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리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리마는 처녀자리에 있는 쌍성계인 감마 처녀자리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고대 로마 신화의 여신에서 유래되었으며,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두 별은 거의 동일한 밝기를 가지며, 공전 주기는 약 169년이다. 2011년 이후에는 분해능이 좋은 망원경이나 특수 기술이 필요하며, 황도 근처에 위치하여 행성이나 달에 의한 엄폐가 드물게 발생한다. X선 방출량을 기반으로 추정된 이 시스템의 연령은 약 11억 4천만 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m 별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Am 별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처녀자리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처녀자리 - ULAS1335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포리마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처녀자리 감마별 |
| 다른 이름 | 폴리마 안테보르타 아리크 처녀자리 29 |
| 별자리 | 처녀자리 |
| 겉보기 등급 | 2.74 (3.650/3.560) |
| 위치 (J2000.0) | |
| 적경 | 12시 41분 39.64344초 |
| 적위 | -01도 26분 57.7421초 |
| 특징 | |
| 분광형 | F0 V/F0 V |
| B-V 색 지수 | 0.36 |
| U-B 색 지수 | -0.05 |
| 변광성 여부 | 미확인 |
| 움직임 | |
| 시선 속도 | -19.5 km/s |
| 고유 운동 (적경) | –614.76 밀리초/년 |
| 고유 운동 (적위) | 61.34 밀리초/년 |
| 연주시차 | 85.58 밀리초각 |
| 연주시차 오차 | 0.60 밀리초각 |
| 절대 등급 | 2.41 |
| 겉보기 이중성 | |
| 동반성 이름 | 처녀자리 감마 B |
| 공전 주기 | 168.93 ± 0.30 년 |
| 긴반지름 | 3.662 ± 0.013 초각 |
| 궤도 이심률 | 0.8825 ± 0.0010 |
| 궤도 경사 | 148.82 ± 0.43 도 |
| 승교점 경도 | 213.79 ± 0.72 도 |
| 근성점 통과 시기 | 2005.438 ± 0.067 |
| 세부 정보 (A별) | |
| 질량 | 1.4 ± 0.05 태양 질량 |
| 반지름 | 1.45 태양 반지름 |
| 광도 | 4.27 태양 광도 |
| 표면 온도 | 6,922 ± 112 K |
| 금속 함량 | -0.08 ± 0.06 |
| 표면 중력 | 4.27 (log g) |
| 자전 속도 | 29.7 km/s |
| 나이 | 14.6억 +0.2/-0.18 년 |
| 세부 정보 (B별) | |
| 질량 | 1.4 ± 0.05 태양 질량 |
| 반지름 | 1.45 태양 반지름 |
| 광도 | 4.63 ± 0.15/0.14 태양 광도 |
| 표면 온도 | 6,871 ± 62 K |
| 표면 중력 | 4.49 (log g) |
| 금속 함량 | -0.07 |
| 자전 속도 | 23 km/s |
| 식별 부호 | |
| SIMBAD | gam+Vir |
| SIMBAD (A별) | HD+110379 |
| SIMBAD (B별) | HD+110380 |
| 기타 목록 | Porrima 폴리마 Antevorta 안테보르타 Arich 아리크 처녀자리 29 BD-00°2601 GCTP 2924.00 Gl 482 AB HIP 61941 LHS 2604 SAO 138917 WDS 12417-0127 |
| 식별 부호 (A별) | HD 110379 HR 4825 LFT 937 LTT 4843 |
| 식별 부호 (B별) | HD 110380 HR 4826 LFT 937 LTT 4844 |
2. 명칭
'''γ 처녀자리'''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포리마는 처녀자리 감마별을 부르는 명칭으로, 거의 동일한 밝기를 가진 두 개의 F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두 별의 겉보기 등급은 각각 3.65와 3.56 (일본어 위키백과 기준 3.44와 3.484)이며, 분광형은 F0V이다. 공전 주기는 168.93년이다.
두 별 사이의 거리와 위치각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아래 표는 1937년 궤도 계산, 2006년 궤도 계산, 2003~2005년 관측 자료를 비교하여 보여준다.
[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전통적인 이름인 '''포리마'''(Porrima)는 고대 로마 신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카메나 또는 예언의 여신 중 하나였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하여, 이 별에 대한 ''포리마''를 공식 승인하였다.
알 아크사시 알 무아케트의 ''달력''에 있는 별 목록에서 이 별은 ''라우이예트 알 아우아''(Laouiyet al Aoua)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앙굴루스 라트라토리스''(Angulus Latratoris)로 번역되어 '짖는 자의 각도'를 의미한다. 이 별은 베타 처녀자리(Zavijava), 에타 처녀자리(Zaniah), 델타 처녀자리(Minelauva) 및 엡실론 처녀자리(Vindemiatrix)와 함께 ''알 아와''(Al ʽAwwāʼ)를 구성한다.
중국에서는 太微左垣중국어 (Tài Wēi Zuǒ Yuánzh-Latn, ''최고 궁궐의 왼쪽 벽'')의 일부로, 太微左垣二중국어 (Tài Wēi Zuǒ Yuán èrzh-Latn, ) 또는 東上相중국어 (Dōngshǎngxiāngzh-Latn, ''동쪽의 첫 번째 재상'')으로 불린다.
3. 특징
1990년대 초반까지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게 쉬운 관측 대상이었지만, 2011년 이후로는 분해능이 좋은 망원경이나 특수 기술(스펙클 간섭법, 적응 광학 또는 광학 간섭계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 근점은 1836년이었으며, 2020년에 다시 관측 가능할 정도로 거리가 멀어졌다. 이 쌍성계의 겉보기 등급의 합은 2.9 (일본어 위키백과 기준 2.74)이다.
황도 근처에 위치하여 행성이나 달에 의한 엄폐가 드물게 발생한다. (예: 2011년 6월 토성 근접)
X선 천문학 방출량(별의 자기장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을 기반으로 이 시스템의 추정 연령은 11억 4천만 년이다.
4. 거리 및 위치각의 변화
1937년 Strand 궤도로부터 예측됨 2006년 Docobo 궤도로부터 예측됨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의 관측 년도 거리 위치각 거리 위치각 날짜 거리 위치각 1995 2.5″ 280 2.25″ 277.6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2000 1.8″ 267 1.50″ 260.9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2002 1.5″ 259 1.13″ 247.5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2003 align="center"| align="center"| 0.92″ 236.6 2003년 12월 0.6″ 219° 2004 1.2″ 246 0.68″ 218.4 2004년 12월 0.4″ 177° 2005 align="center"| align="center"| 0.44″ 179.8 2005년 4월 0.27–0.29″ 161±0.6° 2006 0.8″ 221 0.41″ 103.5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2008 0.4″ 126 0.93″ 41.0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2010 0.9″ 44 1.39″ 23.6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참조
[2]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3]
웹사이트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http://www.lcsd.gov.[...]
2016-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