장기 이식(Organ transplantation)을 허용하는 논쟁에서 그의 신체 사망 판정 방법이 현대에 인용되고 있다.[107]
마이모니데스는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논의되는 유대 사상가 중 한 명이다. 그는 현대 유대교의 거의 모든 주요 운동에서 상징이자 지적 영웅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레오 슈트라우스와 같은 철학자들에게도 중요한 인물이었고, 그의 겸손의 중요성에 대한 견해는 현대 휴머니스트 철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마이모니데스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예를 들어, 터프츠 대학교 의과대학의 학습 공동체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라인의 마이모니데스 학교,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마이모니데스 아카데미 학교, 카사블랑카의 Lycée Maïmonide, 플로리다주 할리우드의 브라우저 마이모니데스 아카데미,[109] 그리고 뉴욕 브루클린의 마이모니데스 메디컬 센터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세파르디 회당인 Beit Harambam Congregation 또한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110]
1986년 5월 8일부터 1995년까지 발행된[111] 이스라엘 신셰켈 A 시리즈는 1셰켈 지폐의 앞면에 마이모니데스의 그림을, 뒷면에는 티베리아스에 있는 그의 매장지를 묘사했다.[112]
2004년에는 예일 대학교, 플로리다 국제대학교, 펜 스테이트, 그리고 그의 이름을 딴 이스라엘 하이파의 람밤 병원에서 학술회의가 열렸다. 그의 사후 800주기를 기념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는 기념 논문집을 발행했다.[113] 1953년에는 이스라엘 우정청이 마이모니데스의 모습이 담긴 우표를 발행했다.
2008년 3월, 유로메드 관광부 장관 회의에서 이스라엘, 모로코, 스페인의 관광부는 람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코르도바, 페스, 티베리아스의 종교 관광을 활성화하기로 합의했다.[114]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이스라엘 박물관에서는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에 전념하는 특별 전시회가 열렸다.[115]
참조
[1]
논문
The Maimonides Portrait: An Appraisal of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Pictures
https://www.rmmj.org[...]
2011-07-31
[2]
웹사이트
Moses Maimonides | Biography, Philosophy, & Teachings
https://www.britanni[...]
2016-12-08
[3]
웹사이트
Hebrew Date Converter – 14th of Nisan, 4895
https://www.hebcal.c[...]
2021-03-31
[4]
웹사이트
Hebrew Date Converter – 14th of Nisan, 4898
https://www.hebcal.c[...]
2021-03-31
[5]
웹사이트
H-Net
https://web.archive.[...]
2007-05-06
[6]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tanford
2016-03-01
[7]
웹사이트
Isaac Newton: "Judaic monotheist of the school of Maimonides"
http://www.achgut.co[...]
Achgut.com
2007-06-19
[8]
서적
Commentary of the Mishnah
1967
[9]
서적
Moses Maimonides: An Intellectual Portrai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01
[10]
서적
Maimonides in His World: Portrait of a Mediterranean Think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1]
서적
Maimonides
Random House LLC
2008
[12]
서적
The Philosopher's Plant: An Intellectual Herbarium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11-11
[13]
서적
Maimonides:The Life and World of One of Civilization's Greatest Minds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ing Group
2008
[14]
웹사이트
Iggerot HaRambam, Iggeret Teiman
https://www.sefaria.[...]
2021-03-31
[15]
서적
Maimonides in His World: Portrait of a Mediterranean Think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16]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1954
[17]
서적
Andalusian Morocco: A Discovery in Living Art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Cultural Affairs of the Kingdom of Morocco & Museum With No Frontiers
2010
[18]
백과사전
Libās
Brill Academic Publishers
1984
[19]
논문
MAIMONIDES
https://www.jstor.or[...]
[20]
서적
[21]
서적
Letters of Medieval Jewish Trad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22]
웹사이트
No Jew had been permitted to enter the holy city which has become a Christian bastion since the Crusaders conquered it in 1096
http://www.jewishmag[...]
2012-10-01
[23]
서적
Poverty and Charity in the Jewish Community of Medieval Egyp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24]
서적
Letters of Medieval Jewish Traders
[25]
서적
Poverty and Charity in the Jewish Community of Medieval Egypt
[26]
서적
A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of the Jews: High Middle Ages, 500–1200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27]
논문
Sar Shalom ben Moses ha-Levi
https://referencewor[...]
2010-10-01
[28]
논문
Moses Maimonides: rabbi or medicine
1981
[29]
웹사이트
Q&A Wednesday: Maimonides, hiding in plain sight, with José Martínez Delgado
https://www.lib.cam.[...]
2022-10-12
[30]
논문
The Life of Moses Maimonides, a Prominent Medieval Physician
https://web.archive.[...]
2002
[31]
논문
Treatment of depression by Maimonides (1138–1204): Rabbi, Physician, and Philosopher
https://web.archive.[...]
2008-04-01
[32]
서적
Maimonides
Farrar Straus
1982
[33]
서적
Responsa Pe'er HaDor
[34]
웹사이트
Epistle to Yemen
https://en.wikisourc[...]
[35]
서적
Moses Maimonides
B'nai B'rith Department of Adult Jewish Education
1959
[36]
서적
Shalshelet haQabbalah
Venice
1587
[37]
웹사이트
Maimonides
https://he.chabad.or[...]
2021-08-02
[38]
서적
אגרות הרמב"ם מהדורת שילת
[39]
서적
Encyclopedia of Judaism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020-09-20
[40]
서적
Ashkenazim and Sephardim: Their Relations, Differences, and Problems as Reflected in the Rabbinical Responsa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2020-09-20
[41]
서적
Women at the crossroads : a woman's perspective on the weekly Torah portion
https://books.google[...]
Gush Etzion: Midreshet B'erot Bat Ayin
[42]
서적
Last section of Maimonides' Introduction to Mishneh Torah
[43]
서적
Questions & Responsa Avqat Rokhel
https://hebrewbooks.[...]
Saloniki
2023-08-31
[44]
서적
The Commandments, Neg. Comm. 290
[45]
간행물
Kehot Publication Society, Chabad.org
[46]
서적
Maimonides in His World: Portrait of a Mediterranean Think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http://www.otzar.org[...]
[48]
서적
Introduction
[49]
서적
Preface
[50]
서적
Preface
[51]
서적
[52]
이미지
Title page, TOC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כתבים רפואיים – ג (פירוש לפרקי אבוקראט)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https://www.otzar.or[...]
2016-07-19
[54]
서적
Medical Aphorisms (Treatises 1–5 6–9 10–15 16–21 22–25)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ah
[55]
웹사이트
כתבים רפואיים – ב (פרקי משה ברפואה)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https://www.otzar.or[...]
2016-07-19
[56]
웹사이트
כתבים רפואיים – ד (ברפואת הטחורים)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https://www.otzar.or[...]
2016-07-19
[57]
이미지
Title page, TOC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כתבים רפואיים – א (הנהגת הבריאות)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https://www.otzar.or[...]
2016-07-19
[59]
이미지
Title page, TOC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Oath and Prayer of Maimonides
https://web.archive.[...]
Library.dal.ca
2010-03-13
[61]
서적
Maimonides
Farrar Straus
[62]
서적
[63]
웹사이트
באור מלאכת ההגיון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נ"ז – אוצר החכמה
https://www.otzar.or[...]
2016-07-19
[64]
웹사이트
The Guide to the Perplexed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1-22
[65]
서적
Purity, Sacrifice, and the Temple: Symbolism and Supersessionism in the Study of Ancient Judaism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Dogma in Medieval Jewish Thought
[67]
서적
The Limits of Orthodox Theology: Maimonides' Thirteen Principles Reappraised
Littman Library of Jewish Civilization
[68]
웹사이트
Siddur Edot HaMizrach 2C, Additions for Shacharit: Thirteen Principles of Faith
https://www.sefaria.[...]
2020-09-27
[69]
서적
Sefer Degel Mahaneh Reuven
https://hebrewbooks.[...]
Chernovitsi
2020-09-27
[70]
논문
Rabbi Reuven Landau and the Jewish Reaction to Copernican Thought in Nineteenth Century Europe
https://www.jstor.or[...]
Rabbi Isaac Elchanan Theological Seminary, an affiliate of Yeshiva University
2020-09-27
[71]
논문
Maimonides' Thirteen Principles: The Last Word in Jewish Theology?
https://www.jstor.or[...]
Rabbi Isaac Elchanan Theological Seminary, an affiliate of Yeshiva University
2020-09-27
[72]
논문
Book Review: New Heavens and a New Earth: The Jewish Reception of Copernican Thought
https://touroscholar[...]
Journal of Jewish Identities
2020-09-27
[73]
서적
New Heavens and a New Earth: The Jewish Reception of Copernican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4]
서적
[75]
서적
[76]
웹사이트
Maimonides' Conception of God
https://www.myjewish[...]
2018-04-30
[77]
웹사이트
Weaning Away from Idolatry: Maimonides on the Purpose of Ritual Sacrifices
https://www.mdpi.com[...]
2021-12-31
[78]
서적
Judaism for Dummies
https://www.worldcat[...]
John Wiley & Sons, Inc.
[79]
서적
[80]
서적
Commentary on The Ethics of the Fathers 1:15
[81]
서적
[82]
서적
MT De'ot 6:1
[83]
서적
The Guide to the Perplexed
BN Publishers
[84]
백과사전
Moses Ben Maimon
http://www.jewishenc[...]
2011-03-13
[85]
논문
Maimonides (1135–1204)
[86]
논문
Maimonides, Moses
[8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imoni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
[88]
서적
Maimonidies
Wiley-Blackwell
2010-03
[89]
웹사이트
Guide for the Perplexed, on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3-13
[90]
웹사이트
Maimonides' Eight Levels of Charity
https://www.chabad.o[...]
2023-03-11
[91]
웹사이트
Maimonides Eight Degrees of Tzedakah
https://web.archive.[...]
2018-11-26
[92]
서적
[93]
서적
Commentary on the Mishna, Avot 5:6
[94]
웹사이트
Mishneh Torah, Repentance 9:1
https://www.sefaria.[...]
2021-08-02
[95]
서적
Maimonides
Farrar Straus
[96]
서적
The Scandal of Kabbalah: Leon Modena, Jewish Mysticism, Early Modern Veni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97]
서적
Maimonides' Confrontation With Mysticism
Littman Library
[98]
서적
The Religious Thought of Hasidism: Text and Commentary
Ktav Pub
[99]
서적
Introduction to the Code of Maimonides (Mishneh Torah)
Yale University Press
[100]
논문
Review of 'Sobre la Vida y Obra de Maimonides'
1994
[101]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Schocken
[102]
서적
Maimonidean Criticism and the Maimonidean Controversy, 1180–1240
Brill
[103]
서적
Maimonides: Torah and Philosophic Quest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04]
서적
Introduction to the Code of Maimonides (Mishneh Torah)
Yale University Press
[105]
서적
A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서적
Aquinas and Maimonides on the possibility of the knowledge of god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07]
간행물
Maimonides's cooling period and organ retrieval
[108]
웹사이트
NeoHasid.org | Rambam and Gaia
2013-12-11
[109]
웹사이트
Major Grant Awarded to Maimonides
2010-03-13
[110]
뉴스
Fear meets fellowship
https://www.newspape[...]
2020-08-29
[111]
뉴스
1 Israeli New Shekel (Rabbi Moses Maimonides) – exchange yours
https://www.leftover[...]
[112]
서적
The Banknote Book
BanknoteNews.com
2021-12-25
[113]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Press: Maimonides after 800 Years : Essays on Maimonides and his Influence by Jay M. Harris
http://www.hup.harva[...]
Hup.harvard.edu
2010-03-13
[114]
뉴스
Tourism Ministry plans joint project with Morocco, Spain
https://web.archive.[...]
2008-05-08
[115]
웹사이트
Maimonides
https://www.imj.org.[...]
2019-07-11
[116]
웹사이트
H-Net
http://www.h-net.org[...]
2008-01-01
[117]
웹사이트
Maimonides Islamic Influences
http://plato.stanfor[...]
Stanford
2008-01-01
[118]
웹사이트
Maimonides Moses (1138-1204)
http://www.muslimphi[...]
2010-03-01
[119]
웹사이트
Isaac Newton: “Judaic monotheist of the school of Maimonides”
http://www.achgut.co[...]
Achgut.com
2010-03-13
[120]
웹사이트
MOSES BEN MAIMON
https://www.jewishen[...]
[121]
서적
アラビア科学史序説
岩波書店
[122]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123]
서적
ユダヤ人 神と歴史のはざまで
[124]
웹사이트
The Guide to the Perplexed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1-22
[125]
서적
イブン・マイムーン
[126]
서적
ユダヤ人 神と歴史のはざまで
[127]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28]
서적
マイモニデス
[129]
서적
イブン・マイムーン
[130]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1]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2]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3]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134]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5]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6]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7]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138]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39]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40]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141]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42]
서적
医学の歴史
[143]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144]
서적
アラビア科学の話
岩波書店
[145]
서적
ユダヤ人
[146]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47]
서적
ユダヤ人 神と歴史のはざまで
[148]
서적
ユダヤ人 神と歴史のはざまで
[149]
서적
ユダヤ人
[150]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51]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52]
서적
図説ユダヤ人の2000年 歴史篇
[153]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154]
서적
マイモニデス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