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에우찌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에우찌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3대 황제이다. 그는 아버지 민망 황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유교 질서를 강화하고 서구 세력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진출 시도에 맞서 선교사들을 탄압하고, 프랑스와의 갈등으로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국가 기강을 확립하려 했으나,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망제의 황자 - 응우옌푹미엔럼
    응우옌푹미엔럼은 민망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티에우찌, 뜨득, 타인타이 황제 시대에 걸쳐 회덕군공 등의 작위를 받았고, 보정대신과 존인부 요직을 역임하며 응우옌 왕조를 보좌했으며 9명의 딸과 11명의 아들을 두었다.
  • 민망제의 황자 - 응우옌푹미엔바오
    응우옌푹미엔바오는 1835년에 태어나 1854년에 사망한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신안군공에 봉해졌으며 20세에 사망하여 혜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동카인 황제
    동카인 황제는 1885년부터 1889년까지 재위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이며,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즉위하여 친프랑스 정책을 펼치다 24세에 사망했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티에우찌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소치제 (紹治帝)
아버지민망제
어머니좌천인황후
배우자자유황후 외 200명 이상의 후궁
자녀29명의 왕자와 35명의 공주를 포함한 64명, 그 중 응우옌푹홍바오, 응우옌푹홍념, 응우옌푹홍이, 응우옌푹홍카이
출생일1807년 6월 16일
출생 장소후에 황성, 베트남
사망일1847년 11월 4일
사망 장소후에 황성, 대남
묻힌 곳쓰엉랑, 후에
전체 이름응우옌푹미엔똥 (阮福綿宗), 응우옌푹투옌 (阮福暶), 응우옌푹융 (阮福曧)
왕조응우옌푹
종교유교, 불교
통치
즉위대남 황제
재위 기간1841년 2월 11일 – 1847년 11월 4일
이전 통치자민망제
다음 통치자뜨득
왕조응우옌 왕조 황제
재위 기간1841년 2월 11일 – 1847년 11월 4일
이전 통치자민망제
다음 통치자뜨득
묘호헌조 (憲祖)
시호소천융운지선순효관명예단문치무공성철장황제 (紹天隆運至善純孝寬明睿斷文治武功聖哲章皇帝)
연호소치 (紹治)
연호 기간1841년–1847년

2. 생애

티에우찌 황제는 아버지 민망 황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유교 질서를 강화하고 서구 세력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그는 유교 전통에 대한 높은 교육을 받았지만, 서구에 대한 호기심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아버지처럼 외국인을 매우 의심했다.

프랑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과 식민지 경쟁을 벌이며 인도차이나와의 관계 강화를 추구했고, 이는 베트남 내 기독교 선교사 문제로 이어졌다. 티에우찌 황제가 선교사들을 투옥하자 프랑스는 군사 원정대를 파견하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2][3]

티에우찌 황제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을 제거하려 하자, 프랑스와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1845년에는 미국 군함 USS 콘스티튜션과 충돌할 뻔했고, 1847년에는 프랑스 특별 임무 부대가 투란에 도착하여 선교사 박해 중단을 요구했다. 황실 관리들이 답변을 미루는 사이 전투가 벌어졌고, 프랑스군은 응우옌 왕조의 열악한 장비 때문에 베트남군을 쉽게 물리쳤다. 티에우찌 황제는 모든 선교사를 스파이로 규정하고 처형을 요구했지만, 관리들은 실행하지 않았고, 티에우찌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4]

2. 1. 즉위 후

티에우찌 황제의 칙령(고전 중국어로 작성됨)


티에우찌 황제는 아버지 민망과 매우 흡사하여 고립주의와 유교 강화라는 보수적인 정책을 계속 이어나갔다. 유교 전통에 대해 높은 교육을 받은 티에우찌는 서구에 대한 호기심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아버지처럼 모든 비베트남 외국인을 매우 의심했다.[2] 이와 동시에 프랑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과 식민지 경쟁을 벌이고 있었고 인도차이나와의 더 강력한 관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는 민망 치세와 마찬가지로 금지령을 무시한 주로 스페인과 프랑스의 기독교 선교사들을 불러들였다. 티에우찌가 선교사들을 투옥하기 시작하자 프랑스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 1843년, 프랑스 정부는 국제적 사건을 일으키지 않고 가능하다면 불법 선교사들을 해방시키고 프랑스의 이익을 보호하고 방어하라는 명령을 가지고 인도차이나에 군사 원정대를 파견했다.[3]

티에우찌의 금 랑()


티에우찌가 그의 나라에서 모든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을 제거하려는 결의는 프랑스와의 평화로운 관계와 양립할 수 없었다. 1845년, 이는 베트남과 미국의 군함 USS 콘스티튜션 간의 충돌을 거의 야기할 뻔했는데, 이 군함은 티에우찌가 여러 차례 불법적으로 베트남에 들어온 선교사 도미니크 르페브르를 석방하도록 강요하려 했다. 프랑스 특별 임무 부대는 1847년 3월 23일 투란에 도착하여 프랑스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티에우찌가 선교사 박해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황실 관리들은 황제의 답변을 전달하는 것을 미루었고 전투가 벌어졌다. 티에우찌는 해안을 요새화했지만, 프랑스군은 응우옌 왕조의 열악한 장비 때문에 베트남군을 쉽게 물리쳤다. 프랑스 함대가 떠나기 전에 모든 베트남 해안 요새가 파괴되고 세 척의 응우옌 범선이 침몰했다. 티에우찌는 모든 선교사를 적국의 스파이라고 부르며 모든 기독교인들을 현장에서 처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관리들은 이 명령을 실행하지 않았고 티에우찌 황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실제로 어떤 선교사도 처형되지 않았다.[4]

3. 가족

티에우찌 황제는 많은 부인과 자녀를 두었다.

티에우찌 황제의 가족
부인자녀


3. 1. 후비

티에우찌 황제의 후궁
봉호시호성명생몰년도비고
귀비의천장황후팜 티 항(范氏姮|범씨항vi)1810년 ~ 1901년사덕제의 생모. 귀비, 자유태황태후로 불렸다.
영비응우옌 티 냠(阮氏任|완씨임vi)
양비부 티 비엔(武氏媛|무씨원vi)
의순숙비응우옌 티 쑤옌(阮氏川|완씨천vi)1808년 ~ 1885년덕빈으로도 불렸으며, 서태왕의 생모이다.
귀빈딘 티 한(丁氏幸|정씨행vi)
덕빈응우옌 티 후옌(阮氏媗|완씨훤vi)
서빈쯔엉 티 턴(張氏愼|장씨신vi)1817년 ~ 1889년황태비로도 불렸으며, 협화제의 생모이다.
정상기빈쯔엉티빈(張氏永|장씨영vi)재인으로도 불렸으며, 견태왕의 생모이다.
유빈응우옌 티 옌(阮氏嫣|완씨언vi)
한빈판 티 캉(潘氏抗|반씨항vi)
순빈호앙 티 딘(黄氏穎|황씨영vi)
첩여응우옌 티 로안(阮氏鸞|완씨란vi)
귀인응오 티 쑤언(吳氏春|오씨춘vi)
재인판 티 툭(潘氏淑|반씨숙vi)
재인도 티 찐(杜氏貞|두씨정vi)
재인쯔엉 티 투이(張氏翠|장씨취vi)
재인쯔엉 티 르엉(長氏良|장씨량vi)
재인응우옌 티 프엉(阮氏芳|완씨방vi)
재인응우옌 티 낀(阮氏京|완씨경vi)
재인응우옌 티 쿠에(阮氏奎|완씨규vi)
재인쩐 티 삼(陳氏森|진씨삼vi)
재인판 티 이에우(潘氏妙|반씨묘vi)
재인응우옌 티 비(阮氏味|완씨미vi)
재인부 티 유옌(武氏緣|무씨연vi)
궁인응우옌 티 후에(阮氏惠|완씨혜vi)
궁인마이 티 찌엠(枚氏霑|매씨점vi)
궁인호 티 이니(胡氏懿兒|호씨의아vi)
궁인응우옌 티 흐엉니(阮氏香蕊|완씨향예vi)
궁인부이 티 붓(裴氏筆|배씨필vi)
궁아응우옌 티 탄(阮氏申|완씨신vi)
궁아응우옌 티 레(阮氏麗|완씨려vi)


3. 2. 황자

티에우찌 황제는 29명의 황자를 두었다. 다음은 그 중 일부이다.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안풍군왕(安豊郡王)단장(端莊)응우옌 푹 홍바오(阮福洪保)1825년 ~ 1854년귀빈 정씨
사덕황제(嗣德皇帝)응우옌 푹 티(阮福時)1829년 ~ 1883년의천장황후응우옌 푹 홍냠(Nguyễn Phúc Hồng Nhậm/阮福洪任)
태성군왕(泰盛郡王)장공(莊恭)응우옌 푹 홍푸(阮福洪付)1830년 ~ 1890년쯔엉 티 투이
서태왕(瑞太王)돈정(敦正)응우옌 푹 홍이(阮福洪依)1833년 ~ 1877년의순숙비제5대 황제 육덕제(育德帝)의 생부
응우옌 푹 끼엠(阮福洪儉)1834년 ~ 1842년도 티 찐
홍치왕(弘治王)응우옌 푹 홍또(阮福洪傃)1834년 ~ 1922년응오 티 쑤언
영국공(永國公)양민(良敏)응우옌 푹 홍피(阮福洪伾)1835년 ~ 1863년응우옌 티 프엉
가흥왕(嘉興王)공숙(恭肅)응우옌 푹 홍흐우(阮福洪休)1835년 ~ 1885년양비 무씨
풍록군공(豊祿郡公)공후(恭厚)응우옌 푹 홍캉(阮福洪伉)1837년 ~ 1855년서빈 장씨
안복군왕(安福郡王)장공(莊恭)응우옌 푹 홍끼엔(阮福洪健)1837년 ~ 1895년양비 무씨
응우옌 푹 홍(阮福洪佋)1837년쯔엉 티 르엉
수화군왕(綏和郡王)장공(莊恭)응우옌 푹 홍쭈옌(阮福洪傳)1837년 ~ 1889년유빈 완씨
응우옌 푹 홍방(阮福洪傍)1838년 ~ 1853년양비 무씨
응우옌 푹 홍섬(阮福洪傪)1838년 ~ 1839년판 티 툭
응우옌 푹 홍쯔억(阮福洪㒂)
향산군공(香山郡公)통량(通諒)응우옌 푹 홍응히(阮福洪儗)1839년 ~ 1864년부 티 유옌
응우옌 푹 홍티(阮福洪侍)1839년 ~ 1842년응우옌 티 비
미록군공(美祿郡公)돈신(敦愼)응우옌 푹 홍띠엡(阮福洪倢)1840년 ~ 1863년쩐 티 삼
응우옌 푹 홍투(阮福洪𠊪)1842년 ~ 1843년양비 무씨
응우옌 푹 홍끼(阮福洪僟)1843년의순숙비
응우옌 푹 홍트(阮福洪俆)1843년 ~ 1847년순빈 황씨
기봉군공(奇峰郡公)공량(恭亮)응우옌 푹 홍딘(阮福洪侹)1843년 ~ 1884년응우옌 티 로안
부량공(富良公)공숙(恭肅)응우옌 푹 홍이에우(阮福洪𠌠)1845년 ~ 1875년덕빈 완씨
견태왕(堅太王)순의(純毅)응우옌 푹 홍까이(阮福洪侅)1845년 ~ 1876년정상기빈건복제(建福帝), 함의제(咸宜帝), 동경제(同慶帝)의 생부
응우옌 푹 응헤(阮福洪倪)1847년부이 티 붓
문랑군왕(文朗郡王)장공(莊恭)응우옌 푹 탕(阮福昇)1847년 ~ 1883년서빈 장씨제6대 황제 협화제(協和帝). 응우옌 푹 홍얏(Nguyễn Phúc Hồng Dật/阮福洪佚)


3. 3. 황녀

티에우찌 황제는 35명의 황녀를 두었다. 그 중 널리 알려진 황녀는 다음과 같다.

티에우찌 황제의 황녀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연복공주(延福公主)응우옌 푹 띤하오(阮福靜好)1824년 ~ 1847년의천장황후
안성공주(安盛公主)응우옌 푹 냔옌(阮福嫻嫣)영비 완씨
응우옌 푹 우옌이(阮福淵懿)1826년 ~ 1829년의천장황후
안미공주(安美公主)응우옌 푹 후이뉴(阮福徽柔)1828년 ~ 1885년의순숙비
응우옌 푹 투이이에우(阮福翠姚)1830년 ~ 1833년
응우옌 푹 프엉응히엔(阮福芳姸)1830년 ~ 1832년응우옌 티 낀
응우옌 푹 아이쩐(阮福愛嫃)1830년 ~ 1834년귀빈 정씨
회정공주응우옌 푹 냐비엔(阮福雅媛)1832년 ~ 1875년유빈 완씨
순정공주응우옌 푹 탄티(阮福淸媞)1833년 ~ 1869년응우옌 티 쿠에
응우옌 푹 툭닌(阮福淑嬣)1833년 ~ 1836년귀빈 정씨
응우옌 푹 신딘(阮福娉婷)1834년 ~ 1836년판 티 이에우
응우옌 푹 뚜이띤(阮福婑婧)1835년 ~ 1837년서빈 장씨
귀정공주응우옌 푹 레냔(阮福麗嫻)1836년 ~ 1882년응우옌 티 쿠에
응우옌 푹 짱리(阮福莊孋)1837년 ~ 1838년
무림공주응우옌 푹 도안깐(阮福媏嫤)1838년 ~ 1914년응우옌 티 낀
부려공주응우옌 푹 돈찐(阮福敦貞)1838년 ~ 1890년덕빈 완씨
응우옌 푹 리에우디에우(阮福嫽妙)1838년 ~ 1839년서빈 장씨
응우옌 푹 우옌느(阮福婉如)1839년 ~ 1852년마이 티 찌엠
광시공주응우옌 푹 탄깟(阮福淸姞)1839년 ~ 1879년응우옌 티 로안
응우옌 푹 냔냐(阮福嫻雅)1839년 ~ 1840년서빈 장씨
안복공주응우옌 푹 탄후이(阮福慎徽)1840년 ~ 1857년응우옌 티 탄
동부공주응우옌 푹 이프엉(阮福懿芳)1840년 ~ 1909년?양비 무씨
춘림공주응우옌 푹 찐후이(阮福貞徽)1841년 ~ 1858년응우옌 티 레
자신공주응우옌 푹 르엉후이(阮福良徽)1841년 ~ 1899년?순빈 황씨
수록공주응우옌 푹 도안르엉(阮福端良)1842년 ~ 1894년순빈 황씨
응우옌 푹 짱냐(阮福莊雅)1842년 ~ 1843년응우옌 티 흐엉니
응우옌 푹 툭짱(阮福淑莊)1843년 ~ 1847년양비 무씨
응우옌 푹 프엉탄(阮福芳聲)1843년 ~ 1850년한빈 반씨
낙성공주응우옌 푹 냔득(阮福嫻德)서빈 장씨
응우옌 푹 민뜨(阮福明姿)1845년양비 무씨
응우옌 푹 디엠우옌(阮福恬淵)1846년 ~ 1850년응우옌 티 후에
순미공주응우옌 푹 프억후이(阮福福徽)1846년 ~ 1870년순빈 황씨
복례공주응우옌 푹 지아푹(阮福嘉福)1847년 ~ 1888년호 티 이니


4. 가계도

응우옌 왕조 가계도
티에우찌 황제의 가계는 현재 사료 부족으로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5. 평가

티에우찌 황제는 아버지 민망 황제와 유사하게 유교적 통치 이념을 고수하고 서구 열강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유교 전통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비(非)베트남 외국인들을 매우 의심했다.

당시 프랑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과 식민지 경쟁을 벌이며 인도차이나와의 관계 강화를 추구하고 있었다. 이는 민망 황제 때와 마찬가지로 금지령을 무시한 기독교 선교사들을 베트남으로 불러들였다.[2][3] 티에우찌 황제가 선교사들을 투옥하자, 프랑스는 1843년 인도차이나에 군사 원정대를 파견하여 불법 선교사들을 해방시키고 프랑스의 이익을 보호하려 했다.[2][3]

티에우찌 황제가 모든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을 제거하려 하자, 1845년 베트남과 미국 군함 ''USS 콘스티튜션''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뻔했다. 프랑스 특별 임무 부대는 1847년 3월 23일 투란에 도착하여 프랑스 국민의 안전 보장과 선교사 박해 중단을 요구했다.

황실 관리들이 황제의 답변을 미루자 전투가 벌어졌다. 티에우찌 황제는 해안을 요새화했지만, 프랑스군은 응우옌 왕조의 열악한 장비 탓에 베트남군을 쉽게 물리쳤다. 프랑스 함대가 떠나기 전 베트남 해안 요새는 모두 파괴되었고, 응우옌 범선 세 척이 침몰했다. 티에우찌 황제는 모든 선교사를 적국의 스파이로 규정하고 모든 기독교인을 즉결 처형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관리들은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 티에우찌 황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실제로 처형된 선교사는 없었다.[4]

참조

[1] 서적 Appetites and Aspirations in Vietnam (출판사 정보 없음) 2011
[2] 서적 Mandarins and Martyrs: The Church and the Nguyen Dynasty (출판사 정보 없음) 2008
[3] 서적 Saigon: A History (출판사 정보 없음) 2011
[4] 서적 Catholic Vietnam: A Church from Empire to Nation (출판사 정보 없음)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