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라완수염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완수염돼지는 필리핀 팔라완 섬 및 주변 섬에 분포하는 돼지과 동물이다. 보르네오수염돼지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계통발생학적 종 개념에 따라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 해발 1,500m 이하의 숲에 서식하며, 화석 기록을 통해 과거 팔라완에 서식했음을 알 수 있다. 도시 개발, 농지 개발,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멧돼지과 - 바비루사
    바비루사는 인도네시아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돼지과 동물로,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 멧돼지과 - 멧돼지속
    멧돼지속은 긴 주둥이와 44개의 치아를 가진 멧돼지과의 포유류 속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멧돼지, 집돼지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잡식성으로 땅을 파헤쳐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으며, 집돼지는 가축화되었지만 야생 멧돼지는 침입종으로 생태계를 교란하기도 하고 인수공통감염병의 매개체가 되거나 인간의 생의학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필리핀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필리핀의 포유류 - 듀공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얕은 바다에서 해초를 먹고 악어, 범고래, 상어 등이 천적이며, 과거 사냥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필리핀의 고유종 동물 - 민다나오피그미과일박쥐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운무림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박쥐인 민다나오피그미과일박쥐는 긴 털과 어두운 갈색 털을 지녔으며, IUCN에 의해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필리핀의 고유종 동물 - 민도로줄무늬얼굴과일박쥐
    민도로줄무늬얼굴과일박쥐는 필리핀 민도로 섬에서 발견된 과일박쥐의 일종으로, 주황색 털과 흰 줄무늬, 반점을 특징으로 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팔라완수염돼지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팔라완 지속가능 개발 위원회에 넘겨진 팔라완수염돼지
상태준위협 (NT)
학명Sus ahoenobarbus
명명자Huet, 1888
이명Chaetorhinus ahoenobarbus (종 수준)
Sus barbatus ahoenobarbus (아종 수준)
Chaetorhinus barbatus ahoenobarbus (아종 수준)
분포도
특징
몸길이1 ~ 1.6m
약 1m
몸무게최대 150kg

2. 분류

최근까지 보르네오수염돼지(''Sus barbatus'')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적어도 계통발생학적 종 개념에 따르면 별개의 종으로 분류해야 한다. 다른 (그리고 더 널리 사용되는) 종 개념에 따른 취급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정보는 어쨌든 완전한 종 지위를 주장하는 것으로 보인다.[2] 과거에는 수염돼지의 아종으로 여겨졌다.[11] 미토콘드리아 DNA 시토크롬 b의 분자 계통 추정에 따르면, 수염돼지보다 비사얀수염돼지(세부이보돼지) ''Sus cebifrons''에 더 가깝다는 분석 결과도 있다.[13]

3. 분포

필리핀(팔라완 섬 및 Balabac 섬, Busuanga 섬 등 그 주변 섬)[11]

4. 생태

해발 1,500m 이하의 상록수림, 산림, 맹그로브 숲 등에서 서식한다.[11]

5. 화석 기록

팔라완에서 화석이 발굴되었으며, 이는 팔라완수염돼지, 사슴, 필리핀원숭이, 호랑이, 작은 포유류, 도마뱀, 뱀 및 거북이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뼈에 남은 절단 자국과 불의 사용 증거 외에도, 석기 도구로 보아 초기 인류가 뼈를 축적했던 것으로 보인다.[3][4]

보르네오는 마지막 및 이전 빙하기 동안 팔라완과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분자 계통 발생학을 이용한 쥐과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5] 돼지 유해는 멧돼지(''Sus scrofa'')와 팔라완 멧돼지(''Sus ahoenobarbus'')와 비교되었다. 멧돼지는 후기 홀로세 동안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가축으로 섬으로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8][9][10]

6. 인간과의 관계

도시 개발, 농지 개발, 산림 벌채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식용을 위한 사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Sus ahoenobarbus' 2017
[2] 논문 New phylogenetic perspectives among species of South-east Asian wild pig (''Sus'' sp.) based on mtDNA sequences and morphometric data
[3] 논문 The first evidence for the past presence of the tiger ''Panthera tigris'' (L.) on the island of Palawan, Philippines: extinction in an island population
[4] 서적 Climate Change and Human Responses: A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 Springer Publishing 2017
[5] 서적 Evolution of Island Mammals: Adaptation and Extinction of Placental Mammals on Islands John Wiley & Sons 2011
[6] 논문 Worldwide Phylogeography of wild boar reveals multiple centers of pig domestication
[7] 논문 Phylogeny and ancient DNA of ''Sus'' provides insight into Neolithic expansion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Oceania
[8] 논문 The pigs of Island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new evidence for taxonomic status and human-mediated dispersal http://dro.dur.ac.uk[...]
[9] 논문 New insights into pig taxonomy, domestication and human dispersal in Island Southeast Asia: molar shape analysis of Sus remains from Niah Caves, Sarawak https://www.research[...]
[10] 논문 A 4,000 year old introduction of domestic pigs into the Philippine archipelago: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routes of human migration into through Island Southeast Asia and Wallacea https://www.research[...]
[11] 간행물 Sus ahoenobarb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12]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3] 논문 New phylogenetic perspectives among species of South-east Asian wild pig (Sus sp.) based on mtDNA sequences and morphometric data. 2005
[14] 간행물 Sus ahoenobarbus
[15] 논문 New phylogenetic perspectives among species of South-east Asian wild pig (Sus sp.) based on mtDNA sequences and morphometric data.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