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루 그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루 그로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실바니아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한 후 변호사로 활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민족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다. 1933년 대공황으로 농민들이 어려움을 겪자 좌파 농민 단체인 쟁기꾼 전선을 설립, 공산당과 협력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1945년 소련의 지원으로 총리가 되어 공산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반대파를 숙청했다. 그는 토지 개혁, 산업 국유화, 언론 탄압 등을 통해 일당제 체제를 구축했으며, 1952년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국가평의회 의장을 역임하다 1958년 사망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루마니아는 소련의 위성국가가 되었으며, 정치적 자유와 인권이 억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네도아라주 출신 - 베틀렌 가보르
베틀렌 가보르는 17세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공작으로, 종교 개혁에 기여하고 30년 전쟁 기간 동안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여 군사 행동을 벌였으며, 계몽 전제주의 통치를 펼치다 1629년 사망했다. - 루마니아의 국가원수 -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는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루마니아 대국민 의회 의장과 총리를 역임하며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고, 초기에는 좌익 및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변호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루마니아 공산당 내에서 요직을 맡았으나, 은퇴 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지지 전력으로 인해 루마니아 혁명 당시 소외되었다. - 루마니아의 국가원수 - 콘스탄틴 이온 파르혼
루마니아의 내분비학자이자 정치인인 콘스탄틴 이온 파르혼은 루마니아 내분비학 학파의 창시자로서 내분비학 서적을 공동 집필하고 관련 연구를 지속했으며, 사회주의 운동 참여, 루마니아 공산화 과정에서 국가 원수 역임, 루마니아 아카데미 활동 등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루마니아의 변호사 -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루마니아의 국민자유당 정치인 게오르게 터터레스쿠는 하원 의원, 총리, 외무부 장관 겸 부총리를 지냈으며, 카롤 2세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옹호하고 루마니아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공산주의 정권에 협력한 후 체포되어 사망했다. - 루마니아의 변호사 -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는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루마니아 대국민 의회 의장과 총리를 역임하며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고, 초기에는 좌익 및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변호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루마니아 공산당 내에서 요직을 맡았으나, 은퇴 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지지 전력으로 인해 루마니아 혁명 당시 소외되었다.
페트루 그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페트루 그로자 |
로마자 표기 | Petru Groza |
국적 | 루마니아 |
출생일 | 1884년 12월 7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트란스라이타니아 후네도아라 주 버치아 (현재의 루마니아 버치아) |
사망일 | 1958년 1월 7일 |
사망지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직업 | 변호사 |
![]() | |
정치 경력 | |
임기 시작 | 1952년 6월 12일 |
임기 종료 | 1958년 1월 7일 |
전임자 | 콘스탄틴 이온 파르혼 |
후임자 |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
임기 시작 | 1945년 3월 6일 |
임기 종료 | 1952년 6월 2일 |
군주 | 미하이 1세 (1945–1947) |
대통령 | 콘스탄틴 이온 파르혼 (1947–1952) |
부총리 |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1945–1947)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1948–1952) |
전임자 | 니콜라에 러데스쿠 |
후임자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총리 | 콘스탄틴 서너테스쿠 니콜라에 러데스쿠 |
군주 | 미하이 1세 |
임기 시작 | 1944년 11월 4일 |
임기 종료 | 1945년 2월 28일 |
전임자 | 미하이 안토네스쿠 |
후임자 |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
임기 시작 | 1933년 |
임기 종료 | 1953년 |
후임자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루마니아 노동자당과 합병) |
총리 |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
임기 시작 | 1926년 3월 30일 |
임기 종료 | 1927년 6월 4일 |
총리 |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
임기 시작 | 1926년 3월 30일 |
임기 종료 | 1926년 7월 14일 |
전임자 | 트라이안 모쇼이우 |
후임자 | 콘스탄틴 메이스너 |
소속 정당 | |
정당 | 루마니아 국민당 (1918–1920) 인민당 (1920–1933) 농민전선 (1933–1953) 무소속 (1953–1958) |
학력 | |
모교 | 부다페스트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
2. 생애
페트루 그로자는 188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법률가를 꿈꾸며 헝가리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거쳐 1907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3][4]
학업을 마친 후 데바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군인으로 복무했고, 1918년 전쟁이 끝나자 루마니아 민족당(PNR) 소속으로 정계에 진출, 루마니아계 정치인들이 루마니아와의 통일에 찬성 투표를 한 후 소집된 "트란실바니아 지도위원회"에서 2년간 직책을 맡았다.[3]
이후 루마니아 정교회 총회에서 의원직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정치 및 종교 단체에서 활동하며 인맥을 쌓았다. 1920년대 중반, PNR을 떠나 인민당에 합류, 제3차 아베레스쿠 내각에서 트란실바니아 장관 겸 공공사업통신부 장관을 역임했다.[2][3] 이 시기, 지주[5]로서 재산을 축적하고 루마니아 정교회 내에서 평신도로 명성을 쌓아, 루마니아 공산당(PCR)에게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2][5]
1929년 대공황으로 루마니아 농민들의 삶이 어려워지자, 1933년 좌파 농민 운동 단체인 쟁기꾼 전선을 창립했다.[3] 이 단체는 루마니아 공산당과 긴밀히 협력했으며, 1944년에는 회원이 천 명에 달해, 그로자는 자연스럽게 공산주의자로 부상했다.[3][6]
1944년 10월, 쟁기꾼 전선은 공산당과 합쳐 민족 민주 전선을 결성했고,[7][8]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와 교류하며 공산당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페트루 그로자는 188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법률가를 꿈꾸며 헝가리로 가 법률을 공부했고,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 입학했다. 1903년 사슈바로슈(현재 오라슈티에)에 있는 헝가리 개혁교회 고등학교(현재 아우렐 블라이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그 해 가을 헝가리 왕국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서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905년에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1906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07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3][4]2. 2. 초기 정치 경력 (1918-1933)
학업을 마친 후 그로자는 데바로 돌아와 변호사로 일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그는 제8 홍베드 연대에서 군인으로 복무했다. 1918년 전쟁이 끝나자 루마니아 민족당(PNR)의 일원으로 정계에 등장하여, 루마니아계 정치인들이 루마니아와의 통일을 찬성한 투표를 한 후 소집된 "트란실바니아 지도위원회"에서 직책을 얻었다.[3] 그는 이후 2년 동안 그 직책을 유지했다.이 기간 동안 그로자는 다양한 트란실바니아 정치 및 종교 단체에서 일하며 다양한 정치적 인맥을 쌓았다. 1919년부터 1927년까지 시노드 및 루마니아 정교회 총회에서 의원직을 역임했다. 1920년대 중반, 율리우 마니우와의 갈등 후 PNR을 떠나 인민당에 합류한 그로자는[3] 제3차 아베레스쿠 내각에서 트란실바니아 장관 겸 공공사업통신부 장관을 역임했다.[2][3]
이 시기에 그로자는 부유한 지주[5]로서 상당한 재산을 축적하고 루마니아 정교회 내에서 저명한 평신도로서 명성을 쌓았는데, 이는 나중에 1945년 당시 국가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동방 정교회 신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던 루마니아 공산당(PCR)에 그를 귀중한 인물로 만들었다.[2][5]
2. 3. 쟁기꾼 전선과 공산당과의 협력 (1933-1945)
1929년 대공황으로 루마니아 농민들의 삶이 어려워지자, 1933년 그로자는 좌파 농민 운동 단체인 쟁기꾼 전선을 창립했다.[3] 이 단체는 루마니아 공산당과 긴밀히 협력했으며, 1944년에는 회원이 천 명에 달했다. 이를 통해 그로자는 자연스럽게 공산주의자로 부상했다.[3][6]1944년 10월, 쟁기꾼 전선은 공산당과 합쳐 민족 민주 전선을 결성했고,[7][8] 그로자는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와 교류하며 공산당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당시 쟁기꾼 전선은 소련과의 우호를 위한 루마니아 협회, 애국자 연합, 애국 방위와 함께 공산당의 주요 전선 조직 중 하나였다.
2. 4. 권력 장악과 총리 취임 (1945-1952)
1944년 10월, 페트루 그로자가 이끌던 쟁기꾼 전선은 루마니아 공산당과 함께 ''민족 민주 전선''을 결성했다.[7][8] 이 연합에는 사회민주당, 미하이 랄레아의 사회주의 농민당, 헝가리 인민 연합 등 여러 소규모 단체도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그로자는 루마니아 정치권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상했다.[7][8]
1945년 1월, 아나 파우커와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 등 루마니아 공산당 지도자들은 니콜라에 러데스쿠 총리가 "파시스트 동조자들"과의 싸움에 실패했다고 비난하며 그의 퇴진을 요구했다.[7] 소련 당국의 지원을 받은[7] 공산당은 노동자들을 동원해 러데스쿠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고, 2월에는 시위가 폭력 사태로 번져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공산당은 루마니아군이 무고한 민간인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러데스쿠는 공산당을 "조국 없는 신 없는 외국인"이라고 비난하며 자신의 지지 기반을 약화시켰다.[8]
이에 소련 외교 부차관 안드레이 비신스키는 부쿠레슈티를 방문, 러데스쿠를 해임하고 그로자를 총리로 임명하지 않으면 루마니아의 독립이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최후통첩을 미하이 국왕에게 전달했다. 국왕은 게오르게 아브라메스쿠 장군을 차기 총리로 지명하려 했으나, 그가 NKVD에 체포되어 사망하면서 좌절되었다.[9] 결국 소련의 압력에 굴복한 미하이 1세는 1945년 3월 6일 그로자를 총리로 임명했다.[7][8][10]
그로자는 국방, 사법, 내무 등 주요 부처 장관직에 공산당원들을 임명했다. 명목상으로는 국민자유당과 국민농민당 출신 장관들도 포함되었지만, 이들은 공산당이 직접 선발한 인물들이었다.[11]
파우커와 게오르기에-데지는 그로자 정부가 연립 정부의 모습을 유지하여 공산당이 대중의 신뢰를 얻도록 하기를 원했다. 당시 공산당은 지지 기반이 약했기 때문에, 파우커와 게오르기에-데지 같은 주요 인물들은 내각에 참여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공산주의 체제를 강요할 계획이었다.[12] 그로자는 다양한 정치 조직의 구성원들을 내각에 임명하고, 정부의 단기 목표를 광범위하고 비이념적인 용어로 공식화함으로써 연립 정부의 환상을 유지했다.[13]
1946년 11월 19일 총선에서 공산당이 주도하는 민주당 블록(BPD)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도록 선거 결과가 조작되었다. 역사가 페트레 추를레아(Petre Țurlea)는 기밀 공산당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BPD가 최대 47%의 득표율을 얻었으며, 선거가 정직하게 치러졌다면 야당이 연립 정부를 구성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4]
그로자 정부는 1946년 선거 결과를 통해 자신의 집권이 확인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1945년 얄타 회담 합의에 따라 "인구를 폭넓게 대표하는 임시 정부 당국"만이 강대국들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항의했고, 그 결과 그로자 정부는 미국, 영국과 영구적으로 소원해졌다.[15]
2. 5. 공산주의 정책 추진과 반대파 숙청
1946년 루마니아 총선에서 공산당은 과반수를 얻지 못했지만, 권력을 장악하여 그로자를 총리로 임명했다. 이 과정에는 미국과 영국의 압력도 있었다.[15] 그로자는 집권 후 토지개혁을 실시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 가담 책임을 명목으로 소련에 영토를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하며 전후 체제를 정비했다.[16]그로자는 공산당의 입장을 강화하고 정적을 제거하는 독재 정치를 펼쳤다. 여러 신문사를 파시즘 또는 나치즘의 산물이라며 폐간 조치하고,[18] 공산당 이외 정당들의 활동을 제한하며 일당제 체제 기반을 마련했다.[12] 미하이 1세를 강제 퇴위시키고 공화국을 선포했다.[26]
그로자는 국방, 사법, 내무 등 주요 부처에 공산당원을 임명했다. 명목상 국민자유당과 국민농민당 출신 장관도 있었지만, 이들은 공산당이 직접 선발한 인물들이었다.[11]
아나 파우커와 게오르기에-데지는 그로자 정부가 연립 정부 형태를 유지하여 공산당이 대중의 신뢰를 얻도록 했다. 당시 공산당의 지지 기반이 약했기 때문에, 이들은 점진적으로 공산주의 체제를 강요하려 했다.[12] 그로자는 다양한 정치 조직원을 내각에 임명하고, 정부의 단기 목표를 광범위하게 공식화하여 연립 정부라는 환상을 유지했다. 1945년 3월 7일, 그는 정부가 인구 안전과 질서 보장, 토지 개혁, 관료주의 정리, 전범 및 파시스트 정권 관리 기소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13]
1946년 11월 19일 총선에서 공산당 주도 민주당 블록(BPD)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도록 개표 결과가 조작되었다. 역사가 페트레 추를레아는 비밀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BPD가 최대 47% 득표율을 얻었으며, 선거가 정직했다면 야당이 연립 정부를 구성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4]
그로자 정부는 1946년 선거가 집권을 확인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과 영국은 얄타 회담 합의에 따라 인구를 대표하는 임시 정부만이 지원받아야 한다고 항의했다. 그 결과, 그로자 정부는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소외되었고, 두 나라는 미하이 1세의 군주제를 지원했다.[15]
총리 취임 후, 그로자는 1945년 3월 10일 소련이 북트란실바니아를 루마니아에 반환하는 데 동의하도록 했다. 그로자는 회복된 영토 내 각 민족 집단의 권리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했고, 스탈린은 이전 정부가 사보타주와 테러를 허용했기 때문에 영토 반환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영토 회복은 그로자 정권의 주요 성과로 칭송받았다.[16]
그로자는 여성 참정권을 부여했지만, 반체제적인 매체를 억압했다. 총리 취임 첫 달에 ''로마니아 누아'' 신문을 폐간시켰고,[18] 9개 이상의 지방 신문과 정기 간행물을 폐간했다.[18] 허용되는 정당 수를 제한하며 탄압을 계속했다. 1947년 6월 터머더우 사건 이후 국민농민당 주요 인물들을 체포하고, 이울리우 마니우에게 종신형을 선고했다.[12] 1947년 8월까지 국민농민당과 국민자유당이 해산되었고, 1948년에는 루마니아 노동자당과 헝가리 인민연합이 정부 연정에 통합되어 정치적 반대가 최소화되었다.[8]
1947년 2월 10일 루마니아는 연합국과 평화 조약에 서명하여 정전 협정이 종료되었다. 이는 영국과 미국이 야당을 위해 개입할 수단을 상실하고, 루마니아가 소련 통제하에 들어갔음을 의미한다.
의회 선거 후 그로자 정부의 주요 목표는 모든 권력을 장악하고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1947년 초부터 공산당은 정치적 반대자들을 상대로 체포를 단행했다. 1947년 7월 14일, 터머더우 사건으로 주요 농민-국민 지도자들이 함정에 빠졌다.[12]
1947년 7월 30일, 국민 농민당 해산이 결정되었다. 같은 날 대의원회는 찬성 294표, 반대 1표로 해산을 승인했다. 11월 1일, 국민자유당은 활동 중단을 결정했다. 11월 5일, 게오르게 터터레스쿠에 대한 불신임안이 채택되었다. 다음 날, PNL-터터레스쿠 대표들은 정부에서 사퇴했다. PNȚ 지도자들의 재판은 10월 29일부터 11월 4일까지 진행되었다. 이울리우 마니우와 이온 미할라케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12]
1947년 12월 30일, 그로자는 미하이 1세에게 미리 작성된 퇴위 문서에 서명할 것을 요구했다. 미하이가 거부하자 그로자는 유혈 사태와 수천 명 체포를 위협했다.[26] 결국 미하이는 서명했고, 몇 시간 후 의회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선포했다.[26]
1948년 2월 24일, 부의원회는 해산되었다. 3월 28일, 대의원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대의원회는 1948년 4월 13일 새 헌법을 공포했다.
1948년부터 공산당은 스탈린주의 모델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1948년 6월 11일, 그로자 정부는 산업 국유화 법을 통과시켜 사유 재산을 파괴하고 산업, 금융, 운송을 국유화했다. 경제 중앙 집중화에 기반한 계획 경제를 위해 국가 계획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51년부터 5개년 계획이 시작되었다.
소련 모델에 따라 집단 농장과 국가 농장이 설립되었고, 농민들은 0.15ha 이하의 토지만 소유할 수 있었다. 국제적으로 루마니아는 코메콘(1949)과 바르샤바 조약(1955)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2. 6. 총리 이후의 생애 (1952-1958)
1952년 그로자는 총리직을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에게 넘겨주고 대의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58년 위궤양 수술 후유증으로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2]
그는 헨체아 묘지에 매장되었고, 나중에 카롤 공원 영묘로 이장되었다가, 마지막으로 그의 고향인 버치아의 묘지에 안치되었다.
3. 유산
비호르 주 슈테이 광산 마을은 그를 기념하여 "드. 페트루 그로자"로 개칭되었으며, 1989년 12월 루마니아 혁명 때까지 이 이름이 유지되었다.[27] 1958년 그가 사망한 후, 부쿠레슈티의 트란실바니아 대로가 "드. 페트루 그로자 대로"로 개칭되었다.[28] 현재 이 대로의 이름은 게오르게 마리네스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클루지나포카, 갈라치, 메지디아에는 그로자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1962년 데바에 붉은색 카라라 대리석 받침대 위에 높이 4.5m의 청동 그로자 동상이 세워졌다. 조각가 콘스탄틴 바라시(Constantin Baraschi)가 디자인한 이 기념물은 1990년에 철거되어 1999년에 트라야누스 황제 동상으로 대체되었다. 2007년 그로자 동상은 버치아로 옮겨졌다.[29] 1971년에는 로물루스 라데아(Romulus Ladea)가 조각한 또 다른 동상이 부쿠레슈티 코트로체니 지역에 세워졌다. 이 동상은 1990년에 철거되어 1993년에 포병 영웅 기념비로 대체되었다.[30] 2010년 현재 이 동상은 자유 언론의 집(카사 스컨테이) 앞에 있던 블라디미르 레닌 동상 옆, 모고쇼아이아 궁전 근처의 빈터에 있다.[31]
참조
[1]
뉴스
Romania's ex-King Michael I defends his wartime record
https://www.bbc.co.u[...]
2020-03-06
[2]
뉴스
Petru Groza of Rumania Dies; Chief of State of Red Regime, 72
The New York Times
1958-01-08
[3]
문서
Cioroianu, 6.1.1
[4]
서적
Structuri politice în Europa centrală și de sud-est (1918-2001): România
Editura Fundației Culturale Române
[5]
문서
Cioroianu, 6.1.2
[6]
서적
The Great Powers and Rumania, 1944–1946
Columbia University Press
[7]
문서
Cioroianu, 6.1.3
[8]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Routledge
[9]
웹사이트
6 martie 1945: Guvern general Avramescu sau dr. Petru Groza?
https://www.historia[...]
2021-03-06
[10]
문서
[11]
웹사이트
Petru Groza's Premiership
http://lcweb2.loc.go[...]
Romania: Country Studies
[12]
서적
The New Rumania: From People's Democracy to Socialist Republic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13]
뉴스
Groza Pledges Order
The New York Times
1945-03-08
[14]
간행물
Alegerile parlamentare din noiembrie '46: guvernul procomunist joacă și câștigă. Ilegalități flagrante, rezultat viciat
[15]
뉴스
Interim Government
The Washington Post
1945-03-22
[16]
뉴스
Transylvanian Area Restored to Romanians
The Chicago Daily Tribune
1945-03-11
[17]
뉴스
Sweeping Reform Begins in Rumania
The New York Times
1945-03-12
[18]
뉴스
2 Moves by Groza Spurring Reforms
The New York Times
1945-03-25
[19]
뉴스
Chamber Ratifies Rumanian Treaty
The New York Times
1947-08-24
[20]
웹사이트
The Rescue of the Bulgarian Jews
http://www.b-info.co[...]
2008-01-21
[21]
뉴스
Republica s-a instaurat cu pistolul
http://www.geocities[...]
2009-10-27
[22]
웹사이트
Timeline
http://www.cs.kent.e[...]
2008-01-21
[23]
웹사이트
Princess Margareta, designated dynastic successor
http://www.antena3.r[...]
2007-12-30
[24]
뉴스
A king and his coup
https://www.telegrap[...]
2007-10-16
[25]
뉴스
Romania’s King Without a Throne Outlives Foes and Setback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1-27
[26]
웹사이트
Compression
http://www.time.com/[...]
2007-03-13
[27]
서적
Transitional Justice in Post-Communist Romania: The Politics of Mem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간행물
Toponymy and the Communist city: Street names in Bucharest, 1948–1965
[29]
웹사이트
Statuia Dr. Petru Groza (demontată în 1990)
https://orasuldeva.r[...]
2021-08-02
[30]
웹사이트
Statuia Dr. Petru Groza din cartierul Cotroceni
https://www.cotrocen[...]
2021-08-02
[31]
웹사이트
El Pais: Lenin și Petru Groza năpădiți de bălării și furnici pe maidanul de la Mogoșoaia
https://ziare.com/so[...]
202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