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살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살문은 붉은 칠을 한 화살 모양의 나무 살을 세운 문으로, 주로 사당, 능, 묘 등의 입구에 세워진다. 두 개의 둥근 기둥과 가로대로 구성되며, 상단 중앙에는 삼지창과 태극 문양이 놓인다. 신라 시대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주문과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열녀, 효자 등을 기리는 의미로 홍살문이 세워지기도 했다.
수직으로 세운 두 개의 둥근 기둥 위쪽에 수평으로 두 개의 심방을 위아래로 나란히 대고, 그 두 나무 사이에 화살 모양의 나무 살대를 수직으로 댄 형태이다. 살대의 수량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가 없는 듯하다. 지붕과 문짝은 없으며, 문 가운데 윗부분에는 태극 문양이 있다. 태극 문양은 삼태극이 주로 쓰였으며, 태극 문양 위의 지창(枝槍)은 2지창과 3지창으로 나뉜다.[1] 붉은색은 귀신을 물리치는 색이라는 믿음 때문에 사용되었다고 한다.[5]
신라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발견된 칠갑산 암각화에는 약 1,500년 전 마을 풍경을 묘사한 그림이 세선각 기법으로 새겨져 있는데, 이 암각화에서도 현재와 같은 홍살문의 형태를 뚜렷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이미 홍살문 문화가 삼국시대 말 고구려 및 백제 일대에까지 전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19] 또 경주 오릉 내 박혁거세 거서간의 제사를 모시는 숭덕전 입구에도 홍살문이 있다.
홍살문은 붉은색을 칠한 나무 문으로, 윗부분에 화살 모양의 나무살을 박고 가운데에 삼지창과 태극 문양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1] 붉은색은 귀신을 물리치는 색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5]
홍살문은 수직으로 세운 두 개의 둥근 기둥 위쪽에 수평으로 두 개의 심방을 위아래, 좌우로 나란히 대고, 그 두 나무 사이에 화살 모양의 나무 살을 수직으로 댄 형태이다. 살의 수량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는 듯하다. 지붕과 문짝은 없으며, 문 가운데 윗부분에는 태극 문양이 있다. 태극 문양은 삼태극이 주로 쓰였으며, 태극 문양 위의 지창(枝槍)은 2지창과 3지창으로 나뉜다.[1]
2. 특징
일주문과 같이 두 개의 기둥만으로 자립해야 하는 구조이지만 지지 방식은 일주문과 다르다. 자립 방식은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일주문이 기둥의 굵기와 상부의 하중, 기둥 하방을 잡아주는 문설대의 횡력 보강으로 서 있다면 홍살문은 순전히 기둥 뿌리의 고정으로만 서 있는 경우이다. 기둥 상부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은 두 개의 둥근 기둥을 수직으로 세우고 두 개의 가로대로 구성되어 있다.[1] 이 기둥은 보통 높이가 9미터가 넘는다.[3] 문 꼭대기 중앙에는 삼지창과 태극 문양이 놓여 있다.[1]
3. 역사
일주문도 원래는 홍살문이 대신 했던 듯하며, 역사적으로는 인도의 스투파 앞에 세우던 '토라나'(Torana)가 그 뿌리다. 이것이 중국에서는 '패방'(牌坊), 한국에서는 '홍살문'과 '일주문', 일본에서는 '토리이'(鳥居), 베트남에서는 '탐꽌'(Tam quan;三關)으로 이어졌다.
조선 시대(조선)에는 남편을 따라 목숨을 끊은 아내, 효행을 다한 자녀 등 효성과 정절을 기리기 위해 '''홍문'''이라고도 불린 홍살문을 세우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문이 세워지는 것은 일족이나 마을에게도 영광스러운 일로 여겨졌다.[17] 홍살문 외에도 석비나 지붕이 있는 문이 세워지기도 했으며, 각각 "열녀비", "열녀문" 등으로 불렸다.[18]
4. 상징적 의미
홍살문은 신성한 장소를 보호하고 악귀를 막는 의미를 지닌다. 조선 시대에는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홍살문(홍문)을 세우기도 했으며, 이는 가문과 마을의 큰 영광으로 여겨졌다.[17]
5. 위치
일주문처럼 두 개의 기둥만으로 자립해야 하는 구조이지만, 지지 방식은 일주문과 다르다. 자립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외에 다른 사례도 있지만 흔하지 않다. 일주문이 기둥 굵기와 상부 하중, 그리고 기둥 하방을 잡아주는 문설대의 횡력 보강으로 서 있다면, 홍살문은 순전히 기둥 뿌리의 고정만으로 서 있는 경우이다. 이는 기둥 상부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홍살문은 향교와 하마비 또는 "하마석"으로 향하는 길로 이어진다.[3][6] 또한 서원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7] 서원은 사립 콤플렉스로서 유교 사당이자 예비 학교의 역할을 했다. 조선 왕릉의 능묘에서는 입구인 홍살문으로부터 능까지 150m에서 2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다.[16]
참조
[1]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https://archive.org/[...]
Hakgojae Publishing Co
[2]
웹사이트
A Trip to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http://english.visit[...]
2010-06-12
[3]
서적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4]
서적
1 Course Joseon Royal Tombs : Seonjeongneung
https://books.google[...]
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
2014-05-07
[5]
서적
Korean Architecture: Breathing with Nature
Seoul Selection
[6]
서적
Seowon: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Hollym
[7]
서적
Urimunhwa December 2020
한국문화원연합회
[8]
웹사이트
鳥居について
http://jinjajin.jp/m[...]
一般社団法人国際教養振興協会・ICPA
2017-11-16
[9]
문서
三橋健 (神道学者)
[10]
웹사이트
首露王陵(スロワンヌン)
https://busannavi.jp[...]
釜山ナビ
2017-11-16
[11]
웹사이트
懿陵(ウィルン) 駅から徒歩圏内!世界遺産にも登録のソウルの朝鮮王陵
https://www.konest.c[...]
コネスト
2017-11-16
[12]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Hakgojae Publishing Co
[13]
웹사이트
A Trip to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http://english.visit[...]
2010-06-12
[14]
서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tps://books.google[...]
[15]
서적
Story Of The Stup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6]
서적
陵墓からみた東アジア諸国の位相―朝鮮王陵とその周縁
関西大学文化交渉学教育研究拠点(ICIS)
2011-12-31
[17]
웹사이트
麻浦区紹介
http://www.mapo.go.k[...]
麻浦区
2017-11-30
[18]
간행물
儒教社会を生きる女性たち
[19]
문서
'[사찰의 美(5)] 일주문의 뿌리는? (토라나, 패방, 홍살문, 도리)'
https://m.cafe.da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