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세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세티는 북유럽 신화와 프리지아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이름이다. 어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주재하는 자', '소용돌이치는 시내', '포세이돈'과 어원이 같다는 설 등이 있다. 북유럽 신화에서 포르세티는 발드르와 난나의 아들로, 정의와 중재를 담당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프리지아 신화에서는 포사이트랜드라는 신성한 섬과 법의 기원 설화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현대 문화에서는 독일의 밴드와 게임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포르세티(Forseti)의 어원에 대해서는 '주재하는 자' 설, '소용돌이치는 시내' 설, 포세이돈 동일 어원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따르면, 포르세티는 발드르와 난나의 아들이다.[7] 그의 법정은 최고이며, 그 앞에서 화해하지 않고 물러나는 자는 없다. 이는 중재 능력을 시사한다.[8] 그러나 데 브리스가 지적했듯이, 포르세티를 정의와 연관시키는 유일한 근거는 그의 이름인 듯하며, 북유럽 신화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9]
2. 어원 및 이름
2. 1. '주재하는 자' 설
그림은 "''praeses, princeps''"인 ''포르세티''(Forseti)가 이름의 더 오래된 형태라고 여겼으며, 처음에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동등한 형태인 ''*forasizo'' (현대 독일어 ''Vorsitzender'' "주재하는 사람", 고대 영어 ''fore-sittan'' '주재하다' 비교)를 가정했다.[1] 그러나 나중에는 "소용돌이치는 시내" 또는 "폭포"를 의미하는 ''fors''에서 유래한 것으로, 샘물과 해양 민족의 신성시와 관련이 있다고 선호했다.[2] ''Fosite''가 더 오래된 이름이고 ''Forseti''가 민간 어원일 가능성이 있다.[3] 독일 언어학자 한스 쿤에 따르면, 게르만어 형태인 Fosite는 언어학적으로 그리스어 ''포세이돈''과 동일하며, 따라서 원래 이름은 원시 게르만어 음운 변화 이전에, 아마도 그리스 선원이 호박을 구매하면서 도입되었을 수 있다.[4][5] 그러나 어원학자 볼프강 라우어는 게르만 신들의 이름이 거의 예외 없이 게르만어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며, 이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라우어에 따르면 포르세티(Forseti)라는 이름은 여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6]
2. 2. '소용돌이치는 시내' 설
그림은 ''praeses, princeps''인 ''포르세티''(Forseti)가 이름의 더 오래된 형태라고 여겼으며, 처음에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동등한 형태인 ''*forasizo'' (현대 독일어 ''Vorsitzender'' "주재하는 사람", 고대 영어 ''fore-sittan'' '주재하다' 비교)를 가정했다.[1] 그러나 나중에는 "소용돌이치는 시내" 또는 "폭포"를 의미하는 ''fors''에서 유래한 것으로, 샘물과 해양 민족의 신성시와 관련이 있다고 선호했다.[2] ''Fosite''가 더 오래된 이름이고 ''Forseti''가 민간 어원일 가능성이 있다.[3]
2. 3. 포세이돈 동일 어원설
''포르세티''(Forseti)는 "''praeses, princeps''"이며, 이름의 더 오래된 형태라고 여겨졌다. 처음에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동등한 형태인 ''*forasizo'' (현대 독일어 ''Vorsitzender'' "주재하는 사람", 고대 영어 ''fore-sittan'' '주재하다' 비교)를 가정했다.[1] 그러나 나중에는 "소용돌이치는 시내" 또는 "폭포"를 의미하는 ''fors''에서 유래한 것으로, 샘물과 해양 민족의 신성시와 관련이 있다고 선호했다.[2] ''Fosite''가 더 오래된 이름이고 ''Forseti''가 민간 어원일 가능성이 있다.[3] 독일 언어학자 한스 쿤은 게르만어 형태인 Fosite가 언어학적으로 그리스어 ''포세이돈''과 동일하며, 따라서 원래 이름은 원시 게르만어 음운 변화 이전에, 아마도 그리스 선원이 호박을 구매하면서 도입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4][5] 그러나 어원학자 볼프강 라우어는 게르만 신들의 이름이 거의 예외 없이 게르만어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며, 이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라우어에 따르면 포르세티(Forseti)라는 이름은 여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6]
3. 북유럽 신화
이름의 첫 번째 요소인 ''포르세틀룬'' (고대 노르드어 ''Forsetalundr'')은 동부 노르웨이 온쇠 ('오딘의 섬') 교구에 있는 농장인데, 포르세티의 소유격으로 보이며 그곳에서 숭배받았다는 증거를 제시한다.[10][11]
글리트니르("빛나는 자"라는 뜻)는 아시르와 인간 사이의 정의를 관장하는 포르세티의 궁전이자 재판소이다.[12] 이곳은 북유럽 신화와 게르만 신화에서 포르세티의 아버지인 발드르가 거주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글리트니르는 북유럽 전통에서 분쟁 해결 수단으로 폭력보다는 토론의 중요성을 상징하며, 금으로 된 기둥과 은으로 덮인 지붕을 가지고 있어 멀리서도 보일 정도로 빛을 발했다.[13]
3. 1. 글리트니르 궁전
'''글리트니르'''(빛나는 자라는 뜻)는 아시르와 인간 사이의 정의를 관장하는 포르세티의 궁전이자 재판소이다.[12] 이곳은 북유럽 신화와 게르만 신화에서 포르세티의 아버지인 발드르가 거주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글리트니르는 북유럽 전통에서 분쟁 해결 수단으로 폭력보다는 토론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이 궁전은 금으로 된 기둥과 은으로 덮인 지붕을 가지고 있어 멀리서도 보일 정도로 빛을 발했다.[13] 발드르와 그의 아들 포르세티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세계인 글레이시스벨리르에 살았던 왕 구드문드르와 그의 아들 호푼드르('재판관')에 대한 전설과 혼합되었을 수 있다.
3. 2. 중재자로서의 역할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따르면, 포르세티는 발드르와 난나의 아들이다.[7] 그의 법정은 최고이며, 그 앞에서 화해하지 않고 물러나는 자는 없다. 이는 중재 능력을 시사하며, "인간의 화해자로 불리지 않는다"는 동료 신 튀르와 대조적이다.[8] 그러나 데 브리스가 지적했듯이, 포르세티를 정의와 연관시키는 유일한 근거는 그의 이름인 듯하다. 북유럽 신화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9] '모든 소송을 잠재우고' 또는 '모든 갈등을 잠재운다'는 것은 스노리가 인용한 구절에 늦게 추가되었을 수 있으며, 그는 이 구절에서 정보를 얻었다.[10]
이름의 첫 번째 요소인 ''포르세틀룬'' (고대 노르드어 ''Forsetalundr'')은 동부 노르웨이 온쇠 ('오딘의 섬') 교구에 있는 농장인데, 포르세티의 소유격으로 보이며 그곳에서 숭배받았다는 증거를 제시한다.[10][11]
4. 프리지아 신화와 전설
알쿠인의 성 윌리브로르드의 생애에 따르면, 성인은 프리지아와 덴마크 사이의 포사이트에게 신성한 섬을 방문했는데, 그곳은 숭배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포사이트랜드라고 불렸다. 그곳에는 매우 신성하여 침묵 속에서 물을 길어 올려야 하는 신성한 샘이 있었다. 윌리브로르드는 그곳에서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고 소를 죽임으로써 샘을 더럽혔다.[10] 알트프리트는 성 리우드거에 관해 같은 이야기를 전한다.[14] 브레멘의 아담은 이 이야기를 다시 전하면서, 이 섬이 ''Heiligland'', 즉, 헬골란트라고 덧붙였다.[15]
중세 후기 프리지아 법의 기원에 대한 전설에 따르면, 샤를마뉴는 모든 신하들의 법전을 기록하기 위해 프리지아 민족의 대표자 열두 명, 즉 ''아세가''(법을 말하는 자)를 소환하여 백성들의 법을 낭송하도록 요구했다. 그들이 며칠 동안 그렇게 하지 못하자, 그는 그들에게 죽음, 노예, 아니면 키 없는 배에 태워 떠내려가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들은 마지막 것을 선택하고 도움을 청했고, 그러자 어깨에 금도끼를 든 열세 번째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도끼로 배를 육지로 몰고 가서 해안에 던졌는데, 도끼가 떨어진 곳에 샘이 나타났다. 그는 그들에게 법을 가르친 다음 사라졌다.[16][17] 이 낯선 사람과 샘은 전통적으로 포사이트와 포사이트랜드의 신성한 샘과 동일시되어 왔으나, 이 가설은 보편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18]
4. 1. 포사이트랜드와 신성한 샘
알쿠인의 성 윌리브로르드의 생애에 따르면, 성인은 프리지아와 덴마크 사이의 포사이트에게 신성한 섬을 방문했는데, 그곳은 숭배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포사이트랜드라고 불렸다. 그곳에는 침묵 속에서 물을 길어 올려야 하는 신성한 샘이 있었는데, 매우 신성했다. 윌리브로르드는 그곳에서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고 소를 죽임으로써 샘을 더럽혔다.[10] 알트프리트는 성 리우드거에 관해 같은 이야기를 전한다.[14] 브레멘의 아담은 이 이야기를 다시 전하면서, 이 섬이 ''Heiligland'', 즉, 헬골란트라고 덧붙였다.[15]또한 중세 후기에 프리지아 법의 기원에 대한 전설이 있다. 샤를마뉴는 모든 신하들의 법전을 기록하기 위해 프리지아 민족의 대표자 열두 명, 즉 ''아세가''(법을 말하는 자)를 소환하여 백성들의 법을 낭송하도록 요구했다. 그들이 며칠 동안 그렇게 하지 못하자, 그는 그들에게 죽음, 노예, 아니면 키 없는 배에 태워 떠내려가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들은 마지막 것을 선택하고 도움을 청했고, 그러자 어깨에 금도끼를 든 열세 번째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도끼로 배를 육지로 몰고 가서 해안에 던졌는데, 도끼가 떨어진 곳에 샘이 나타났다. 그는 그들에게 법을 가르친 다음 사라졌다.[16][17] 이 낯선 사람과 샘은 전통적으로 포사이트와 포사이트랜드의 신성한 샘과 동일시되어 왔다.
이 가설은 보편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18]
4. 2. 프리지아 법의 기원 설화
알쿠인의 성 윌리브로르드의 생애에 따르면, 성인은 프리지아와 덴마크 사이의 포사이트에게 신성한 섬을 방문했는데, 그곳은 숭배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포사이트랜드라고 불렸다. 그곳에는 매우 신성하여 침묵 속에서 물을 길어 올려야 하는 신성한 샘이 있었다. 윌리브로르드는 그곳에서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고 소를 죽임으로써 샘을 더럽혔다.[10] 알트프리트는 성 리우드거에 관해 같은 이야기를 전한다.[14] 브레멘의 아담은 이 이야기를 다시 전하면서, 이 섬이 ''Heiligland'', 즉, 헬골란트라고 덧붙였다.[15]또한 중세 후기에 프리지아 법의 기원에 대한 전설이 있다. 샤를마뉴는 모든 신하들의 법전을 기록하기 위해 프리지아 민족의 대표자 열두 명, 즉 ''아세가''('법을 말하는 자')를 소환하여 백성들의 법을 낭송하도록 요구했다. 그들이 며칠 동안 그렇게 하지 못하자, 그는 그들에게 죽음, 노예, 아니면 키 없는 배에 태워 떠내려가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들은 마지막 것을 선택하고 도움을 청했고, 그러자 어깨에 금도끼를 든 열세 번째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도끼로 배를 육지로 몰고 가서 해안에 던졌는데, 도끼가 떨어진 곳에 샘이 나타났다. 그는 그들에게 법을 가르친 다음 사라졌다.[16][17] 이 낯선 사람과 샘은 전통적으로 포사이트와 포사이트랜드의 신성한 샘과 동일시되어 왔다.
이 가설은 보편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18]
5. 현대 문화
독일의 네오포크 밴드 포르세티는 이 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0]
앙상블 스튜디오에서 2002년에 발매한 게임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에서 포르세티는 노르웨이 플레이어가 숭배할 수 있는 9명의 하위 신 중 하나이다.[21][22][23]
참조
[1]
서적
p. 231
https://books.google[...]
[2]
서적
p. 232, note 2
https://books.google[...]
[3]
서적
Altgermanische Religionsgeschichte
de Gruyter
1957
[4]
논문
Kleine Schriften IV: Aufsätze aus den Jahren 1968-1976
Berlin/New York
1978
[5]
간행물
Scandinavia in the Light of Ancient Tradition
Walter de Gruyter
2002
[6]
서적
Germanische Heiligtümer und Religion im Spiegel der Ortsnamen: Schleswig-Holstein, nördliches Niedersachsen und Dänemark
2001
[7]
웹사이트
Gylfaginning ch. 32
http://www.voluspa.o[...]
[8]
웹사이트
Gylfaginning ch. 25
http://www.voluspa.o[...]
[9]
문서
[10]
서적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elican
1964
[11]
서적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The Religion of Ancient Scandinavia
Weidenfeld
1964
[12]
웹사이트
Hvað merkir orðið Glitnir og hvaðan er það upprunnið?
http://www.visindave[...]
2020-03-27
[13]
웹사이트
Grimm's TM - Chap. 11
http://www.northvegr[...]
Northvegr
2018-05-24
[14]
문서
[15]
서적
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
[16]
문서
[17]
서적
Frisian
https://books.google[...]
Mouton
1981
[18]
논문
'Die friesische Sage von der Findung des Rechts'
1967
[19]
서적
Teuton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Bell
1882
[20]
서적
Looking for Europe: Neofolk und Hintergründe
Index Verlag
2007
[21]
웹사이트
The Minor Gods: Norse - Age of Mythology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12-03-27
[22]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23]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Reference Manual
https://archive.org/[...]
[2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서적
『北欧の神話伝説(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