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의 지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시의 지질은 하부 안산암질암류, 하부 유문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 중생대 관입암으로 구분된다. 하부 안산암질암류는 문어포 안산암, 윗섬 안산암, 한산도층, 두억리 안산암, 장곡 응회암, 연대도 안산암 등으로 구성된다. 하부 유문암질암류는 풍화리 응회암, 추도 응회암, 자부포 응회암, 노대도 응회암으로 나뉜다. 상부 안산암질암류는 미륵산 안산암, 마동데사이트, 달아 안산암으로 구성된다. 중생대 관입암으로는 소매물도 화강반암이 있다.
통영시와 거제시 지역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은 주산안산암질암(주사산 아층군)에 해당하는 하부 안산암질암류, 운문사유문암질암류에 해당하는 하부 유문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 상부 유문암질암류로 구분된다.[1]
하부 유문암질암류는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의 운문사유문암질암류에 해당하며, 아래에서 위로 풍화리 응회암, 장평리층, 추도 응회암, 자부포 응회암, 노대도 응회암 순서로 구성된다.[1]
2. 하부 안산암질암류 (주산안산암질암)
하부 안산암질암류(주산안산암질암, 주사산 아층군)는 문어포 안산암, 윗섬 안산암, 한산도층, 두억리 안산암, 장곡 응회암, 연대도 안산암으로 구성된다.
2. 1. 문어포 안산암
문어포 안산암(Kmea;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문어포 안산암)은 한산도의 한산면 두억리 서부와 대혈도와 소혈도, 염호리 북부의 고등산(188.9 m)과 관암선착장, 상죽도와 하죽도 및 해갑도, 거제시 둔덕면 술역리 화도 남서부에 분포한다. 한산도 북부와 화도 남동부에서는 고성층 위에 놓이고, 한산도 북서부에서는 한산도층에 의해 덮인다. 이 안산암은 현무암질 안산암에서 데사이트에 속하는 용암류로 구성된다.
2. 2. 윗섬 안산암
윗섬 안산암은 사량도 윗섬 서부와 아랫섬 서부 해안가에 분포하며, 풍화리 응회암과 아랫섬 안산암에 의해 덮인다. 이 암석층은 대부분 현무암질 안산암류에 속하는 용암류와 소량의 각력암으로 구성된다.
2. 3. 한산도층
한산도층(Khs, 閑山島層han)은 통영시 한산도 서부 지역과 한산면 염호리 비산도 그리고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의 외부지도에 분포하는 지층이다. 이 지층은 문어포 안산암 위에 놓여 있으며 두억리 안산암에 의해 덮여 있다. 한산도층은 주로 셰일과 녹회색의 세립~조립질 사암이 번갈아 나타나는 호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층준에 걸쳐 녹회색 및 자색의 응회질이암 및 역암, 응회각력암이 함께 나타난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한산도에서는 대체로 북동-남서 방향이며 남동쪽으로 12~25° 기울어져 있고, 외부지도에서는 북서-남동 방향이며 북동쪽으로 7~10° 기울어져 있다. 한산도에서 측정된 지층의 두께는 약 150m이다. 한산도층은 성포리층 상부에 대비되는 것으로 보인다.
2. 4. 두억리 안산암
두억리 안산암(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Kdea)은 한산도 중앙인 한산면 두억리 북부에 분포하며 한산도층 위에 놓이고 장곡 응회암 아래에 놓인다. 두께는 대촌마을 북쪽 능선부에서 최고 90m이다.
2. 5. 장곡 응회암
장곡 응회암은 한산도 중부에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고, 한산면 장좌리의 유재도와 산양읍 연곡리의 내부지도에도 분포한다. 층서적으로는 두억리 안산암과 한산도층 위에 놓이며, 연대도 안산암에 의해 덮인다.
2. 6. 연대도 안산암
연대도 안산암은 경상누층군 유천층군에 속하며,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의 연대도, 내부지도, 저림리 만지도, 학림도, 한산도 남동부 망산(295.3m), 한산면 용호리의 용초도 서부, 비진도 해안가 일부 지역, 선유도와 충복도, 통영시 당동과 인평동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3] 대부분 용암층으로 구성되며 하부에는 각력암층을 가진다. 이 암석은 한산도에서는 장곡 응회암과 한산도층 위에 놓이고 풍화리 응회암에 의해 덮이며, 학림도에서는 마동 데사이트와 달아 안산암에 의해 덮인다. 연대도 안산암은 대부분 연대도 혹은 만지도에서 분출하여 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3]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 만지도와 연대도를 잇는 출렁다리 일원(북위 34도 44분 14.22초, 동경 128도 23분 28.72초)에서 연대도 안산암을 잘 관찰할 수 있다.[3] 또한, 통영시 통영항여객선터미널과 비진도, 소매물도를 잇는 여객선상에서도 비진도 남서측 해안가의 연대도 안산암을 볼 수 있다.[3]
3. 하부 유문암질암류 (운문사유문암질암류)
3. 1. 풍화리 응회암
풍화리 응회암(Kpht; 豊和里 凝灰巖)은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 서부 해안에 드러나 있으며, 서쪽으로 이끼섬을 거쳐 사량도 아랫섬으로 이어진다. 이곳에서는 윗섬 안산암과 아랫섬 안산암 사이에서 점차 얇아져 사라진다. 또한 한산도의 망산(295.6m) 산정부와 능선에도 분포한다.
지층 관계를 보면, 한산도 망산에서는 연대도 안산암 위에 놓여 있으며, 사량도 아랫섬에서는 아랫섬 안산암에 의해 덮여 있다. 지층의 두께는 사량도 아랫섬에서 약 100m이고, 한산도에서는 약 60m이다. 산양읍 풍화리에서는 지층의 아래쪽 경계(하한)가 노출되지 않았지만, 두께는 약 100m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3. 2. 추도 응회암
추도 응회암(Kcdt)은 통영시 산양읍 추도리 추도에만 분포하는 두께 200m의 응회암이다. 추도에서 측정한 SHRIMP 저어콘 U-Pb 연령은 82.56 Ma이다.
3. 3. 자부포 응회암
자부포 응회암(Kjbt; 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Jabupo tuffeng)은 봉도를 포함한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응회암이다.
3. 4. 노대도 응회암
노대도 응회암(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Nodaedo Island tuff|노대도 응회암eng, Kndt)은 통영시 욕지면 노대리의 상노대도와 하노대도 및 주변의 광주섬, 사이도, 하서도, 남도에 분포하는 응회암이다. 이 지층은 기저부에서 사이도층의 암회색 셰일 위에 놓여 있으며, 두께는 약 200m이다.
4. 상부 안산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는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의 일부로, 욕지아층군이라고도 불린다. 이 암류는 미륵산 안산암, 마동데사이트, 달아 안산암, 아랫섬 안산암, 두미도 안산암으로 구성된다.[1]
4. 1. 미륵산 안산암
미륵산 안산암(경상누층군 유천층군)은 통영시 미륵도의 미륵산을 중심으로 타원형으로 분포하는 안산암이다. 도남동에서는 장평리층 위에 놓여 있으며, 산양읍 풍화리 남동부와 미수동 서부 나부동산 및 남부 현금산(338.7m)에서는 마동데사이트에 의해 덮인다. 산양읍 삼덕리에서는 부정합 관계로 곤리도응회암 아래에 놓인다. 한산도에서는 섬 중앙부를 중심으로 유문암맥과 화강섬록암이 고리 모양으로 관입하고 있어, 과거 중심 화산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2. 마동데사이트
마동데사이트(Kmdd;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마동 데사이트)는 통영시 산양읍 미남리, 오비도 서부, 풍화리와 학림도 동부, 현금산 산정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미륵도에서는 미륵산안산암 위에 정합적으로 놓인다.4. 3. 달아 안산암
달아 안산암(Kdra)은 경상누층군 유천층군에 속하며, 통영시 산양읍 미륵도 미남리 남서부, 연화리 남서부와 풍화리 서부에 분포한다. 이 암석은 마동데사이트 위에 정합적으로 놓이며, 화산쇄설물과 용암층으로 구성된다. 최대 두께는 약 150m에 달한다.5. 중생대 관입암
통영시에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암 외에도, 이들 암석을 뚫고 들어온 관입암들이 분포한다.[1][2] 이러한 중생대 관입암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소매물도 등지에서 관찰되는 소매물도 화강반암이 있다.
5. 1. 소매물도 화강반암
화강반암(Kgp)은 갈도 동부 및 소매물도 전 지역과 등가도에 분포하며, 암주상의 형태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소매물도와 등가도에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수직 절리가 잘 발달한다.이 화강반암은 갈도에서 갈도 응회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소매물도와 등가도에서는 다른 암층과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지 않지만 국도 안산암을 관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암석은 중립질 내지 세립질로서 유색광물의 함량이 적고 흔히 담홍색 알칼리장석이 풍부해서 담홍색을 띠지만 석영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회백색을 띤다. 사장석과 석영들이 반정으로 나타난다.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미조·미륵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년
[3]
서적
경남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8년 12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