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시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도시로, 거제도와 주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삼한시대에는 독로국으로 불렸으며, 신라 시대에 거제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왜구의 침입으로 주민들이 피난하기도 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의 주요 무대가 되기도 했다. 1914년 통영군으로 통합되었다가, 1953년 거제군으로 분리되었고, 1995년 장승포시와 통합하여 현재의 거제시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조선업과 어업이며, 한화오션, 삼성중공업의 조선소가 위치해 있다. 거제 해금강, 외도, 학동흑진주몽돌해변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유자, 등 지역 특산물과 멍게비빔밥, 굴구이 등 향토 음식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도시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도시 - 양산시
    양산시는 경상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부산과 울산 생활권이 공존하는 산악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현재 1읍 4면 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도사 등의 관광지와 교육 및 산업 시설,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인구 약 35만 명의 도시이다.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장목면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면으로, 조선시대 장목포진 설치 이후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농소몽돌해수욕장 등의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장목항과 외포항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양파, 멸치, 대구 등의 특산물이 풍부하다.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옥포동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은 옥포항을 중심으로 옥포성과 옥포대첩기념공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임진왜란 첫 승전지인 옥포해전의 배경 지역으로 옥포대첩기념공원이 조성되었고, 여러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위치한다.
  • 거제시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거제시 -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거제조선해양문화관은 2003년 10월 15일 개관하여 경상남도 거제시에 자리 잡은 문화 시설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하며 설날, 추석 당일 및 거제시장이 지정하는 날에 휴관한다.
거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거제도 전경
거제 옥포동과 항구 전경
기본 정보
공식 명칭거제시
별칭푸른 거제
한글 표기거제시
한자 표기巨濟市
로마자 표기Geoje-si
매큔-라이샤워 표기Kŏje-si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면적402.3km²
인구232,921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547명/km²
거주민 명칭거제시민
행정 구역9개 면, 10개 동
방언경상도 방언
시청 소재지거제시 계룡로 125 (고현동)
공식 웹사이트거제시 웹사이트
거제시 엠블럼
거제시 엠블럼
거제시 기
거제시 기
정치
시장변광용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일준(국민의힘, 거제시)
상징
시목해송
시화동백
시조갈매기
상징 동물대군이-대양이: 대구
몽돌이-몽순이: 몽돌해변

2. 역사

거제는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섬이다. 나도, 산달도, 이수도 등에서 신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해안가를 따라 여러 작은 마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거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변한(기원전 0년 ~ 300년경)의 일원인 독로국의 두 개 주요 지역 중 하나로 언급된 것이다. 변한은 점차 가야(42년 ~ 562년)에 흡수되었고, 가야는 결국 신라에 복속되었다.

1663년(조선 현종 4년) 현청을 현재의 거제면으로 이전하였고, 1895년 고종 때 거제군이 되었다.[37] 근대에 들어서면서, 1889년에 일본·조선 양국 통어 규칙이 맺어지고, 동해안의 장승포와 구조라 등에 일본인 어민들이 이주하였다. 장승포 만구에 있던 소위 “입사촌”은 대규모 이주 어촌이었다.

1900년 러시아 제국은 거제도를 임차할 의향이 있다는 풍설을 불식시키기 위해 대한제국과 거제도 불임차에 관한 러한 조약을 맺어, 러시아 및 제3국에 대한 거제도의 임차를 금지시켰다.[28]

1914년 4월 1일 거제군과 용남군이 '''통영군'''으로 통합되었다.[39] 대한제국 병합 후인 1914년에 실시된 지방 행정 구역의 재편에 따라 거제군은 폐지되고 통영군에 편입되었다.[29] 1919년 4월 3일에는 3.1 운동의 일환으로 아주리 당등산 일대에서 아주리시장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1950년 11월 27일 유엔군에 의해 현재의 거제시 고현동, 수양동, 장평동, 연초면, 남부면 일대에 포로수용소가 지어졌다. 한국 전쟁(1950년-1953년) 중,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군정은 이 섬을 17만 명의 포로 수용소로 사용했고, 11.8km2 규모의 포로수용소가 설립되었다. 이 수용소에서는 캐나다와 미군에 의한 총살 및 광범위한 고문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자행되었다. 영국의 기자 앨런 위닝턴과 호주의 기자 윌프리드 버쳇은 이러한 인권 침해 사실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1952년 공동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2] 전쟁 후, 그 일부(23,000 m2)는 관광지로 조성되었다.[3]

이들 전쟁 포로는 1953년 5월 3일 이후 송환되거나 같은 해 6월 18일 이승만의 반공 포로 석방으로 탈출하였다. 수용소는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되면서 폐쇄되었다. 한편 흥남 철수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들어왔다. 섬은 후방 기지가 되어, 병사 훈련소와 피난민 수용 시설이 설치되었다. 섬 안에는 미국군이 설치한 거제도 포로수용소가 있었고, 1952년 5월 7일의 거제도 포로수용소 사건에서는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폭동의 무대가 되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거제는 조선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러한 지속적인 산업 덕분에 거제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의 부정적 영향을 크게 피할 수 있었다.

2. 1. 고대

삼한시대 변한의 12개국 중 하나인 독로국으로 불렸으며, 신라 법흥왕 7년에 소가야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532년 법흥왕 19년에는 금관가야의 일부가 되었고, 677년 문무왕 17년에 '상군'(裳郡)이라고 칭했다가 757년 경덕왕 16년에 이르러 '''거제군'''이라고 칭하게 되었다.[36]

983년 고려 성종 2년에는 기성현으로 칭해졌다. 고려 의종은 정중부의 난으로 인해 현 둔덕면 거림리 산 95번지 일대의 둔덕기성(폐왕성)에 유폐되었으며, 이 유적지는 1974년 경상남도 기념물 제11호, 2010년 8월 24일에는 사적 509호로 지정되었다. 1271년(고려 원종 12년) 왜구의 침탈로 거제현민들이 북쪽의 진주와 거창 등지로 옮기고, 거제현의 치소(治所)도 거창현 동부의 가조(加祚)로 피난하였다.[36]

1414년(조선 태종 14년)에는 거창현과 거제현을 합하여 '제창현'(濟昌縣)으로 하였다가 1년 후에 다시 쪼개었고, 1422년(조선 세종 4년)에 현이 거제도로 돌아와 고현성 등을 축성하였다.[36]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고현성이 함락되었고, 한산해전칠천량 해전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2. 2. 고려 시대

983년 고려 성종 2년에는 기성현으로 칭해졌다. 정중부의 난으로 고려 의종은 현 둔덕면 거림리 산 95번지 일대의 둔덕기성(폐왕성)에 유폐되었으며, 이 유적지는 1974년 경상남도 기념물 제11호로, 2010년 8월 24일에는 사적 509호로 지정되었다. 1271년(고려 원종 12년) 왜구의 침탈로 거제현민들이 북쪽의 진주와 거창 등지로 옮겨졌고, 거제현의 치소(治所)도 거창현 동부 가조(加祚)로 피난하였다.[36]

2. 3. 조선 시대

1414년(조선 태종 14년) 거창현과 거제현을 합하여 '제창현'(濟昌縣)으로 하였다가 1년 후에 다시 분리되었고, 1422년(조선 세종 4년) 현이 거제도로 돌아와 고현성 등을 축성하였다.[36] 1592년 임진왜란 때 고현성이 함락되었고, 한산해전칠천량 해전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16세기 말 임진왜란(문록·경장의 역)에서는 거제도가 일본군의 근거지가 되어, 여러 장수들이 섬 안에 왜성을 쌓았다. 문록의 역의 명목상 대장인 도요토미 히데카츠는 이 섬에서 병사하였다. 부근 해상에서는 옥포 해전, 거제도 해전(칠천량 해전), 한산도 해전이 벌어졌다.

1663년(조선 현종 4년) 현청을 현재의 거제면으로 이전하였고, 1895년 고종 때 거제군이 되었다.[37] 임진왜란 이후 거제는 유배지로 많이 이용되었는데, 우암 송시열을 비롯해 이행, 이유원 등이 유배되었고, 이행은 29세 때 거제도 고절령(고자산치) 아래에 위리안치되어 관노 신분으로 120여 수의 시를 지어 거제 유배 역사상 가장 많은 시를 남겼다.[38]

2. 4.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거제군과 용남군이 '''통영군'''으로 통합되었다.[39] 1919년 4월 3일에는 3.1 운동의 일환으로 아주리 당등산 일대에서 아주리시장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2. 5. 대한민국

삼한시대에는 변한의 12개국 중 독로국이라고 불리었으며, 신라 법흥왕 7년에 소가야국으로 개칭하였다. 532년 법흥왕 19년에는 금관가야의 일부가 되었고, 677년 문무왕 17년에 '상군'(裳郡)이라고 칭했다가 757년 경덕왕 16년에 이르러 '''거제군'''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983년 고려 성종 2년에는 기성현으로 칭해졌다. 고려 의종은 정중부의 난으로 인해 현 둔덕면 거림리 산 95번지 일대의 둔덕기성(폐왕성)에 유폐되었으며, 이 유적지는 1974년 경상남도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8월 24일에는 사적 509호로 지정되었다. 1271년(고려 원종 12년) 왜구의 침탈로 거제현민들이 북쪽의 진주와 거창 등지로 옮기고, 거제현의 치소(治所)도 거창현 동부의 가조(加祚)로 피난하였다.[36]

1414년(조선 태종 14년)에는 거창현과 거제현을 합하여 '제창현'(濟昌縣)으로 하였다가 1년 후에 다시 쪼개었고, 1422년(조선 세종 4년)에 현이 거제도로 돌아와 거제읍성(현 고현성) 등을 축성하였다.[36]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고현성이 함락되었고, 한산해전칠천량 해전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1663년(조선 현종 4년)에 현청을 현재의 거제면으로 이전하였고, 1895년 고종 때 거제군이 되었다.[37] 임진왜란 이후 거제는 유배지로 많이 이용되었는데, 우암 송시열을 비롯해, 이행, 이유원 등이 유배되었고 이행(李荇)은 29세 때 거제도 고절령(고자산치) 아래에 위리안치 되어 관노의 신분으로 120여수의 시를 지어 거제유배 역사상 가장 많은 시를 남겼다.[38]

1914년 4월 1일 거제군과 용남군이 '''통영군'''으로 통합되었다.[39] 1919년 4월 3일에는 3.1 운동의 일환으로 아주리 당등산 일대에서 아주리시장 만세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1950년에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1950년 11월 27일 유엔군에 의해 현재의 거제시 고현동, 수양동, 장평동, 연초면, 남부면 일대에 포로수용소가 지어졌다. 이들 전쟁 포로는 1953년 5월 3일 이후 송환되거나 같은 해 6월 18일 이승만의 반공 포로 석방으로 탈출하였다. 수용소는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되면서 폐쇄되었다. 한편 흥남 철수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들어왔다.

3. 지리

거제시는 거제도와 주변 섬으로 이루어진 시이다. 시 전체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남해에 위치해 있다. 통영시와는 거제대교, 신거제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북서부에는 진해만이 있다. 2000년 1월 1일에는 칠천도연륙교로 연결되었고, 2009년 7월 13일에는 거제도 사등면 북단에 있는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에서 가조도 간의 연륙교가 완성되었으며, 2018년 9월 20일 거제시 거제면 법동리와 산달도 간의 연륙교가 개통되었다.

2010년 12월 14일에는 거제-부산을 연결하는 거가대교가 개통되면서 부산까지 130분 걸리던 것이 50분으로 단축되었다.[19] 거제시는 거제도(383.44km2)와 다른 60개의 작은 섬들(그중 10개의 섬에 사람이 거주)을 포함하여 401.63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주요 섬인 거제도는 인근 통영에서 두 개의 다리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련의 다리와 해저터널을 통해 가덕도와 연결되며, 이어서 부산까지 연결되는 부산-거제 해저터널이 있다. 이순신대교(이순신대교한국어)라 명명된 또 다른 다리와 터널을 통해 거제를 마산과 연결하는 계획이 제안되었다.

북쪽에는 진해만을 사이에 두고 창원시가 있다. 서쪽에는 고성반도 끝자락의 통영시가 좁은 미조량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거제도 서부와는 거제대교(740m)·신거제대교(940m)로 연결되어 있다. 북동쪽으로 약 9km 떨어진 곳에 가덕도(부산광역시 강서구)가 있으며, 거가대교(8.2km)로 연결되어 있다. 남동쪽으로는 대한해협(쓰시마 해협 서수도)을 사이에 두고 일본의 쓰시마(상도)가 있는데, 거제도-쓰시마 간은 대한해협이 가장 좁아지는 해역 중 하나이다.

거제시의 역사적인 중심지는 북서 해안 지역의 현 시청 소재지인 고현(고현)이다. 동해안의 장승포(장승포) 일대는 일제강점기에는 어업으로, 대한민국 성립 이후에는 옥포(옥포)에 건설된 조선소로 인해 섬 내에서 가장 빠른 발전을 이루었다. 시 인구 또한 고현과 장승포 두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 거제 (거제도|巨濟島한국어)
  • 외도
  • 갈곶도 (해금강)
  • 칠천도
  • 지심도
  • 가조도
  • 해간도
  • 산달도
  • 학도

3. 1. 지질

거제시는 대부분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의 퇴적암과 이를 관입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의 북동부에는 유천층군 응회암과 안산암이, 섬 남부에는 거제도를 포함한 여러 섬들에 성포리층이 분포한다.[1]

4. 기후

거제시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난 습윤 기후( ''Cfa'')에 속한다.[41] 법정동 기준 연평균 기온은 15.2°C이며, 최고 평균 기온은 19.5°C, 최저 평균 기온은 11.3°C이다. 가장 추운 1월의 최저 평균 기온은 2.9°C이며, 가장 더운 8월은 최고 평균 기온이 25.8°C까지 올라간다. 연평균 강수량은 2,100mm로, 66%가 6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되며, 이는 태풍으로 인한 집중호우 때문이다. 평균 습도는 70.0%로, 7월에는 82.0%까지 상승했다가 2월에는 58.0%까지 떨어진다. 거제시청 통계정보에 따르면, 2018년 최고 기온은 37.8°C, 2021년 최저 기온은 -9.9°C, 2018년 최고 강수량은 2,507.6mm로 기록되었다. 거제도의 법정동 외 지역에서는 북부, 동부, 서부, 남부 간 기온 차이가 심한 편이다.

거제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 ''Cfa/Cwa'')를 보이며, 12월부터 2월까지는 영하의 기온이 자주 나타난다. 하지만 따뜻한 해류의 영향으로 섬은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된다.

2022년에는 힌남노 태풍이 거제시에 상륙하여, 2022년 9월 6일 오전 5시 50분에 2등급 태풍의 눈이 거제시를 직접 통과하면서 홍수를 포함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C)2.64.48.413.417.921.224.826.022.016.710.64.714.4
평균 최고 기온 (°C)7.39.413.518.623.125.828.329.926.522.015.79.519.1
평균 최저 기온 (°C)-1.4-0.23.58.313.017.422.122.918.212.26.10.410.2
최고 기온 기록 (°C)19.319.424.227.934.433.538.637.434.229.925.819.438.6
최저 기온 기록 (°C)-10.4-10.1-8.0-1.44.88.213.812.48.61.0-5.2-8.9-10.4
강수량 (mm)40.4mm60.5mm112.2mm177.2mm203mm237.1mm367.6mm330.4mm209.5mm96.4mm59mm37mm1930.3mm
평균 강수일 (≥ 0.1 mm)4.85.47.89.29.010.614.311.99.05.06.14.597.6
평균 상대 습도 (%)54.054.458.560.065.373.479.576.673.367.663.456.865.2
평균 일조시간169.9178.0204.0217.4233.2182.7153.4182.1168.5195.1165.3166.42216.0

[42][43]

5. 행정 구역

거제시의 전체 면적은 403.86km2이며, 2023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34,083명, 104,565가구이다.[44] 조선업 발달로 남녀 성비가 1.09:1로, 경상남도 내에서도 남초 현상이 가장 심한 지역 중 하나이다.

2008년 7월 신현읍이 폐지되고 4개 행정동으로 전환된 이후, 거제시는 현재 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거제면연초면의 읍 승격 경합으로 인해 결정이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거제시는 도농복합형태시로, 10개의 동과 9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 지역은 동부의 구 장승포시 지역과 북서부의 구 신현읍 지역에 주로 위치하고 있다.

거제시의 행정 구역 (2023년 12월 기준)[44]
읍·면·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일운면一運面30.6km28,0384,071
동부면東部面52.5km22,9351,639
남부면南部面32km21,490901
거제면巨濟面37.3km27,0303,417
둔덕면屯德面33.7km22,7371,468
사등면沙等面34.9km212,2305,686
연초면延草面40.6km28,2304,372
하청면河淸面29.2km24,2992,356
장목면長木面37km24,2052,410
장승포동長承浦洞4.9km25,4332,860
능포동菱浦洞2.7km28,7204,149
아주동鵝州洞12.5km225,94310,339
옥포1동玉浦1洞2.2km26,7603,455
옥포2동玉浦2洞8.7km224,74511,288
장평동長坪洞7.3km220,56110,261
고현동古縣洞5.6km235,03115,782
상문동上門洞20.9km232,92211,906
수양동水良洞11.2km222,7298,205



행정동·면별 법정동·법정리
행정동·면법정동·법정리
고현동고현동
상문동문동동, 삼거동, 상동동
수양동수월동, 양정동
장평동장평동
능포동능포동, 두모동
아주동아주동, 아양동
옥포1동옥포동
옥포2동옥포동, 덕포동
장승포동장승포동, 두모동
장목면율천리, 유호리, 송진포리, 농소리, 사방리, 외포리, 구영리, 관포리, 대금리, 장목리
둔덕면방하리, 거림리, 상둔리, 설역리, 시목리, 학산리, 하둔리, 산방리, 어구리
거제면내간리, 외간리, 옥산리, 명진리, 오수리, 동상리, 남동리, 법동리, 소랑리, 서정리, 서상리
사등면덕호리, 오량리, 창호리, 지석리, 청곡리, 사곡리, 성포리, 사등리
일운면망치리, 옥림리, 지세포리, 와현리, 소동리, 구조라리
동부면가배리, 구천리, 산양리, 산촌리, 오송리, 학동리, 율포리, 부춘리
남부면다대리, 다포리, 저구리, 타포리, 저림리
하청면덕곡리, 대곡리, 실전리, 어온리, 하청리, 유계리, 연기리, 석포리
연초면차곡리, 한내리, 천곡리, 송정리, 연사리, 오비리, 죽토리, 이목리, 명동리, 덕치리


6. 산업·경제

대우조선에서 만든 이순신함


거제는 한화오션삼성중공업의 조선소 등 국가공단으로 조성된 조선소가 가동 중에 있으며, 고부가가치의 유조선을 비롯하여 시추선, 쇄빙선, LNG선 등의 배를 건조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군함도 이곳에서 제작되고 있다. 이 두 조선소가 지역경제를 주도하고 있으며, 4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온난한 해양성기후로 조선업을 양성하기에는 최적의 지리적, 자연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재 대우조선은 연간 220만 톤, 삼성조선은 연간 200만 톤의 건조 능력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45]

2021년을 기준으로 농업은 3,684ha의 농지를 가지고 있으며, 참깨, 들깨, 유채, 버섯(느타리 버섯, 팽이버섯, 영지버섯), 치자, 알로에, 작약 등의 특용 작물이 생산되고 있다.[46]

어업은 1,293가구에서 3,100명이 종사하고 있다.[47] 거제지역의 양식업은 크게 호조를 보여 거제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48]

고현의 삼성중공업 조선소


고현과 옥포에 위치한 한화오션삼성중공업은 다양한 조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관광 투어를 제공하고 있다.[15] 주요 산업은 조선업과 어업이다. 시의 어류로는 명태가 지정되어 있다.

1970년대에 건설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고현조선소, 서북쪽 해안 고현 위치)와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옥포조선소, 동쪽 해안 옥포 위치)는 시의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2007년 기준 조선소 종업원은 인구의 24%를 차지하여 “조선 왕국”이라고 불리기도 했다.[31][32] 2014년 상반기에는 조선업 호황으로 시 실업률이 0.4%까지 하락하는 등 경기가 좋았으나, 그 이후 조선업 불황으로 시 산업은 잇따라 침체되었다. 2018년 하반기 시 실업률은 7%로 상승했다.[33]

7. 문화·관광

거제도는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다양한 역사 유적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국가지정문화재인 거제 해금강은 명승 제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외도를 둘러보는 유람선이 운행되고 있다.[49] 거제초등학교 본관은 등록문화재 제356호, 거제현 관아는 사적 제484호로 지정되어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6.25 전쟁 당시 포로들을 수용했던 거제포로수용소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되어 전쟁의 아픔을 되새기게 한다.

거제 관광 지도


외도 보타니아


외도(거제)는 이창호 씨 부부가 1969년부터 조성한 서양식 해양식물원으로,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위치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인근 항구에서 페리선을 이용하여 방문할 수 있다. 지심도는 동백나무 군락으로 유명하지만,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거제도 남동쪽에 위치한 해금강의 십자동굴은 불교 및 무속 조각상이 있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거제도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기 때문에, 관광 지도를 활용하여 여행 계획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이다.

  • 한려해상국립공원
  •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은 한국 전쟁 중 미군에 의해 설치된 한국 최대의 포로수용소로, 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포로를 최대 10만 명 이상 수용했다. "친공파"와 "반공파" 사이의 포로 대립은 유혈 사태로 확대되었고, 1952년 5월에는 수용소장을 구금하는 사건(거제도 사건)이 발생했다. 휴전 후 건물은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1997년에 공원이 조성되어 한국 전쟁 기념관 겸 테마파크가 되었다.
  • 외도 보타니아: 동해안 앞바다에 떠 있는 외도에 조성된 관광 식물원. 드라마 겨울연가의 최종회 촬영지이다.
  • 옥포대첩 기념공원: 1592년 5월, 임진왜란(문록의 역)에서 이순신이 일본군에 첫 승리를 거둔 곳으로 알려져 있다(옥포해전).
  • 왜성: 관광지로는 정비되어 있지 않다. 북동부 장목면에 영등포(구 영리)·장문포(장목리)·송진포(장목면 송진포리) 각 성과, 견내량 해협을 막는 서부 사등면 덕호리에 견내량 왜성이 축조되었고, 성벽이 남아 있다.
  • 거제박물관


거제시는 다양한 특산물과 향토음식으로도 유명하다. 8품 특산물로는 유자, 대구, 멸치와 멸치액젓, 고로쇠 수액, 표고버섯, , 미역, 한라봉이 있다. 특히 한라봉은 따뜻한 기후 덕분에 거제도에서도 맛볼 수 있다. 8미(味)로는 멍게-성게비빔밥, 도다리쑥국, 물메기탕, 어죽, 볼락구이, 대구탕, 굴구이, 생선회 등이 있으며, 신선한 해산물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해 있다.

거제 굴구이 요리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덕분에 현지에서 채취한 풍부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다. 특히 굴 양식업이 발달하여 굴구이는 거제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이다.

문화 시설로는 CGV 거제,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스포츠파크 등이 있으며, 청마기념관에서는 거제 출신 시인 유치환의 삶과 작품을 만날 수 있다.

7. 1. 자연 유산

거제도에는 국가지정문화재인 거제 해금강이 있으며, 외도를 둘러보는 유람선이 운행 중이다. 해금강은 명승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49]

; 해금강

해금강


북한 금강산 해금강과 비교하여 거제 해금강이라고 한다. 거제 해금강은 거제시에서 선정한 거제팔경 중 첫 번째로 손꼽히는 절경이다. 원래 이름은 갈도(葛島)이며, 경상 누층군 성포리층으로 구성된 사자바위(일월관암)와 십자동굴 등의 기암괴석들이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1971년 명승 제2호로 지정되었으며, '거제 해금강'으로 등재되어 있다.[49]

; 거제 신선대성포리층

; 외도와 내도

외도


일운면 동쪽 해상에 위치한 내도와 외도는 깨끗한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있다. 안쪽에 있는 섬이 내도이고, 바깥에 있는 섬이 외도이다. 내도는 거북이가 외도를 향해 떠가는 형상을 하여 '''거북섬'''이라고도 하며, 공룡발자국이 발견된 곳이다.[50] 국내에서는 드문 해상 식물원(명칭은 외도 보타니아)이기도 하다. 외도에서 조망하는 깨끗한 한려수도의 모습도 인상적이다. 거제 8경 중 제1경이다.

  • 외도 보타니아

: 동해안 앞바다에 떠 있는 외도에 조성된 관광 식물원. 드라마 겨울연가의 최종회 촬영지이다.

7. 2. 인공 유산

주어진 섹션 제목은 "인공 유산"이지만,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내용이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어떤 내용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지시 사항에 위배됩니다.

7. 3. 박물관



거제테마박물관


195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후반까지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박정희 시절의 국정교과서부터 그 당시의 교실, 책상과 거리를 그대로 옮겨놓았다. 1층은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2층은 유럽을 테마로 한 모형 박물관이다. 또한 입구에는 커다란 배를 전시해 둠으로써 아이들이 놀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창조하였다.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262-5번지에 위치한다.

기존 거제어촌민속전시관에 거제조선테마파크를 합쳐서 만들어진 시립박물관이다. 어촌민속전시관(1관)과 조선해양문화관(2관)으로 나뉘며,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 위치하고 있다.

어촌민속전시관은 지상 2층 규모로써, 생활의 바다/전통의 바다(2층), 체험의 바다/부흥의 바다(1층)의 4개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해양문화관은 지상 2층 규모로써, 어린이조선소/제1도크 선박역사관/제2도크 조선기술관/제3도크 미래 스마트 선박 체험관/영상탐험관의 5개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거제박물관


거제시 옥포2동에 위치한다. 1991년 12월 21일에 정식 개관하였다. 현재 거제도의 민속 유물과 삼국시대, 근세 시대의 유물 등을 전시하고 있다.

  • 청마기념관


청마기념관


청마기념관은 거제도 출신의 청마 유치환 선생을 기리기 위해,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505-1번지에 세운 유치환 선생의 기념관이다. 거제도 둔덕골은 1908년 유치환이 아버지 유준수와 어머니 박우수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난 곳이며, 8대째 청마 유치환의 부모와 조상들이 살아온 곳이다. 주변에는 청마 생가가 2000년 5월에 복원되었으며, 생가는 두 채의 초가로 싸리 대문과 텃밭과 우물 등 청마가 태어난 1908년 옛 모습 그대로 복원되어 있다.

7. 4. 해수욕장

valign="top" |valign="top" |



거제명사해수욕장


거제명사해수욕장

7. 5. 음식



거제시에서 지정한 8품 특산품으로는 유자, 대구, 멸치와 멸치액젓, 고로쇠 수액, 표고버섯, , 미역, 한라봉이 있다. 한라봉은 거제의 따듯한 기후조건으로 인해 내륙인 거제도에서도 생산이 되며, 특산품점 등에서 제주도산이 아닌 거제도산 한라봉을 맛 볼 수 있다.

거제8미라 일컫는 거제의 관광 향토음식으로는 멍게-성게비빔밥과 도다리쑥국, 물메기탕, 어죽, 볼락구이, 대구탕, 굴구이, 생선회 등이 있다. 거제도의 생선은 대부분 통영을 통해 유입이 되며, 거제도는 성게나 멍게 또는 굴과 같은 양식업이 어업보다는 발달해 있다. 가장 유명한 음식 중 하나인 멍게비빔밥이나 성게비빔밥은 신선한 멍게나 성게를 살짝 얼려두었다가 과 함께 흰 쌀밥에 비벼먹는 특미이다. 굴구이는 거제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요리 형태로 넓찍한 철판냄비에 껍질을 까지 않은 굴을 통째로 올려, 불을 가해 살짝 데친 상태로 익혀 먹는 것이다.[54] 거제는 해안가 아열대 지역이기 때문에 한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은 유자, 파인애플, 버섯 등 여러 가지 농작물을 재배하고 수확한다.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덕분에 현지에서 채취한 풍부한 해산물도 얻을 수 있다.

7. 6. 문화 시설

8. 인구

Geoje영어시의 인구 중 가장 많은 곳은 고현동으로 14.97%(35,031명)이며, 가장 적은 곳은 남부면으로 0.64%(1,490명)이다. 도시 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78.13%가 거주하고, 농촌 지역에는 21.87%가 거주한다.(2023년 12월 기준)[55]

2023년 12월 기준으로 세대수는 104,565세대, 인구는 234,038명이며, 인구 밀도는 579.5/km2이다.[55] 2023년 12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은 내국인의 5% 정도인 11,773명이며, 경상남도에서 김해시(21,425명), 창원시(16,422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그 뒤를 양산시(6,948명)가 잇고 있다.[56] 국적별 외국인 수는 베트남vi 2,395명, 우즈베키스탄uz 1,181명, 인도네시아id 996명, 네팔ne 949명, 스리랑카si 942명, 태국th 547명, 미얀마my 537명이다.[57]

인구 증가율은 2007년 3.4%, 2008년 4.3%, 2009년 3.8%, 2010년 1.2%, 2011년 상반기 0.4%로 증가했지만, 현재는 계속해서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평균 연령은 42.1세이고, 40대 인구가 46,089명으로 전체의 19.69%를 차지하며 가장 많다. 70세 이상 고령 인구는 19,828명으로 전체의 8.47% 정도이다.[58]

2014년 5월 거제시가 발행한 백서에 따르면, 거제시의 인구는 243,736명이었으며, 그중 12,240명이 외국인이었다. 상당수의 인구가 조선업에 의존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근로자의 약 33%가 조선업에 종사하고 있다.

2024년 10월 기준 거제도의 인구는 232,807명이다.

9. 교육

거제시에는 대학교 1개, 거제고등학교해성고등학교를 포함한 사립고등학교 2개와 거제중앙고등학교, 거제제일고등학교, 거제옥포고등학교, 연초고등학교, 거제상문고등학교를 포함한 국공립 고등학교 5개가 있다. 거제공업고등학교,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3개의 전문계 고등학교가 있다. 그 외에 사립중학교 5개와 국공립 중학교 14개가 있으며, 39개의 초등학교와 57개의 유치원이 있다. 거제국제외국인학교(International School of Koje)가 있다.


  • 거제대학교
  • 거제도립도서관(경상남도 거제교육지원청 운영)
  • 거제시립도서관
  • * 거제시립장평도서관
  • * 거제시립옥포도서관
  • * 거제시립장승포도서관


초등학교
일반분교



유치원
공립사립


10. 교통

1999년 4월 22일 기존의 거제대교를 대체하는 신거제대교가 개통되어 통영과 통영대전고속도로를 통해 서울, 경기 지역 접근성이 향상되었으며, 2010년 12월 14일 거가대교 개통으로 부산과의 연결도 편리해졌다.

2000년 1월 1일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와 칠천도의 어온리를 잇는 칠천교가 개통되어 내부 교통이 원활해졌다. 2009년 7월 13일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에서 가조도를 잇는 가조연륙교가, 2018년 9월 20일 거제시 거제면 법동리에서 산달도를 잇는 산달연륙교가 각각 개통되면서 주요 섬들을 연결하는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10. 1. 시외버스

거제시의 시내, 시외 교통은 모두 고현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서울, 부산으로 가는 경우에는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까지 간다.

10. 2. 시내버스

거제시의 시내 및 외부 교통은 고현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서울, 부산 방면으로는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까지 간다.[59]

고현터미널과 장승포터미널은 시외버스뿐만 아니라 바로 옆에 시내버스 정류장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2010년 7월 16일부터 시내버스 무료 환승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환승을 위해서는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현금 이용객이나 동일 노선 환승 시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환승 제한 시간은 30분이다.[59]

10. 3. 항구

고현항



10. 4. 페리

장승포, 옥포와 부산 사이를 오가는 고속여객선이 하루 24회 운항하는 등 진해만 내부 및 부산 방면으로 해상 교통이 발달해 있다. 2010년에는 가덕도와 거제시를 잇는 거가대교가 개통되어, 이전에는 약 3시간이 걸리던 부산까지의 육상 교통 시간이 1시간 이내로 단축되었다.

10. 5. 철도

거제시는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철도 노선은 없다. 좁고 긴 지형에 듬성듬성 산지가 많은 거제도의 환경적 특성상 철도가 놓이기 힘든 환경이다. 그래서 거제에서는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진주역, 마산역이나 부산역을 이용한다.

11. 언론

12. 자매 도시


13. 출신 인물


  • 김영삼 -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다. 장목면 외포리 출신이다.
  • 문재인 -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이다. 거제면 명진리 출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서적 Koje Unscreened Britain-China Friendship Association
[3] 웹사이트 KNTO Destination Guide - Geoje P.O.W. Camp 거제포로수용소 https://web.archive.[...] 2005-04-11
[4] 서적 The Korean War Modern Library 2011-01-01
[5] 간행물 《고현성 안내표지판》 거제시시설관리공단 2009-01-31
[6] 웹사이트 거제시시설관리공단 https://web.archive.[...] 2009-08-10
[7] 웹사이트 동백섬 지심도 공식홈페이지 http://www.jisimdoro[...]
[8] 웹사이트 ===거제도 외도 전문 길라잡이 거제에코투어 - 바람의 언덕을 작명한 캡틴이 거제도 여행의 모든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http://www.geojeecot[...]
[9] 간행물 거제시 관광안내자료 2009-01-01
[10] 웹사이트 아름다운 섬 외도 https://web.archive.[...] 2014-05-28
[11] 웹사이트 ===거제도 외도 전문 길라잡이 거제에코투어 - 바람의 언덕을 작명한 캡틴이 거제도 여행의 모든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http://www.geojeecot[...]
[12] 웹사이트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https://web.archive.[...] 2011-07-20
[13] 웹사이트 ===거제도 외도 전문 길라잡이 거제에코투어 - 바람의 언덕을 작명한 캡틴이 거제도 여행의 모든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http://www.geojeecot[...]
[14] 웹사이트 ===거제도 외도 전문 길라잡이 거제에코투어 - 바람의 언덕을 작명한 캡틴이 거제도 여행의 모든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http://www.geojeecot[...]
[15] 웹사이트 K :: https://web.archive.[...] 2011-11-19
[16] 웹사이트 대명리조트 http://www.daemyungr[...]
[17] 웹사이트 RFC 3.0 오류 메세지 http://www.geoje.go.[...]
[18] 웹사이트 2011년 6월 31일 기준 인구 http://www.geoje.go.[...]
[19] 이미지 Map of the region http://i.b5z.net/i/u[...]
[2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1-29
[2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2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7
[2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4]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거제(29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2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거제(29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26] 서적 삼국지
[27] 서적 고려사
[28] 서적 東亜関係特種条約彙纂 東亜同文会
[2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0] 뉴스 거제시 장승포·마전동, '장승포동'으로 통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5-12-10
[31] 뉴스 一人当たりの所得3万ドル、「造船王国」巨済島(上)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7-04-29
[32] 뉴스 巨済の太陽は造船所から昇り造船所に沈む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7-04-29
[33] 뉴스 【社説】失業率7%の巨済市はこの国の未来の姿か http://www.chosunonl[...] 중앙일보 2019-02-27
[34]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5]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6] 서적 세종실록 지리지 (정보 없음)
[37]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38] 뉴스 역사가 만든 거제도 유배길 복원하자 http://www.saegeoje.[...] 새거제신문 2011-04-21
[3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0] 뉴스 거제시 장승포·마전동, '장승포동'으로 통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12-10
[41] 목록 거제시 행정동 목록
[42]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거제(29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3]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거제(29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3-07-11
[45] 웹사이트 거제시의 경제동향 https://www.geoje.go[...]
[46] 웹인용 특용작물 http://statistic.geo[...] 2011-01-02
[47] 웹인용 해수면어업 http://statistic.geo[...] 2011-01-02
[48] 웹사이트 거제시의 수산업 https://www.geoje.go[...]
[49] 간행물 거제시 관광안내자료 2009-01
[50] 간행물 거제시 관광안내자료 일부 2009-01
[51] 간행물 고현성 안내표지판 거제시시설관리공단 2009-01-31
[52] 웹인용 옥포대첩기념공원 소개 http://www.geojeimc.[...] 거제시시설관리공단 2014-05-13
[53] 뉴스인용 삼성경제연구소,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진단 http://www.kmobile.c[...] Kmobile 2009-02-14
[54] 간행물 거제시 관광안내책자 2009-01-31
[55] 통계자료 2023년 12월말 거제시 주민등록인구통계
[56] 웹인용 2023년 12월 기준 경상남도 외국인 인구 통계 https://bigdata.gyeo[...]
[57] 웹인용 2023년 12월 외국인 인구 통계 https://data.geoje.g[...]
[58] 통계자료 2023년 12월말 거제시주민등록인구통계
[59] 웹사이트 거제시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s://bis.geoje.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