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미나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미나치는 페미니스트와 나치의 혼성어로, 1989년 미국 반 낙태 시위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이 용어는 1990년대 초 러시 림보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급진적 페미니스트를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페미나치는 페미니즘 전체를 폄하하고, 여성의 관점을 극단적으로 묘사하는 데 사용되며, 대중 매체와 소셜 미디어에서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판자들은 이 용어가 페미니즘을 왜곡하고, 홀로코스트 피해자를 모독한다고 주장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젠더 갈등 속에서 이 용어가 사용되며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비유법 - 제4제국
    제4제국은 아르투어 묄러 판 데어 브루크의 '제3제국'에서 파생된 용어로, 네오나치의 나치 독일 부활 염원, 음모론자들의 나치 잔재 지속 주장, 유럽 평론가들의 독일 영향력 비판, 우익 포퓰리즘 경고, 그리고 대중문화 작품 속 나치의 재기 시도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나치 비유법 - 고드윈의 법칙
    고드윈의 법칙은 온라인 논쟁이 심화될수록 나치나 히틀러에 대한 비유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인터넷 격언으로, 부적절한 나치 비유를 경계하는 기준으로 널리 쓰이지만, 고드윈은 이 법칙이 홀로코스트에 대한 신중한 성찰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희망했다.
  • 반여성주의 - 남성인권 운동
    남성인권 운동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차별받는다고 주장하며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고 양육권, 가정 폭력, 징병제 등 여러 쟁점에 대해 온라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회 운동이다.
  • 반여성주의 - 인셀
    인셀은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상대를 원하지만 얻지 못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사회 불안, 여성 혐오, 폭력 옹호 등의 문제점을 가진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도 한다.
  • 여성에 관한 고정관념 - 트로피 와이프
    트로피 와이프는 성공한 남성이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얻는 젊고 매력적인 아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여성을 남성의 성공을 나타내는 전리품처럼 취급한다는 비판적인 의미를 내포하며, 여성의 성적 대상화 및 사회적 불평등을 드러내는 사례로 지적된다.
  • 여성에 관한 고정관념 - 톰보이
    톰보이는 전통적인 여성의 성 역할에서 벗어나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여자아이 또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개념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페미나치
용어 정보
용어페미나치
설명"페미니스트"와 나치를 결합한 경멸적인 용어이다.
이는 페미니즘에 대한 반대 의견을 표현하거나 페미니스트를 모욕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원 및 역사
유래1980년대 초, 톰 레이키스와 러시 림보에 의해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림보는 이 용어를 자신의 라디오 쇼에서 페미니스트를 비판하는 데 사용하면서 널리 퍼뜨렸다.
의미 변화원래 낙태에 반대하는 극단적인 페미니스트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더 넓은 범위의 페미니스트를 비하하는 데 사용된다.
이 용어는 페미니스트를 나치에 비유함으로써 페미니즘 운동을 폄하하고, 여성 혐오적인 공격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양상
정치적 맥락페미나치는 정치적 논쟁에서 페미니스트의 주장을 약화시키고, 그들을 극단주의자로 몰아가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페미니스트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그들의 활동을 방해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
미디어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서 페미니스트를 조롱하거나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페미니스트를 공격하거나 괴롭히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이는 여성 혐오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페미니스트들이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비판 및 논란
용어의 문제점페미니스트를 나치에 비유하는 것은 홀로코스트의 희생자들을 모욕하는 행위이며,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심각한 왜곡이다.
이 용어는 페미니스트의 의견을 억압하고, 여성 혐오적인 공격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비판받는다.
대안적 용어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이나 반대 의견을 표현하기 위해 더 정확하고 존중하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2. 용어의 기원과 사용

'페미나치'는 페미니스트와 나치를 합쳐 만든 단어이다. ''옥스퍼드 미국 정치 속어 사전(The Oxford Dictionary of American Political Slang)''에서는 이 단어를 "헌신적인 페미니스트 또는 강인한 여성"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말로 정의한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89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실린 반 낙태 시위 관련 기사에서 "페미나치들은 집에 가라"라는 구호가 사용된 것이었다.

이 용어는 페미니스트의 관점을 극단적인 것으로 묘사하여, 페미니스트의 주장을 폄하하고 여성의 관점이나 행동을 "급진적", "극단적", "폭압적"으로 낙인찍는데 사용된다. 문학 평론가 토리 모이는 이 용어가 페미니스트가 "남자를 혐오"하고, "독단적이고 융통성이 없으며 편협"하며, "극단적이고 권력에 굶주린 소수"라는 흔한 생각을 반영한다고 썼다. 사회학자 마이클 키멜은 그의 저서 ''화난 백인 남성''에서 이 용어가 동일 임금과 강간 및 가정 폭력으로부터의 안전을 위한 페미니스트 운동을 나치 대량 학살과 연관시켜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고 말한다.

영국에서 이 용어의 사용은 2015년, 변호사 샬럿 프라우드먼이 온라인에서 자신의 외모에 대해 언급한 남성 동료를 비판하면서 최고조에 달했다. 호주에서는 1995년 ''더 퍼스트 스톤'' 출간 이후 이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되었으며, 페미니스트를 위협적이고 "앙심"이 많고 "청교도적"인 존재로 묘사하기 위해 대중 매체에서 사용되었다.

2. 1. 러시 림보의 역할

러시 림보는 페미니즘 운동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17]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가능한 한 많은 낙태를 보려는" 급진 페미니스트를 지칭한다고 말했다.[19] 림보는 이들을 "권력에 대한 갈망"과 "남자는 필요하지 않다는 믿음"을 가진 소수의 "과격파"로 묘사했다.[17] 림보는 이러한 여성들을 "페미니스트"라고 자칭하는 선의의 사람들이지만 잘못된 사람들과 구별했다.

그러나 이 용어는 페미니즘 전체를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18] ''새 파트리지 속어 및 비관습적 영어 사전''에 따르면, 림보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어떤 페미니스트든 강경하고 타협하지 않는 남성 혐오자로 치부했다."[19] ''뉴욕 타임스''는 이 용어를 "여성의 권리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대한 [림보의] 가장 좋아하는 비난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17]

글로리아 스타이넘1996년 인터뷰에서 러시 림보의 "페미나치"라는 낱말 사용에 대해 히틀러는 독일의 강한 여성주의 운동을 탄압하며 집권했고, 가족계획 클리닉을 폐쇄시켰으며, 임신중단을 범죄로 규정했다면서, 저것들은 모두 러시 림보의 입장과 더 비슷하다고 비판했다.[17]

존 K. 윌슨은 2011년 책 《The Most Dangerous Man in America: Rush Limbaugh's Assault on Reason|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남자: 러시 림보의 이성에 대한 공격영어》에서 "러시 림보의 주장대로 '가능한 한 많은 낙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여기는' 여성주의자가 '페미나치'라면, 세상에 '페미나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19]

2. 2. 용어의 확산

이 용어는 1990년대 초 미국의 보수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 러시 림보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림보는 페미니즘 운동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가능한 한 많은 낙태를 보려는" 급진 페미니스트를 지칭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용어는 페미니즘 전체를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새 파트리지 속어 및 비관습적 영어 사전''에 따르면, 림보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어떤 페미니스트든 강경하고 타협하지 않는 남성 혐오자로 치부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 용어를 "여성의 권리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대한 [림보의] 가장 좋아하는 비난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페미니스트의 주장을 폄하하고 여성의 관점이나 행동을 "급진적", "극단적", "폭압적"으로 낙인찍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미국의 주류 담론에서 여성을 인지된 성차별에 과도하게 경계하는 존재로 잘못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대중 매체소셜 미디어 전반에서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언어학자 제럴딘 호란은 여성 공인이 헤드라인을 장식할 때마다 주류 미디어에서 이 용어의 사용이 현저하게 증가한다고 쓴다.

3. 비판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여러 면에서 비판받는다. 헬렌 루이스는 ''뉴 스테이츠맨''에서 "해방 운동과 나치즘을 동일시하는 것은 무지하며, 과장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로라 베이츠는 이 용어가 "여성에게 악마의 낙인을 찍으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러시 림보가 이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 불매 운동을 제안하며, "히틀러는 독일의 강력한 페미니스트 운동에 반하여 권력을 잡았고, 가족 계획 진료소를 폐쇄했으며, 낙태를 국가에 대한 범죄로 선언했는데, 이는 러시 림보의 견해와 매우 유사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스타이넘은 "많은 사람들이 낙태를 원한다는 설명을 들어본 적 없지만, 림보는 그런 식으로 퍼부었다"라고 덧붙였다.[17]

모이는 림보의 발언으로 인해 1990년대 중반부터 미국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바뀌었다고 평가했다. "페미나치"라는 용어가 특정 소수의 페미니스트를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모든 페미니스트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굳어졌다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제2 물결 페미니즘에서는 성적 대상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성범죄, 성희롱, 매춘, 포르노그래피 등 다양한 여성 문제를 다루었다. 캐서린 매키넌과 앤드리아 드워킨은 포르노그래피를 '성적으로 노골적이고, 어떤 집단을 종속적·차별적으로 묘사하여 피해를 주는 표현물'로 정의하며 비판했다. 수전 브라운밀러는 저서 '강간, 짓밟힌 의지'에서 강간이 남성 집단의 여성 집단에 대한 지배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3. 1. 여성주의 운동에 대한 왜곡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페미니즘의 본질을 왜곡하고, 여성주의 운동을 극단적인 것으로 묘사하여 여성들의 정당한 권리 요구를 폄하하는 데 사용된다.[17][18][19] 글로리아 스타이넘러시 림보의 "페미나치"라는 낱말 사용에 대해 "히틀러는 독일의 강한 여성주의 운동을 탄압하며 집권했고, 가족계획 클리닉을 폐쇄시켰으며, 임신중단을 범죄로 규정했다. 저것들은 모두 러시 림보의 입장과 더 비슷하다."라고 비판했다.[17]

존 K. 윌슨은 "러시 림보의 주장대로 '가능한 한 많은 낙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로 여기는' 여성주의자가 '페미나치'라면, 세상에 '페미나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19]

헬렌 루이스는 ''뉴 스테이츠맨''에서 "해방 운동과 나치즘을 동일시하는 생각은 정말 무지한 것입니다. 너무 과장되어 스스로를 훼손합니다."라고 말했다. 로라 베이츠는 "우리에게 악마의 낙인을 찍으려는 절박한 시도이며, 이 단어가 그렇게 모욕적이지 않다면 실제로 받아들이고 소유할 수 있기 때문에 좌절스럽다"라고 말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림보가 이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 "히틀러는 독일의 강력한 페미니스트 운동에 반하여 권력을 잡았고, 가족 계획 진료소를 폐쇄했으며, 낙태를 국가에 대한 범죄로 선언했는데, 이는 러시 림보의 견해와 매우 유사하다"라고 말했다.[17]

모이는 림보의 발언으로 인해 1990년대 중반부터 미국 정치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페미니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바뀌었다고 썼다. 미국인들은 페미니스트를 독단적이고 권력에 굶주린, 남성을 혐오하며 자신의 가정을 비판할 능력이 없는 여성으로 보기 시작했다.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특정 소수의 페미니스트를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을지 모르지만, 모든 페미니스트 또는 모든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굳어졌다고 평가했다.

3. 2. 홀로코스트 피해자에 대한 모독

"나치"라는 단어를 실제 나치가 아닌 사람에게 사용하는 것은 홀로코스트 피해자와 생존자를 모독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20][21] 이는 "나치"의 원래 뜻을 희석시키고, 역사적 비극을 가볍게 여기는 태도로 이어진다.[20][21]

3. 3. 글로리아 스타이넘의 비판

글로리아 스타이넘러시 림보의 "페미나치"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17] 1996년 인터뷰에서 "히틀러는 독일의 강한 여성주의 운동을 탄압하며 집권했고, 가족계획 클리닉을 폐쇄시켰으며, 임신중단을 범죄로 규정했다. 저것들은 모두 러시 림보의 입장과 더 비슷하다."라고 말했다.[17]

스타이넘은 1995년 자신의 책에서 "페미나치"라는 용어가 "악랄하고 몰역사적"이라고 비판하며, 헬레네 슈퇴커, 트루데 바이스로스마린, 클라라 체트킨 등 저명한 독일 여성주의자들이 히틀러 집권기에 독일을 떠나야 했고, 다른 많은 여성주의자들이 강제 수용소에서 죽임을 당했음을 지적했다.[18]

또한 림보가 이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 불매 운동을 제안하며, 히틀러는 독일의 강력한 페미니스트 운동에 반하여 권력을 잡았고, 가족 계획 진료소를 폐쇄했으며, 낙태를 국가에 대한 범죄로 선언했는데, 이는 러시 림보의 견해와 매우 유사하다고 말했다. 스타이넘은 "저는 [가능한 한 많은 낙태를 원하는] 그런 설명을 들어본 적이 없지만, [림보]는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그런 식으로 퍼부었습니다."라고 썼다.

4. 한국 사회에서의 논쟁

한국 사회에서도 페미니즘이 주요 의제로 떠오르면서 '페미나치'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용어는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젠더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4. 1. 온라인 커뮤니티와 젠더 갈등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페미니스트를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젠더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4. 2. 여성주의 운동의 대응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 진영에서는 '페미나치'라는 용어가 여성 혐오 표현의 일종이라고 비판하며,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지속하고 있다.

5. 대안적 관점

'페미나치'라는 용어는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페미니즘은 성 평등을 추구하는 다양한 관점을 포괄하는 이념이므로, 특정 극단적인 사례를 일반화하여 전체를 매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5. 1. 다양한 페미니즘의 흐름

1970년대 초, 미국의 여성 잡지 'Ms.'의 편집 주간이었던 급진적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등은 성희롱을 제창했다. 같은 급진적 페미니스트인 캐서린 매키넌은 변호사로서 다양한 재판을 맡아 '세크셜 해라스먼트 오브 워킹 위먼'(Sexual Harassment of Working Women) 등으로 개념을 명확히 하고, 법 규제로 이어지는 길을 만든 제일인자가 되었다.

성적 대상화·성적 물화라는 말은 이때 널리 사용되었다. 교토 여자 대학교 현대 사회 학부 교수인 에구치 사토시는 성적 물화·성적 객체화·물상화(sexual objectification)가 1970년대 이후 제2 물결 페미니즘의 중심적 키워드 중 하나라고 보았다. 성범죄, 성희롱, 매춘, 포르노그래피, 미인 대회, 각종 '성의 상품화' 등, 페미니즘이 다룬 수많은 '여성' 문제에서 남성 중심적인 사회 관행(가부장제, 파터널리즘)에서의 여성의 예속적 지위를 설명하는 개념이 바로 성적 대상화이다. 캐서린 매키넌과 앤드리아 드워킨은 '포르노그래피와 성차별'을 공동 집필하는 등, 성적 대상화·성적 물화라는 말의 광범위한 사용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매춘의 '성의 상품화' 비판은 기독교의 순결 교육으로 대표되는 것처럼 '도덕적·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는 이유로 예전부터 비판받아 왔으며, 페미니즘이 확립한 생각은 아니다. 급진적 페미니즘과 기독교는 '여성의 섹시한 패션', '성인 산업과 그 종사자·소비자'를 문제 삼는 점은 같지만, 이유가 다르기 때문에 대립하고 있다. 반페미니즘을 내세우는 프로미스 키퍼스와 같이 기독교 우파는 '단정치 못하다, 교리에 맞지 않다' 등의 도덕보수적 사상으로 인정하지 않는 반면, 급진적 페미니스트는 '가부장제·파터널리즘에 근거한, 남성의 여성 차별이나 인권 유린이 문제이다'라고 하며, 도덕이나 보수적 사상에 의한 비난은 부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르노그래피는 '성적으로 노골적인 것', '성적으로 노골적이고, 음란하며, 반도덕적인 표현물'로 정의되지만, 캐서린 매키넌과 앤드리아 드워킨은 이러한 정의를 비판했다. 도덕이나 윤리가 이유가 아니라, 인권 유린에 해당하는지가 중요하며, 포르노그래피란 '성적으로 노골적이고, 또한 어떤 집단(여성이나 아이 등)을 종속적·차별적·구경거리로 묘사하며, 현재 그 집단에 피해를 주고 있는 표현물'로 정의하고 있다.

1975년에는 진 맥웰러의 '강간 - 이상 사회의 연구'와 수전 브라운밀러의 '강간, 짓밟힌 의지(원제: Against Our Will)'가 출판되었고, 그녀들은 성폭력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강간 신화'로 고발했다. 특히 '강간, 짓밟힌 의지'는 '강간의 원인은 성욕이 아니라, 남성 집단의 여성 집단에 대한 지배'라는 주장을 일반적으로 하며, 2016년 시점에서도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수전 브라운밀러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인간 이외의 동물은 강간을 하지 않는다. 강간이 없는 문화도 있다. 따라서 강간은 우리 문화의 영향 아래에 있다.
  • 우리 문화는 남성 우위 문화(가부장제·파터널리즘)이며, 남성이 여성을 지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 음경을 무기로 한 강간이다.
  • 강간은 섹스나 성욕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의 영향에 의해 남성은 강간에 대한 지향을 학습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을 미화·정당화한다.


여기에서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파생되었다. 예를 들어 '남성은 폭력적인 포르노 등으로부터 그러한 지배욕을 배우므로, 폭력 포르노는 규제해야 한다' 등이다. 캐서린 매키넌은 구분 진열 등 구역 설정에 의한 포르노그래피 판매를 '포르노그래피를 허용하는 것 = 살아있는 인간의 착취를 인정하는 것'으로 보며, 인정하지 않고 있다.

5. 2. 상호 존중에 기반한 논의의 필요성

젠더 갈등을 해소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Feminazi, breastfeeding nazi, grammar nazi. A critical analysis of nazi insults in contemporary media discourses https://discovery.uc[...]
[2] 웹사이트 Limbaugh defended his use of term “feminazi” as “right” and “accurate” https://www.mediamat[...] MEDIA MATTERS FOR AMERICA 2005-06-24
[3] 웹사이트 The Rush Limbaugh Show http://www.rushlimba[...]
[4] 서적 The Way Things Ought to Be https://books.google[...] Pocket Books
[5] 서적 The Way Things Ought to Be Pocket Books
[6] 웹사이트 「レイプ神話」での性的動機 (4) ブラウンミラー先生の支配欲説と反論 https://yonosuke.net[...] 2016-08-29
[7] 서적 2007-2008 マンガ論争勃発 マイクロマガジン社 2007-12-21
[8] 서적 Outrageous Acts and Everyday Rebellions New American Library 1995-10-15
[9] 웹인용 feminazi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6-12-17
[10] 서적 Linguistic politics and language usage in the debate on "Political Correctness" http://www.hausarbei[...] GRIN 2016-12-17
[11] 웹인용 Authority in Contention http://www.emeraldin[...] Emerald Group Publishing 2016-12-17
[12] 저널 Angry Feminazis and Manhaters: How Women Develop Positive Feminist Identities in the Face of Stigma http://citation.alla[...] 2016-12-17
[13] 서적 The Macho Paradox: Why Some Men Hurt Women and and how All Men Can Help http://www.themachop[...] Sourcebooks 2016-12-17
[14] 서적 The Most Dangerous Man in America: Rush Limbaugh's Assault on Reason http://us.macmillan.[...] Macmillan 2016-12-17
[15] 웹인용 Our Struggle Is My Struggle: Solidarity Feminism As An Intersectional Reply To Neoliberal and Choice Feminism {{!}} PDF {{!}} Intersectionality {{!}} Feminism https://www.scribd.c[...] 2023-04-12
[16] 웹인용 나는 여성으로서 메갈리아를 거부한다 https://www.mediatod[...] 2023-12-02
[17] 웹인용 Ask Gloria (Continued) http://www.feminist.[...] 2016-12-17
[18] 서적 Outrageous Acts and Everyday Rebellions http://us.macmillan.[...] Macmillan 2016-12-17
[19] 서적 The Most Dangerous Man in America: Rush Limbaugh's Assault on Reason http://us.macmillan.[...] Macmillan 2016-12-17
[20] 뉴스 Feminazi: It's never OK to call anyone a Nazi - even us feminists http://www.telegraph[...] 텔레그래프 2016-12-18
[21] 뉴스 Breaking Down "Femi-Nazi" Term http://www.ethic-new[...] Ethic 2016-12-19
[22] 뉴스 Feminazi: the go-to term for trolls out to silence women https://www.theguard[...] 가디언 2016-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