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구머리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구머리도마뱀붙이는 최대 11cm까지 자라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머리는 작은 비늘로 덮여있고, 뒤통수의 결절이 투구 모양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야행성이며, 사막의 암반 지대에 서식하며 곤충이나 절지동물을 먹는다. 모로코, 모리타니, 서사하라에 분포하며, 종명은 표본을 수집한 요트를 기려 지어졌다. 사육이 가능하며, 건조하고 고온의 환경을 선호한다.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취약종으로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벽도마뱀붙이속 - 모로코벽도마뱀붙이
    모로코벽도마뱀붙이(Tarentola boehmei)는 독일 파충류학자 볼프강 뵈메를 기린 도마뱀붙이로, 최대 11cm까지 자라며 세로 동공, 발가락, 옆구리 결절이 특징이며, 모로코 등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고 난생을 한다.
  • 벽도마뱀붙이속 - 카나리아벽도마뱀붙이
    카나리아벽도마뱀붙이는 카나리아 제도에 서식하며 납작한 몸매와 짙은 색, 불규칙한 무늬를 가진 도마뱀붙이로, 곤충 등을 먹고 수컷은 영역 동물이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
  • 1895년 기재된 파충류 - 중부고지대민발톱도마뱀붙이
    중부고지대민발톱도마뱀붙이는 호주 중부에서 발견되며, 몸길이는 최대 34.8mm까지 자라고, 짙은 갈색과 연한 갈색의 세로줄무늬를 가지며, 건조한 스피니펙스 둔덕에서 서식하는 민발톱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 1895년 기재된 파충류 - 엘리사잎가락도마뱀붙이
    엘리사잎가락도마뱀붙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 어원, 분포, 서식지, 형태, 번식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내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투구머리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헬멧 머리 도마뱀붙이
헬멧 머리 도마뱀붙이
학명Tarentola chazaliae
명명자Mocquard, 1895
이명Geckonia chazaliae Mocquard, 1895
Tarentola chazaliae — Carranza, Arnold, Mateo & Geniez, 2002
영명Helmeted gecko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아목도마뱀붙이하목
잎가락도마뱀붙이과
벽도마뱀붙이속
헬멧 머리 도마뱀붙이
보존 상태
IUCN취약종
CITES부속서 II
기타
NRDB 종Tarentola chazaliae

2. 형태

투구머리도마뱀붙이


두 마리의 투구머리도마뱀붙이


투구머리도마뱀붙이 성체의 주둥이-항문 길이는 7.5cm이며, 꼬리까지 포함한 전체 길이는 약 11cm에 달한다.[4][13] 일반적으로 몸길이는 5cm에서 9cm 사이이다.[10]

머리는 크고 자잘한 비늘(과립)로 덮여 있으며, 특히 머리 뒤쪽(뒤통수)의 결절들이 크게 발달하여 투구와 같은 모양을 이룬다. 이 특징적인 모습 때문에 '투구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4] 발가락은 납작하고 주걱 모양이다.[4][13]

몸의 등쪽 색깔은 밝은 회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며, 적갈색, 황토색, 갈색, 회색 등 여러 변이를 보인다.[10] 몸에는 무늬가 없거나, 창백하거나 짙은 불선명한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4][13][10] 배 쪽은 밝은 색을 띤다.[4][13]

일본에서는 머리가 큰 모습이 멧돼지의 새끼와 닮았다고 하여 ウリボーゲッコー|우리보겟코jpn라는 유통명으로 불리기도 한다.[10]

3. 생태

사막에 있는 암반 지대에 서식한다.[5] 야행성이며, 낮에는 땅에 구멍을 파고 그 안에서 쉰다.[5]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가 주행성이고 망막에 원뿔세포만 가진 것과 달리, 투구머리도마뱀붙이는 주로 야행성이며 밤에도 색깔을 어느 정도 구별할 수 있도록 눈이 진화했다.[14][5] 이들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구별할 수 있는 다초점 시각 체계를 가지고 있다.[14][5] 동공은 밤에는 둥근 모양이지만, 낮에는 바늘구멍(핀홀) 크기로 작아진다.[14][5] 이 변화의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작은 동공이 낮에 햇볕을 쬘 때 포식자에게 덜 발견되도록 돕는다는 주장이 있다.[5] 투구머리도마뱀붙이는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도 색을 구별할 수 있는 최초의 척추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밤 시력에서의 색 인지 능력은 인간보다 350배나 뛰어나다.[14][5]

식성은 육식성으로, 주로 곤충이나 절지동물을 먹는다.[5]

번식 형태는 난생이며, 한 번에 2개의 알을 여러 차례에 걸쳐 낳는다.[5]

4. 분포



모로코, 모리타니, 서사하라에 분포한다.

상대적으로 분포 범위가 좁으며, 애완동물로 팔기 위한 밀렵의 대상이 된다. 개체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모로코에서는 해안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투구머리도마뱀붙이의 보존 상태를 취약종으로 평가했다.[11]

5. 어원

종명 ''chazaliae''는 모식표본을 수집한 프랑스의 박물학자 레몽 드 달마(Raymond Comte de Dalmas, 1862–1930)가 소유했던 요트 ''Chazalie''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5][6] '투구머리'라는 일반명은 머리 뒤쪽에 있는 비늘들이 투구와 같은 모양을 만들기 때문에 붙여졌다.

6. 사육

야생 개체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양으로 유통되고 있다. 무늬가 없는 패턴리스라는 종류나, 반대로 화려한 무늬의 타이거, 루시스틱(백화) 개체도 보인다.

소형이지만 튼튼한 종이며, 폭넓은 환경에 대응하지만 건조하고 고온의 환경을 좋아하며, 바닥면의 온도가 낮으면 상태가 나빠진다. 바닥면의 일부를 30°C 이상으로 유지한다. 또한, 신경질적인 면이 있으므로 은신처를 설치한다. 외모와 달리 움직임은 민첩하다. 물 부족에 약하므로, 용기에 물을 담아 케이지 안에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분무한다.

7. 보전 상태

투구머리도마뱀붙이는 비교적 분포 범위가 좁으며, 애완동물 거래를 위해 포획 및 밀렵되고 있다. 개체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서식지는 해안가 개발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데, 특히 모로코에서 그 정도가 심하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투구머리도마뱀붙이의 보전 상태를 취약종으로 평가했다.[11][1]

참조

[1] 간행물 "''Tarentola chazaliae ''" 2013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3-03-01
[3] 간행물
[4] 서적 Lézards, crocodiles et tortues d'Afrique occidentale et du Sahara https://books.google[...] IRD Editions
[5] 논문 The pupils and optical systems of gecko eyes
[6]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Tarentola chazaliae
[8] 문서 '"Note sur quelques Reptiles du cap Blanc" '
[9] 논문 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the North African geckos, Geckonia and Tarentola (Reptilia:Gekk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sequences
[10] 문서 参考文献によって全長の表記に揺れがあるので、複数の参考文献から最小全長と最大全長を参照し、その中から最大値と最小値を出典に採用した。
[11] 저널 "''Tarentola chazaliae''" http://www.iucnredli[...] IUCN 2013
[12] 간행물
[13] 서적 Lézards, crocodiles et tortues d'Afrique occidentale et du Sahara https://books.google[...] IRD Editions
[14] 저널 The pupils and optical systems of gecko eyes
[1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