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드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용감한' 또는 '영웅'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 그는 오딘의 아들이자 아세르 신족 중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으로 묘사되며, 죽음과 부활에 얽힌 비극적인 운명을 지닌다. 발드르는 <산문 에다>와 <시 에다>에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그의 죽음은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묘사된다. 발드르는 로키의 계략으로 겨우살이 화살에 맞아 죽고, 헬의 지배를 받지만,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호드와 함께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딘의 자식 - 비다르 (노르드 신화)
비다르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라그나로크에서 펜리르를 처치하여 오딘의 죽음에 복수할 운명을 지닌다. - 오딘의 자식 - 시기 (노르드 신화)
노르드 신화의 시기는 볼숭 가문의 가계도를 나타내며, 볼숭을 시조로 하여 뢰르, 지그문드, 시구르드로 이어지는 남성 혈통과 가문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친 시그니와 구드룬 등의 여성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복잡한 갈등과 비극을 겪다 멸망하는 가문이다. - 발드르 - 포르세티
포르세티는 북유럽 신화에서 정의와 화해를 주관하는 아시르 신족의 신으로, 글리트니르 궁전에서 재판을 주관하며 프리슬란트 지역의 신 포시테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 발드르 - 소크
톡크는 북유럽 신화에서 발드르의 귀환을 막은 거인 여성으로, 발드르를 위한 눈물을 거부하여 그의 부활을 좌절시켰으며, 로키로 추정되기도 한다. - 살해된 신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살해된 신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발드르 | |
---|---|
기본 정보 | |
![]() | |
고대 영어 | Bældæġ |
고대 고지 독일어 | Balder |
원 게르만어 | '*Balðraz' |
라틴어 | Balderus |
역할 | 빛의 신 |
거주지 | 브레이자블리크 |
부모 | 오딘, 프리그 |
배우자 | 난나 |
자녀 | 포르세티 |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신격 '발드르'('용감한, 저항하는'; '영주, 왕자'이기도 함)와 다양한 게르만어 동족어(예: 고대 영어 'Bældæg' 및 고대 고지 독일어 'Balder'(또는 'Palter'))는 아마도 원시 게르만어 '*Balðraz'('영웅, 왕자'; cf. 고대 노르드어 'mann-baldr' '위대한 남자', 고대 영어 'bealdor' '왕자, 영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용감한'을 의미하는 '*balþaz'의 형태론적 파생에서 유래했다(cf. 고대 노르드어 'ballr' '단단한, 완고한', 고트어 'balþa*' '대담한, 솔직한', 고대 영어 'beald' '대담한, 용감한, 자신감 있는', 고대 작센어 'bald' '용감한, 대담한', 고대 고지 독일어 'bald' '용감한, 용기 있는').[1]
메르제부르크 부적 중 하나에는 발드르(소유격 단수형 ''Balderes'')의 이름과 그의 별칭으로 추정되는 폴(Phol)이 언급된다. 이 부적은 폴과 오딘이 숲에서 말을 타다가 발드르의 망아지 발이 삐자, 프리그를 비롯한 여러 신들이 주문을 외워 치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3] 그러나 이것이 발드르를 지칭하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프레이르 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4]
이 어원은 원래 야코프 그림 (1835)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그는 또한 '흰색'에서 '빛나는' 다음 '강한'으로의 의미 변화를 바탕으로 리투아니아어 'báltas' ('흰색', 빛의 신의 이름이기도 함)과의 비교에 대해 추측했다.[1] 블라디미르 오렐에 따르면, 이는 언어학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1] 루돌프 시메크는 고대 영어 'Bældæg'를 원시 게르만어 뿌리 *'bēl'-(cf. 고대 영어 'bæl', 고대 노르드어 'bál' '불')에 '날'을 의미하는 'dæg'에 연결하여 '빛나는 날'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대 노르드어는 또한 'baldur î brynju'(Sæm. 272b) 및 'herbaldr'(Sæm. 218b)와 같이 몇 가지 경우에 명예어로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영웅의 별칭이다. 대륙 작센과 앵글로색슨 전통에서, 워든의 아들은 'Bealdor'가 아닌 'Baldag'(작센어) 및 ''Bældæg, Beldeg''(앵글로색슨어)로 불리며, 이는 "날"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아마도 신으로 의인화된 데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림이 지적하듯이, 이는 발트어 'baltas'의 의미에서 파생된 "빛나는 자, 흰 자, 신"이라는 의미와 일치하며, 슬라브어 ''벨로보그''와 독일어 ''베르타''를 더했다.[2]
3. 신화 속 발드르
<시 에다>에서는 <산문 에다>와 달리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자세한 묘사보다는 언급이 주를 이룬다. 발드르는 ''볼룬가 사가'', ''로키의 말다툼'' 등에 언급되며, <에다> 시 ''발드르의 꿈''의 주제이기도 하다.
볼바는 발드르의 운명을 "피 흘리는 신"으로 묘사하고,[5] 그의 죽음과 발리가 호드르를 죽이기 위해 태어나는 것, 프리그의 슬픔을 언급한다.[5] 볼바는 또한 <볼룬가 사가> 62절에서 먼 미래에 호드르와 발드르가 돌아와 새로운 평화의 시대를 열 것이라고 예언한다.[5]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는 프리그에게 발드르가 "다시는 집으로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6] <에다>의 시 ''발드르의 꿈''에서 오딘은 헬로 가 볼바를 깨워 발드르의 꿈에 대해 묻고, 볼바는 호드르가 발드르를 죽이고 발리가 복수할 것이라고 답한다.[5]
''길파기닝''에서 발드르는 오딘의 둘째 아들로, 아름답고 빛나는 외모를 지녔으며 가장 현명하고 자비로운 신으로 묘사된다. 그는 브레이다블리크에 사는데, 그곳은 불결한 것이 있을 수 없는 곳이다.[8]
12세기 말 덴마크 역사가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발드르(Balderus) 이야기를 역사적 사건으로 묘사한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발데루스와 호테루스는 노르웨이 왕 게바르의 딸 난나를 두고 경쟁했다. 반신 발데루스는 일반 강철로는 상처 입힐 수 없었으나, 숲의 사티로스 미미르에게서 얻은 마법의 검 미스틸테인에는 치명상을 입었다. 결국 발데루스는 호테루스에게 패배하고 3일간 고통받다 죽어 왕의 예우로 고분에 묻혔다.[13]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에서 발드르는 오딘의 아들인 반신 전사 발데르스(혹은 발데르)[31][32]로, 용맹하게 묘사된다. 어떤 무기도 그의 육체를 뚫을 수 없지만, 숲의 신 사투르누스인 미밍의 검에는 상처를 입을 수 있었다. 발데르스는 3마리 뱀의 독이 섞인 특별한 음식을 먹고 힘을 얻었다. 난나를 두고 호테루스와 다투던 중, 오딘과 토르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해전에서 패배한다. 이후 몇 차례 대결에서 우위를 점하나, 난나가 호테루스와 결혼하자 환영에 시달리며 병을 얻어 마차로 이동해야 했다. 호테루스에게 스웨덴과 덴마크를 빼앗기자, 덴마크를 되찾기 위해 전투를 벌인다. 그러던 중 동굴에 사는 세 소녀에게서 승리의 띠를 받은 호테루스에게 옆구리를 찔리고, 3일 후 죽어 덴마크인들에 의해 큰 둔덕에 묻힌다.[33]
3. 1. 주요 특징
발드르는 신들 중 가장 아름답고 모든 이에게 사랑받는 존재였다. 어느 날부터 악몽을 꾸게 되자, 이를 걱정한 어머니 프리그는 세상의 모든 생물과 무생물에게 그를 해치지 않도록 약속을 받았다.[22] 그 때문에 어떠한 무기로도 발드르를 해칠 수 없게 되었지만, 겨우살이만은 너무 어려서 계약에서 제외되었다.
신들은 다치지 않게 된 발드르를 축하하며 그에게 다양한 것을 던지는 놀이를 즐겼다. 하지만 로키는 겨우살이에 대한 사실을 알고, 발드르의 형제이자 눈이 먼 신 헤드를 꾀어 겨우살이 (미스틸테인)를 던지게 했다. 이로 인해 발드르는 목숨을 잃었다.[22]
프리그는 아들의 죽음에 슬퍼했고, 발드르의 동생 헤르모드가 죽음의 나라 헬헤임으로 가 여왕 헬에게 발드르를 살려달라고 부탁했다. 헬은 "정말로, 전 세계의 모든 자들이 그를 위해 울고 있다면 살려주겠다"라고 약속했다.[22]
프리그의 부탁으로 전 세계의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발드르를 위해 울었다. 그러나 단 한 명, 거인의 여인 세크 (사실 로키였다)가 울지 않았기 때문에 발드르는 돌아오지 못했다. 이 일로 로키는 신들에게 붙잡혀 벌을 받게 되었다.[22]
발드르의 죽음으로 세상은 빛을 잃고, 결국 라그나로크를 맞이한다. 『무녀의 예언』[29]에 따르면, 오딘을 비롯한 많은 신들이 죽고 세상은 멸망하지만, 새로운 대지가 떠오르면 발드르는 헤드와 함께 부활한다.
『시어법』에서는 발드르를 나타내는 케닝으로 "오딘과 프리그의 아들", "흐링호르니와 드라우프니르의 소유자", "호드의 적", "헬의 친구" 등을 소개하고 있다.[20]
3. 2. 발드르의 죽음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산문 에다>와 <시 에다>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북유럽 신화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산문 에다>와 달리, <시 에다>에서는 발드르의 죽음이 자세히 묘사되기보다는 주로 언급된다. 발드르는 ''볼룬가 사가'', ''로키의 말다툼''에 언급되며, <에다>의 시 ''발드르의 꿈''의 주제이기도 하다.
볼바가 묘사하는 환상 중에는 발드르의 죽음도 있다. 볼바는 32절에서 발드르의 운명을 "피 흘리는 신"으로 묘사한다.[5] 이후 두 연에서 발드르의 죽음, 발리가 호드르를 죽이기 위해 태어나는 것, 프리그의 슬픔을 언급한다.[5]
<볼룬가 사가> 62절에서 볼바는 먼 미래에 호드르와 발드르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언하는데, 벨로스에 따르면 이는 새로운 평화의 시대를 상징한다.[5]
<로키의 말다툼>에서 발드르는 두 연에 걸쳐 언급된다. 신들과 로키 사이의 플라이팅을 묘사하는 이 시에서, 프리그는 로키에게 발드르와 같은 아들이 있다면 로키는 죽을 것이라고 말한다.[6] 로키는 이에 대해 발드르가 "다시는 집으로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고 대답한다.[6]
<에다>의 시 ''발드르의 꿈''은 신들이 발드르의 악몽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를 여는 것으로 시작한다.[5] 오딘은 헬로 가서 볼바의 무덤에서 마법으로 그녀를 깨운다. 볼바는 오딘에게 반지가 덮인 벤치와 금으로 덮인 바닥이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묻고, 발드르를 위해 술을 끓였다고 답하며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고 한다.[5]
오딘은 볼바에게 누가 발드르를 죽일 것인지 묻고, 볼바는 호드르가 죽일 것이라고 답하며 침묵한다.[5] 오딘은 다시 누가 복수할 것인지 묻고, 볼바는 발리가 하룻밤 만에 복수할 것이라고 답한다.[5] 오딘이 슬퍼할 여자들에 대해 묻자, 볼바는 오딘의 정체를 알아채고 그를 세 거인의 어머니라고 말한다. 볼바는 로키가 묶인 곳에서 탈출할 때까지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고 하며 오딘에게 돌아가라고 한다.[5]
''길파기닝''에서 발드르는 오딘의 둘째 아들이며, 외모가 아름답고 빛나며, 가장 현명하고 자비로운 신으로 묘사된다. 그는 브레이다블리크에 살며, 그곳에는 불결한 것이 있을 수 없다.[8] 발드르의 죽음은 라그나로크에서 신들의 파멸로 이어지는 사건들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발드르와 프리그는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같은 꿈을 꾼다. 프리그는 모든 물건들에게 발드르를 해치지 않겠다는 맹세를 받지만, 겨우살이는 예외였다.[9] 로키는 겨우살이로 마법의 창(또는 화살)을 만들고, 신들이 발드르에게 물건을 던지는 놀이를 할 때 호드르에게 창을 주어 발드르를 죽이게 한다.[11] 오딘과 린드르는 발리를 낳고, 발리는 하루 만에 성인이 되어 호드르를 죽인다.[11]
발드르는 배 흐링호르니에서 장례를 치르고, 드라우프니르를 받는다. 휘로킨이 배를 밀어 불꽃이 뿜어져 나오고 세상이 흔들렸다. 오딘은 발드르의 귀에 무언가를 속삭였는데, 이 말은 ''바프스루드니르말''과 ''헤르바라르 사가''에서 수수께끼로 사용된다.[12]
발드르의 아내 난나는 슬픔으로 죽어 장례 불에 놓인다. 토르는 묠니르로 화장터를 축복하고, 난쟁이 리트르를 발로 차 화장터에 넣는다.
헤르모드를 통해 프리그는 헬에게 모든 것이 울면 발드르를 풀어주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모두가 울었지만, 토크 (변장한 로키)는 거부하여 발드르는 라그나로크 이후까지 저승에 머물며, 형제 호드르와 화해하고 토르의 아들들과 함께 새로운 세상을 다스린다.
『고 에다』의 시 『발드르의 꿈』에서 오딘은 발드르의 악몽을 걱정하여 니플헬로 내려가 죽은 무녀를 깨워 운명을 묻는다. 무녀는 발드르가 호드에게 살해당하고, 린드와 오딘 사이에서 태어난 발리가 복수할 것이라고 말한다.[25] 발리에 의한 호드에 대한 복수는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26], 『휜들라의 노래』 제29절[27]에서 설명된다.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22]에서는 발드르가 악몽을 꾸자 프리그가 세상 모든 것에 그를 해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겨우살이만 어려서 계약을 맺지 못했고, 로키는 이를 이용해 눈먼 신 헤드를 꾀어 겨우살이 (미스틸테인)를 던져 발드르를 죽이게 한다.
헤르모드는 헬헤임으로 가 헬에게 발드르를 살려달라고 부탁하고, 헬은 전 세계가 울면 살려주겠다고 약속한다. 모두가 울었지만, 거인 여인 세크 (로키)만 울지 않아 발드르는 돌아오지 못한다. 이 일로 로키는 벌을 받는다.
발드르의 죽음으로 세상은 라그나로크를 맞이한다. 『길피의 속임수』[28] 및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29]에 따르면, 오딘 등 많은 신들이 죽고 세상은 멸망하지만, 새로운 대지가 떠오르면 발드르는 헤드와 함께 부활한다.
3. 3. 라그나로크와 발드르의 귀환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22]에서는 『고 에다』와는 또 다른 이야기가 나온다.
발드르는 신들 중 가장 아름다워 모두에게 사랑받았다. 어느 날부터 악몽을 꾸게 되자 이를 걱정한 어머니 프리그는 세상의 모든 생물, 무생물에게 그를 해치지 않도록 약속을 받았다. 그래서 어떤 무기로도 그를 해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겨우살이만은 너무 어려서 계약을 맺을 수 없었다.
다치지 않게 된 발드르를 축하하며 신들은 그에게 여러 가지를 던지는 놀이를 했다. 하지만 겨우살이에 대해 알게 된 로키는 발드르의 형제이자 눈이 먼 신 헤드를 꾀어 겨우살이 (미스틸테인)를 던지게 했다. 이로 인해 발드르는 목숨을 잃었다.
이를 슬퍼한 프리그에 응하여, 발드르의 동생 헤르모드가 죽음의 나라 헬헤임으로 가서 여왕 헬에게 그를 살려달라고 부탁했다. 헬은 "정말로, 전 세계의 모든 자들이 그를 위해 울고 있다면 살려주겠다"라고 약속했다.
프리그의 부탁으로, 전 세계의 모든 생물, 무생물이 그를 위해 울었다. 그런데 단 한 명, 거인의 여인 세크가 울지 않아 발드르는 돌아오지 못했다. 이 세크의 정체는 사실 로키였고, 이 일로 그는 신들에게 붙잡혀 벌을 받게 되었다.
발드르의 죽음으로 빛을 잃은 세상은 결국 라그나로크를 맞이한다. 『길피의 속임수』[28] 및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29]에 따르면, 오딘을 비롯한 많은 신들이 죽고 세상은 멸망한다. 이윽고 새로운 대지가 떠오르면, 발드르는 헤드와 함께 부활한다.
4. 발드르와 관련된 유물
3~4세기 경 위트레흐트에서 발견된 라틴어 헌정 비문에는 여격 형태인 ''Baldruo''가 포함되어 있다는 이론이 제기되었으며,[14] 이는 라틴어 주격 단수형 *''Baldruus''를 가리킨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북유럽/게르만 신과 동일시하지만,[15] 이 판독과 해석에는 의문이 제기되었다.[16][17]
4. 1. 메르제부르크 주문
메르제부르크 부적 두 개 중 하나는 발드르(소유격 단수형 ''Balderes'')의 이름을 언급하며, 발드르의 별칭으로 여겨지는 폴(Phol)이라는 인물도 언급한다(스칸디나비아어 ''Falr'', ''Fjalarr''; (삭소의 저서) ''Balderus'' : ''Fjallerus''와 같이).[3] 이 부적은 폴과 오딘이 숲으로 말을 타고 가다가 발드르의 망아지 발이 삐는 상황을 묘사한다. 신트군트(Sinthgunt, 태양의 누이), 프리그, 오딘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발에 주문을 외운다.[3] 발드르와의 동일시는 결정적이지 않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프레이르 신을 의미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4]4. 2. 위트레흐트 비문
3~4세기 경의 위트레흐트에서 발견된 라틴어 헌정 비문에는 여격 형태인 ''Baldruo''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론화되었으며,[14] 이는 라틴어 주격 단수형 *''Baldruus''를 가리키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북유럽/게르만 신과 동일시한다.[15] 하지만 이 판독과 해석 모두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16][17]참조
[1]
서적
Teutonic Mythology
Courier Corporation
2004
[2]
문서
[3]
서적
An Anthology of German Literature
D.C. Heath & Co.
[4]
서적
Die Merseburger Zaubersprüche.
Wiesbaden
2003
[5]
서적
The Poetic Edda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1923
[6]
서적
The Poetic Edda: Stories of the Norse Gods and Heroes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15
[7]
웹사이트
Guðni Jónsson's edition of the Prose Edda
https://heimskringla[...]
2023-08-25
[8]
웹사이트
Gylfaginning, XXII
http://www.northvegr[...]
2007-09-23
[9]
서적
The Children of Odin
Aladdin Paperbacks
[10]
간행물
Once More on the Mistletoe
Wildcat Canyon Advanced Seminars Occasional Monographs
2012
[11]
웹사이트
Gylfaginning, XLIX
http://www.northvegr[...]
2007-09-23
[12]
문서
[13]
서적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elican Books
1964
[14]
서적
Die germanischen Götternamen der antiken Inschriften
Max Niemeyer Verlag
[15]
서적
Heathen Gods in Old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30
[16]
서적
Van Ægir tot Ymir: personages en thema's uit de Germaanse en Noordse mythologi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Balder'', in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8]
서적
Anglo-Saxons Chronicle (Winchester Chronicle)
[1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0]
간행물
スノリ『エッダ』「詩語法」訳注
1983年
[2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3]
서적
北欧の神話
[24]
서적
北欧の神話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0]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31]
서적
北欧神話
東京書籍
1984年
[32]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33]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34]
웹사이트
"(4059) Balder = 1956 XQ = 1977 TC4 = 1977 TM7 = 1977 VG2 = 1983 XW1 = 1987 SB5"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