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카인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카인 황제는 1885년부터 1889년까지 재위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이다. 그는 함의제가 프랑스에 저항하자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즉위했으며, 친프랑스 정책을 펼쳤다. 24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이 어렸기에 사촌이 성태제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뜨득제의 황자 - 끼엔푹 황제
끼엔푹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7대 황제로, 14세의 나이로 즉위했으나 섭정에게 실권이 있었고 프랑스의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 뜨득제의 황자 - 죽득 황제
죽득 황제는 뜨득 황제의 양자이자 응우옌 왕조의 제5대 황제였으나, 즉위 3일 만에 폐위되어 짧은 재위 기간으로 연호를 제정하지 못하고 육덕당의 당호를 따 죽득 황제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후 아들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복권되었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티에우찌 황제
티에우찌 황제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3대 황제로, 민망 황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서구 문물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으며 프랑스와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29명의 아들과 17명의 딸을 두었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동카인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동경제 (Đồng Khánh) |
한자 | 同慶 |
출생일 | 1864년 2월 19일 |
출생지 | 후에 황궁, 대남 |
사망일 | 1889년 1월 28일 (24세) |
사망지 | 후에 황궁, 안남,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묘소 | 뜨랑 |
휘 | 응우옌푹응티 (阮福膺豉) 응우옌푹응기 (阮福膺祺) 응우옌푹응당 (阮福膺禟) 응우옌푹비엔 (阮福昪) |
왕조 | 응우옌 복 |
종교 | 유교, 불교 |
통치 정보 | |
칭호 | 대남 황제 |
통치 기간 | 1885년 9월 19일 – 1889년 1월 28일 |
이전 통치자 | 함응이 |
다음 통치자 | 탄타이 |
원호 | 동경 (同慶) |
묘호 | 경종 (景宗) |
시호 | 홍렬총철민혜순황제 (弘烈聰哲敏惠純皇帝) 배천명운효덕인무위공홍렬총철민혜순황제 (配天明運孝德仁武偉功弘烈聰哲敏惠純皇帝) (1916년) |
가계 | |
부친 | 응우옌푹홍까이 (티에우찌의 아들) |
모친 | 첩 부이 티 탄 (Bùi Thị Thanh) |
배우자 | 11명의 첩 |
자녀 | 6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을 포함한 9명 응우옌푹브우다오 황태자 포함 |
2. 생애
동카인 황제는 1864년 2월 19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이름은 찬몽이었다. 티에우찌 황제의 아들이자 응우옌 푹 홍까이 공의 맏아들로, 그의 후궁 부이 티 타인의 아들이었다. 삼촌인 뜨득 황제에게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동카인은 그의 양자가 되어 '''끼엔장 군공'''(끼엔장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
함응이 황제가 프랑스에 저항하여 후에 왕궁을 탈출하자, 프랑스는 함응이 황제를 폐위하고 황족 중 친프랑스파인 동카인을 옹립하였다. 1885년, 동카인은 21세(또는 22세)의 나이로 응우옌 왕조의 제9대 황제로 즉위했다.
동카인은 친프랑스 성향으로, 온화한 성품을 지녔으며 프랑스 문화를 받아들여 프랑스 식민 정부의 호의를 받았다. 쩐쫑 킴의 일기에도 이러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는 폐위된 함응이 황제를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함응이는 결국 프랑스에 체포되어 알제리로 유배되었다.
1889년, 동카인 황제는 24세(또는 2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재위 기간은 3년이었다. 사후에는 홍렬총철민혜'''순황제'''(弘烈聰哲敏惠'''純皇帝''')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묘호는 경종(景宗)이었다. 1916년, 그의 아들 카이딘 황제는 그에게 배천명운효덕인무위공홍렬총철민혜'''순황제'''(配天明運孝德仁武偉功弘烈聰哲敏惠'''純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그는 트어티엔 성, 흐엉투이 현, 즈엉쑤언상 마을에 위치한 사릉(思陵)에 안장되었다. 동카인 황제의 아들이 어렸기 때문에, 그의 사촌인 타인타이 황제가 제위를 계승하였다.
2. 1. 어린 시절
동카인은 1864년 2월 19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찬몽'''이었는데, 찬몽 궁궐에서 자랐기 때문이다. 동카인은 티에우찌 황제의 아들이자 응우옌 푹 홍까이 공의 맏아들이었고, 그의 후궁 부이 티 타인의 아들이었다.뜨득 황제에게 자녀가 없었으므로, 동카인은 그의 양자가 되어 '''끼엔장 군공''' (끼엔장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
2. 2. 즉위 과정
함응이 황제가 프랑스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보여 폐위된 후, 1885년 동카인 황제가 21세에 즉위하였으나, 1889년 24세로 사망하였다. 동카인 황제의 아들인 계정제는 어렸기 때문에, 그의 사촌 형제인 육덕제의 아들 완복소가 성태제로서 제위를 계승하였다.
프랑스군이 후에 시를 점령하고 황성이 함락되자, 섭정 응우옌 반 투엉과 톤 탓 튀엣은 어린 함응이 황제를 데리고 자금성을 탈출하여 산속의 떤소로 피신, 프랑스에 대항하는 혁명 운동의 허수아비로 삼았다. 드 쿠르시 장군과 드 샴포 프랑스 거주자는 함응이의 정통성을 훼손하기 위해 응이 티엔 태후에게 함응이의 이복 형인 응우옌 푹 응 키 공자를 옹립할 것을 요청했다. 1885년 9월 19일, 안남 총독의 지원을 받아 응우옌 푹 응 키 공자는 '''동카인'''이라는 연호로 대남의 제9대 황제로 즉위했다.
뜨득 황제의 조카였던 동카인 황제는 어릴 적부터 백부의 양자가 되었다. 함응이 황제가 프랑스에 저항하여 후에 왕궁을 탈출해 정글에 잠복하자, 프랑스는 함응이 황제를 폐위하고 황족 중 친프랑스파인 동카인 황제를 옹립하기로 하여 1885년에 22세로 즉위했다. 1889년에 26세로 사망했다. 동카인 황제의 아들(후의 카이딘 황제)이 어려서, 동카인 황제의 사촌인 주이떤 황제의 아들 타인타이 황제가 제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2. 3. 통치와 친프랑스 정책
프랑스군이 후에를 점령하고 황성이 함락되자, 섭정 응우옌 반 투엉과 톤 탓 튀엣은 어린 황제 함응이를 데리고 자금성을 탈출하여 산속의 떤소로 피신하여 프랑스에 대항하는 혁명 운동의 허수아비로 삼았다. 함응이의 정통성을 훼손하기 위해, 드 쿠르시 장군과 드 샴포 프랑스 거주자는 응이 티엔 태후에게 함응이의 이복 형인 응우옌 푹 응 키 공자를 옹립할 것을 요청했다. 1885년 9월 19일, 안남 총독의 지원을 받아 응우옌 푹 응 키 공자는 '''동카인'''이라는 연호로 대남의 제9대 황제로 즉위했다.동카인은 친프랑스 성향이었으며, 이는 쩐쫑 킴의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동카인 황제는 온화한 성품을 지녔고, 사치스러운 보석을 즐겨 착용하며 프랑스 문화를 받아들였기에 프랑스 식민 정부는 그에게 호의를 보였다. 폐위된 함응이 황제가 꽝빈으로 도망친 후, 동카인은 프랑스의 요청에 따라 꽝빈으로 가서 함응이와 그의 충신들을 설득하여 항복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 후 함응이는 그의 충신 쯔엉 꽝 응옥|쯔엉꽝응옥vi에게 배신당하여 프랑스에 체포되어 알제리로 유배되었다.
2. 4. 사망
응우옌 왕조의 함의제가 프랑스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보여 폐위된 후, 1885년 21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1889년 24세에 사망하였다. 동경제의 아들인 계정제는 어렸기 때문에, 동경제의 사촌 형제인 육덕제의 아들 완복소(Nguyễn Phúc Chiêu, 阮福昭)가 성태제로서 제위를 계승하였다.3. 유산 및 평가
1889년 1월 28일, 동카인 황제는 24세의 나이로 3년간의 재위 기간을 마치고 사망했다. 사후에 홍렬총철민혜'''순황제'''(弘烈聰哲敏惠'''純皇帝''')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묘호는 경종(景宗)이었다.
1916년, 그의 아들 카이딘 황제는 그에게 배천명운효덕인무위공홍렬총철민혜'''순황제'''(配天明運孝德仁武偉功弘烈聰哲敏惠'''純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그는 트어티엔 성, 흐엉투이 면, 즈엉쑤언상 마을에 위치한 사릉(思陵) 묘에 묻혔다.
4. 연표
5. 가계
동카인은 1864년 2월 19일 후에 황성에서 티에우찌 황제의 아들이자 응우옌 푹 홍까이 공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그의 후궁 부이 티 타인이었다. 어린 시절 이름은 '''찬몽'''이었는데, 찬몽 궁궐에서 자랐기 때문이다.
뜨득 황제에게는 자녀가 없었으므로, 동카인은 뜨득 황제의 양자가 되어 '''끼엔장 군공'''(끼엔장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