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마케도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일 마케도니아는 19세기 말부터 제기된 개념으로, 마케도니아 지역의 모든 주민을 마케도니아인으로 묶어 단결하려는 사상이다. 이 개념은 발칸 사회주의 연방의 구상과 관련되어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마케도니아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데 활용되었다. 북마케도니아 독립 이후에도 일부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지지받았으나, 주변국과의 관계에서 영토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그리스는 이 개념을 자국의 내정에 간섭하려는 시도로 간주했다.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공식적인 영토 요구는 철회되었지만, 이념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는 복잡한 민족 구성,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위기, 민족주의 부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여러 국가로 분리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진 20세기 후반의 해체 과정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중 하나로, 자체 헌법, 정부, 의회를 갖춘 자치적인 국가였으며,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국명을 변경하였다.
통일 마케도니아 |
---|
2. 역사
통일 마케도니아라는 개념은 19세기 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자치를 추구하며 '자치 마케도니아'라는 용어를 사용한 데서 기원한다.[45] 초기에는 마케도니아 지역 내 모든 민족의 단결을 의미했으나,[46] 점차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와 결합하며 현재의 북마케도니아를 포함해 그리스, 불가리아, 알바니아, 세르비아, 코소보 등 인접 국가에 걸쳐 있는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의 통일을 주장하는 정치적 이념으로 발전했다.
20세기 초, 특히 1910년 제1차 발칸 사회주의 회의와 1915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의 주장 등을 통해 마케도니아 문제 해결 및 통일 구상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51][1][33]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IMRO 지도자들이 그리스와 세르비아로부터의 해방과 통일 마케도니아 건설을 목표로 활동했다. 1934년 코민테른은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과 언어의 존재를 공식 인정하며 통일 마케도니아 강령 채택을 제안하기도 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티토는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마케도니아 민족성을 인정하고 세 지역(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불가리아)의 통일을 지지했다.[5] 이는 1947년 블레드 협정 (1947)으로 구체화되는 듯했으나, 1948년 티토-스탈린 분열과 1949년 그리스 내전에서 공산주의 세력의 패배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1991년 북마케도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하면서 통일 마케도니아 문제는 다시 부상했다. 특히 북마케도니아의 초기 헌법 조항[52][34]은 주변국, 특히 그리스와의 외교적 마찰을 일으켰다. 그리스는 이를 자국 내정에 간섭하고 영토적 야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하여 경제 봉쇄 등의 조치를 취했다. 1995년 양국 간 잠정 합의를 통해 북마케도니아는 주변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했지만,[53][35]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 자체는 여전히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북마케도니아의 일부 공식 문서나 교육 자료 등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44][54][55][56][57][58][59][60][61][62][63][64]
2. 1. 19세기 말 ~ 20세기 초: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의 등장

통일 마케도니아의 개념은 19세기 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의 문서에서 '자치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IMRO는 1893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있던 테살로니키에서 소수의 마케도니아계 불가리아인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혁명을 목표로 설립한 조직이다.[45] 이들은 마케도니아를 분할될 수 없는 영토로 간주했으며, 종교나 민족에 관계없이 마케도니아의 모든 주민을 '마케도니아인'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마케도니아인' 개념은 단순히 불가리아 민족으로부터의 분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 즉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맞서 마케도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민족의 단결을 추구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46] 이 용어는 1900년대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발칸 사회주의 연방 구상과도 연관성을 보인다.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에서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이는 때때로 그리스인과 불가리아인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반영하기도 한다.
명칭 | 해당 지역 |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а, Vardarska Makedonija) | 북마케도니아 |
에게 해 마케도니아 (Егеска Македониа, Egejska Makedonija) | 그리스 북부의 세 마케도니아 주변 지역 |
피린 마케도니아 (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а, Pirinska Makedonija) | 불가리아 남서부 블라고에브그라드 주 (비공식 명칭) |
말라 프레스파 골로 브르도 (Мала Преспа и Голо Брдо, Mala Prespa i Golo Brdo) | 알바니아 남동부 지역 (간혹 에게 해 마케도니아 일부 포함) |
프로호르 프친스키 (Прохор Пчински, Prohor Pcinjski) | 세르비아 남부 지역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소구역) |
고라 (Гора, Gora) | 코소보 남부 지역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소구역) |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는 1910년에 열린 제1차 발칸 사회주의 회의였다. 이 회의에서는 마케도니아 문제의 해결이 주요 강령 중 하나로 논의되었다. 이후 1915년, 불가리아의 사회주의 정치인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당시 세 나라에 의해 분할되어 있던 마케도니아를 재통일하여, 미래의 발칸 민주 연방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동등한 권리를 갖는 국가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을 발표했다.[51][1][33]
2. 2. 20세기 중반: 코민테른과 유고슬라비아의 역할
1924년 코민테른은 모든 발칸 공산당에게 "통일된 마케도니아" 강령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불가리아와 그리스 공산주의자들에게 거부되었다.[2] 1934년 코민테른은 공식 정치 문서를 발표했는데, 이 문서에서 권위 있는 국제 기구가 처음으로 별개의 마케도니아인과 마케도니아어의 존재를 인정했다.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스베토자르 부크마노비치에 따르면, 통일된 마케도니아에 대한 슬로건은 1943년 10월 초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군 본부의 선언문에 등장했다.[3] 당시 부크마노비치는 티토에 의해 마케도니아에서 공산주의 투쟁을 '마케도니아화'하고 새로운 민족 마케도니아 전선을 부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지역 공산주의자들의 전쟁 시기 친불가리아 정서를 친유고슬라비아주의로 전환시킨 것이었다. 그 결과, 친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지역위원회는 해산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의 일부인 새로운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연맹으로 대체되었다.[4]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과거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 겪었던 강제적인 세르비아화 정책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성을 인정했다. 또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간주하는 견해는 전쟁 후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 영토로 남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지하지 않았다.[5] 이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세 지역(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불가리아)의 통일을 목표로 선언하여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을 끌어들였다.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 전쟁 이후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 전역의 통일에 대한 열망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1944년 이후 그리스 내전 동안 계속되었다. 1947년 공산주의 지도자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와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서명한 블레드 협정 (1947)은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의 통일을 예측했다. 또한 불가리아가 민족 마케도니아인과 마케도니아어를 인정한 것도 처음이었다. 그러나 1948년 티토-스탈린 분열과 1949년 디미트로프의 사망 이후, 같은 해 공산주의자들이 그리스 내전에서 패배하면서 통일 마케도니아 구상은 실현되지 못했다.
2. 3. 1991년 이후: 북마케도니아 독립과 통일 마케도니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하기 전후,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가 통일 마케도니아 이념을 공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의심하였다. 1991년 11월 17일에 제정된 새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최초의 헌법 제47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52][34]: (1)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주변의 여러 나라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인에 속해 있는 사람들과 국외로 추방된 마케도니아인의 지위와 권리에 관심을 가지며, 이러한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지원해 공화국과의 관계를 촉진한다. 이러한 목적의 실행에 앞서 공화국은 다른 나라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으며, 내정 문제에 간섭하지 않는다.
: (2)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마케도니아 국민들이 국외에서 갖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권리에 관심을 가진다.
그리스의 입장에서 이 조항은 그리스의 내정 문제에 간섭할 수 있는 구실로 이용될 수 있는 조항으로 여겨졌다.
1989년 이후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통일 마케도니아"를 외치며 "테살로니키는 우리의 것이다" 및 "우리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위해 싸운다"라고 주장했다.[6][7][8]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부터 그리스와 불가리아 영토에 대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팽창주의적 주장을 담아 "통일 마케도니아"를 독립 국가로 묘사한 여러 지도가 유포되었다. 그러한 지도 중 하나에는 올림푸스 산 전체가 "통일 마케도니아"의 영토에 포함되기도 했다.[9]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 집권당이었던 VMRO-DPMNE는 첫 번째 결의안에서[15][16][17][18][19][20][21] "통일 마케도니아"의 강령을 채택했는데,[22] 이는 온건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을 불편하게 했고,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팽창주의적 주장으로 간주되었다.[23]
1995년 9월 13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영토 문제 등을 이유로 벌어진 그리스의 경제 봉쇄를 끝내기 위해 그리스와의 사이에 잠정 합의에 이르게 된다.[53][35] 이 합의 조항 중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주변의 이웃 나라에 대한 모든 영유권 주장을 철회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통일 마케도니아주의는 어떠한 공적인 지원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 마케도니아라는 개념은 그 후에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공식적인 문서[44][54][55][56][57][58][59][24][25][28][32][36][30][29][37][38]와 교과서를 통한 학교의 가르침 그리고 정부의 공식 간행물을 통해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60][61][62][63][64][26][27][39][40][41][42][43] 이 개념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계속 옹호되고 있다.
3. 통일 마케도니아가 포함하는 지역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19세기 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의 문서에서 '자치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이 개념은 오스만 제국 치하의 마케도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민족의 단결을 목표로 했으며, 종교나 민족에 관계없이 마케도니아 주민 모두를 '마케도니아인'으로 간주했다.[45][46]
현대의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10] 통일 마케도니아가 다음과 같은 지역들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지역 구분과 명칭은 주로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들이 선호하며, 그리스인이나 불가리아인에게는 공격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명칭 (마케도니아어) | 현재 해당 지역 | 비고 |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ја|바르다르스카 마케도니야mkd) | 북마케도니아 | 고라(코소보 남부)와 프로호르 프친스키(세르비아 남부)를 포함하기도 함. |
에게 마케도니아 (Егејска Македонија|에게이스카 마케도니야mkd) |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 지방 | |
피린 마케도니아 (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ја|피린스카 마케도니야mkd) | 불가리아 남서부의 블라고에브그라드주 | |
말라 프레스파 및 골로 브르도 (Мала Преспа и Голо Брдо|말라 프레스파 이 골로 브르도mkd) | 알바니아 남동부 (코르차 주, 포그라데츠 주, 데볼 주) | 에게 마케도니아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함. |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위의 지역들을 마케도니아의 해방되지 않은 부분으로 묘사하며, 해당 영토의 대부분의 인구가 억압받는 민족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한다.[11][12][13][14] 이러한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과거 북마케도니아의 공식 문서,[24][25][44][54][55][56][57][58][59] 학교 교과서 및 정부 간행물 등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26][27][60][61][62][63][64]
3. 1.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현재의 북마케도니아를 가리키는 말이다.[10]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 지역을 분류할 때, 바르다르 마케도니아(mk)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추가 지역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 북마케도니아의 영토
- 고라 (mk): 코소보 남부와 알바니아 동부의 일부 지역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포함되기도 함)
- 프로호르 프친스키 (mk): 세르비아 남부 지역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포함되기도 함)
'바르다르 마케도니아'라는 호칭은 슬라브·남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어)이 선호하는 용어이며, 그리스인이나 불가리아인에게는 공격적이거나 불쾌하게 여겨질 수 있다.
3. 2. 에게 마케도니아
에게 마케도니아(Егејска Македонија|에게이스카 마케도니야mk)는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에서 그리스 북부의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이다.[10]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이 지역을 마케도니아의 일부로 간주하며, "테살로니키는 우리의 것"과 같은 구호를 통해 영유권을 주장하기도 했다.[6][7][8] 일부 민족주의자들이 제작한 지도에는 올림푸스 산까지 통일 마케도니아 영토에 포함되기도 했다.[9]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에게 마케도니아(그리스령 마케도니아)를 포함한 지역들이 해방되지 않은 마케도니아 영토이며, 해당 지역 인구 대다수가 억압받는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리스 내에는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이 존재하며, 이들의 정체성은 마케도니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등으로 다양하다. Ethnologue와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이들의 수를 10만에서 20만 명 사이로 추산하며,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이 중 약 1만에서 3만 명이 마케도니아인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13]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민족주의 정당 VMRO-DPMNE가 이끌었을 당시, 그리스 내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70만 명에 달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4]
VMRO-DPMNE는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 집권당이었으며, 첫 번째 결의안에서[15][16][17][18][19][20][21] "통일 마케도니아"의 강령을 채택했는데,[22] 이는 온건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을 불쾌하게 했고,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팽창주의적 주장으로 간주되었다.[23] 독립 이전과 직후, 그리스에서는 통일 마케도니아의 개념이 여전히 국가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다고 추정했다.
VMRO-DPMNE의 통치 기간 동안,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현재 북마케도니아의 공식 자료에 나타났고,[24][25] 학교 교과서 및 기타 정부 간행물을 통해 학교에서 가르쳐졌다.[26][27]
'에게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은 주로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들이 선호하는 용어이며, 그리스인에게는 공격적이거나 불쾌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때때로 알바니아 남동부의 말라 프레스파 및 고로 브르도 지역도 에게 마케도니아에 포함되기도 한다.
3. 3. 피린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10] 마케도니아 지역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부르는데, 그중 하나가 '''피린 마케도니아'''(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јаmk)이다. 이는 불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블라고에브그라드주를 가리키는 말이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피린 마케도니아를 아직 해방되지 않은 마케도니아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며, 이곳에 거주하는 다수의 주민들이 억압받는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한다. 공식적인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서는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1,600명으로 집계되었지만,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실제로는 20만 명에 달하며 통계가 과소 집계되었다고 주장한다.[12] 과거 북마케도니아 정부가 민족주의 정당 VMRO-DPMNE에 의해 이끌렸을 때, 불가리아 내에 최대 75만 명의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4]
'피린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은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들이 선호하는 용어이지만, 불가리아인들에게는 공격적이거나 불쾌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3. 4. 말라 프레스파 및 골로 브르도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 지역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보는데[10], 그중 하나가 Мала Преспа|말라 프레스파mkd와 Голо Брдо|골로 브르도mkd이다. 이 지역은 현재 알바니아 공화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는 코르차 주, 포그라데츠 주, 데볼 주에 해당한다.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이곳을 아직 해방되지 않은 마케도니아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며, 해당 지역 인구의 다수가 억압받는 민족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한다. 알바니아 정부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약 5,000명의 마케도니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실제로는 12만 명에서 35만 명에 달한다고 주장한다.[11]
경우에 따라서는 이 지역이 에게 마케도니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한다.
4. 인구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해당 지역의 민족 구성 및 인구 통계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란을 낳고 있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역사적인 마케도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상당수 주민이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이며, 이들이 알바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등에서 억압받고 있다고 주장한다.[10] 이들은 해당 국가들의 공식 인구 조사가 실제 마케도니아인 인구를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실제 인구는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다고 주장한다.[11][12][13][14] 예를 들어, 알바니아, 불가리아, 그리스의 공식 통계에 나타난 마케도니아인 인구와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수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인구 통계 해석의 차이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둘러싼 민족적, 정치적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4. 1.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주장
1989년 이후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통일 마케도니아"라는 구호 아래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들은 "테살로니키는 우리의 것이다" 또는 "우리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위해 싸운다"와 같은 구호를 내세웠다.[6][7][8]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에는 그리스와 불가리아 영토 일부를 포함하는 '통일 마케도니아' 지도가 유포되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팽창주의적 영토 주장을 담고 있었다. 심지어 올림푸스 산 전체를 '통일 마케도니아' 영토로 표시한 지도도 있었다.[9]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10] 역사적인 마케도니아 지역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통일 마케도니아'의 구성 요소로 간주한다.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ја):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영토 대부분과 코소보 남부 및 알바니아 동부의 고라 지역 일부, 세르비아 남부의 프로호르 프친ски 지역을 포함한다.
- 그리스 마케도니아 (또는 에게 마케도니아, Егејска Македонија): 그리스 북부 지역을 의미한다.
-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또는 피린 마케도니아, 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ја): 불가리아 남서부 지역을 의미한다.
- 말라 프레스파와 골로 브르도 (Мала Преспа и Голо Брдо): 알바니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이들은 위에 언급된 지역들이 아직 해방되지 않은 마케도니아의 일부이며,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다수의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들이 억압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알바니아, 불가리아, 그리스의 공식 인구 조사에서 마케도니아인 인구가 실제보다 훨씬 적게 집계되었다고 주장한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각국의 공식 인구 통계와 그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국가 | 공식 통계 |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 주장 |
---|---|---|
알바니아 | 약 5,000명[11] | 12만 ~ 35만 명[11] |
불가리아 | 1,600명 (또는 5,071명)[12] | 20만 명[12] |
그리스 | 슬라브어 사용 소수 민족 10만~20만 명 중 마케도니아인 정체성 보유자 약 1만~3만 명[13] | 70만[14] ~ 80만 명 |
민족주의 정당인 VMRO-DPMNE가 북마케도니아의 집권당이었던 시기에는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이 공식적인 정책 방향으로 채택되기도 했다.[15][16][17][18][19][20][21][22] 이는 온건파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특히 그리스에서는 자국 영토(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팽창주의적 주장으로 간주되었다.[23] 북마케도니아 독립 초기, 그리스는 이러한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이 국가 차원에서 여전히 지지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VMRO-DPMNE 집권기에는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이 북마케도니아의 공식 자료[24][25]나 학교 교과서, 정부 간행물[26][27] 등을 통해 교육되기도 했다.
4. 2. 그리스, 불가리아, 알바니아의 입장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그리스, 불가리아, 알바니아 내의 특정 지역들을 마케도니아 지역의 일부로 간주하며, 이 지역들이 아직 해방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해당 지역 인구의 대다수가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이며, 이들이 억압받고 있다고 본다.[10] 또한, 각국의 공식 인구 조사에서 민족적 마케도니아인의 수가 실제보다 적게 집계되었다고 주장한다.과거 북마케도니아의 집권당이었던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 VMRO-DPMNE는[15][16][17][18][19][20][21] '통일 마케도니아' 강령을 채택했으며,[22] 이는 주변국, 특히 그리스로부터 팽창주의적 영토 주장으로 간주되어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23] VMRO-DPMNE 집권 시기에는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이 북마케도니아의 공식 자료[24][25] 및 학교 교과서 등을 통해 교육되기도 했다.[26][27]
각국의 공식 통계 및 추정치와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이 차이를 보인다.
국가 | 공식 통계 / 추정치 (민족적 마케도니아인) |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주장 |
---|---|---|
알바니아 | 공식적으로 약 5,000명[11] | 120,000 ~ 350,000명[11] |
불가리아 | 공식적으로 5,071명[12] | 200,000명[12] |
그리스 |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100,000 ~ 200,000명 추정 (Ethnologue,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 이 중 스스로를 민족적 마케도니아인으로 규정하는 인구는 약 10,000 ~ 30,000명으로 추산됨[13] | 700,000[14] ~ 800,000명 |
이러한 인식 차이는 해당 국가들과 북마케도니아 간의 관계에 지속적인 긴장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5. 통일 마케도니아와 주변국의 관계
통일 마케도니아라는 개념은 19세기 말, '자치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으로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의 문서에서 처음 등장했다. 1893년 오스만 제국 치하의 테살로니키에서 조직된 이 기구는 소수 마케도니아계 불가리아인들이 주축이 되어 반(反)오스만 혁명을 목표로 삼았다.[45] 이들은 마케도니아를 분할될 수 없는 영토로 보았으며, 종교나 민족에 관계없이 마케도니아의 모든 주민을 '마케도니아인'으로 규정했다. 이는 정치적인 이유로 불가리아 민족으로부터의 분리를 뜻하기보다는, 마케도니아 지역 내 모든 민족의 단결을 강조하는 의미였다.[46] 이 용어는 1900년대 초부터 사용되었으며, 발칸 사회주의 연방 구상과도 연관성을 보인다.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지리적으로 분할된 마케도니아 지역을 하나의 정치적 실체로 통일하려는 열망을 담고 있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마케도니아 지역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며, 이는 주변국과의 영토 및 민족 문제와 관련된 긴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명칭 (마케도니아어) | 명칭 (한국어) | 해당 지역 |
---|---|---|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а (Vardarska Makedonija)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 북마케도니아 |
Егеска Македониа (Egejska Makedonija) | 에게 해 마케도니아 | 그리스 북부 마케도니아 지역 |
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а (Pirinska Makedonija) | 피린 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남서부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비공식 명칭) |
Мала Преспа и Голо Брдо (Mala Prespa i Golo Brdo) | 말라프레스파와 골로보르데 | 알바니아 남동부 |
Прохор Пчински (Prohor Pcinjski) | 프로호르 프친스키 지역 | 세르비아 남부 |
Гора (Gora) | 고라 | 코소보 남부 및 알바니아 북동부 |
이러한 관점에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주변국, 특히 그리스, 불가리아, 알바니아 등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계 주민들이 억압받고 있으며, 이들 지역이 해방되어야 할 마케도니아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들은 해당 국가들의 공식 인구 조사에서 마케도니아인 인구가 실제보다 현저히 축소되었다고 주장하며 갈등의 소지를 안고 있다.[47][48][11][12] 이러한 인식과 주장은 통일 마케도니아를 둘러싼 주변국과의 관계에서 지속적인 긴장과 논쟁을 야기하는 핵심 요인이다.
5. 1. 그리스와의 관계
1989년 이후,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은 "통일 마케도니아"를 주장하며 "테살로니키는 우리의 것이다", "우리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위해 싸운다"와 같은 구호를 외쳤다.[6][7][8] 이들은 마케도니아 지역을 분할된 것으로 간주하고, 특히 그리스 마케도니아(또는 "에게 마케도니아")를 마케도니아의 일부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0] 이러한 주장은 그리스 영토에 대한 팽창주의적 의도를 담은 지도의 유포로 이어졌으며, 일부 지도에는 올림푸스 산 전체가 "통일 마케도니아" 영토로 표시되기도 했다.[9] 그리스 내에는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이 존재하며, 이들의 정체성은 마케도니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Ethnologue와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이들의 규모를 10만에서 20만 명 사이로 추산하며, 이 중 마케도니아인 정체성을 가진 인구는 약 1만에서 3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13]
북마케도니아의 민족주의 정당 VMRO-DPMNE는 집권 시기에 "통일 마케도니아" 강령을 채택했는데,[15][16][17][18][19][20][21][22] 이는 온건파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에게 반감을 샀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에서는 자국 영토인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팽창주의적 주장으로 간주되었다.[23] VMRO-DPMNE 통치 기간 동안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북마케도니아의 공식 자료나[24][25] 학교 교과서 등 정부 간행물을 통해 교육되기도 했다.[26][27] 북마케도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하기 전후 시기부터 그리스는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이 북마케도니아 정부 차원에서 지원받고 있다는 의심을 품었다.
1991년 11월 17일 채택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첫 헌법 제47조는 이러한 우려를 더했다.[34] 해당 조항은 다음과 같다:
: 1. 공화국은 주변 국가에 거주하며 마케도니아인에 속하는 사람들, 그리고 마케도니아인 국외 추방자의 지위와 권리에 관심을 갖고, 이들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지원하며 공화국과의 유대를 촉진한다. 이 목적의 실행에 있어서 공화국은 타국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고 내정 문제에 간섭하지 않는다.
: 2. 공화국은 공화국 국민의 국외에서의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권리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스는 이 조항이 자국의 내정 문제에 간섭할 구실을 제공한다고 해석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에 대해 경제 봉쇄 조치를 취했다. 1995년 9월 13일, 양국은 잠정 합의에 도달하여 경제 봉쇄를 종결했다.[35] 이 합의에 따라 북마케도니아는 주변 국가에 대한 모든 영토 요구를 공식적으로 철회했으며, 이로써 통일 마케도니아주의는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잠정 합의 이후에도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이 개념은 여전히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옹호되고 있으며, 일부 공식 문서나[28][32][36][30][29][37][38] 학교 교과서 및 기타 정부 공식 간행물을 통해 언급되기도 했다.[39][40][41][42][43] 이는 그리스와의 관계에서 여전히 잠재적인 갈등 요소로 남아 있다.
5. 2. 불가리아와의 관계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은 1910년 제1차 발칸 사회주의자 회의에서 마케도니아 문제 해결책으로 처음 논의되었다. 불가리아의 정치인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1915년에 마케도니아를 발칸 민주 연방의 틀 안에서 하나의 국가로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이후 1924년, 코민테른은 모든 발칸 공산당에게 "통일된 마케도니아" 강령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지만, 불가리아와 그리스의 공산주의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 1934년 코민테른은 공식 정치 문서를 발표하여 처음으로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과 마케도니아어의 존재를 인정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마케도니아 지역 내 친불가리아 정서를 약화시키고 친유고슬라비아 노선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스베토자르 부크마노비치와 같은 인물이 파견되었으며[3], 기존의 친불가리아 성향을 띤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지역위원회는 해체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산하의 새로운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연맹으로 대체되었다.[4] 유고슬라비아 측은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불가리아인이라는 주장을 지지하지 않았는데, 이는 해당 주장이 현실화될 경우 마케도니아 지역이 전쟁 후 불가리아의 영토로 남게 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5]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세 지역(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불가리아) 통일을 목표로 내세워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을 포섭하고자 했다.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 전쟁 이후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통일에 대한 열망을 이어갔으며, 이는 1944년 이후 그리스 내전까지 계속되었다. 1947년, 불가리아의 공산주의 지도자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와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블레드 협정 (1947)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령 마케도니아의 통일을 목표로 했으며, 특히 불가리아가 처음으로 마케도니아 민족과 마케도니아어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중요한 사건이었다. 그러나 1948년 티토-스탈린 분열이 일어나고 1949년 디미트로프가 사망하면서 양국 관계는 급변했다. 같은 해 그리스 내전에서 공산주의 세력이 패배하면서, 블레드 협정에서 구상했던 통일 마케도니아 계획은 실질적으로 무산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Balkan Conference
http://www.marxists.[...]
2009-05-21
[2]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Praeger
2002
[3]
서적
Struggle for the Balkans
Merlin Press
1980
[4]
간행물
Communism and Nationalism in the Balkans: Marriage of Convenience or Mutual Attraction?
Brill Publishers
2013
[5]
서적
Yugoslav communism and the Macedonian question
Archon Books
1971
[6]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I B Tauris Academic
2002
[7]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Routledge
2006
[8]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C. Hurst & Co. Publishers
2003
[9]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0]
서적
Ethnic Politics in Eastern Europe: A Guide to Nationality Policies, Organizations and Parties
Sharpe, M. E. Inc.
1994
[11]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Albania: Macedonians
https://archive.toda[...]
[12]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1992 via the Libraries of the Univ. of Missouri-St. Louis
https://web.archive.[...]
2019-01-15
[13]
웹사이트
Report about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along guidelines for state reports according to Article 25.1 of the Convention)
http://miris.eurac.e[...]
Greek Helsinki Monitor
1999-09-18
[14]
웹사이트
Macedonia erases 'irredentist' claims as Commission tables report
http://www.euractiv.[...]
euroactiv
2013-04-17
[15]
서적
Political parties of the world
2002
[16]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urst & Company
2000
[17]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8]
서적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and the Politics of Compliance
Ashgate
2010
[19]
보고서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Human Rights Watch
1999
[20]
서적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4
Routledge
[21]
서적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22]
서적
The costs of conflict: prevention and cure in the global aren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9
[23]
서적
Making peace prevail: preventing violent conflict in Macedonia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0
[24]
웹사이트
Greek Helsinki Monitor: Macedonians of Bulgaria
http://www.greekhels[...]
Greek Helsinki Monitor,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 — Southeast Europe
2006-07-24
[25]
웹사이트
How can a woman give birth to one Greek and one Macedonian?
http://www.gate.net/[...]
2006-12-26
[26]
서적
Facts About the Republic of Macedonia
Republic of Macedonia Secretariat of Information
1997
[27]
서적
Macedonianism: Macedonia's expansionist designs against Greece after the Interim Accord (1995)
Society for Macedonian Studies, Ephesus Publishing
2007
[28]
뉴스
Greek Macedonia "not a problem"
The Times
1957-08-05
[29]
웹사이트
http://www.florina.o[...]
[30]
웹사이트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on Minorities in Europe - Southeast Europe
http://www.greekhels[...]
[31]
웹사이트
GREEK HELSINKI MONITOR (GHM) & MINORITY RIGHTS GROUP – GREECE (MRG-G)
http://dev.eurac.edu[...]
[32]
기사
Patrides, Greek Magazine of Toronto
1988-09
[33]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Balkan Conference
http://www.marxists.[...]
[3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oefre.uni[...]
1991-11-17
[35]
웹사이트
"Interim Accord between the Hellenic Republic and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hri.org/d[...]
United Nations
1995-09-13
[36]
뉴스
As Republic Flexes, Greeks Tense Up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1992-02-03
[37]
웹사이트
Makedonija — General Information
http://www.makedonij[...]
2008-05-14
[38]
서적
How can a woman give birth to one Greek and one Macedonian?
http://www.gate.net/[...]
2006-12-26
[39]
간행물
The Macedonian Times
[40]
간행물
Facts About the Republic of Macedonia
[41]
뉴스
Macedonia marks 30th anniversary of Dimitar Mitrev's death
https://www.google.c[...]
MIA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06-02-24
[42]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in London
http://www.macedonia[...]
2006-12-26
[43]
웹사이트
Macedonianism FYROM'S Expansionist Designs against Greece, 1944-2006
http://www.ems.name/[...]
Society for Macedonian Studies
2007-12-05
[44]
뉴스
Greek Macedonia "not a problem"
더 타임스 (런던)
1957-08-05
[45]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46]
웹사이트
The Macedoine,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www.promacedo[...]
Cornell University Press
1984
[47]
웹인용
See
http://www.florina.o[...]
2009-12-23
[48]
웹인용
See
http://www.greekhels[...]
2009-12-23
[49]
웹사이트
http://dev.eurac.edu[...]
2003-05-23
[50]
간행물
Patrides, Greek Magazine of Toronto
1988-09
[51]
웹인용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Balkan Conference
http://www.marxists.[...]
www.marxists.org
2009-05-21
[52]
웹사이트
마케도니아 공화국 헌법
http://www.oefre.uni[...]
1991-11-17
[53]
웹사이트
"Interim Accord between the Hellenic Republic and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hri.org/d[...]
국제 연합
1995-09-13
[54]
웹인용
Rainbow — Vinozhito political party
http://www.florina.o[...]
2006-07-22
[55]
웹인용
Greek Helsinki Monitor: Macedonians of Bulgaria
http://www.greekhels[...]
Greek Helsinki Monitor,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 — Southeast Europe
2006-07-24
[56]
간행물
Patrides, Greek Magazine of Toronto
1988-09
[57]
뉴스
http://query.nytimes[...]
[58]
웹인용
http://www.makedonij[...]
2006-07-22
[59]
서적
http://www.gate.net/[...]
2006-12-26
[60]
간행물
The Macedonian Times
[61]
간행물
Facts About the Republic of Macedonia
[62]
뉴스
Macedonia marks 30th anniversary of Dimitar Mitrev's death
https://www.google.c[...]
MIA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06-02-24
[63]
웹인용
http://www.macedonia[...]
2006-12-26
[64]
웹사이트
Macedonianism FYROM'S Expansionist Designs against Greece, 1944-2006
http://www.ems.gr/ek[...]
Society for Macedonian Studies
2007-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