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불가리아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1882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났다.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 1923년 쿠데타에 저항하는 봉기를 주도했다. 이후 독일로 망명하여 라이프치히 재판에서 나치에 맞서 자신의 신념을 옹호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35년부터 1943년까지 코민테른 서기장을 역임하며 반파시스트 통일전선을 주창했다. 1946년 불가리아로 귀국하여 총리가 되었으나, 1949년 사망했다. 그의 유산은 도시와 도로, 학교 등의 명명으로 기려지고 있으며, 특히 반파시즘 투쟁은 한국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니크주 출신 - 게오르기 퍼르바노프
    게오르기 퍼르바노프는 불가리아의 정치인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불가리아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불가리아 사회당 당수를 지내고 불가리아 역사상 처음으로 재선에 성공한 대통령이다.
  • 불가리아의 공산주의자 - 토도르 지프코프
    토도르 지프코프는 불가리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국가 원수로서, 1954년부터 1989년까지 불가리아를 통치하며 소련의 영향력 아래 농업 국가에서 공업 국가로의 전환을 추진했으나, 1980년대 후반 경제 침체와 민족 동화 정책으로 비판받아 실각했다.
  • 불가리아의 공산주의자 - 벌코 체르벤코프
    벌코 체르벤코프는 불가리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으로,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총리를 지내며 소련의 스탈린 정책을 모방하여 권위주의 통치와 개인숭배를 통해 "작은 스탈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디미트로프 헌법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디미트로브그라드 (세르비아)
    디미트로브그라드는 세르비아 남동부, 불가리아 국경과 인접한 도시로, 니샤바 강 유역에 위치하며 유럽 고속도로 E80과 베오그라드-소피아 철도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고, 2022년 기준 인구는 8,043명이다.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기본 정보
1940년의 디미트로프
이름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로마자 표기Georgi Dimitrov Mihaylov
문화어 표기게오르기 미하일로비츠 지미뜨로브
출생일1882년 6월 18일
출생지코바체프치, 불가리아 공국
사망일1949년 7월 2일
사망지바르비하, RSFSR, USSR
배우자류비차 이보셰비치 (1906년–1933년)
로자 율리예브나 (1949년까지)
직업조판공, 혁명가, 정치인
정치 경력
소속 정당BRSDP (1902년–1903년)
BSDWP-협소사회주의자 (1903년–1919년)
BCP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제1대
중앙위원회 서기장 임기 시작1933년
중앙위원회 서기장 임기 종료1949년
중앙위원회 서기장 전임자설립
중앙위원회 서기장 후임자벌코 체르벤코프
불가리아 각료회의 의장제2대
각료회의 의장 임기 시작1946년 11월 23일
각료회의 의장 임기 종료1949년 7월 2일
각료회의 의장 전임자키몬 게오르기에프
각료회의 의장 후임자바실 콜라로프
불가리아 총리제32대
총리 임기 시작1946년 11월 23일
총리 임기 종료1949년 7월 2일
총리 전임자키몬 게오르기에프
총리 후임자바실 콜라로프
국제정책부 부장 임기 시작1943년 12월 27일
국제정책부 부장 임기 종료1945년 12월 29일
국제정책부 부장 전임자직책 신설
국제정책부 부장 후임자미하일 수슬로프
집행위원회 서기장 임기 시작1935년
집행위원회 서기장 임기 종료1943년
집행위원회 서기장 전임자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집행위원회 서기장 후임자직책 폐지

2. 어린 시절

1911년 젊은 디미트로프의 초상화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1882년 6월 18일 오스만 제국(현 불가리아 페르니크 주 코바체프치)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2] 그의 부모는 오스만 마케도니아 출신 난민이었다. 아버지는 산업화로 인해 공장 노동자가 되었고, 어머니 파라슈케바 도세바는 개신교 신자였다.[3] 가족은 라도미르를 거쳐 소피아로 이주했다.

그의 형제자매들은 좌익 정치 활동에 참여했다. 형 니콜라는 러시아로 이주하여 볼셰비키에 가담했고, 형 콘스탄틴은 노동 조합 지도자가 되었으며, 여동생 레나는 훗날 공산당 지도자가 되는 발코 체르벤코프와 결혼했다.

디미트로프는 12세에 퇴학당한 후 조판공으로 훈련받았다.[2] 15세에 노동 조합원이 되었고, 1900년(18세)에는 인쇄공 노동 조합 소피아 지부 서기가 되었다.

3. 초기 정치 활동

1902년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했다. 1903년 디미터르 블라고에프를 따라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협소파, 테스니악스)을 결성했다. 이 당은 1919년 볼셰비즘코민테른에 가입하면서 불가리아 공산당이 되었다. 1904년부터 1923년까지 협소파가 통제하는 일반노동조합연맹의 서기였다.

1913년 불가리아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정부 정책에 반대했으며, 1915년 새로운 전쟁 자금 지원에 반대하고 불가리아 민족주의를 비판하여 단기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 1917년 반란 선동 혐의로 의회 면책 특권을 박탈당하고 1918년 투옥되었다가 1919년 석방된 후 지하로 잠적, 러시아 방문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921년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1922년 공산주의 노동조합 국제기구인 프로핀테른 집행국에 선출되었다.[4]

4. 1923년 불가리아 9월 봉기

쿠데타로 알렉산다르 스탐볼리스키 수상이 축출되자, 당시 불가리아의 주요 공산주의자였던 디미트로프와 크리스토 카박치예프는 중립을 지키기로 결정했다.[5] 이 결정은 코민테른에 의해 당의 "교조적인 접근 방식"으로 인한 "정치적 항복"으로 비난받았다.[5] 바실 콜라로프가 모스크바에서 불가리아의 당 노선 변경을 강요하기 위해 파견된 후, 디미트로프는 코민테른의 권위를 받아들였다. 1923년 9월 그는 콜라로프와 함께 알렉산다르 찬코프 정권에 대한 봉기를 주도했으나 실패했고, 이로 인해 전투와 그 후의 보복으로 약 5천 명의 공산주의 지지자들이 목숨을 잃었다. 봉기는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았고,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비엔나로 탈출한 콜라로프와 디미트로프를 불가리아 공산당의 공동 지도자로 확립시켰다.

1923년의 디미트로프

5. 독일 망명과 라이프치히 재판

1929년 가명으로 소련에 머물다가 독일로 거처를 옮겨 코민테른 중앙유럽 부서를 맡았다. 1932년 반전반파쇼 세계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33년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의 공범으로 베를린에서 체포되었다. 라이프치히 재판에서 디미트로프는 변호인 없이 스스로 변론하며 나치 검찰, 특히 헤르만 괴링을 논파하고 사건이 조작되었음을 폭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7] 결국 독일 공산당을 해산시키려고 사건을 조작한 나치당국은 디미트로프와 다른 공산주의자들은 무죄 판결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12]

1933년 라이히스타크 방화 사건 재판에서 연설하는 디미트로프(오른쪽 배경에 서 있음)


당시 재판에 참석했던 미국의 변호사 아서 가필드 헤이스(미국 시민자유연맹 공동 창립자)는 디미트로프의 도덕적 용기를 아래와 같이 극찬하며 그의 이름을 미국 전역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10][11]



저는 그처럼 웅장한 도덕적 용기를 보여준 적이 없습니다. 그는 단순히 용감했을 뿐만 아니라 무모했고, 이타적이었습니다. 그가 일어설 때마다 그는 자신의 인격으로 법정, 검사, 독일 청중, 그리고 나치를 방어적인 입장에 몰아넣었습니다.[10]



유럽에서는 "독일에는 용감한 사람이 한 명밖에 없는데, 그는 불가리아인이다"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9]

6. 코민테른 지도자

1934년 조세프 스탈린은 디미트로프에게 사회민주주의자들을 '사회 파시스트'로 규탄하는 것을 멈추고, 유럽 파시즘의 위협에 맞서 "반파시스트 통일전선" 전술을 추진하라고 권유했다.[13] 1934년 4월, 라이프치히 재판 이후 디미트로프의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코민테른 집행부와 정치 비서국의 일원으로 임명되어 영국-미국 및 중앙 유럽 부문을 담당하게 되었다.[13]

1935년 제7차 코민테른 세계대회에서 디미트로프는 "파시즘의 공세와, 파시즘에 반대하여 노동자계급의 통일을 지향하는 투쟁에 있어 코민테른의 임무"라는 보고를 통해 반파시즘 인민전선 결성을 주장했고, 이는 채택되었다.[14] 이 대회를 통해 디미트로프는 코민테른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14] 1935년부터 1943년까지 코민테른 서기장을 역임했다.

디미트로프가 주창한 인민전선 이론은 스페인 내전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미국, 인도 등에서도 반파시즘 통일전선이 조직되기 시작하였다.

소련의 대숙청 기간 동안 디미트로프는 대규모 체포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7. 불가리아 귀국과 총리 취임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가 폐지된 후, 불가리아는 인민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15] 1946년 키몬 게오르기에프(Kimon Georgiev)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다.[15]

디미트로프는 총리로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Josip Broz Tito)와 남슬라브 연방 건설에 관해 협상했다.[15] 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지도부는 1944년 11월부터 이 문제를 논의해 왔으며,[15] 이는 1947년 블레드 협정으로 이어졌다.[16] 이 협정은 국경 통행 장벽 철폐, 미래의 관세 동맹 준비,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전쟁 배상금 면제를 규정했다.[16] 연방의 예비 계획에는 블라 고에브그라드주("피린 마케도니아")를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에 편입하고 서부 국경 지역을 세르비아에서 불가리아로 반환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6]

그러나 미래의 공동 국가와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한 디미트로프와 티토 사이에 차이점이 나타났다.[17] 디미트로프는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가 동등한 입장에 놓이고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에 거의 붙어 있는 국가를 구상한 반면, 티토는 불가리아를 베오그라드에서 엄격하게 통치되는 확대된 유고슬라비아의 일곱 번째 공화국으로 보았다.[17] 마케도니아 민족의 민족적 성격에 대해서도, 디미트로프는 그들을 불가리아인의 분파로 간주한 반면,[18] 티토는 그들을 불가리아인과 전혀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민족으로 간주했다.[19]

1948년 스탈린과 티토 사이의 균열로 인해 불가리아 정부는 마케도니아에 대한 유고슬라비아 정책을 팽창주의적이라고 규탄하고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한 정책을 수정할 기회를 얻었다.[17] 발칸 연방통일 마케도니아 구상은 포기되었고, 마케도니아 교사들은 추방되었으며, 이 지역 전체에서의 마케도니아어 교육은 중단되었다.[21]

8. 사망

디미트로프는 1949년 7월 2일 모스크바 근처 바르비하의 요양원에서 사망했다. 그의 건강 상태는 매우 갑작스럽게 악화된 것으로 보여 그가 독살되었다는 추측[15][23]이 있었으나 확인된 적은 없다. 독살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스탈린이 디미트로프의 "발칸 연방" 아이디어와 티토와의 친분을 좋지 않게 생각했다고 주장한다.[15][23]

장례식 후, 디미트로프의 시신은 방부 처리되어 소피아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묘소에 안치되었다. 불가리아 공산주의 정권 종식 후, 그의 시신은 1990년 소피아 중앙묘지에 매장되었다. 그의 묘소는 1999년에 철거되었다.

소피아에 있는 디미트로프의 묘

9. 유산 및 평가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20세기 공산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특히 반(反)파시즘 투쟁과 인민전선 전술을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1933년 라이프치히 재판에서 보여준 그의 용기 있는 변론은 파시즘에 저항하는 상징으로 여겨진다.[24]

1982년 7월, 런던의 마하트마 간디 홀(Mahatma Gandhi Hall)에서는 디미트로프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으며, 이 행사에서 발표된 강연은 "파시즘에 맞선 투사, 게오르기 디미트로프(Georgi Dimitrov: Fighter Against Fascism)"라는 소책자에 실렸다.[24]

1990년 불가리아 공산당의 몰락과 함께, 소피아에 보존 처리되어 안장되어 있던 그의 시신은 소피아 중앙묘지로 이장되었고, 묘소 또한 1999년에 철거되었다.

2000년에는 디미트로프가 1933년부터 사망 직전까지 기록했던 일기가 발견되어, 「The Diary of Georgi Dimitrov(디미트로프 일기)」라는 제목으로 여러 언어로 번역 출판되어 당시 코민테른의 내막을 기록한 귀중한 사료가 되었다 (한국어 번역은 미출판).

그의 업적은 여러 나라와 도시에서 기려지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거리, 광장, 건물, 기관 등이 존재한다.

9. 1. 그를 기리는 명칭

아르메니아의 디미트로프 동상


부다페스트의 디미트로프 기념비

  • 아르메니아 디미트로프 마을 (1949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짐)에 있는 동상.
  • 불가리아 디미트로브그라드.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묘소 (1949년–1999년).
  • 쿠바 올긴 시의 누에보 올긴 지역의 주요 도로 (1970년대와 1980년대 건설).
  • 쿠바 바야모에 있는 호르헤 디미트로프 농업연구소.
  • 쿠바 카이미토에 있는 호르헤 디미트로프 IPUEC 학교.
  • 쿠바 아바나에 있는 호르헤 디미트로프 초등학교.
  •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푀바암 광장과 마리아레메테이 길 (1949년부터 1991년까지). 1954년에 흉상이, 1983년에 전신상으로 교체되었고, 1년 후 같은 이름의 길로 이전되었다. 두 조각상 모두 1992년부터 추억공원(Memento Park)에 전시되고 있다.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대로 (동유럽 공산주의 붕괴 이후 페르디난드 대로로 개명).
  • 러시아 디미트로브그라드.
  •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의 오브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이어지는 큰 거리 (1978년 개통).
  • 세르비아 디미트로브그라드.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 있는 중요한 화학 공장 (벨벳 혁명 이후 Istrochem으로 변경).
  • 우크라이나 미르노흐라드 (1972년부터 2016년까지 디미트로프).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고등학교 (1963년 스코페 지진 이후 불가리아의 기부로 1964년 개교).
  • 유고슬라비아 인민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인민공화국의 차리브로드(Caribrod) (Цариброд) (1950년 디미트로브그라드로 개명, 티토-스탈린 분쟁에도 유지).
  • 소행성 (2371) 디미트로프[26]

참조

[1] 서적 Dimitrov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Communist regimes in Eastern Europe Hoover Press
[3] 뉴스 По следите на червения вожд http://www.temanews.[...] Тема 2005-03-21
[4] 백과사전 Dimitrov, Georgi (1882–1949) https://www.encyclop[...]
[5] 서적 The Interregnum, 1923–24 Penguin 1969
[6] 서적 Under the Shadow of War: Fascism, Anti-Fascism, and Marxists, 1918–1939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03-06
[7] 서적 And Yet It Moves! Sofia Press Agency
[8] 서적 Eichmann in Jerusalem The Viking Press
[9] 서적 The Bulgarian Communist Party from Blagoev to Zhivkov Hoover Institution Press
[10] 서적 City Lawyer: The Autobiography of a Law Practice Simon and Schuster 1942
[11] 뉴스 Reading and Writing https://www.loc.gov/[...] 1942-08-26
[12] 잡지 Death to a Dutchman https://time.com/arc[...] 1934-01-01
[13] 학술지 Stalin close up https://doi.org/10.1[...] 2004
[14] 서적 The United Front Against Fascism New Century Publishers 1935-09
[15] 서적 Outcast Europe: The Balkans, 1789–1989, from the Ottomans to Milošević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9-13
[16] 서적 Nationalism from the Left: The Bulgarian Communist Part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Early Post-War Years Brill Academic Publishers
[17] 서적 Maps and Politics. A Review of the Ethnographic Cartography of Macedonia Liverpool University Press
[18] 서적 Yugoslavia: A History of Its Demise Routledge
[19]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20] 서적 The Titoites 8 Nëntori Publishing House
[21] 웹사이트 Political Report of the Central Committee to the V Congress of the Bulgarian Workers' Party (Communists) https://revolutionar[...]
[22] 서적 Mao: The Unknown Story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23] 서적 The Histo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9-13
[24] 서적 Georgi Dimitrov: Fighter Against Fascism https://archive.org/[...] Open Door Publications
[25]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26] 웹사이트 (2371) Dimitrov = 1920 EA = 1952 UG1 = 1952 UQ1 = 1954 EY = 1967 RV = 1975 VR3 = 1978 NK2 = 1981 GU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