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뎅이붙이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뎅이붙이상과는 뒷가장자리 뒤쪽 융기, 날개의 중앙 루프와 정단부 힌지, 잘린 딱지날개, 8번째 배 마디의 함입 등의 특징을 가진 곤충 상과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포식성이지만, 서식지는 다양하며 똥, 썩은 고기, 균류 등에서 발견된다. 일부 분류에서는 물땡땡이상과에 포함되기도 하며, 현재 풍뎅이붙이과, 둥근풍뎅이붙이과, 풍뎅이붙이붙이과의 3개 과로 분류된다. 가장 오래된 화석은 중국에서 발견되었으며, 한국에도 여러 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풍뎅이붙이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Histeroidea |
명명자 | 길렌할, 1808 |
분류 계급 | 상과 |
분류 | |
하위 분류군 계급 | 과 |
하위 분류군 | 엔마무시과 엔마무시다마시과 엔마무시모두기과 |
고생물학적 정보 | |
가장 오래된 화석 기록 | 압트기 |
2. 특징
풍뎅이붙이상과는 뒷가장자리 뒤에 부속적인 뒤쪽 융기(잠금 장치)가 있으며, 날개의 중앙 루프와 정단부 힌지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1] 딱지날개는 잘려 있으며, 1~2개의 배 마디가 보인다. 배의 8번째 마디는 7번째 마디에 완전히 함입되어 있다. 각 촉각은 융합된 마디의 클럽 앞부분에 8개(드물게 7개)의 마디가 있다. 복부 표면은 매끄럽다.[1]
딱정벌레붙이상과는 일반적으로 포식성이다. 하지만, 둥글납작벌레과는 유충 단계에서만 포식성이며, 성충은 대신 부식(썩은 유기물 섭취)성인 것으로 여겨진다.[2]
일부 저자들은 풍뎅이붙이상과를 넓은 의미(''sensu lato'')의 물땡땡이상과(Hydrophiloidea)에 포함하여 취급하기도 하며, 하나의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 어떤 저자들은 풍뎅이붙이 상과가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여 풍뎅이붙이아목을 물방개상과(Hydrophiloidea ''sensu lato'') 내의 단일 과로 취급하기도 한다.[3]
3. 생태
이 상과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딱정벌레붙이과는 똥, 썩은 고기, 균류, 낙엽 부스러기, 다른 동물(예: 사회성 곤충)과의 공생 관계, 나무 껍질 아래 또는 나무좀벌레의 굴에서 발견될 수 있다.[2]
4. 분류
현재 세 개의 현존하는 과가 인정된다.[6]
둥근풍뎅이붙이과(Sphaeritidae)와 풍뎅이붙이붙이과(Synteliidae)는 각각 단일 속, 즉 각각 ''Sphaerites''와 ''Syntelia''만을 포함한다. 이는 두 과 모두 단형 분류군임을 의미한다.
상과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중국의 초기 백악기 (압트절) 이셴층에서 발견된 ''Cretohister''와 ''Antigracilus''이며, 이들은 다른 두 과보다 풍뎅이붙이과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4][5]
4. 1. 하위 분류
일부 저자들은 풍뎅이붙이상과를 넓은 의미(''sensu lato'')의 물땡땡이상과(Hydrophiloidea)에 포함하여 취급하기도 하며, 하나의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 현재, 3개 과를 인정하고 있다.
전 세계에 1속 3종이 있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만 분포하는 ''Spaherites glabratus'' Fabricius, 1792(엔마무시다마시)가 알려져있다. 전세계적으로 7종이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규슈에 분포하는 ''Syntelia histeroides'' Lewis, 1882(엔마무시모도키(엔마벌레모양벌레))가 알려져있다.
풍뎅이붙이과는 11개의 아과로 분류되며, 전 세계에 3,800종 이상이 있다. 한반도와 중국을 포함, 규슈 이북에 분포하는 ''Merohister jekeli'' Marseul, 1857(엔마무시(풍뎅이붙이))는 몸길이 10mm 정도이며, 몸의 윗면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띤다. 딱지날개에는 7개의 줄이 있지만, 안쪽 2줄은 날개 끝 부분에만 있다. 시체에 모여 파리 유충을 포식한다. 시베리아 동부까지 분포하는 ''Hololepta amurensis'' Reitter, 1879(오오히라타엔마무시(넓적풍뎅이붙이))는 몸길이 11mm 정도이다. 이름 그대로 몸이 납작하고 앞뒤로 약간 긴 직사각형 체형을 하고 있다. 또한, 엔마무시보다 턱이 길게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수피 아래에 숨어 다른 작은 곤충을 포식하지만, 수액에도 나타난다. 일본에서 대만까지 분포하는 ''Niponius impressicollis'' Lewis, 1885(호소엔마무시(가는풍뎅이붙이))는 몸길이 5mm 정도로, 이름 그대로 앞뒤로 가늘고 긴 체형을 하고 있다. 썩은 나무 껍질 아래에서 나무좀류 등의 작은 곤충을 포식한다. ''Margarinotus maruyamai'' M. Ohara, 1999(아리쿠이엔마무시(개미풍뎅이붙이))는 이름 그대로 개미류의 둥지에 나타나 개미의 성충을 포식한다. ''Notodoma fungorum'' Lewis, 1884(키노코아카마루엔마무시(버섯붉은둥근풍뎅이붙이))는 몸길이 3-4mm 정도이다. 이름 그대로 성충의 몸이 갈색이고 둥글다. 딱지날개의 뿌리가 약간 붉은색을 띤다. 구름버섯류에 모인다.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4. 2. 계통
일부 저자들은 풍뎅이붙이상과를 넓은 의미(''sensu lato'')의 물땡땡이상과에 포함하여 취급하기도 하며, 하나의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 어떤 저자들은 풍뎅이붙이상과가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여 풍뎅이붙이아목을 물방개상과(Hydrophiloidea ''sensu lato'') 내의 단일 과로 취급하기도 한다.[3]
현재, 3개 과를 인정하고 있다.[6]
둥근풍뎅이붙이과(Sphaeritidae)와 풍뎅이붙이붙이과(Synteliidae)는 각각 단일 속, 즉 ''Sphaerites''와 ''Syntelia''만을 포함하는 단형 분류군이다.
풍뎅이붙이상과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중국의 초기 백악기 (압트절) 이셴층에서 발견된 ''Cretohister''와 ''Antigracilus''이며, 이들은 다른 두 과보다 풍뎅이붙이과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4][5]
5. 한국의 풍뎅이붙이상과
5. 1. 한국 서식 주요 종
참조
[1]
간행물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staphyliniform beetle families (Coleoptera)
https://www.royalaca[...]
Biologiske Skrifter, Copenhagen
1997
[2]
논문
The phylogeny of the Histeroidea (Coleoptera: Staphyliniformia)
https://onlinelibrar[...]
2002-01-01
[3]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Staphyliniformia (Coleoptera) based on characters of larvae and adults
https://onlinelibrar[...]
2005-10-01
[4]
논문
Cretohisteridae, a new beetle family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arly evolution of the basal group of Histeroidea (Coleoptera): Cretohisteridae and early evolution of Histeroidea
https://onlinelibrar[...]
2018-10-01
[5]
논문
Phylogeny and evolution of Mesozoic and extant lineages of Histeridae (Coleoptera), with discovery of a new subfamily Antigracilinae from the Lower Cretaceous
https://onlinelibrar[...]
2020-10-01
[6]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Staphyliniformia (Coleoptera) based on characters of larvae and adults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