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트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트하우스는 건축물 옥상에 위치한 고급 주택을 의미하며, 넓은 공간, 탁 트인 전망, 고급 편의 시설 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어원은 프랑스어 "apentis"에서 유래되었으며, 국립국어원은 순화된 단어로 "하늘채"를 권장한다. 192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여, 셋백(setback)을 활용한 넓은 테라스 공간을 제공하며 인기를 얻었다. 펜트하우스는 고급 주택, 개인 출입구, 엘리베이터, 스카이라인 조망, 컨시어지 서비스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문화적으로는 럭셔리한 라이프스타일을 상징한다. 한국에서는 고급 펜트하우스와 열악한 주거 환경의 옥탑방이 대비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택 - 식당
식당은 음식을 먹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주방과 통합되거나 다용도로 활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주택 - 초가
초가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주거 형태로, 볏짚 지붕과 토담 등을 사용하며 자연 친화적인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쇠퇴하여 보존 및 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부동산 - 전세권
전세권은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지불하고 월세 없이 주택에 거주하는 한국의 임대 방식으로, 전세금은 부동산 가격의 일부이며 계약 기간은 주로 2년이고, 저금리 시대와 전세 사기 문제로 인해 임차인 보호를 위한 법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이며, 전세권의 법적 효력은 민법에 규정되어 있다. - 부동산 - 공인중개사
대한민국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공인중개사는 객주와 거간에서 유래한 중개업이 제도화되어 탄생했으며, 관련 협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펜트하우스 |
---|
2. 어원
본래 건축에서 "''penthouse''"란 말은 빌딩의 지붕 위에 (Rooftop) 지은 또 다른 구조물을 가리킨다. 국립국어원은 펜트하우스를 순화시킨 단어로서 "하늘채"를 사용함을 권장하고 있다.[12] 펜트하우스(penthouse)라는 이름은 "부속 건물" 또는 "부속물"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단어 아팡티/apentis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 현대적인 철자는 16세기의 민간 어원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경사"를 뜻하는 중세 프랑스어 단어 (팡트/pente프랑스어)와 영어 명사 "house"(당시 의미는 "경사진 지붕이나 차양이 있는 부속 건물")를 결합한 것이다.[1]
유럽의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은 지붕과 같은 셋백을 활용하여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 펜트하우스는 1920년대 미국 도시에서 고급 주택을 위해 지붕 공간을 활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최초로 알려진 개발 사례는 1923년 뉴욕 시의 센트럴 파크를 내려다보는 플라자 호텔 꼭대기에 위치했다. 이 성공으로 인해 그 다음 해에 미국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서 유사한 고급 펜트하우스 아파트가 빠르게 개발되었다.[2]
3. 역사
펜트하우스의 인기는 전통적인 캔틸레버 발코니보다 훨씬 더 넓은 개인 테라스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셋백이 허용되었기 때문이다. 야외 공간을 갖는 것에 대한 선호도 때문에, 건물들은 최상층에 아파트와 테라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셋백을 갖도록 설계되기 시작했다.
현대식 펜트하우스는 테라스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최상층 공간은 여러 아파트로 나뉘거나, 단일 아파트가 전체 층을 차지할 수도 있다. 펜트하우스는 종종 전용 출입구를 갖추고 있어 지붕, 테라스 및 인접한 셋백에 대한 접근이 독점적으로 통제된다.
3. 1. 초기 역사
1920년대 미국은 경제 성장, 특히 뉴욕을 중심으로 한 건설 붐을 겪었다. 이 시기는 "광란의 20년대"라고 불리며, 도시 지역의 주택 수요 증가와 미국인들의 부의 증가는 고층 빌딩 최상층에 호화로운 펜트하우스 아파트를 건설하는 계기가 되었다.[6]
뉴욕 시 초기 펜트하우스 아파트 중 하나는 파크 가 1040에 위치한 콘데 나스트 퍼블리케이션스의 창업자 콘데 나스트의 2층 펜트하우스 아파트이다. 1923년 계획 당시 각 층은 3개의 유닛과 옥상 메이드용 방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나, 1924년 최상층부가 나스트의 2층 펜트하우스 아파트로 변경되었다. 옥상 살롱과 최상층은 계단으로 연결되었고, 코너 유닛은 가족용 구획이 되었다. 엘시 드 울프에 의해 프랑스풍으로 장식된 이 펜트하우스는 1925년에 완성되어 호화로운 파티 장소로 사용되었다.[6]
"pent house"라는 단어는 1913년 발행된 잡지 "빌딩 매니지먼트"(''BUILDING MANAGEMENT'') 26페이지에 이미 등장하고 있다.
3. 2. 발전 과정
유럽의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은 지붕과 같은 셋백을 활용하여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 펜트하우스는 1920년대 미국 도시에서 고급 주택을 위해 지붕 공간을 활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최초로 알려진 개발 사례는 1923년 뉴욕 시의 센트럴 파크를 내려다보는 플라자 호텔 꼭대기에 위치했다. 이 성공으로 인해 그 다음 해에 미국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서 유사한 고급 펜트하우스 아파트가 빠르게 개발되었다.[2]
펜트하우스의 인기는 전통적인 캔틸레버 발코니보다 훨씬 더 넓은 개인 테라스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셋백이 허용되었기 때문이다. 야외 공간을 갖는 것에 대한 선호도 때문에, 건물들은 최상층에 아파트와 테라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셋백을 갖도록 설계되기 시작했다.
현대식 펜트하우스는 테라스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최상층 공간은 여러 아파트로 나뉘거나, 단일 아파트가 전체 층을 차지할 수도 있다. 펜트하우스는 종종 전용 출입구를 갖추고 있어 지붕, 테라스 및 인접한 셋백에 대한 접근이 독점적으로 통제된다.
펜트하우스 아파트의 아이디어는 "광란의 20년대"라고 불리는 1920년대에 생겨났다. 당시 경제 성장의 한가운데에 있던 미국에서는 경제 중심지 뉴욕 시에 건설 붐이 일어났다. 도시 지역의 주택 수요 증가와 미국인들의 부의 증대가 빌딩의 최상층이나 고층에 호화로운 구획을 마련하는 기운으로 이어졌다.
뉴욕 시에서 초기 만들어진 펜트하우스 아파트 중 하나는 파크 가 1040의 집합 주택에 마련된, 출판사 콘데 나스트 퍼블리케이션스(Condé Nast Publications)의 창업자 콘데 나스트(Condé Nast)의 2층 펜트하우스 아파트이다. 1923년에 계획된 단계에서는 이 집합 주택은 각 층이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옥상에 메이드용 방이 설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듬해 1924년에 최상층부가 나스트의 2층 펜트하우스 아파트로 변경되었다. 옥상의 살롱과 최상층이 계단으로 연결되었고, 최상층의 코너 유닛은 가족용 구획이 되었다. 펜트하우스 전체는 엘시 드 울프(Elsie de Wolfe)에 의해 프랑스풍으로 장식되었다. 이 펜트하우스는 1925년에 완성되어 호화로운 초대객과 접대로 알려진 많은 파티에 사용되었다[6]。
한편 "pent house"라는 단어는 1913년에 발행된 잡지 "빌딩 매니지먼트"(''BUILDING MANAGEMENT'')의 26페이지에 이미 등장하고 있다.
4. 건축학적 정의
본래 건축에서 "''penthouse''"란 말은 빌딩의 지붕 위에 (Rooftop) 지은 또 다른 구조물을 가리킨다. 국립국어원은 펜트하우스를 순화시킨 단어로서 "하늘채"를 사용함을 권장하고 있다.[12]
건축학적으로 펜트하우스라는 용어는 빌딩 옥상에 설치된, 외벽보다 후퇴한(옥상 데크 전체를 점유하지 않는) 구조물을 가리킨다(이러한 후퇴를 셋백이라고 부른다). 고층 빌딩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 등을 수용하는 기계층(mechanical floor, 기계실)을 기계 펜트하우스(mechanical penthouse)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럽의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은 옥상 공간이나 외벽에서 후퇴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거주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예전부터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미국에서 이러한 공간의 활용이 시작된 것은 1920년대 초이다. 1923년 뉴욕시의 플라자 호텔에 센트럴 파크를 내려다보는 옥상 구획이 개발될 것이 발표되었을 때, 이 발표는 뉴스가 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미국에서는 호화로운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의 개발이 잇따랐다[7]。
프라이빗 테라스의 구현 방식으로 볼 때, 셋백은 돌출 발코니에 비해 현저히 크고, 더 보호된 야외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야외 공간을 여러 층에 제공하기 위해, 집합 주택의 여러 상층을 셋백으로 하여 계단 모양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테라스는 모든 펜트하우스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펜트하우스의 바람직한 특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러한 테라스를 여러 구획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1개 구획에서 층 전체를 전용하는 경우도 있다. 셋백으로 확보된 테라스 대신에(또는 그러한 테라스에 더하여), 옥상을 프라이빗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도 많다.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로 제공되는 구획은 건축학적 정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외벽에서 셋백하지 않은 단순한 최상층 거주 구역이거나, 펜트하우스라고 불리는 구획 위에 엘리베이터 기계실 등 본래의 펜트하우스를 갖춘 경우도 있다.
5. 디자인
펜트하우스는 고급 가전 제품, 최고급 자재, 럭셔리한 바닥재 시스템 등과 같은 고급 편의 시설로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3] 건물의 대다수 아파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는 개인 출입구나 엘리베이터, 또는 더 높은/아치형 천장이 있을 수 있다. 주로 단층 아파트로 구성된 건물에서 펜트하우스 아파트는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테라스, 벽난로, 더 넓은 바닥 면적, 대형 창문, 여러 개의 마스터 스위트, 서재/사무 공간, 온수 욕조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 가전제품, 화강암 조리대, 아침 식사 바/아일랜드 등이 갖춰진 고급 주방을 갖추기도 한다.
펜트하우스 거주자는 종종 도시 스카이라인의 멋진 전망을 즐길 수 있으며, 펜트하우스 아파트 접근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엘리베이터로 제공된다.[3] 거주자는 드라이 클리닝에서 저녁 식사까지 모든 것의 픽업 및 배달, 건물 직원이 예약하는 레스토랑 및 이벤트 예약, 기타 컨시어지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건물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펜트하우스 아파트는 건물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주변 스카이라인을 90° 이상 조망할 수 있다.
최고급 가전제품, 가구, 바닥재 등 사치스러운 설비 또한 펜트하우스 아파트의 특징이다. 일반적인 집합 주택 구획에는 없는 특징으로는 개인 출입구, 개인 엘리베이터, 높은 천장, 돔형 천장 등이 있다. 같은 건물 내 다른 구획이 한 층만 사용하는 가운데, 펜트하우스 아파트만 여러 층을 사용하는 예도 많다.
예를 들어 뉴욕시 센트럴파크 웨스트 15에 있는 로버트 A. M. 스턴(Robert A. M. Stern)의 20층짜리 집합 주택 최상층 펜트하우스에는 다음과 같은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8]。
- 옥상 테라스 위에 설치되어 있어 미드타운의 스카이라인과 센트럴 파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 높이 4미터의 천장, 가능한 한 높고 넓게 만들어진 창문.
- 구획마다 재료를 바꾼 장식. 현관 갤러리는 대리석 바닥, 마호가니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양피지 패널. 서재는 브라질리언 로즈우드. 다이닝룸은 베네치안 스타코. 마스터 침실은 홈 장식 가공된 래커. 주방은 재거 그린 래커, 대나무, 텍스처 유리. 벽난로 내부는 프랑스에서 수입한 길쭉한 19세기 벽돌.
- 지붕에 설치된 풍력계를 통해 풍력을 측정, 풍력이 너무 강하면 테라스 출구의 천막을 자동으로 격납. 온도·습도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자 메일로 관리자에게 자동 통보.
6. 입지
일반적으로 펜트하우스 아파트는 보안 및 편리한 입지 등 일반적인 집합주택의 장점과 더불어 넓이 및 디자인과 같은 단독주택의 장점도 갖추고 있다. 호텔, 레스토랑, 쇼핑몰, 학교 등에도 접근하기 쉬운 번화한 도시 중심지에 있으면서도, 도시 생활의 소음과 인파로부터 멀리 떨어진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펜트하우스가 많다. 전용 공간도 일반적인 집합주택의 구획보다 훨씬 넓게 확보되어 있다.
7. 문화적 영향
미국의 성인 잡지 《펜트하우스》는 호화스러운 문화를 빗대어 지어진 이름이기도 하다.[4] 펜트하우스는 해당 시장에서 최고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가장 비싸고, 탁 트인 전망, 넓은 생활 공간, 최고급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럭셔리한 라이프스타일과 자주 연관된다.[4] 출판업자 밥 구치오네(Bob Guccione)는 자신의 잡지 이름을 ''펜트하우스''라고 지었으며, "최고의 삶(Life on top)"이라는 트레이드마크 문구를 사용했다.[5]
8. 한국의 펜트하우스
구조상, 펜트하우스는 아래층에 비해 일사로 인한 열과 추위의 영향을 받기 쉬워 주거성이 불리하다. 이러한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고부가가치를 부여한 것이 앞서 언급한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라고 할 수 있지만, 단열이나 수영장 등의 설비를 갖추면 건물 상부의 무게가 늘어나 설계 건설 비용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펜트하우스 주거는 고급과 다락방에 유사한 저부가가치 물건으로 양극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주요 국가 중에서도 엄격한 내진 기준이 있어, 고급과 저급 어느 쪽의 펜트하우스도 마이너한 존재에 머물지만, 한국에서는 사회 격차의 심화로, 부동산 가격이 높은 서울을 필두로, 화려한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와 그 반대편에 반지하에 이은 저질 저가 주택의 대명사가 된 옥탑방,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했던 것처럼 조잡하게 증축된 상층 또는 펜트하우스, 엘리베이터 갱신으로 비어있는 기계실 공간을 주거로 전용하는 등 열악한 물건과 명확히 구분(예로 드라마 『펜트하우스』와 『옥탑방 고양이』 등) 되고 있다.
1974년 일본 텔레비전 계열의 텔레비전 드라마 『상처투성이 천사』에서 요요기 회관 옥상의 펜트하우스를 사용하여 촬영된, 주인공인 코구레 오사무(배우: 하기와라 켄이치)의 엔젤 빌딩 옥상의 낡은 펜트하우스 거주 모습은 인상적인 분위기는 있지만 부유층과는 거리가 먼 모습으로, 하급 펜트하우스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9]
다른 작품으로는, 미식 만화 붐을 일으킨 『맛의 달인』의 주인공인 야마오카 시로가 살았던 펜트하우스라 칭하는 잡거 빌딩 옥상의 조립식 건물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건물에는 독신 남성을 중심으로 하는 애호가적인 수요도 있어 "야마오카 씨의 건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8. 1. 하급 펜트하우스
구조상 펜트하우스는 아래층에 비해 일사로 인한 열과 추위의 영향을 받기 쉬워 주거성이 불리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부가가치를 부여한 것이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이지만, 단열이나 수영장 등의 설비를 갖추면 건물 상부의 무게가 늘어나 설계 및 건설 비용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펜트하우스 주거는 고급과 다락방과 유사한 저부가가치 물건으로 양극화되는 양상을 보인다.일본에서는 주요 국가 중에서도 엄격한 내진 기준이 있어 고급과 저급 어느 쪽의 펜트하우스도 마이너한 존재에 머물지만, 한국에서는 사회 격차의 심화로 부동산 가격이 높은 서울을 필두로 화려한 펜트하우스 아파트먼트와 그 반대편에 반지하에 이은 저질 저가 주택의 대명사가 된 옥탑방이 있다. 또한,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했던 것처럼 조잡하게 증축된 상층 또는 펜트하우스, 엘리베이터 갱신으로 비어있는 기계실 공간을 주거로 전용하는 등 열악한 물건과 명확히 구분되고 있다. (예: 드라마 『펜트하우스』와 『옥탑방 고양이』 등)[9]
1974년 일본 텔레비전 계열의 텔레비전 드라마 『상처투성이 천사』에서 요요기 회관 옥상의 펜트하우스를 사용하여 촬영되었다. 주인공인 코구레 오사무(배우: 하기와라 켄이치)의 엔젤 빌딩 옥상의 낡은 펜트하우스 거주 모습은 인상적인 분위기는 있지만 부유층과는 거리가 먼 모습으로, 하급 펜트하우스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9]
다른 작품으로는, 미식 만화 붐을 일으킨 『맛의 달인』의 주인공인 야마오카 시로가 살았던 펜트하우스라 칭하는 잡거 빌딩 옥상의 조립식 건물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건물에는 독신 남성을 중심으로 하는 애호가적인 수요도 있어 "야마오카 씨의 건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조
[1]
etymonline
penthouse
[2]
웹사이트
Manhattan's $300,000 Rooftop Apartments
http://blog.modernme[...]
2020-05-03
[3]
웹사이트
The Masterpiece - Apartments for lease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WSJ Real Estate
http://www.realestat[...]
[5]
특허
Life on Top
http://tess2.uspto.g[...]
[6]
서적
Luxury apartment houses of Manhattan: An Illustrated History
Dover Pubns
1992
[7]
웹사이트
Manhattan's $300,000 Rooftop Apartments
http://blog.modernme[...]
1929-11
[8]
논문
Rooms with a view: inside and out, a New York penthouse attracts attention
2010
[9]
웹사이트
傷だらけの天使を探して~代々木会館巡礼 30年目のロケ地再訪
https://web.archive.[...]
[10]
백과사전
Penthouse
http://www.encyber.c[...]
[11]
뉴스
Through the Roof: Luxury-Penthouse Condos
http://www.realestat[...]
[12]
웹사이트
펜트하우스
http://korean.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