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사이스 에드워즈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사이스 에드워즈 표기법(FEN)은 체스 게임의 특정 국면을 텍스트로 표현하는 표준 방식이다. FEN은 기물 배치, 활성 색상, 캐슬링 가능 여부, 앙파상 타겟, 반수 이동 시계, 전체 이동 수의 6개 필드로 구성된다. 체스960과 같은 체스 변형에서 게임을 기록하는 데 중요하며, 킹의 같은 쪽에 두 개의 룩이 있는 변형 체스를 위해 Shredder-FEN, X-FEN과 같은 확장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 표기법 - 포터블 게임 노테이션
    포터블 게임 노테이션(PGN)은 체스 게임의 메타데이터와 수순을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하는 표준으로, 게임 기록, 공유 및 분석에 널리 사용되며, 맹인 게임 표기법(BGN)과 수치 주석 기호(NAG) 같은 기능들을 지원한다.
  • 체스 표기법 - 대수기보법
    대수기보법은 체스 경기에서 기물의 이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표준 표기법으로, 기물을 문자로, 칸을 좌표로 나타내어 움직임을 기록하며, 1981년 국제 체스 연맹에 의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포사이스 에드워즈 표기법
개요
명칭포사이스-에드워즈 표기법
영문 명칭Forsyth–Edwards Notation (FEN)
약자FEN
종류체스 기보법
개발자데이비드 포사이스, 스티븐 에드워즈
목적특정 체스 포지션을 표현
특징문자열 기반 간결한 표현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널리 사용
역사
개발 시기19세기 후반
개발 배경체스 엔진 개발의 필요성
포지션 정보의 효율적인 저장 및 교환
구성 요소
기물 배치각 행의 기물 배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활착 차례백 (w) 또는 흑 (b)
캐슬링 가능 여부백: 킹사이드 (K), 퀸사이드 (Q)
흑: 킹사이드 (k), 퀸사이드 (q)
불가능: -
앙파상 가능 지점해당되는 경우 좌표, 없는 경우 -
반수 카운트마지막으로 기물이 움직이거나 폰이 움직인 후의 수
전체 수게임 시작 후의 전체 수
표기 규칙
기물폰: P/p
나이트: N/n
비숍: B/b
룩: R/r
퀸: Q/q
킹: K/k
빈 칸숫자로 표현 (연속된 빈 칸의 수)
행 구분/ (슬래시)
예시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KQkq - 0 1 (초기 포지션)
활용
체스 엔진포지션 설정 및 분석
체스 데이터베이스포지션 저장 및 검색
체스 교육특정 포지션 학습 및 훈련
관련 표준
PGN (Portable Game Notation)체스 게임 전체를 기록하는 표준 포맷 (FEN 포함 가능)
기타
장점간결성, 호환성, 다양한 활용 가능성
단점사람이 읽기 어려울 수 있음

2. 정의

FEN은 체스 게임의 특정 국면을 나타내는 표준 표기법으로, 스코틀랜드의 신문 기자 데이비드 포사이스가 고안하고 스티븐 J. 에드워즈가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1] FEN은 6개의 필드로 구성되며, 각 필드는 공백으로 구분된다.[1]

각 필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순서필드설명
1기물 배치8랭크부터 1랭크까지, 각 랭크는 "/"로 구분, a파일부터 h파일 순서로 기물 표기 (예: 8랭크가 모두 비어있으면 "8")
2활성 색상백 차례면 "w", 흑 차례면 "b"
3캐슬링 가능 여부백 킹 사이드(K), 백 퀸 사이드(Q), 흑 킹 사이드(k), 흑 퀸 사이드(q), 모두 불가능("-")
4앙파상 타겟폰이 두 칸 전진하여 지나간 칸 (예: e3), 없으면 "-"
5반수 이동 시계마지막 폰 이동 또는 기물 획득 이후 반수 횟수, 50수 규칙에 사용
6전체 이동 수1부터 시작, 흑 이동 후 1 증가


2. 1. 기물 배치

체스판의 기물 배치는 8랭크(8번째 가로줄)부터 1랭크(첫 번째 가로줄) 순서로 나타내며, 각 랭크는 "/"로 구분한다.[1] 각 랭크 내에서는 a파일(왼쪽 첫 번째 세로줄)부터 h파일(오른쪽 첫 번째 세로줄) 순서로 기물을 표기한다.[1] 각 기물은 영어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표기하는데, (P), 나이트(N), 비숍(B), (R), (Q), (K)으로 나타낸다.[1] 백의 기물은 대문자, 흑의 기물은 소문자로 표기하여 구분한다.[1] 빈칸은 연속된 빈칸의 개수를 숫자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3개의 빈칸이 연속되면 "3"으로 표기한다.[1]

2. 2. 활성 색상

"w"는 흰색 차례임을 의미하고, "b"는 검은색 차례임을 의미한다.[1]

2. 3. 캐슬링 가능 여부

양측 모두 캐슬링을 할 수 없는 경우, 이 필드는 "-" 문자를 사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필드는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한다. 흰색이 킹 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 있으면 "K", 흰색이 퀸 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 있으면 "Q", 검은색이 킹 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 있으면 "k", 검은색이 퀸 사이드 캐슬링을 할 수 있으면 "q"이다. 일시적으로 캐슬링을 방해하는 상황은 이 표기법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1]

다음은 가능한 모든 경우를 나열한 것이다.

경우표기
모두 불가능-
백 킹 사이드K
백 퀸 사이드Q
백 킹, 퀸 사이드KQ
흑 킹 사이드k
흑 퀸 사이드q
흑 킹, 퀸 사이드kq
백 킹 사이드, 흑 킹 사이드Kk
백 킹 사이드, 흑 퀸 사이드Kq
백 킹 사이드, 흑 킹, 퀸 사이드Kkq
백 퀸 사이드, 흑 킹 사이드Qk
백 퀸 사이드, 흑 퀸 사이드Qq
백 퀸 사이드, 흑 킹, 퀸 사이드Qkq
백 킹, 퀸 사이드, 흑 킹 사이드KQk
백 킹, 퀸 사이드, 흑 퀸 사이드KQq
백 킹, 퀸 사이드, 흑 킹, 퀸 사이드KQkq


2. 4. 앙파상 타겟

이 두 칸을 움직이면서 막 지나간 사각형을 대수 기보법으로 표시한다. 앙파상 타겟 사각형이 없으면 "-" 문자를 사용한다. 이는 앙파상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폰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기록된다.[1]

2. 5. 반수 이동 시계

마지막 폰 이동 또는 기물 획득 이후의 반수(halfmove) 횟수를 나타낸다. 이 값은 50수 규칙을 적용하는 데 사용된다.[1] 예를 들어, 이 값이 0이면 마지막 이동에서 폰이 움직였거나 기물을 잡았다는 의미이고, 값이 25라면 25수 동안 폰의 이동이나 기물 획득이 없었다는 의미이다.

2. 6. 전체 이동 수

전체 이동 횟수는 1부터 시작하며, 흑이 한 수를 둘 때마다 1씩 증가한다.[1]

3. 체스 변형 (Chess Variants)

FEN은 체스960(피셔 랜덤 체스라고도 함)과 같은 체스 변형에서 게임을 기록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체스960은 초기 기물 배치가 표준 체스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FEN의 캐슬링 가능 여부 표기 방식(KQkq)은 킹과 같은 쪽에 두 개의 룩이 있는 변형에는 적합하지 않다. 캐슬링에 룩이 하나만 사용 가능하다면, 초기 위치를 알지 못하면 어떤 룩인지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3. 1. Shredder-FEN

Shredder-FEN은 체스 엔진 Shredder와 Fritz 9 등에서 사용하는 FEN 확장 방식이다. 체스960과 같이 킹의 같은 쪽에 두 개의 룩이 있는 변형에서, 캐슬링 가능성을 나타낼 때 어떤 룩인지 모호해지는 문제가 있다. Shredder-FEN은 캐슬링 가능한 룩이 시작한 열(file)의 문자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4] 예를 들어, 표준 체스 설정에서 Shredder-FEN은 KQkq 대신 AHah를 사용한다.

3. 2. X-FEN

X-FEN은 Shredder-FEN보다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더 많이 제공하지만, 더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4]

4. 예시

다음은 FEN 표기법 사양에서 가져온 예시이다.[1]

초기 배치:

: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KQkq - 0 1

1. e4 다음:

:rnbqkbnr/pppppppp/8/8/4P3/8/PPPP1PPP/RNBQKBNR b KQkq e3 0 1

1. ... c5 다음:

:rnbqkbnr/pp1ppppp/8/2p5/4P3/8/PPPP1PPP/RNBQKBNR w KQkq c6 0 2

2. Nf3 다음:

:rnbqkbnr/pp1ppppp/8/2p5/4P3/5N2/PPPP1PPP/RNBQKB1R b KQkq - 1 2

참조

[1] 웹사이트 Standard: Portable Game Notation Specification and Implementation Guide https://archive.org/[...] 1994-03-12
[2] 웹사이트 About that en passant target square http://www.talkchess[...] 2014-09-16
[3] 웹사이트 Portable Game Notation Specification and Implementation Guide https://github.com/f[...] 2020-06-03
[4] 웹사이트 Shredder-FEN https://www.chesspro[...] 202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