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츠 이그나츠 귄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츠 이그나츠 귄터는 18세기 후반 바이에른을 대표하는 조각가로, 독일 고딕 이래의 목조각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는 채색되거나 도금된 목조각 작품을 주로 제작했으며, 로코코적인 세속성을 넘어선 섬세한 영혼의 움직임을 표현한 종교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귄터의 주요 작품으로는 로트 암 인의 성 마리누스와 성 아니아누스 베네딕토회 수도원 교회 제단, 뮌헨 뷔르거잘 교회의 수호 천사상, 넨닝겐 묘지 예배당의 피에타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들은 바이에른 지역의 여러 교회와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조각가 - 안토니오 카노바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조각가로, 로마에서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받아 활동하며 《키스로 깨어나는 프시케》,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나폴레옹의 후원을 받으며 유럽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세기 조각가 - 조반니 바티스타 피라네시
    이탈리아 출신 조반니 바티스타 피라네시는 판화 연작 "베두테"와 "가상의 감옥"으로 유명하며, 건축가, 고고학자, 미술 이론가로서 신고전주의 건축과 낭만주의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조각가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독일의 조각가 - 장 아르프
    장 아르프는 프랑스-독일계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콜라주, 부조, 조각 등의 작품 활동을 했으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그랑프리 등을 수상했다.
  • 1775년 사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775년 사망 - 효의순황후
    효의순황후는 건륭제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황귀비까지 올라 황후의 역할을 대행하며 가경제의 생모로서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권력욕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프란츠 이그나츠 귄터
기본 정보
본명요한 크리스티안 이그나츠 귄터
출생1725년 11월 22일, 바이에른 알트만슈타인
사망1775년 10월 2일 (49세), 뮌헨
국적독일
직업조각가
활동 기간로코코
작품
스타일로코코

2. 생애

2. 1. 초기 생애

2. 2. 주요 활동

3. 주요 작품

알트만슈타인 성 십자가 교회 (1763–1764)

아샤우 임 키엠가우 호헨아샤우 성의 조상 갤러리 (나무 조각상 2개) (1766)

베네딕트보이른 성 베네딕트 교회 (측면 제단, 귀속)

프라이징 노이슈티프트 수도원 교회 (주 제단) (1756)

군트 암 테게른제 성 에기디우스 교구 교회 (북쪽 측면 제단에 금박을 입힌 나무 부조) (1763)

그라이슈테트-알텐호에나우 성 베드로와 성 바울 수도원 교회 (제단) (1767)

잉골슈타트 소(小) 교회 (프라이징 묘비) (1770)

말러스도르프 말러스도르프 수도원 (주 제단) (1768–1770)

뮌헨 뷔르거잘 교회 (오르간 갤러리 아래의 수호 천사) (1762)

뮌헨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의 작품, 개인 숭배를 위한 그의 ''하우스마돈나'' 포함

뮌헨-할라힝 성 안나 순례 교회 (제단) (1763 & 1764)

넨닝겐 묘지 예배당 (피에타—귄터의 마지막 작품) (1774)

로트 암 인 성 마리누스와 성 아니아누스 베네딕토회 수도원 교회 (주 제단, 측면 제단, 삼위일체, 성 쿤디군데, 성 하인리히, 성 코르비니안 및 성 울리히의 조각상) (1761–1762)

슈타른베르크 성 요셉 교회 (주 제단) (1766–1768)

바이어른 성 베드로와 성 바울 가톨릭 교구 교회 (나무 조각 주 제단, 수태고지, 피에타, 푸티, 성 발레리우스의 조각된 성골함, 은색 틀의 감실) (1763–1764)

3. 1. 대표작

프란츠 이그나츠 귄터의 대표작으로는 로트 암 인의 성 마리누스와 성 아니아누스 베네딕토회 수도원 교회 주 제단 및 측면 제단(1761-1762)이 있으며, 삼위일체, 성 쿤디군데, 성 하인리히, 성 코르비니안, 성 울리히 등의 조각상을 포함한다. 뮌헨 뷔르거잘 교회의 수호 천사상(1762)과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에 소장된 개인 숭배를 위한 ''하우스마돈나''도 그의 작품이다. 귄터의 마지막 작품은 넨닝겐 묘지 예배당의 피에타(1774)이다.

그 외에도 알트만슈타인의 성 십자가 교회(1763-1764), 아샤우 임 키엠가우 호헨아샤우 성의 조상 갤러리(나무 조각상 2개)(1766), 베네딕트보이른의 성 베네딕트 교회 측면 제단(귀속), 프라이징 노이슈티프트 수도원 교회 주 제단(1756), 군트 암 테게른제 성 에기디우스 교구 교회 북쪽 측면 제단에 금박을 입힌 나무 부조(1763), 그라이슈테트-알텐호에나우 성 베드로와 성 바울 수도원 교회 제단(1767), 잉골슈타트 소(小) 교회(프라이징 묘비)(1770), 말러스도르프 말러스도르프 수도원 주 제단(1768-1770), 뮌헨-할라힝 성 안나 순례 교회 제단(1763, 1764), 슈타른베르크 성 요셉 교회 주 제단(1766-1768), 바이어른 성 베드로와 성 바울 가톨릭 교구 교회 (나무 조각 주 제단, 수태고지, 피에타, 푸티, 성 발레리우스의 조각된 성골함, 은색 틀의 감실)(1763-1764) 등이 있다.

3. 2. 기타 작품

알트만슈타인 성 십자가 교회(1763-1764), 아샤우 임 키엠가우 호헨아샤우 성의 조상 갤러리(나무 조각상 2개)(1766), 베네딕트보이른 성 베네딕트 교회(측면 제단, 귀속), 프라이징 노이슈티프트 수도원 교회(주 제단)(1756), 군트 암 테게른제 성 에기디우스 교구 교회(북쪽 측면 제단에 금박을 입힌 나무 부조)(1763), 그라이슈테트-알텐호에나우 성 베드로와 성 바울 수도원 교회(제단)(1767), 잉골슈타트 소(小) 교회(프라이징 묘비)(1770)의 작품들이 있다. 말러스도르프 말러스도르프 수도원(주 제단)(1768-1770), 뮌헨 뷔르거잘 교회(오르간 갤러리 아래의 수호 천사)(1762), 뮌헨-할라힝 성 안나 순례 교회(제단)(1763 & 1764)에도 귄터의 작품이 있다. 넨닝겐 묘지 예배당의 피에타는 귄터의 마지막 작품(1774)이다.

슈타른베르크 성 요셉 교회(주 제단)(1766-1768), 바이어른 성 베드로와 성 바울 가톨릭 교구 교회(나무 조각 주 제단, 수태고지, 피에타, 푸티, 성 발레리우스의 조각된 성골함, 은색 틀의 감실)(1763-1764) 등지에도 그의 작품이 남아있다. 로트 암 인 성 마리누스와 성 아니아누스 베네딕토회 수도원 교회에는 주 제단, 측면 제단, 삼위일체, 성 쿤디군데, 성 하인리히, 성 코르비니안 및 성 울리히의 조각상(1761-1762)이 있다. 뮌헨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에는 개인 숭배를 위한 그의 ''하우스마돈나''가 전시되어 있다.

4. 작품 특징

귄터는 18세기 후반 바이에른의 대표적인 조각가로, 독일 고딕 이래의 전통적인 목조각 기법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는 시트라우프와 에겔에게서 조각을 배웠으며, 주로 뮌헨에서 활동했다.

귄터의 작품은 채색되거나 도금된 목조각 작품이 많으며, 비교적 작게 조형된 두부(頭部), 피로한 듯한 표정, 화사하고 우아한 모습을 가진 천사나 여성상은 로코코적인 세속성과 감상을 극복하고 섬세한 영혼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종교성을 간직하고 있어 매력적이다. 그의 대표작들은 로트 암 인과 바이에른의 교회당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평가

귄터는 18세기 후반 바이에른의 지도적 조각가로, 독일 고딕 이래 전통적으로 성행하였던 목조각(木彫刻)에서 우수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채색이나 도금된 목각작품에 뛰어났으며, 작게 조형된 두부(頭部), 피로한 듯한 표정, 화사하고 우아한 모습을 가진 천사나 여성상은 로코코적인 세속성과 감상을 극복하고 섬세한 영혼의 움직임을 전해 주는 종교성을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대표작은 로트 암 인과 바이에른의 교회당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귄터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적인 아름다움과 종교성의 조화가 시대를 초월하는 감동을 준다고 강조하며, 단순한 종교 미술을 넘어 인간의 내면과 영혼을 탐구하는 예술로 평가한다.

6. 참고 문헌

크리스티아네 헤르텔, 《바이에른의 피그말리온: 조각가 이그나츠 귄터와 18세기 미학 예술 이론》(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유니버시티 파크, 2011).

참조

[1] 서적 Ignaz Günther Regensburg 1991
[2] 서적 Pygmalion in Bavaria: The Sculptor Ignaz Günther and Eighteenth-century Aesthetic Art Theory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3] 웹사이트 CNS STORY: Bavarian band, dancers celebrate pope's birthday in apostolic palace https://web.archive.[...] 2022-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