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주 파산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주 파산서원은 1568년 이이, 백인걸 등 파주 지역 유생들에 의해 창건된 서원이다. 임진왜란과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었으나, 1966년 사당 건물이 복원되었고,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되었다. 배산임수 지형에 위치하며, 사당과 삼문, 재실 등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경현단은 파산서원 옆에 인접해 있으며, 조감, 성문준, 신민일 등 3인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인걸 - 용주서원
    용주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 백인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582년에 창건되어 1610년 사액을 받았으나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24년 복원되었으며, 현재 유교적 가치를 기리는 제향 행사를 통해 지역 사회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 1568년 개교 - 달성 도동서원
    달성 도동서원은 조선 시대 유학자 김굉필을 추모하기 위해 1568년에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어 1607년에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으로 구성되어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1568년 설립 - 달성 도동서원
    달성 도동서원은 조선 시대 유학자 김굉필을 추모하기 위해 1568년에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어 1607년에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으로 구성되어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파주 파산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주 파산서원
국가경기도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10
지정일1983년 9월 19일
주소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파산서원길 24-40 (늘노리)
시대알 수 없음
소유자알 수 없음
참고알 수 없음
면적알 수 없음
수량일곽
전승지알 수 없음
전승자알 수 없음

2. 연혁

1568년(선조 1) 이이, 백인걸 등 파주 지역 유생들의 노력으로 파산서원이 창건되었다. 1543년 건립된 백운동서원에 이어 25년 만에 건립된 것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였다. 1650년(효종 1) 사액을 받기 전까지 성수침의 아들 성혼서인으로서 동인의 미움을 받았기 때문에, 사액은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졌다.

1628년(인조 6) 성혼이 추가 배향되었고, 1683년(숙종 9) 백인걸의 위패를 자운서원에서 옮겨왔다. 1740년(영조 16) 성수종을 추가 배향하였다가 이듬해 영조의 서원 철폐정책에 따라 출향되었고, 1785년(정조 9) 파주 유학 조중길(趙重吉) 등의 상소로 다시 배향되었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건물은 1611년(광해군 3)에 복구되었다. 한국 전쟁 때 다시 소실된 후 1966년 현재의 사당 건물만 복원되었다.

2. 1. 창건과 사액

1568년(선조 1) 이이, 백인걸 등 파주 지역 유생들의 노력으로 창건되었다. 백운동서원이 1543년에 건립된지 25년 후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건립되었다. 서원이 일찍 건립되었음에도 사액은 상대적으로 늦어졌는데, 이는 성수침의 아들 성혼서인(西人)으로서 동인(東人)의 미움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1650년(효종 1) 파주 유생 백홍우(白弘祐)의 상소를 계기로 사액되었다.

2. 2. 배향 인물

1568년(선조 1) 이이·백인걸 등 파주 지역 유생들의 노력으로 건립되었으며, 1628년(인조 6) 성혼을 추가 배향하였다. 1683년(숙종 9) 백인걸의 위패를 자운서원에서 옮겨왔다. 1740년(영조 16) 성수종을 추가 배향하였다가 이듬해 영조의 서원 철폐정책에 따라 출향되었고, 1785년(정조 9) 파주 유학 조중길(趙重吉) 등의 상소로 다시 배향되었다.

2. 3. 소실과 복원

서원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는데, 1611년(광해군 3)에 복구되었다. 한국 전쟁 때 다시 소실된 후 1966년에 현재의 사당 건물만 복원되었다.

2. 4. 서원 철폐령과 존속

1628년(인조 6)에 성혼이 추가 배향되었고, 1683년(숙종 9)에 백인걸의 위패를 자운서원에서 옮겨왔다. 1740년(영조 16)에는 성수종을 추가 배향하였다가 이듬해 영조의 서원 철폐정책에 따라 곧바로 출향되었고, 1785년(정조 9)에 파주 유학 조중길(趙重吉) 등의 상소로 다시 배향되었다. 그 후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하였다.

3. 배치 및 건물

파산서원은 경사가 심한 파산을 배경으로 하고 앞으로는 우계가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역에 건립되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 삼문 등 배향 공간만 있는 단조로운 형태이며, 서원 앞으로 홍살문이 있고, 서원 왼쪽에 재실이 있다. 사당은 전면 3칸으로 매우 소박하게 지어졌으며, 재실에는 ‘찰륜당(察倫堂)’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3. 1. 지리적 특징

서원은 경사가 심한 파산을 배경으로 하고 앞으로는 우계(牛溪)가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역에 건립되었다.

3. 2. 건물 배치

경사진 파산(坡山)을 배경으로 하고 앞으로는 우계(牛溪)가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역에 건립되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과 삼문 등 배향 공간만 존재하는 단조로운 형태이고, 서원 앞으로 홍살문이 있으며, 서원 왼쪽에 재실(齋室)이 있다.

3. 3. 사당

사당은 전면 3칸으로 매우 소박하게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성수침을 주벽으로, 좌우에 성수종, 백인걸, 성혼을 배향하였다.

3. 4. 재실

파주 파산서원의 왼쪽에 재실이 있다. 재실에는 ‘찰륜당(察倫堂)’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4. 경현단

경현단은 재실 옆에 있으며, 1807년(순조 7) 지역 유림들이 조감, 성문준, 신민일 세 사람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제단을 만들고 제향을 받은 곳이다. 단 내부에는 오른쪽부터 세 사람의 호를 새긴 비석이 있다. 비석에는 각각 옥천 조선생(玉川 趙先生), 창랑 성선생(滄浪 成先生), 화당 신선생(化堂 申先生)이라고 쓰여 있다. 현재 건물은 1977년에 다시 건립되었다.

4. 1. 건립 배경

1807년(순조 7) 지역 유림들이 조감, 성문준, 신민일 세 사람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제단을 만들고 제향을 받은 곳이다. 경현단에는 세 사람의 단비가 있으며, 단 내부에는 오른쪽부터 조감, 성문준, 신민일의 호를 새긴 비석이 있다. 각각 옥천 조선생(玉川 趙先生), 창랑 성선생(滄浪 成先生), 화당 신선생(化堂 申先生)이라고 쓰여진 비석이 서있다. 현재 건물은 1977년에 다시 건립되었다.

4. 2. 배향 인물과 비석

1807년(순조 7) 지역 유림들이 조감, 성문준, 신민일 등 3인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제단을 만들고 제향을 받은 경현단에는 세 분의 단비(單碑)가 있다. 단의 내부에는 오른쪽부터 조감(옥천 조선생), 성문준(창랑 성선생), 신민일(화당 신선생)의 호를 새긴 비석이 서있다.

4. 3. 현재 건물

현재 건물은 1977년에 다시 건립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