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체스코 세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세베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이다. 그는 1900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수기하학의 이탈리아 학파를 이끌었다. 그는 학문적 업적 외에도 여러 논란의 중심에 섰으며, 파시즘에 대한 태도와 반유대법 시행을 수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38년에는 프란체스코 세베리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59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자서전을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수학자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수학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대수기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대수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 1879년 출생 - 한용운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불교 혁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시집 《님의 침묵》을 통해 저항 문학을 대표했다.
  • 1879년 출생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프란체스코 세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란체스코 세베리
출생일1879년 4월 13일
출생지아레초, 이탈리아
사망일1961년 12월 8일
사망지로마, 이탈리아
국적이탈리아
연구 분야
분야수학
세부 분야대수기하학
다변수 복소해석학
학력
모교토리노 대학교, 1900년 졸업
박사 지도 교수코라도 세그레
학문적 조언자엔리코 도비디오
페데리고 엔리케스
에우제니오 베르티니
박사 학위 제자알도 안드레오티
엔초 마르티넬리
구이도 자파
주목할 만한 제자루이지 판타피에
가에타노 피케라
경력
근무 기관토리노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
파도바 대학교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 (현재 프란체스코 세베리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
수상
수상 내역Accademia Nazionale delle Scienze detta dei XL 금메달 (1906년)
Prix Bordin (1907년, 페데리고 엔리케스와 공동 수상)
Guccia Medal (1908년)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Premio reale" (1913년)
업적
주요 업적네롱-세베리 군

2. 생애

프란체스코 세베리는 이탈리아 아레초에서 태어나 1900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코라도 세그레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대수기하학의 이탈리아 학파를 이끌었다.

세베리는 감정 기복이 심해 학계에서 논란이 많았다. 당시 이탈리아 학파의 대수기하학은 공리적으로 엄밀하지 못했고, 세베리가 증명한 일부 "정리"는 거짓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포병으로 징집되어 복무했다.

1959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자서전 "Dalla scienza alla fede"(1959)를 출판하며, 자신의 정치적 식견 부족을 회개했다.

1961년 12월 8일 로마에서 암으로 사망하였다.[2]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이탈리아 아레초에서 태어났다. 아홉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가족이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과외로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토리노 대학교 공학과에 입학했다. 코라도 세그레의 강의를 통해 순수 수학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1900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코라도 세그레 지도 아래 수론 기하학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졸업 후 엔리코 도비디오 조교로 토리노 대학교에서 일했고, 1902년부터 1905년까지 사영기하학과 기술기하학 강사로 활동했다. 볼로냐 대학교에서 페데리고 엔리케스 조교, 피사 대학교에서 우제니오 베르티니 조교로 일했다.

1904년 대수곡면의 이차불변량 이론 창시 등 수론 기하학 분야 성과를 인정받아 파르마 대학교 사영기하학 및 기술기하학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1년 동안 파도바 대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강의하고 공학부를 이끌었다.[2]

2. 2. 학문적 경력

이탈리아 아레초에서 태어난 세베리는 1900년에 토리노 대학교에서 코라도 세그레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대수기하학의 이탈리아 학파를 이끌었다.[2]

세베리는 토리노 대학교에서 엔리코 도비디오의 조교로 일했으며, 1902년부터 1905년까지 사영기하학과 기술기하학 강사로 활동했다. 이후 볼로냐 대학교에서 페데리고 엔리케스의 조교, 피사 대학교에서 우제니오 베르티니의 조교로 일했다.[2]

1904년, 대수곡면의 이차불변량 이론을 창시하는 등 수론 기하학 분야에서 성과를 인정받아 파르마 대학교의 사영기하학 및 기술기하학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1년 동안 파도바 대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강의하고 공학부를 이끌었다.[2]

1906년, 특정 유형의 곡면 위에 그려지는 대수곡선의 존재에 대한 정리를 증명하여 유리곡면 분류 연구를 시작했다.[2]

1921년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의 대수기하학 교수직을 얻었다.[2] 1923년에는 이 대학교의 총장으로 선출되었지만, 1925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 이후 총장직을 사임했다.[2]

1938년, “프란체스코 세베리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 중 한 명은 오스카 자리스키이다.[2]

세베리는 국립 과학 아카데미 금메달,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보르댕 상 등 많은 상을 받았다. 1910년 린체이 학회, 1918년 토리노 과학 아카데미 등 여러 이탈리아 및 외국 아카데미의 회원이었다.[2]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파시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세베리는 징집되어 포병으로 복무했다.[2]

전쟁이 끝난 후 1921년, 세베리는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의 대수기하학 교수가 되었다.[2] 1923년에는 이 대학교의 총장으로 선출되었으나,[2] 1925년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 이후 총장직을 사임했다.[2] 세베리는 파시즘이나 반유대법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2]

2. 4.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 설립과 말년

1938년, 세베리는 “프란체스코 세베리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를 설립했다.[2] 그의 제자 중 한 명으로는 오스카 자리스키가 있다.

세베리는 1959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자서전 “Dalla scienza alla fede”(1959)를 출판했으며, 자신의 정치적 식견 부족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 “수학은 다양한 것들에 같은 이름을 붙이는 기술이며, 수학자들은 종종 정치에서 실수를 저지르는데, 정치는 반대로 동일한 것들에 다른 이름을 붙이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1961년 12월 8일 로마에서 암으로 사망하였다.[2]

3. 학문적 업적과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프란체스코 세베리' 문서의 '학문적 업적과 논란' 섹션 내용을 작성해 드릴 수 있습니다.)

4. 저서 및 출판물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과학적 업적은 400편이 넘는 논문과 수많은 논고를 포함한다. 그의 모든 저서를 제외한 수학 관련 저술은 6권으로 구성된 "Opere Matematiche"에 수록되어 있다.

제목원제학술지/출판사발행일/권, 쪽수비고
여러 변수의 해석 함수의 기본적인 성질에 관하여Sur quelques propriétés fondamentales des fonctions analytiques de plusieurs variables프랑스어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보(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1931년 3월 2일/192권, 596–599쪽갈리카(Gallica)에서 이용 가능. 여러 복소 변수의 정칙 함수에 대한 모레라 정리의 첫 번째 증명을 담은 논문.
이중조화 함수에 대한 일반적인 디리클레 문제의 해Soluzione del problema generale di Dirichlet per le funzioni biarmoniche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 회보, 물리, 수학 및 자연 과학부, 제6시리즈1931a/13권, 795–804쪽영역의 실해석적인 경계에 대한 다중조화 함수의 디리클레 문제 해법 발표.[1]
하나의 실수 변수와 하나의 복소수 변수를 갖는 해석 함수의 정칙성 영역의 기본적인 성질Una proprietà fondamentale dei campi di olomorfismo di una funzione analitica di una variabile reale e di una variabile complessa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 회보, 물리, 수학 및 자연 과학부, 제6시리즈1932/15권, 487–490쪽여러 복소 변수 함수론의 여러 문제를 다루기 위해 개발한 "실수에서 복소수로의 전이" 방법을 설명.[2]
하르토그스의 정리에 대하여Sopra un teorema di Hartogsit스위스 수학 논문집(Commentarii Mathematici Helvetici)1942–1943/15권, 1호, 350–352쪽하르토그스 확장 정리에 대한 자신의 증명을 제시.
여러 복소 변수의 해석 함수에 관한 강의 – 1956-57년 로마 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에서 행해진 강의Lezioni sulle funzioni analitiche di più variabili complesse – Tenute nel 1956–57 all'Istituto Nazionale di Alta Matematica in RomaitCEDAM – Casa Editrice Dott. Antonio Milani1958/XIV+255쪽국립 고등 수학 연구소(Istituto Nazionale di Alta Matematica)에서 프란체스코 세베리가 진행한 강의 내용을 담은 강의록. 엔조 마르티넬리, 조반니 바티스타 리차, 마리오 베네딕티의 부록 포함.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1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Prim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71/XLII+491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00년부터 1908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2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Second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74/567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09년부터 1917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3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Terz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77/603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18년부터 1932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4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Quart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80/603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33년부터 1941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5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Quint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88/553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42년부터 1948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수학 저작. 회고록과 노트 제6권Opere Matematiche. Memorie e Note. Volume Sestoit린체이 국립 아카데미(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Bardi Editore 배포)1989/499쪽http://mathematica.sns.it/ 이탈리아 국립 수학 출판부에서 이용 가능. 저서를 제외한 프란체스코 세베리의 모든 과학적 업적을 담은 완전한 모음집.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인 재인쇄된 저작들은 원어를 유지하며, 인쇄상의 오류와 저자의 실수를 수정하여 개선된 활자 형태로 제공. 여러 논문에 세베리의 주석 추가. 1949년부터 1961년까지 발표된 저작 수록.
기하학 과학에서의 가정과 현실Ipotesi e realtà nelle scienze geometriche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10/8, 1–29쪽
시간 상대성에 대한 일반적인 반대 의견 검토Rassegna di alcune vedute generali sulla relatività del tempo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25/37, 77–86쪽
상대성 원리의 논리적 및 심리적 요소Elementi logici e psicologici del principio di relatività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25/37, 1–10쪽
물질과 인과 관계, 에너지와 불확정성Materia e causalità, energia ed indeterminazione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47/81, 49–59쪽
레오나르도와 수학Leonardo e la matematica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3/88, 41–44쪽
상대성 이론의 논리적 기초Le basi logiche della teoria della relatività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5/90, 277–282쪽
20세기 전반기의 수학La matematica nella prima metà del secolo XX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7/92, 20–26쪽
에테르와 상대성 이론L'ether et la theorie de la relativité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6/91, 42–43쪽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과학의 여왕이자 하녀인 수학Les mathematiques reines et servantes des sciences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5/90, 371–372쪽에릭 템플 벨(Eric Temple Bell)
수학 저작Die Mathematische Schriften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4/89, 34–34쪽니콜라우스 폰 쿠사(Nikolaus Von Cues)
신합리주의 철학 에세이Saggi di Filosofia neorazionalista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4/89, 176–176쪽루도비코 게이모낫(Ludovico Geymonat)
사이버네틱스 입문Introduzione alla cibernetica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3/88, 312–313쪽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
위대한 수학자들I grandi Matematici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1/86, 183–184쪽에릭 템플 벨(Eric Temple Bell)
수학이란 무엇인가?Che cos'è la matematica?it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51/86, 278–279쪽리처드 쿠란트(Richard Courant)와 허버트 로빈스(Herbert Robbins)
산술과 논리Aritmetica e Logica프랑스어Scientia: rivista internazionale di sintesi scientifica1949/84, 144–144쪽고틀로브 프레게(Gottlob Frege)


5. 수상 및 명예

세베리는 경력 동안 수많은 상을 받았다. 국립 과학 아카데미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페데리고 엔리케스와 함께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보르댕 상(Bordin Prize)을 공동 수상했다.[2] 1908년에는 구치아 메달을 수여받았다.

1910년 린체이 학회(Accademia dei Lincei), 1918년 토리노 과학 아카데미(Accademia delle Scienze di Torino) 등 여러 이탈리아 및 외국 아카데미의 회원이었다.

6. 평가와 비판

프란체스코 세베리는 수론 기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지만, 정치적으로는 비판받을 만한 행적을 보였다. 대수곡면의 이차불변량 이론을 창시하고, 유리곡면 분류 연구를 시작하는 등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국립 과학 아카데미 금메달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받았다.[2] 린체이 학회, 토리노 과학 아카데미 등 여러 이탈리아 및 외국 아카데미의 회원이었다. 페데리고 엔리케스와 함께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보르댕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6. 1. 부정적 평가

세베리는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되었으나, 1925년 사회주의 정치인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 이후 총장직을 사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시즘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반유대법 시행도 받아들였다.[2]

1959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자서전 “Dalla scienza alla fede”(1959)를 출판하며 자신의 정치적 식견 부족에 대해 회개했다. 그는 “수학은 다양한 것들에 같은 이름을 붙이는 기술이며, 수학자들은 종종 정치에서 실수를 저지르는데, 정치는 반대로 동일한 것들에 다른 이름을 붙이는 기술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2]

참조

[1] 논문 A Fresh Look at Francesco Severi
[2] 논문 Sulla totalità delle curve algebriche tracciate sopra una superficie algebrica https://doi.org/10.1[...] 1906-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